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235B1 - 마이크로회로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회로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235B1
KR101974235B1 KR1020147000617A KR20147000617A KR101974235B1 KR 101974235 B1 KR101974235 B1 KR 101974235B1 KR 1020147000617 A KR1020147000617 A KR 1020147000617A KR 20147000617 A KR20147000617 A KR 20147000617A KR 101974235 B1 KR101974235 B1 KR 101974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ads
module
carrier film
smart card
se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221A (ko
Inventor
올리비에 보스께
Original Assignee
아이데미아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데미아 프랑스 filed Critical 아이데미아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40051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3External electrical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3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taining at least one further contact interface not conform ISO-78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Abstract

본 발명은, 제1면 상에 8개의 접점 패드를 갖추고 제2면 상에 전자 컴포넌트를 갖춘 대체로 직사각형의 캐리어 필름(101)을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 컴포넌트는 캐리어 필름을 통해 접점 패드들이 접속되는 접속 단자들이 구비되고, 그 8개의 접점 패드들은, 3개의 접점 패드들(C1, C2, C3, C5, C6, C7)의 2개의 병렬 시리즈로 배치되고, 그들 사이에 2개의 다른 접점 패드들(C'4, C'8)이 위치하고, 각각은 시리즈의 각각의 말단을 형성하는 접점 패드들의 근방에 위치하며, 접점 패드들은 각각 적어도 1.7 mm x 2 mm크기이고, 2개의 병렬 시리즈의 접점 패드들은 ISO 표준 7816에 부합하고, 상기 8개의 접점 패드들은 캐리어 필름의 각각의 측면들을 함께 수용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회로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MICROCIRCUIT MODULE AND SMART CARD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용 모듈 및 그러한 모듈을 포함하는 외부접촉식 스마트카드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스마트카드용 모듈은 박층으로 된 캐리어 필름을 포함하고, 그 캐리어 필름의 한 면, 소위 외부면(그 모듈을 장착할 스마트카드의 외부로부터 접근하도록 되어있는 면)은 명확히 정의된 컨피규레이션에 따른 접촉 구역을 포함하고, 나머지 면, 소위 내부면(그 모듈을 수용하기 위하여 카드 내에 마련된 캐비티(cavity)의 내부를 향하도록 되어있는 면)은 그 외부면의 접촉 구역의 적어도 일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접촉 단자를 갖는 마이크로회로를 지니고 있다.
외부면의 접촉 구역의 컨피규레이션은 통상적으로, 분명히 정의된 기능을 갖는 4개의 접촉구역의 2개의 병렬시리즈로 분배된 8개의 접촉 구역의 존재를 고려하는 ISO 표준 7816에 부합되는데, 그 접촉 구역들은 통상적으로 참조번호 C1 내지 C8로 지정된다:
- 접촉 구역 C1은 Vcc(또는 Vdd)로 표시되는 공급 전압 수신용,
- 접촉 구역 C2는 RST로 표시되는 초기화 신호 수신용,
- 접촉 구역 C3는 CLK로 표시되는 클럭 신호 수신용,
- 접촉 구역 C4는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신호 수신용(표준은 장래 애플리케이션을 고려함)
- 접촉 구역 C5는 GND(또는 Vss)로 표시되는 그라운드 전압 수신용,
- 접촉 구역 C6는 VPP로 표시되는 메모리 카드 프로그램 전압 수신용,
- 접촉 구역 C7은 데이터 교환 입력/출력 신호 수신용, 및
- 접촉 구역 C8은 대상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C4 구역과의 협력용.
접촉 구역 C4 및 C8은 과거에는 항상 사용된 것은 아니지만, 특히 USB 통신 또는 SPI 통신을 위하여, 점차로 더 사용된다.
실제로, ISO 표준 7816의 최신 버젼(7816-2&10&12 버젼)은 C4 패드가 리셋 기능, 쓰기 또는 판독 기능, 또는 USB 기능을 위한 D+ 단자 기능을 가질 수 있는 반면, C8은 USB 기능을 위한 D- 단자 기능을 가질 수 있다고 명시한다.
ISO 표준 7816은 그외에 여러 접촉 단자들의 상호(reciprocal) 위치들, 및 그 접촉 구역들의 최소 크기, 즉 2 mm 폭과 1.7 mm 높이{관례상, 패드들은 직렬 시리즈로 캐리어 필름(대체로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의 짧은 측면에 근접하여 배치됨}를 규정한다.
스마트카드는 그러한 모듈을 수용하기 위하여 캐비티가 내부에 마련된 본체를 포함한다. ISO 표준 7816은 또한 그러한 카드 본체 내에 있는 그러한 모듈의 컨피규레이션을 명시한다.
그 카드 본체는 그 또한 표준화된 다수의 포맷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3개의 공지된 표준화된 중요 포맷들이 이하 지침에 따라 사용되는 것이다(특히 ETSI TS표준 102 221 및 ISO 표준 7816 참조):
- ID-1은 길이 85.6 mm, 폭 54 mm, 및 두께 0.76 mm를 가짐 - 그 포맷은 때때로 1FF("제1 폼 팩터(form factor)")로 표시됨 - ,
- ID-000(Plug-in UICC 또는 SIM GSM 카드로도 지칭됨)은 길이 25 mm, 폭 15 mm, 및 동일한 폭 0.76 mm를 가짐 - 그 포맷은 때때로 2FF("제2 폼 팩터")로 표시됨 - ,
- 미니-UICC(때때로 new SIM 카드로 지칭됨)는 길이15 mm, 폭 12 mm 및 동일한 두께 0.76 mm를 가짐 - 그 포맷은 때때로 3FF("제3 폼 팩터")로 표시됨 - .
길이 및 폭의 표시는 마이크로회로의 방향을 참조하여 정의되어야 함을 명시해야 한다.
현 경향은 스마트카드를 최소화하는 것이며, 4FF라 표시될 더 작은 제4 포맷이 거론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러한 최소화를 위한 노력은 상기한 표준을 가능한 오랫동안 준수하기를 원한다는 사실에 의해 제한되며, 점점 더 많은 수량의 기능들을 스마트카드에 부여하기를 원한다는 사실이 모듈의 후면에 고정되어야 하는 컴포넌트들을 현저히 최소화하지 못하도록 방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마트카드 내에 구현해야할 기능들을 증가시켜야한다는 그러한 고민은 한편으로 ISO 표준 7816에 의해 정의된 8개의 접촉 구역 이상으로 접점 패드의 개수를 증가하길 원하도록 유도한다.
