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806B1 - 빌지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빌지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806B1
KR101863806B1 KR1020160153329A KR20160153329A KR101863806B1 KR 101863806 B1 KR101863806 B1 KR 101863806B1 KR 1020160153329 A KR1020160153329 A KR 1020160153329A KR 20160153329 A KR20160153329 A KR 20160153329A KR 101863806 B1 KR101863806 B1 KR 101863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ge
space portion
hull
space
conn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451A (ko
Inventor
이완희
강민우
권청명
조민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8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4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inclination or duration of rol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빌지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는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구획격벽을 통해 구획되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에서 발생하는 빌지를 처리하기 위한 빌지처리장치로서, 상기 제1공간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빌지를 수용하는 빌지수용부; 및 상기 제2공간부의 하부영역과 상기 빌지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빌지처리장치{Apparatus for bilge treating}
본 발명은 빌지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항해 중에 발생하는 응집수, 해수나 빗물, 또는 기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빌지(bilge)가 선체 하부에 발생한다. 이때, 빌지처리장치는 위와 같이 발생하는 빌지를 수집하여 선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선체에 설치된다.
선체에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구획된 공간부가 형성되고, 빌지처리장치는 구획된 공간부마다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빌지처리장치는 빌지를 수집하는 빌지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빌지웰에는 수집된 빌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 및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선과 같은 선박은 운항효율을 고려하여 선수트림상태 또는 선미트림상태로 운항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체는 일정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운항할 수 있다. 이때, 선체에 발생하는 빌지는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선미측으로 이동하거나 선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종래, 빌지처리장치는 선체의 한 공간부에서 발생한 빌지를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처리하기 위해, 선체의 한 공간부에 대해 선수측 및 선미측에 각각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빌지처리장치의 설치에 소모되는 자재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선체의 공간활용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치에 소모되는 자재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선체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빌지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구획격벽을 통해 구획되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에서 발생하는 빌지를 처리하기 위한 빌지처리장치로서, 상기 제1공간부의 바닥면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빌지를 수용하는 빌지수용부; 및 상기 제2공간부의 하부영역과 상기 빌지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빌지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가 상기 제2공간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빌지수용부는 상기 제1공간부의 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가 상기 제2공간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빌지수용부는 상기 제1공간부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가 상기 제2공간부보다 위에 있도록 상기 선체가 기울 때, 상기 제1공간부에서 발생하는 빌지는 상기 빌지수용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1공간부가 상기 제2공간부보다 아래에 있도록 상기 선체가 기울 때, 상기 제2공간부에서 발생하는 빌지는 상기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빌지수용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라인에는 상기 연결라인을 개폐하는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을 감지하는 기울기감지부; 및 상기 연결라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이 상기 제1공간부가 상기 제2공간부보다 위에 있는 방향인 경우, 상기 연결라인을 폐쇄하고, 수신한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이 상기 제1공간부가 상기 제2공간부보다 아래에 있는 방향인 경우, 상기 연결라인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감지부는 상기 구획격벽의 상기 제2공간부와 접하는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에서 발생하는 빌지의 액위를 측정하여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감지부는 상기 선체의 흘수를 측정하여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라인이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연결함으로써,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에서 발생하는 빌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빌지수용부를 제1공간부의 일측에만 배치함으로써, 설치에 소모되는 자재 및 비용을 절감하고, 선체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빌지수용부의 배치구조에 대한 일 변형례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BB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빌지처리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빌지처리장치의 또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X축방향은 선체의 전방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100)는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공간부(11a)와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하는 빌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체(10)에는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공간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100)는 복수의 공간부(11) 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1공간부(11a)와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하는 빌지를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 볼 때 선체(10)에 형성되는 공간부(11) 중 선미로부터 선수방향으로 세번째 위치하는 것을 제1공간부(11a)로, 그 공간부(11a)와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고 선미로부터 선수방향으로 두번째 위치하는 것을 제2공간부(11b)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100)는 제1공간부(11a)와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하는 빌지를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제1공간부(11a)와 제2공간부(11b)는 도 1과 같이 구획격벽(15)을 통해 구획된다. 구획격벽(15)은 선체(10)의 폭방향(ex. Y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공간부(11a)와 제2공간부(11b)는 컨테이너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화물창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화물창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100)는 빌지수용부(110) 및 연결라인(130)을 포함한다.
빌지수용부(110)는 빌지를 수용한다.
