KR101975114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114B1
KR101975114B1 KR1020170134589A KR20170134589A KR101975114B1 KR 101975114 B1 KR101975114 B1 KR 101975114B1 KR 1020170134589 A KR1020170134589 A KR 1020170134589A KR 20170134589 A KR20170134589 A KR 20170134589A KR 101975114 B1 KR101975114 B1 KR 101975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water
ship
ballast
disposed
rotar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926A (ko
Inventor
손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to KR1020170134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1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선저측으로 배치되고 평형수를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평형수가 배출되고, 상기 선체의 외판 상에 배치되되 선저접선 상에 배치되는 해수 유입구를 통해서는 상기 평형수가 유입되는 평형수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으로서, 상기 평형수 탱크에 저장된 상기 평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펌프; 상기 해수 유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평형수 유입 시 개방되는 회전 도어; 구동축이 상기 회전 도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선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평형수 탱크의 해수 유입구 상에 선체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도어를 배치하고, 선박의 평형수 유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회전 도어를 개방 동작시켜 개방된 해수 유입구를 통해 평형수로 사용되는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플러그의 개폐 조작에 의해 평형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경우보다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Vessel}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의 선적 여부에 따라 회전 도어가 개폐되며 평형수로 사용되는 해수가 유입되는 평형수 탱크가 배치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 운항 때 무게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선체의 좌우나 밑바닥에 설치된 탱크에 바닷물을 채우며, 이러한 바닷물을 선박 평형수(ballast water)라고 한다. 여기서, 화물을 선적하고 하역할 때, 선박 평형수의 양을 조절하여 선박의 무게중심을 잡는다.
즉, 선박에 화물이 만재되면 평형수 탱크에 평형수를 채우지 않아도 선박의 무게중심이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여 파도 등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으나, 선적된 화물이 없거나 적은 경우에는 화물이 선적된 것과 동일하게 선박의 일정부분이 해수면 아래 위치하게 할 수 있도록 평형수 탱크에 평형수를 유입시켜 운항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선박의 평형수 탱크의 전후좌우의 평형수 양을 조절하여 선박의 종경사(Trim) 또는 횡경사(Heel)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평형수 탱크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하거나 기타 작업이 필요한 경우, 평형수 탱크에 채워진 평형수를 외부로 배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평형수 탱크의 바닥 쉘에는 평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을 형성하고, 이러한 배수홀에 나사 결합하는 플러그로 밀봉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4-56638호를 참조하면, 선박의 평형수 탱크에 배치되는 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의 플러그는 평형수 탱크에 형성된 배수홀에 플러그가 나사 결합되어 있어, 작업자가 플러그를 회전 동작시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선체 외부에서 플러그 개폐 조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시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017년 9월부터 발효되는 선박평형수관리협약에 따라, 전 세계를 운항하는 선박들은 평형수 처리설비(BWTS)를 의무적으로 탑재해야 하는데 이에 막대한 시간 및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의 평형수 탱크의 해수 유입구 상에 선체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도어를 배치하고, 선박의 평형수 유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회전 도어를 개방하여 평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플러그의 개폐 조작에 의해 평형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경우보다 안정성이 향상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체의 선저측으로 배치되고 평형수를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평형수가 배출되고, 상기 선체의 외판 상에 배치되되 선저접선 상에 배치되는 해수 유입구를 통해서는 상기 평형수가 유입되는 평형수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으로서, 상기 평형수 탱크에 저장된 상기 평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펌프; 상기 해수 유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평형수 유입 시 개방되는 회전 도어; 구동축이 상기 회전 도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선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선박을 제공한다.
상기 해수 유입구는, 상기 선체의 중심축의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도어는, 상기 회전축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단위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위 도어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180도의 각간격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해수 유입구와 상기 회전 도어는, 수밀 처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선박의 평형수 탱크의 해수 유입구 상에 선체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도어를 배치하고, 선박의 평형수 유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회전 도어를 개방 동작시켜 개방된 해수 유입구를 통해 평형수로 사용되는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플러그의 개폐 조작에 의해 평형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경우보다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회전 도어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회전 도어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에서의 회전 도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회전 도어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회전 도어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은 배수 펌프(110), 회전 도어(120) 및 구동 수단(130)을 포함한다.
우선, 평형수 탱크(2)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평형수 탱크(2)는 선체(100)의 좌우나 밑바닥에 배치되고, 내부로는 소정량의 평형수가 저장되는 선박의 구성 요소로서, 화물의 선적량에 따라 평형수의 양을 조절하여 선박의 무게중심을 잡는다.
이때, 평형수로 사용되는 해수는 선저면상에 배치되는 해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될 수 있고, 배출되는 평형수는 선체 상에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선저접선(Bottom tangent line)은 선체 곡면과 선체 기저면과의 교차 곡선으로서, Flat of bottom으로도 불리운다. 선저접선으로 둘러싸인 면을 선저면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평형수 탱크(2)는 선체(100)의 하부 즉, 선저(101) 상에서 좌우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배수 펌프(110)는 평형수 탱크(2) 내부 또는 선저 측으로 배치되어, 평형수 탱크(2)에 저장되어 있는 평형수를 선체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배수 펌프(110)의 동작은 선박(1)의 기관실이나 조타실 등, 선박(1)의 운항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장소에 배치되는 온/오프 수단(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도어(120)는 해수 유입구(4) 상에 배치되어, 평형수 탱크로의 평형수 유입이 필요할 때 회전 동작하여, 해수 유입구(4)가 개방되도록 한다.
회전 도어(120)는 제1 및 제2 단위 도어(120A, 120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단위 도어(120A, 120B)는 해수 유입구(4) 상에 선체(100)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122)의 양측으로 배치된다.
제1 및 제2 단위 도어(120A, 120B)는 회전축(122)의 양측으로 배치되되, 회전축(122)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180도의 각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단위 도어(120A, 120B)는 회전축(122)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위 도어(120A, 120B)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및 제2 단위 도어(120A, 120B)의 길이와 폭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위 도어(120A, 120B)는 서로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수단(130)은 구동축이 회전 도어(120)의 회전축(122)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 도어(120)의 개방 또는 폐쇄 조작에 대응하여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수단(13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에서의 회전 도어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배수 펌프(110)는 평형수 탱크(2) 내부의 평형수를 외부 즉, 선체(100) 외부로 배수한다. 배수 펌프(110)의 동작은 선박에 소정의 화물을 적재한 후 안정적인 운항을 위해 소정의 부력을 얻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평형수의 배출은 적재되는 화물의 양에 비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평형수의 배출 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도어(120)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여 해수 유입구(4)를 통해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 도어(120)와 해수 유입구(4)는 수밀 처리하여, 회전 도어(120)와 해수 유입구(4)의 틈새를 통해서도 해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소정의 화물을 적재한 선박은 하역항에 입항한 후, 적재되어 있는 화물을 하역한다. 화물의 하역이 이루어진 후에는 새로운 화물의 선적을 위해 선적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적항으로 이동한 선박(1)의 화물창(3)에 대하여 소정 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조타실이나 기관실에는 구동 수단(130)에 대하여 소정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도어(120)가 개방 동작되도록 하여, 해수 유입구(4)가 개방되도록 한다.
선박(1)은 회전 도어(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평형수 탱크(2) 내로는 평형수로 사용되는 해수가 유입될 수 있다.
선적항에서 선적되는 화물의 양은 이미 결정되어 있으므로, 선적 예정인 화물의 양에 대응하는 해수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도어(120)를 폐쇄 동작시켜 해수 유입구(4)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후, 화물의 선적이 완료되면 최종적으로, 선적된 화물의 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평형수를 배출하거나 추가로 유입시킬 수 있다.
한편, 선박의 운항 시에는 회전 도어(12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선박의 평형수 탱크의 해수 유입구 상에 선체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도어를 배치하고, 선박의 평형수 유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회전 도어를 개방 동작시켜 개방된 해수 유입구를 통해 평형수로 사용되는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플러그의 개폐 조작에 의해 평형수의 유출을 제어하는 경우보다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선박 100: 선체
110: 배수 펌프 120: 회전 도어
130: 구동 수단