그에 따라, 문헌 EP - 0 409 141 (Toshiba)에 의하면, 통상적 구역들의 시리즈를 중복하여, 또는 그 시리즈들과 교대로, 추가 접촉 구역들의 시리즈를 배치하는 원리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문헌 WO - 2000/043951(Bull et al.)에 의하면, 접촉 구역의 2개의 시리즈로서, 그 접촉 구역의 2개의 시리즈 사이에 배치된 2개의 접촉 구역과 기저 회로(underlying circuit)에 접속되기 위한, 그리고 카드 본체 내에 배치된 안테나에 접속되기 위한 접촉 구역의 2개의 시리즈를 갖는 컨피규레이션이 공지되어 있다.
그 외에, 문헌 US - 6 634 565 (Gray)에 의하면, ISO 표준 7816에 부합되는 2개의 접촉 구역의 시리즈들 사이에, 추가 입력/출력 접속들, 또는 추가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나의 중앙 접촉 구역의 시리즈를 배치하는 원리가 공지되어 있다. 모듈의 필름 후면 상에 배치된 적절한 인쇄 회로의 도면은 전자 컴포넌트의 플립-칩 방식의 장착과 결합하여, 추가 접촉 구역을 그곳에 배치하기 위하여 통상적 접촉 구역의 시리즈들 사이에 제공된 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 외에, 문헌 EP - 1 816 593 (Axalto)에 의하면, 2개의 병렬 접점 패드 시리즈 및 그 2개의 시리즈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접점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리즈들 중 하나의 패드의 연장부 내에, 그 시리즈들과 동일한 거리를 두고 위치한 중앙선의 방향으로, 그 중앙선을 지나치지 않고 연장되는 스마트카드의 커넥터로서, 종래의 카드 판독기와 양호한 호환성을 갖는 스마트카드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그외에, 문헌 US - 2010/038438(Kim et al.)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전자 컴포넌트와의 용이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복잡한 기하학 구조를 갖는 접점 패드들의 컨피규레이션이 공지되어 있다(ISO 표준 7816에 부합되는 접점 패드들뿐만 있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접점 패드 시리즈 전체의 외부에 배치된 안테나에 접속하게 되어 있는 추가 패드들도 있다).
더욱 기계적인 접근에 의하여(추가 접촉 구역의 획득을 특별히 목적으로하지 않음), 문헌 US - 6 054 774 (Ohmori et al.)에 따르면, 접촉 구역의 시리즈들 사이에, 구역 전체를 횡단하는 모든 선들이 그들 중 하나를 필수적으로 횡단하도록, 격리되거나, 또는 상기 구역들 중 하나에 연결된 하나 또는 2개의 구역(들)을 배치하는 원리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그 어셈블리의 강도에 기여한다(접촉 구역들의 컨피규레이션은 특정 표준을 따르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음).
인용된 문헌들 중 어느 것도 시행 중인 표준에 의해 지정된 컨피규레이션의 규정을 가능한 지키도록 하는 동시에 모듈의 크기를 축소하려는 고심은 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ISO 표준 7816과 같은 표준에 의해 지정된 규정들을 가능한 최대한 준수하며, 부차적으로 우수한 기계적 내구성을 조성하면서, 3FF 포맷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스마트카드용 모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면 상에 외부 소자와 접촉하기에 적합한 8개의 접점 패드들을 구비하고, 제2면 상에 접점 패드들이 캐리어 필름을 통하여 접속된 접속 단자들을 구비한 캐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를 위한 마이크로회로 모듈을 제안하고, 그 8개의 접점 패드들은 2개의 다른 접점 패드들이 그 사이에 위치한 3개의 접점 패드들의 2개의 병렬 시리즈로 배치되고, 그 접점 패드 시리즈들은 캐리어 필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평행하게 정렬되어, 시리즈들 중 하나의 접점 패드들이 상기 방향에 수직으로 다른 시리즈의 접점 패드들과 각각 마주하도록 하고, 2개의 다른 접점 패드들은 시리즈 각각의 말단을 형성하는 접점 패드들의 근방에 각각 위치하고, 접점 패드 각각은 상기 방향에 평행하게는, 적어도 1.7 mm의 크기를 갖고, 그 방향의 수직으로는 적어도 2 mm의 크기를 가지며, 2개의 병렬 시리즈의 접점 패드들은 ISO 표준 7816에서 C1 내지 C3, 및 C5 내지 C7로 표시되는 패드들의 경우 ISO 표준 7816의 규정에 부합되고, 그 8개의 접점 패드들은 캐리어 필름 각각의 측면들을 함께 수용한다.
여기서 캐리어 필름으로 지칭되는 것은 경우에 따라 절연 기판(insulating substrate), 비녜뜨(vignette), 또는 연성기판(flexible board) 등으로도 지칭됨을 유의해야 한다.