빌지수용부(110)는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제1공간부(11a)에서 발생한 빌지를 수용하거나,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한 빌지를 수용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선체(10)는 제1공간부(11a)가 제2공간부(11b)보다 위에 있도록 기울 수 있다. 이때, 제1공간부(11a)에서 발생하는 빌지는 빌지수용부(110)로 이동하여 수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는, 선체(10)는 제1공간부(11a)가 제2공간부(11b)보다 아래에 있도록 기울 수 있다. 이때,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하는 빌지는 후술하는 연결라인(130)을 통해 빌지수용부(110)로 이동하여 수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빌지수용부(110)는 제1공간부(11a)의 바닥면 아래에 형성된다.
이때, 빌지수용부(110)는 도 2와 같이 제1공간부(11a)의 바닥면에서 아래(ex. -Z축방향)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공간부(11a)가 형성되는 선체(10)의 하부는 이중저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빌지수용부(110)는 제1공간부(11a)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공간부(11a)는 도 2와 같이 제2공간부(11b)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공간부(11a)는 제2공간부(11b)에 대해 선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빌지수용부(110)는 제1공간부(11a)의 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빌지수용부(110)는 제1공간부(11a)의 선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제1공간부(11a')는 제2공간부(11b')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공간부(11a')는 제2공간부(11b')에 대해 선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은 도 2의 빌지수용부의 배치구조에 대한 일 변형례이다.
이때, 빌지수용부(110')는 제1공간부(11a')의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빌지수용부(110')는 제1공간부(11a')의 선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빌지수용부(110)는 제1공간부(11a)와 제2공간부(11b)를 구획하는 구획격벽(1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연결라인(130)의 길이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빌지수용부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빌지배출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빌지수용부에 수용된 빌지는 빌지배출라인을 통해 선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빌지배출라인에는 빌지배출펌프(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빌지수용부에 수용된 빌지는 빌지배출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선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연결라인(130)은 제2공간부(11b)의 하부영역과 빌지수용부(110)를 연결한다. 이 경우, 연결라인(130)은 제1공간부(11a)와 제2공간부(11b)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때, 연결라인(130)은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한 빌지가 제1공간부(11a)의 빌지수용부(110)를 향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라인(130)은 도 2와 같이 제2공간부(11b)의 하부영역에서 구획격벽(15)을 관통하여 빌지수용부(110)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연결라인(130)의 빌지가 유입되는 유입부는 도 2와 같이 구획격벽(15)의 제2공간부(11b)와 접하는 일면에서 제2공간부(11b) 내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유입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획격벽의 제2공간부와 접하는 일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라인(130)의 빌지가 배출되는 배출부는 빌지수용부(110)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연결라인은 제2공간부의 하부영역과 빌지수용부를 연결하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라인(130)에는 밸브(150)가 형성될 수 있다. 밸브(150)는 연결라인(130)을 개폐한다.
밸브(150)는 연결라인(130)이 개방되도록 개방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한 빌지가 연결라인(130)을 통해 빌지수용부(110)로 이동할 수 있다.
밸브(150)는 연결라인(130)이 폐쇄되도록 폐쇄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빌지수용부(110)에 수용된 빌지가 연결라인(130)을 통해 제2공간부(11b)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밸브(150)는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개폐동작할 수 있다.
밸브(150)는 수동으로 개폐되거나, 후술하는 제어부(190)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100)는 기울기감지부(170)와 제어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감지부(170)는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기울기감지부(170)는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하는 빌지의 액위를 측정하여 선체(10)의 기울기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기울기감지부(170)는 도 2와 같이 구획격벽(15)의 제2공간부(11b)와 접하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울기감지부(170)는 연결라인(130)의 유입부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선체(10)는 제1공간부(11a)가 제2공간부(11b)보다 위에 있도록 기울 수 있다. 이 경우,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하는 빌지는 구획격벽(15)의 제2공간부(11b)와 접하는 일면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구획격벽(15)의 제2공간부(11b)와 접하는 일면에서의 빌지의 액위는 감소할 수 있다.