Claims (5)

  1. 선체의 선저측으로 배치되고 평형수를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평형수가 배출되고, 상기 선체의 외판 상에 배치되되 선저접선 상에 배치되는 해수 유입구를 통해서는 상기 평형수가 유입되는 평형수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으로서,
    상기 평형수 탱크에 저장된 상기 평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펌프;
    상기 해수 유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평형수 유입 시 개방되는 회전 도어;
    상기 선체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기 회전 도어의 회전축에 구동축이 연결되는 구동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도어는,
    상기 회전축의 양측으로 연결되되,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180도의 각간격을 갖고 상기 회전축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단위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의 중심축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선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유입구와 상기 회전 도어는,
    수밀 처리되는 선박.
KR1020170134589A 2017-10-17 2017-10-17 선박 KR101975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589A KR101975114B1 (ko) 2017-10-17 2017-10-17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589A KR101975114B1 (ko) 2017-10-17 2017-10-17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926A KR20190042926A (ko) 2019-04-25
KR101975114B1 true KR101975114B1 (ko) 2019-05-03

Family

ID=6628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589A KR101975114B1 (ko) 2017-10-17 2017-10-17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091B1 (ko) * 2020-11-17 2022-07-14 황태성 해수의 자연 순환이 가능한 선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5188B1 (ja) * 2008-10-01 2009-06-10 住友商事株式会社 サイドスラスター付き船体
KR101549162B1 (ko) * 2013-10-30 2015-09-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 체스트 개폐 장치
KR20150144940A (ko) * 2014-06-18 2015-12-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플랜트의 평형수 탱크
KR20170001906U (ko) * 2015-11-23 2017-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그 사이드 스러스터용 개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926A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114B1 (ko) 선박
KR101975113B1 (ko) 선박
US860492A (en) Transport vessel.
KR101739571B1 (ko) 선박의 탱크용 에어벤트
JP2003276675A (ja) 船首スラスター用外板開口部の船体抵抗低減装置
JP2010120396A (ja) スラスタトンネル開閉装置
KR101850000B1 (ko) 침몰 방지를 위한 반 잠수식 자항 수송선
KR20180000146A (ko) 평형수 처리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1195756B1 (ko) 안티 힐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61868B1 (ko) 선박의 비상배수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195892B1 (ko) 모듈형 사이드 스러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U2018200180A1 (en) Mixer drum cooling device
JP2009183172A (ja) 細胞処理容器および細胞処理装置
KR101225155B1 (ko) 시추선
KR20170029937A (ko) 교반기용 임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교반기
KR101863806B1 (ko) 빌지처리장치
KR102312883B1 (ko) 노후 선박을 개조한 플로팅 도크
KR101177883B1 (ko) 시추선
KR101621721B1 (ko)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용 밸브
US1169514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water ballast in submergible vessels.
KR20220131005A (ko) 선박
JP3389021B2 (ja) 石炭スラリー輸送船用堆積物流動化装置
KR20090114754A (ko)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KR101835538B1 (ko) 평형수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선박
KR20210115588A (ko) 홀수 및 트림 조절이 가능한 발라스트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