8개의 접점 패드들이 캐리어 필름 각각의 측면을 함께 수용한다고 말하는 것은 각각의 패드가 그 패드들 사이의 공간과 동일한 거리로 그 측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다시 말하자면, 8개의 접점 패드들은 그것들의 외부 측면이 캐리어 필름의 각각의 측면과 바로 근접하게 위치한 직사각형을 형성하도록 컨피규레이션을 갖는다는 것이고, 따라서, 캐리어 필름상에서 접점 패드들이 차지하는 면적은 그 캐리어 필름 면적의 거의 전부(적어도 80%, 나아가 90%)를 차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ISO 표준 7816의 다수의 기하학적 규정은 유지하면서, ISO 표준 7816에 의해 부가된 4개의 접점 패드들의 시리즈의 종래 규정을 포기하는 것을 제시한다. 확실히 그 표준은 (그 표준에 따라) C4 및 C8으로 표시된 접점 패드들을 "장래"의 애플리케이션에 연계시켰고, 그 결과 혹자는 그 패드들을 선택사양으로 여길 수 있다고 믿었다. 그와 같이, 문헌 EP - 1 819 593은, 매우 모호하게, 추가 패드들을 첨가하면서도 소위 선택사양인 패드들을 제거하는 원리의 최소한의 정당화도 없이 그것을 고려하였고, 그와 관련하여, 권장되는 추가 패드의 개수의 예에서, 그 문헌은 1개, 3개 또는 4개는 언급하였으나, 2개는 언급하지 않았음을 주목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3개의 접점 패드들의 2개의 시리즈를 갖는 컨피규레이션이 C4 및 C8 패드의 역할을 갖는 다른 패드들과 결합한 것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실제로, 본 발명은 특별한 방식으로 C4 및 C8 패드들을 한편으로는 C1-C3, 다른 한편으로는 C5-C7의 3개의 패드의 시리즈들 사이로 이동시키도록 제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그 접점 패드들의 개별 표면적의 감소를 내포하지 않으면서 8개의 접점 패드를 갖는 현재의 모듈들보다 더욱 컴팩트한 형태를, 그 모듈에 부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그 결과 본 발명은 ISO 표준 7816의 대부분을 준수하면서 모듈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현재의 제조 방식을 대부분 유지하면서 그러한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카드의 크기를 축소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게 한다.
한편, ISO 표준 7816의 다수의 규정에서 벗어나, 당업자는 접점 패드들을 이동하기보다는 닮음변환(homothety) 공정에 의해 접점 패드들의 표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접점 패드들의 크기를 축소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현재 제조 공정에 비하여, 심지어 모듈 크기를 축소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컴포넌트 장착 작업에 있어서 정확도 제약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스마트카드를 최소화하려는 현재의 경향과 결합하여, 현재의 포맷 3FF, 나아가 더 큰 포맷들과의 호환성을 가능한 최대한으로 보장할 필요성이 부각됨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컨피규레이션은 GSM 카드포맷을 관리하는 ETSI 표준 102 221 v8.20에 부합됨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컴포넌트는 플립-칩 방식으로 장착되고, 캐리어 필름은 상기 다른 면상에, 캐리어 필름을 통하여 8개의 접점 패드들에 각각 접속된 도전성 트랙들을 포함하고 접점 패드들이 고정된 접속 단자들과 마주하는 접점 패드들을 포함한다.
컴포넌트를 모듈 내에 플립-칩 방식으로 장착하는 것은 와이어 접속(wire-bonding)식 장착보다는 훨씬 덜 일반적임을 주지함은 중요하고, 이는 와이어 접속식 장착은, 캐리어 필름이 나중에 캐리어 필름에 고정되어야 하는 전자 컴포넌트의 기하학적 구조와 독립적으로 그것의 접점 패드들과 제조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갖기 때문이며, 이는 컴포넌트의 유형을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와이어 접속 내 파라미터 지정의 단순한 변경을 매우 빠른 속도로 허용한다. 그와 반대로, 플립-칩 방식 장착은 모듈 제조의 초기 단계에서의 캐리어 필름의 특정화를 내포하는데, 이는 트랙들이 장래의 전자 컴포넌트의 접속 단자의 기하 형태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컴포넌트의 장착은 대부분의 경우 와이어 접속으로 실시되므로, 그 컴포넌트들의 접속 단자들의 컨피규레이션은 그러한 유형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그 제조자들에 의해 선택되지만, 그러한 컨피규레이션은 플립-칩 방식 장착을 위하여 캐리어 필름의 후면 상에 마련해야하는 트랙 도면을 복잡하게 한다(그 경우 컴포넌트는 와이어 접속식 장착과 비교하여 반대로 장착됨). 따라서 당업자는 선험적으로 모듈들의 8개의 접점 패드들의 배치를 4개의 패드의 2개의 병렬 시리즈로, 이것이 와이어 접속식 장착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경우,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었음이 이해된다.
실제로, 접점 패드들의 배치는 그 각각의 접점 패드가 캐리어 필름의 측면 가장자리에 근접하는 배치이므로, 와이어 접속식 장착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했을 것이고, 그에 따라 각각의 접점 패드들이, 캐리어 필름을 통하여, 컴포넌트로 커버 되지 않고 따라서 와이어 접속식 장착을 위해 사용가능한 후방 구역에 마주하게 된다. 그러나 플립-칩 방식의 장착은 모듈을 위하여 두께 면에서 최상의 밀도를 허용한다.
컴포넌트가 오로지 그 컴포넌트의 접속단자들을 통하고, 필름 후면 상에 마주하여 위치한 접점 패드들을 통하여 캐리어 필름에 고정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그 캐리어 필름과 컴포넌트와 마주한 면 사이의 공간을 충전하는 삽입물질{그 물질은 관습적으로 언더필러(underfiller)로 지칭됨}에 의한 전기 접속에 의해 보장되는 그러한 기계적 결합을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그 삽입물질은, 필요에 따라, 전기절연성 또는 도전성일 수 있다{이방성(anisotropic)으로서, 오직 전기적 연결에 평행하게만}. 그러한 삽입물질의 존재는 컴포넌트가 차지하는 위치에서의 모듈의 양호한 강성을 보장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캐리어 필름은, 그것의 제1면상에, 그 필름을 통하여 그 컴포넌트 전체에 대면하는 보강 구역을 포함한다. 그것은 기계적 관점에서 큰 장점을 갖는데, 그 덕분에, 스마트카드상에 향후 가해질 힘에 의한 굴절로 인하여 컴포넌트의 품질 또는 모듈 내 컴포넌트가 고정되는 수준의 품질을 저하할 위험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모듈들과 스마트카드들을 최소화하는 과정에서, 모듈은 스마트카드 표면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을 점유하려는 경향을 가짐을 이해해야하는데, 이는 실지로, 카드들이 그 카드보다 더 큰 본체 내에서 제조된 후, 그 본체로부터 파기가능한 결합을 파기함으로써 카드가 분리되어 나오기 때문에, 그러한 최소화로 인하여 모듈은 그러한 분리력이 가해질 때 점점 더 힘을 받기 때문이다.