또는, 선체(10)는 제1공간부(11a)가 제2공간부(11b)보다 아래에 있도록 기울 수 있다. 이 경우,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하는 빌지는 구획격벽(15)의 제2공간부(11b)와 접하는 일면을 향해 이동하여 쌓일 수 있다. 이때, 구획격벽(15)의 제2공간부(11b)와 접하는 일면에서의 빌지의 액위는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감지부(170)는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하는 빌지의 액위를 기초로 선체(10)의 기울기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기울기감지부(170)의 배치위치는 예상되는 선체(10)의 기울어진 정도 또는 처리되는 빌지의 양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울기감지부는 통상적인 액위센서 등 빌지의 액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한편, 빌지의 액위를 측정하는 기울기감지부(170)는 커버부재(미도시)를 통해 보호될 수 있다. 커버부재는 기울기감지부(170)의 상면 및 측면을 보호할 수 있다. 예컨대, 커버부재는 저면이 개방된 박스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는 기울기감지부(170)의 상면 및 측면으로 유입되는 액체(ex. 천장에서 누수되는 물)에 의해 기울기감지부(170)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울기감지부는 선체의 흘수를 측정하여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선체가 소정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선체의 선수 흘수와 선체의 선미 흘수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선체는 선수측에 위치한 제1공간부가 선미측에 위치한 제2공간부보다 위에 있도록 기울 수 있다. 이 경우, 선수 흘수는 선미 흘수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선체는 선수측에 위치한 제1공간부가 선미측에 위치한 제2공간부보다 아래에 있도록 기울 수 있다. 이 경우, 선수 흘수는 선미 흘수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기울기감지부는 선수 흘수와 선미 흘수를 측정하고, 선수 흘수와 선미 흘수 차이를 기초로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기울기감지부는 공지된 기울기센서 등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연결라인(13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기울기감지부(170)가 감지한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을 수신한 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수신한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연결라인(130)을 개폐할 수 있다.
수신한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이 제1공간부(11a)가 제2공간부(11b)보다 위에 있는 방향인 경우, 제어부(190)는 연결라인(130)을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연결라인(130)에 형성된 밸브(150)가 폐쇄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수신한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이 제1공간부(11a)가 제2공간부(11b)보다 아래에 있는 방향인 경우, 제어부(190)는 연결라인(130)을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연결라인(130)에 형성된 밸브(150)가 개방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선체(10)는 수평면에 대해 선수가 선미보다 상승한 선미트림상태로 운항할 수 있다. 이때, 선체(10)는 제1공간부(11a)가 제2공간부(11b)보다 위에 있도록 기울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선체(10)는 제1공간부(11a)에서 제2공간부(11b)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기울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0)에 발생한 빌지는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공간부(11a)에서 발생하는 빌지는 도 4와 같이 제1공간부(11a)의 바닥을 따라 제1공간부(11a)의 후단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빌지수용부(110)는 제1공간부(11a)에서 발생한 빌지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구획격벽(15)의 제2공간부(11b)를 접한 일면에서의 빌지의 액위는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울기감지부(170)는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이 제1공간부(11a)가 제2공간부(11b)보다 위에 있는 방향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기울기감지부(170)가 감지한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밸브(150)를 폐쇄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연결라인(130)은 폐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선체(10)는 수평면에 대해 선수가 선미보다 하강한 선수트림상태로 운항할 수 있다. 이때, 선체(10)는 제1공간부(11a)가 제2공간부(11b)보다 아래에 있도록 기울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선체(10)는 제2공간부(11b)에서 제1공간부(11a)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기울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0)에 발생한 빌지는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하는 빌지는 제2공간부(11b)의 바닥을 따라 구획격벽(15)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한 빌지는 도 5와 같이 구획격벽(15)의 제2공간부(11b)를 접한 일면에 차단되어 구획격벽(15) 부근에서 쌓일 수 있다. 이때, 구획격벽(15)의 제2공간부(11b)를 접한 일면에서의 빌지의 액위는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울기감지부(170)는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이 제1공간부(11a)가 제2공간부(11b)보다 아래에 있는 방향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기울기감지부(170)가 감지한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밸브(150)를 개방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연결라인(130)은 개방되고,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한 빌지는 연결라인(130)을 통해 제1공간부(11a)의 빌지수용부(11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빌지수용부(110)는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한 빌지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100)는 도 6과 같이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빌지처리장치(100)는 선체(10)의 폭방향(ex. Y축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도 2의 