유리한 방식으로, 캐리어 필름의 제1면상에 배치된 접점 패드들은 금속층 내에 형성되고, 보강 구역은 접점 패드들과 동일한 두께와 동일한 성분을 갖는다. 따라서, 접점 패드들은 금속층의 전체 두께 상에서 에칭에 의해 한정되므로, 그 보강 구역의 형성은 동일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그 접점 패드들을 한정하는 작업은 접속 패드들의 두께에 비하여 보강 구역의 두께를 증가시키도록 추가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가 동반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강 구역은 상기 나머지 접점 패드들 중 하나와 연속되는데, 즉 보강 구역과 그 패드는 불연속 되는 곳 없이 하나가 나머지 하나 내로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이며, 변형예로서, 시리즈들 중 하나의 접점 패드들 중 하나, 예를 들어 접지를 형성하는 패드와 연속될 수 있다(보강 구역과 그러한 패드 사이의 기계적/전기적 접속은 직각 또는 둥근 구역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보강 구역은 접점 패드 각각에 대하여 전기 절연성이다. 실제로, 그러한 전기 절연성은 그 보강 구역이 코팅되지 않은(접점 패드들 또는 보강 구역을 구성하는 물질로) 캐리어 필름의 좁은 스트립에 의해 접점 패드들로부터 분리된다는 사실과 동반되며, 이는 다시 말하자면, 그에 따라 보강 구역이 접점 패드들로부터 기계적으로 독립적이고, 그 좁은 스트립은 굴절이 용이한 구역을 형성하고 보강 구역, 및 따라서 캐리어 필름의 다른 측면의 컴포넌트가 받을 수 있는 굴절력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한다. 유리한 방식으로, 보강 구역은 캐리어 필름의 상기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접점 패드들의 시리즈의 중간에 위치한 접점 패드들의 크기를 초과하는(예를 들어 수 퍼센트) 크기를 가지며, 이는 반대로 상기한 기계적 내구성의 장점을 가능하게 하면서 모듈 전체에 소정의 강성을 부여하는 데 기여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2개의 나머지 접점 패드들은 USB 통신 전용이며, 이는 실생활에서 증가일로에 있는 관심 기능을 구성한다.
3-2-3 패드들의 시리즈로 된 접점 패드들의 컨피규레이션은 8개의 접점 패드들이 접속된 컴포넌트의 접속 단자들은 4개의 접속 단자의 2개의 병렬 시리즈로 분배되어있다는 사실과 절대로 호환 불가능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는 8개의 접점 패드들의 컨피규레이션 변경에도 불구하고, 현재 컴포넌트의 컨피규레이션 변경을 의미하지 않는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접점 패드들의 컨피규레이션은 접속 단자가 차지하는 자리에 관하여 아무런 제약도 없다.
본 발명은 또한, 전자 컴포넌트를 수용하게 되어 있는 심부를 포함하는 캐비티가 내부에 구비된 카드 본체를 포함하는, 상기한 유형의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를 제안하고, 그 심부는 모듈이 고정되는 가장자리부로 둘러싸이며, 그 가장자리부의 깊이는 심부의 깊이보다 얕다.
바람직하게는, 8개의 접점 패드들의 전체가 그 가장자리부를 마주하고 있다(그에 따라 캐비티의 심부는, 모듈의 캐리어 필름과 평행한 방향으로, 컴포넌트보다 겨우 조금 더 크다). 이는 카드의 본체가 모듈보다 겨우 조금 더 큰(캐리어 필름과 평행한 방향으로) 경우에도, 스마트카드의 우수한 견고화(rigidification)를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이는 카드가 힘을 받을 때, 특히 카드가 더 큰 기판으로부터 분리될 때, 카드의 기계적 내구성에 기여하는데, 접점 패드들과 컴포넌트 사이에 그러한 힘의 결과를, 캐리어 필름을 굴절하는 형태로, 국지화하는 효과를 갖기 때문이며, 이는 특히 보강 구역이 있을 때 그리고 접속 패드들로부터 그 보강 구역이 기계적으로 독립적일 때 더 민감하다. 그 장점은 그 컴포넌트가 플립-칩 방식으로 장착될 때에도, 즉, 트랙들이 약간 깊은 그 가장자리부와 캐리어 필름의 가장자리 사이에 샌드위치 식으로 일부 고정된 경우에도 존재한다(그 트랙들은 접점 패드들과 컴포넌트 사이에 위치한 좁은 스트립들의 위치에서 굴절을 지탱할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함).
상술한 특성들은 카드 본체가 3FF 포맷의 크기 미만인 크기, 즉 15 mm x 12 mm 미만의 크기를 갖는(따라서 모듈은 그 크기의 80% (나아가 90%)이상을 점유할 수 있음) 스마트카드의 실시를 위하여 특히 유익하다.
모듈 또는 카드의 접점 패드들의 배치는 그러한 모듈 또는 그러한 카드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리더기의 접속기의 구성 내에서 대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외에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모듈의(나아가 카드의) 적어도 상기 2개의 다른 접점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도록 부합된 리더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성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한정적인 예시로서 이하 제시된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카드의 상부도.
도2는 컴포넌트 및 접속 트랙들은 투시도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모듈을 구비한 다른 스마트카드의 상부도.
도3은 도2의 A-A 라인을 따른 부분 단면도.
도4는 도3의 변형예.
도5는 압축력이 가해진 경우의 도2 및 도3의 카드의 부분 단면도.
본 도면들은 가독성을 위하여 실제 척도대로 도시되지 않았으며, 특히 모듈의 두께는 그 측면 규모에 비하여 매우 얇은데, 이는 특히 도3 내지 도5에서 모듈 양쪽의 중단 구역이 있는 이유이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스마트카드, 따라서 그 또한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카드는 총괄 참조번호 (100)으로 표시된 반면,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카드는 참조번호 (200)으로 표시되며, 도4의 변형예는 이전 도면에 사용된 참조번호에서 유래하였으나 "프라임" 부호가 붙은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더욱 명확하게는, 각각의 카드(100 또는 200)는 전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캐리어 필름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을 포함하고, 그 캐리어 필름은:
- 제1면 상에는 외부 소자와 접촉하게 되어 있는 8개의 접점 패드를 구비하고,
- 제2면 상에는 접점 패드들이 캐리어 필름을 통하여 접속된 접속 단자들을 구비한 전자 컴포넌트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그 8개의 접점 패드들은 3개의 접점 패드들의 2개의 병렬 시리즈로 배치되고, 그 시리즈들 사이에 2개의 나머지 접점 패드들이 위치하며; 그 접점 패드들의 시리즈들은 캐리어 필름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각각 정렬되어 그 시리즈들 중 한 시리즈의 접점 패드들이 상기 방향과 수직으로 나머지 시리즈의 접점 패드들과 각각 마주하게 되며; 2개의 나머지 접점 패드들은 각각의 시리즈의 말단부를 형성하는 접점 패드들의 근방에 각각 위치한다. 접점 패드들은 각각, 상기 방향과 평행하게는, 적어도 1.7 mm의 크기를 가지며, 그 방향과 수직 하게는 적어도 2 mm의 크기를 갖고; 2개의 병렬 시리즈들의 접점 패드들은 ISO 표준 7816에 따라 C1 내지 C3, 및 C5 내지 C7로 표시되는 접점 패드들에 관하여 ISO 표준 7816의 규정을 준수한다. 그 8개의 접점 패드들은 캐리어 필름 각각의 측면을 함께 수용한다.
따라서, 카드(100)는 상기 모듈의 소위 외부 면위에 배치된, 즉 모듈이 카드 내에 장착되고 고정되었을 때 외부에서 보이는 캐리어 필름의 표면상에 배치된 접점 패드들(103)을 구비한 캐리어 필름(102)을 포함하는 모듈(101)을 포함하고; 그 접점 패드들은 외부 소자와, 실제로는 카드 판독기(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 모듈(101)은 모듈보다 겨우 조금 더 크다는 것에 주목할 수 있는 카드 본체(104)에 고정되어 있다.
캐리어 필름의 외부면 상에 장착된 접점 패드들(103)은 ISO 표준 7816에 부합되는 모듈에서와 같이 8개이지만, 패드들 중 2개에 관하여는 그 표준과 거리가 있는 구성을 따른다(이하 참조).
반대면(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음) 상에서, 캐리어 필름은 접점 패드들이 캐리어 필름을 통하여 접속된 접속 단자들을 구비한 전자 컴포넌트(도1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이에 관하여는 도2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될 것이다).
8개의 패드들(103)은 3개의 접점 패드들의 2개의 병렬 시리즈 및 2개의 패드들의 중간 시리즈로 분배된다.
상기 시리즈들의 접점 패드들은 좌측은 C1, C2, 및 C3, 우측은 C5, C6, 및 C7으로 표시되며; 그 접점 패드들의 시리즈들은 캐리어 필름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도1에 수직 방향) 각각 평행하게 정렬되어, 시리즈들 중 한 시리즈의 접점 패드들이 각각 상기 방향에 수직으로, 나머지 시리즈의 접점 패드들과 마주하게 되고; 다시 말하자면, 패드(C1)는 수직 방향과 직각으로, 패드(C5)와 마주하고, 패드(C2)는 패드(C6)와 마주하고, 패드(C3)는 패드(C7)와 마주한다.
나머지 2개의 접점 패드들은 각각의 시리즈의 말단부를 형성하는 접점 패드들의 근방에 각각 위치하고; 그 접점 패드들은 8개의 패드의 통상적 조합의 패드들(C4 및 C8)이 보장할 수 있을 동일한 기능들을 보장하며; 그러한 유사성을 상기하도록 C'4 및 C'8로 표시되지만, "프라임" 부호는 (그들의 위치로 인하여) 그러한 C4 및 C8 패드들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음을 표시한다.
여기서 고려된 실시예에서, 패드들(C'4 및 C'8)은 USB 통신 기능에 할당되어 있고, 이는 ISO 표준 7816-12의 최신 버젼에 정의된 바와 같은 패드들(C4 및 C8)의 용도에 부합된다. 그러한 용도는 그 패드들 상에 표시된 D+ 및 D- 기재로써 표시된다.
8개의 접점 패드들은 각각 상기 방향과 평행하게는 적어도 1.7 mm의 크기를 갖고, 그 방향에 수직으로는 적어도 2 mm의 크기를 가지며, 그 외에 2개의 병렬 시리즈들의 접점 패드들은 ISO 표준 7816에서 C1 내지 C3 및 C5 내지 C7으로 표시된 접점 패드들에 있어서 그 ISO 표준 7816의 규정을 준수한다. 그에 따라 8개의 접점 패드들은 패드들(C'4 및 C'8)의 위치를 제외하고 ISO 표준 7816의 규정을 준수한다.
그 8개의 접점 패드들은 캐리어 필름의 각각의 측면을 함께 수용한다. 다시 말하자면, 8개의 접점 패드들이 차지하는 면적은 그 캐리어 필름의 면적보다 겨우 조금 더 좁으며, 그 8개의 접점 패드 전체는 3개의 접점 패드들의 가장자리가 칩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접해 가도록 되어 있다.
접점 패드들(C'4 및 C'8)은 여기서 병렬 시리즈들 사이에 존재하는 이격과 동일한 규모의 이격(기껏해야 2배)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크기의 표시로서, 접점 패드들의 내부에 도시된 직사각형들은 ISO 표준 7816에 규정된 최소 크기를 상징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접점 패드들(C'4, C'8)의 표면적을 변형(반대 방향으로)할 수 있음이 이해되는데; 특히 (이는 이하 도면들에 관하여 이후에 언급될 것임), 패드들 중 하나는 2개의 측면 접점 패드들의 그룹이 차지한 폭(칩의 수직 방향을 따름)에 전반적으로 해당되는 크기까지 연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패드(C'8)를 C2-C3 쌍 또는 C6-C7 쌍의 수직방향 폭과 유사한 수직방향 폭을 가질 때까지 연장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부합되는 스마트카드의 또 다른 실시예, 따라서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의 소자들과 유사한 본 도면의 소자들은 (접점 패드들에 부여된 명칭들은 제외하고, ISO 표준 7816에 의해 정해지거나 환산된) 도1에 참조된 번호에 100을 더하여 환산된 참조번호들로 할당된다.