BB선을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선체(10)에 형성된 복수의 공간부(11) 중 본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100)가 제공되는 제1공간부(11a)와 제2공간부(11b)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11)에는 별도로 통상의 빌지처리장치(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10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도 1의 빌지처리장치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빌지처리장치의 또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관련하여, 선체(10)에는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공간부(1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빌지처리장치(100)는 도 7과 같이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빌지처리장치(100)는 도 8과 같이 선체(10)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선체에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빌지처리장치(100)는, 연결라인(130)이 제1공간부(11a)와 제2공간부(11b)를 연결함으로써, 선체(10)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제1공간부(11a)와 제2공간부(11b)에서 발생하는 빌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빌지수용부(110)를 제1공간부(11a)의 일측에만 배치함으로써, 설치에 소모되는 자재 및 비용을 절감하고, 선체(10)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선체
11: 공간부
11a, 11a': 제1공간부
11b, 11b': 제2공간부
15: 구획격벽
100: 빌지처리장치
110, 110': 빌지수용부
130: 연결라인
150: 밸브
170: 기울기감지부
190: 제어부

Claims (7)

  1.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구획격벽을 통해 구획되는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에서 발생하는 빌지를 처리하기 위한 빌지처리장치로서,
    상기 제1공간부의 바닥면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빌지를 수용하는 빌지수용부; 및
    상기 제2공간부의 하부영역과 상기 빌지수용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부가 상기 제2공간부보다 위에 있도록 상기 선체가 기울 때, 상기 제1공간부에서 발생하는 빌지는 상기 빌지수용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1공간부가 상기 제2공간부보다 아래에 있도록 상기 선체가 기울 때, 상기 제2공간부에서 발생하는 빌지는 상기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빌지수용부로 이동하는, 빌지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가 상기 제2공간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빌지수용부는 상기 제1공간부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빌지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가 상기 제2공간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빌지수용부는 상기 제1공간부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빌지처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에는 상기 연결라인을 개폐하는 밸브가 형성되는, 빌지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을 감지하는 기울기감지부; 및
    상기 연결라인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이 상기 제1공간부가 상기 제2공간부보다 위에 있는 방향인 경우, 상기 연결라인을 폐쇄하고,
    수신한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이 상기 제1공간부가 상기 제2공간부보다 아래에 있는 방향인 경우, 상기 연결라인을 개방하는, 빌지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감지부는 상기 구획격벽의 상기 제2공간부와 접하는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부에서 발생하는 빌지의 액위를 측정하여 상기 선체의 기울어진 방향을 감지하는, 빌지처리장치.
KR1020160153329A 2016-11-17 2016-11-17 빌지처리장치 KR101863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329A KR101863806B1 (ko) 2016-11-17 2016-11-17 빌지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329A KR101863806B1 (ko) 2016-11-17 2016-11-17 빌지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451A KR20180055451A (ko) 2018-05-25
KR101863806B1 true KR101863806B1 (ko) 2018-06-01

Family

ID=6229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329A KR101863806B1 (ko) 2016-11-17 2016-11-17 빌지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8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4569Y1 (ko) * 1987-03-05 1990-05-25 조덕근 선박의 홀드빌지 시스템
KR20090010614A (ko) * 2007-07-24 2009-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 가스 화물 운반선의 빌지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451A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3296B2 (ja) 船体摩擦抵抗低減装置
KR101490537B1 (ko) 선박의 안티 힐링 제어장치
KR20110110693A (ko) 공기 공동 선박의 안정적인 공기 공급 장치
US7921790B2 (en) Ship buoyancy control system
JP6049443B2 (ja) 摩擦抵抗低減型船舶
KR101863806B1 (ko) 빌지처리장치
KR20100084435A (ko) 선박용 밸러스트 시스템
KR102161753B1 (ko) 스크러버
KR102099523B1 (ko) 선체 마찰 저항 저감 장치 및 선박
KR20140102857A (ko) 선박용 엔진 냉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30142513A (ko) 빌지 처리 장치
JP2003276675A (ja) 船首スラスター用外板開口部の船体抵抗低減装置
KR101975114B1 (ko) 선박
KR102266932B1 (ko) 선체 하중 밸런스 제어 장치
EP3173321B1 (en) Ship
KR200465528Y1 (ko) 선박의 오일코밍
KR101225155B1 (ko) 시추선
KR20180035300A (ko) 저항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50044172A (ko) 선박 슬러지 펌프의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0121520A (ja) 容器
KR20150011664A (ko) 빌지 웰 일체형 체인 락커
JP6071546B2 (ja) 摩擦抵抗低減型船舶
KR20130000077U (ko) 선박용 빌지 웰 커버
KR20170011813A (ko) 풍향에 따른 제어가 가능한 선미 펀넬 장치.
KR20160080749A (ko) 풍향에 따른 선실의 공기 흡입 컨트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