따라서, 카드(200)는 모듈의 소위 외부 면상에 배치된 접점 패드들(203)을 구비한 캐리어 필름(202)을 포함하는 모듈(201)을 포함하고, 그 모듈은 카드 본체(204)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카드 본체는 모듈보다 겨우 조금 더 큼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필름의 외부 면상에 장착된 접점 패드들(103)은 8개이며, 도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패드들(C'4 및 C'8)의 양쪽에, 2개의 병렬 시리즈(C1-C2-C3, C5-C6-C7)로 분배되고, 도1의 패드들과 동일한 ISO 표준 7816의 규정을 준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들(C'4 및 C'8)은 유리하게는 USB 통신 기능에 할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 8개의 접점 패드들은 캐리어 필름의 각각의 측면을 함께 수용한다. 다시 말하자면, 8개의 패드가 차지하는 면적은 그 캐리어 필름의 면적보다 겨우 조금 더 좁으며 8개의 접점 패드들 전체는 3개의 접점 패드들의 가장자리가 칩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접해 가도록 되어 있다.
반대면(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음) 상에는, 캐리어 필름은 접점 패드들이 그 캐리어 필름을 통하여 접속된 접속 단자들을 구비한 전자 컴포넌트(205)를 갖는다.
도1과 달리, 도2는 접점 패드 C'4와 C'8 사이에 위치한 구역(Z)을 도시한다.
도2는 캐리어 필름을 관통하는 투시도로써, 컴포넌트(205) 및 그것의 접속 단자들(206)을 도시하며, 동시에 말단 구역(208) (여기서는 확대되고 둥글려진)을 갖는 접속 트랙(207)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컴포넌트는 실제로 플립-칩 방식으로 장착되고, 즉 접속 단자들(206)이 캐리어 필름의 면과 마주하는 컴포넌트의 면 위에 위치하고, 그 단자들은 각각 접점 패드 하부에 위치한 말단 구역(208)에 트랙(207)에 의해 연결된다. 플립-칩 방식의 장착에 관하여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그 말단 구역들은 캐리어 필름의 전면 상에 마주하여 위치하는 접점 패드에 비아들(vias)(209)에 의해 연결된다(도3 참조). 공지된 바와 같이 그 비아들은 말단 구역들과 접점 패드들 사이의 전기 접속을 보장하기 위하여 금속성의 벽면을 갖는 캐리어 필름을 관통하는 구멍들이고, 그 구멍들은 캐리어 필름을 관통하지만 접점 패드들은 관통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막다른 구멍이다.
표준의 일부에 부합하여,
- 단자(Vdd)가 패드(C1)에 접속되어 있는지,
- 단자(RST)가 패드(C2)에 접속되어 있는지,
- 단자(CLK)가 패드(C3)에 접속되어 있는지,
- 단자(Vss)가 패드(C5)에 접속되어 있는지,
- 단자(SWP)가 패드(C6)에 접속되어 있는지,
- 단자(I/O)가 패드(C7)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ISO 표준 7816과 유사하게,
- 단자(D+)는 패드(C'4)에 접속되고,
- 단자(D-)는 패드(C'8)에 접속된다.
접점 패드들이 3-2-3 접점 패드들의 3개의 시리즈로 배치되지만, 컴포넌트는 그 컴포넌트의 2개의 서로 마주한 양측을 따라 4개의 접속 단자들의 2개의 시리즈로 된 종래의 컨피규레이션을 가질 수 있음을 주목할 수 있다(사실상 컴포넌트 상의 단자들의 컨피규레이션은 결정적이지 않음).
컴포넌트의 접속 단자들과 접점 패드들 사이의 유선 접속 방식의 조립은 컴포넌트 조립의 하나의 대안임을 유의해야 한다.
유리하게는, 구역(Z)은 그것이 캐리어 필름을 통하여 컴포넌트 전체를 대면하도록 점유 위치 및 표면적을 갖는다.
여기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 구역(Z)은 접점 패드들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도3 참조)를 가지며, 실제로, 그 구역(Z)과 접점 패드들을 구현하는 실질적 방법은 캐리어 필름의 표면상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접점 패드들과 구역(Z)을 그곳에서 한정하도록 그 층을 에칭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그 구역(Z)을 위하여 더 두꺼운 (또는 더 얇은) 두께를 고려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5에 관하여 언급될 바와 같이, 그 구역(Z)은 컴포넌트에 대하여 보강하는 역할을 갖는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랙의 말단부(접속 패드(211)로 통칭됨)에 접속된 컴포넌트의 단자들은 범프(210)로 통칭되는 족부(foot)에 의해 구체화된다.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그 범프들은, 조립을 위한 압축력이 가해질 때 해당하는 패드(209)에 침투할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한(컴포넌트로부터 감소하는 단면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침투는 컴포넌트와 캐리어 필름의 후면 상에 위치하는 트랙들(207) 사이의 전기 접속, 및 그 컴포넌트와 그 캐리어 필름 사이의 우수한 기계적 결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유리한 방식으로는, 그 외에, 그 캐리어 필름 및 그 캐리어 필름과 마주하는 컴포넌트의 면 사이에 샌드위치 된, 기계적 내구성을 보강하는 충전 물질(212)(관습적으로 언더필러로 통칭됨)이 있다. 그러한 언더필러는 도전성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4는 상기한 범프들만으로, 즉 언더필러 없이 캐리어 필름상에 고정된 모듈을 도시한다. 도3의 소자들과 유사한 도4의 소자들은 도4에서 도3의 참조번호에 "프라임" 부호를 추가한 참조번호로써 표시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또한 그 자체로도 공지된), 전기 접속은 전해질 범프들에 의해, 즉, 소위 전기분해로 형성된, 특히 거의 균일한 단면을 갖는 범프들에 의해 보장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언더필러의 존재는 원하는 기계적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필요하다.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카드의 본체(204)는 접점 패드들이 그 본체의 상부 면과 동일한 수평면상에 있도록 모듈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갖는다. 그러한 캐비티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심부와 그 심부를 둘러싸고, 더 적은 깊이를 갖는 하나의 가장자리부로 형성되는데, 통상 중앙부는 컴포넌트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가지는 반면, 가장자리부는 접착제(또는 다른 모든 고정 요소)에 의해 그곳에 연결되는 캐리어 필름의 가장자리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깊이를 갖는다.
유리한 방식으로, 그 가장자리부(204A)는 8개의 접점 패드들 전체를 마주하여 이어지만 구역(Z)을 마주하지는 않는다(다시 말하자면, 캐비티의 심부는 컴포넌트보다 겨우 조금 더 넓다).
도5는 보강구역(Z)이 존재하는 장점을 시각화할 수 있게 한다. 모듈을 그 캐비티의 바닥부를 향하여 끼워 넣는 힘이 가해질 때, 그 구역(Z)은 그 캐리어 필름의 상당한 부분 상으로 그 힘을 재분배하여 캐리어 필름이 손상되는 위험을 최소화한다는 장점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그외에, 그 구역(Z)은 컴포넌트와 그것의 캐리어 필름과의 전기 접속부에 가해지는 굴절력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으며, 이는 현저한 보호역할을 구성한다.
부가적으로, 만일 접점 패드들이 캐비티의 가장자리부와 마주한다면, 캐리어 필름의 가장자리는 그 캐비티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므로, 그 결과 접점 패드들은 그 가장자리부에 현저히 강하게 고정되고, 이는 또한 그 접점 패드들에 가해진 굴절력을 최소화함이 이해된다.
실제로, 모듈에 가해질 수 있게 되는 누르는 힘의 핵심은 여러 접점 패드들을 보강구역(Z)으로부터 분리하는, 커버 되지 않은 좁은 스트립들의 위치에서의 굴절력으로 표출되는데, 그 구역들은 커버 되지 않았으므로, 그러한 굴절력으로 인해 손상되지 않고 견딜 수 있게 되어있는, 캐리어 필름의 가장 유연한 부분을 구성한다.
그 보강구역(Z)은 3개의 패드의 시리즈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도3의 평면과 수직으로), 유리하게는 그 구역(Z)이 그 사이에 위치한 접점 패드들(C2, C6)과 유사한 크기보다 약간 더 큰 크기를 갖는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이는 누르는 경우에 있어서 모듈의 강성과 유연성에 대한 요구 사이에 양호한 타협을 구축하는데 기여한다.
그러한 누르는 힘은 특히 카드의 본체를 그 카드가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던 더 큰 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순간에 가해진다. 누르는 힘은 손가락 살에 의해 가해질 수 있으나, 또한 도구에 의해서도 가해질 수 있는데, 이로써 우수한 기계적 내구성에 대한 보장요구가 정당화된다.
모듈의 가시적 표면의 거의 전체가 접점 패드들과 그 구역(Z)으로 덮여있다는 사실로써 다수의 외부 유해작용에 대항하여 캐리어 필름을 보호하는 보조적 장점을 갖는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영역(Z)은 패드들 중 하나와 연속될 수 있는데, 즉, 구역(Z)은 캐리어 필름의 가시적 면의 중간부를 향하여 불연속 되지 않고 연장될 접점 패드들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패드 C'4 또는 C'8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다시 말하자면, 접점 패드를 형성하는 부분과 보강부를 형성하는 부분 사이에 한계가 없을 것임). 따라서 굴절력에 대항한 컴포넌트의 기계적 보강 역할 및 보호 역할은, 접점 패드로 사용되는 부분과 보강부로 사용되는 부분 사이의 더 낮은 유연성에도 불구하고, 역시 수득된다. 변형예로서, 구역(Z)은 시리즈들 중 하나의 접점 패드들 중 하나에 접속된, 예를 들어 접지용 패드(C5)에 접속될 수 있다(이를 위하여 도2에서 패드(C'4)의 수평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충분함). 중간 옵션으로서, 그 구역을 형성하는 층을, 그것의 보강부분과 접점 패드를 형성하는 부분 사이에서 좁히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로서, 캐리어 필름은 PET, 나아가 FR4 또는 PI로 구현되고 그것의 두께는 50여 마이크론(나아가 그 이상, 예를 들어 50 내지 100 마이크론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접점 패드 및 접속 트랙들은 수 마이크론 상의 구리로 구현된다.
본 발명은 소위 3FF 포맷 미만의 포맷, 즉 15 mm x 12 mm 포맷 미만의 스마트카드의 경우에 매우 특별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모듈 또는 카드의 상기 나머지 접촉 구역들(C'4 또는 C'8) 중 하나에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구역의 위치를 감지하여, 모듈 또는 카드에 접속하기 위하여, 카드 판독기의 접촉 구역의 컨피규레이션을 적용시키는 것은 당업자의 이해 범위 내에 있으며(필요에 따라, C'4 또는 C'8 구역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그와 반대로 2개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 따라서, 판독기는 적어도 상기 다른 접점 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기 위하여 맞춰져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다른 접점 패드들에 각각 마주한 2개의 접촉 구역들이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접촉 구역 C1 내지 C3, C5 내지 C7에 접속하게 되어 있는 접촉 구역의 자리를 점유하지 않고, C'4 구역 및/또는 C'8 구역에 할당된 접촉 구역을 단순히 이동시키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그러한 판독기는 모듈의 다수의 접촉 구역에 접속하도록 적용된 다수의 접촉 구역을 포함하고, 그 리더기의 접촉 구역의 상대적 배열은, 거울 효과에 의해 그 모듈의 접촉 구역의 상대적 배열에서 유래 된다.

Claims (15)

  1.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전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캐리어 필름(201)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필름은 제1면 상에 외부 소자와 접촉될 수 있기에 적합한 8개의 접점 패드들을 구비하고, 제2면 상에 상기 캐리어 필름을 통하여 상기 접점 패드들이 접속된 접속 단자들(210)을 구비한 전자 컴포넌트(205)를 구비하고, 상기 8개의 접점 패드들은 3개의 접점 패드들의 2개 병렬 시리즈로 배치되고(C1, C2, C3, C5, C6, C7), 접점 패드들(C1, C2, C3, C5, C6, C7) 사이에 2개의 나머지 접점 패드들(C'4, C'8)이 위치하고, 상기 접점 패드들의 시리즈는 상기 캐리어 필름의 동일한 방향과 각각 평행하게 정렬되어, 상기 시리즈들 중 하나의 시리즈의 접점 패드들이, 상기 방향에 수직으로, 나머지 시리즈의 접점 패드들과 각각 마주하게 되고, 상기 2개의 나머지 접점 패드들은 각각의 시리즈의 말단을 형성하는 접점 패드들의 근방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접점 패드들은 각각, 상기 방향과 평행하게는, 적어도 1.7 mm의 크기를 갖고, 상기 방향과 수직으로는, 적어도 2 mm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2개의 병렬 시리즈들의 접점 패드들은 ISO 표준 7816에서 C1 내지 C3 및 C5 내지 C7로 표시되는 접점들에 대하여 ISO 표준 7816의 규정을 준수하고, 상기 8개의 접점 패드들은 상기 캐리어 필름의 각각의 측면들을 함께 수용하는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는 플립-칩 방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 필름은, 상기 제2면 상에, 상기 캐리어 필름을 통하여 상기 8개의 접점 패드들에 각각 접속된 도전성 트랙들(207)을 포함하고, 상기 컴포넌트의 접속 단자들과 마주하는 접속 패드들(211)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 패드들(211)은 상기 컴포넌트의 접속 단자들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 접속에 의해 보장되는 기계적 결합은 상기 캐리어 필름과 상기 컴포넌트와 마주하는 면 사이의 공간을 충전하는 삽입 물질(212)에 의해 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필름은,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1면상에, 상기 필름을 통하여, 상기 컴포넌트 전체와 대면하는 보강 구역(Z)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1면상에 배치된 접점 패드들은 금속층 내에 형성되고, 상기 보강 구역은 상기 접점 패드들과 동일한 두께 및 동일한 구성성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은 상기 나머지 접점 패드들(C'4, C'8) 중 하나의 패드와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은 상기 시리즈들 중 하나의 접점 패드들(C1, C2, C3, C5, C6, C7) 중 하나의 패드와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Z)은 각각의 상기 접점 패드들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구역은, 상기 캐리어 필름의 상기 방향과 평행하게는, 상기 접점 패드들의 시리즈들의 가운데에 위치한 접점 패드들의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나머지 접점 패드들(C'4, C'8)은 USB 통신 기능에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접점 패드들이 접속된 상기 컴포넌트의 접속 단자들(210)은 4개의 접속 단자들의 2개의 병렬 시리즈로 분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에 있어서, 카드 본체(204)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본체 내에 상기 전자 컴포넌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심부(204B)를 포함하는 캐비티가 마련되고, 상기 심부(204B)는 상기 모듈이 상기 모듈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고정된, 상기 심부(204B)보다 더 적은 깊이를 갖는 가장자리부(204A)에 의해 둘러싸인 스마트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접점 패드들 전체는 상기 가장자리부를 마주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의 본체는 3FF 포맷의 크기 미만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스마트카드용 마이크로회로 모듈의 상기 나머지 접점 패드들(C'4, C'8)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판독기.
KR1020147000617A 2011-06-10 2012-06-08 마이크로회로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 KR101974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5132 2011-06-10
FR1155132A FR2976382B1 (fr) 2011-06-10 2011-06-10 Module a microcircuit et carte a puce le comportant
PCT/FR2012/051292 WO2012168666A1 (fr) 2011-06-10 2012-06-08 Module a microcircuit et carte a puce le comport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221A KR20140051221A (ko) 2014-04-30
KR101974235B1 true KR101974235B1 (ko) 2019-08-23

Family

ID=4645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617A KR101974235B1 (ko) 2011-06-10 2012-06-08 마이크로회로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83485B2 (ko)
EP (1) EP2718877B1 (ko)
JP (1) JP6054955B2 (ko)
KR (1) KR101974235B1 (ko)
CN (1) CN103608828B (ko)
FR (1) FR2976382B1 (ko)
MX (1) MX336227B (ko)
WO (1) WO2012168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2690B1 (fr) 2011-11-14 2016-07-08 Oberthur Technologies Adaptateur de carte a puce et carte a puce correspondante
CN103153016B (zh) * 2013-02-21 2016-03-30 上海磊跃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带有一体式按钮的低压电器控制组件
CN107025481B (zh) * 2016-02-02 2021-08-20 上海伯乐电子有限公司 柔性印制电路板及应用其的智能卡模块和智能卡
DE102016110780A1 (de) * 2016-06-13 2017-12-14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Chipkartenmodu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Chipkartenmoduls
CN109948767A (zh) 2018-02-01 2019-06-28 华为技术有限公司 存储卡和终端
US11653463B2 (en) * 2020-05-20 2023-05-16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Removable memory card with efficient card lock mechanism and pads layou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5287A1 (en) 2001-11-06 2003-05-08 Gray Robert J Smart card having additional connector pads
JP2005235127A (ja) 2004-02-23 2005-09-02 Takeshi Hori Icモジュールを含む基板、icモジュールを含む基板の製造方法
US20050212690A1 (en) 2002-08-26 2005-09-29 Dai Nippon Printing Co., Ltd. Sim, sim holder, ic module, ic card and ic card holder
JP2007183776A (ja) 2006-01-06 2007-07-1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4998A (ja) * 1989-01-24 1990-08-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cモジュール
US4898961A (en) 1989-07-17 1990-02-06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ing alkenylsilanes
JP2862177B2 (ja) * 1989-07-19 1999-02-24 株式会社東芝 Icカードおよびicカードの制御方法
JP3383398B2 (ja) 1994-03-22 2003-03-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パッケージ
FR2788646B1 (fr) * 1999-01-19 2007-02-09 Bull Cp8 Carte a puce munie d'une antenne en boucle, et micromodule associe
FR2803413A1 (fr) * 1999-12-30 2001-07-06 Schlumberger Systems & Service Element de carte a circuit integre monte en flip-chip
JP4240989B2 (ja) * 2002-10-15 2009-03-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3種の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るicモジュール、3ウェイsimとsimホルダー、3ウェイicカードとicカードホルダー
MY138331A (en) 2004-12-09 2009-05-29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losure
KR100723491B1 (ko) 2005-07-14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범용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사용한 스마트 카드
EP1816593A1 (fr) 2006-02-03 2007-08-08 Axalto SA Connecteur de carte a puce
WO2008075594A1 (ja) * 2006-12-20 2008-06-26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アダプタ
FR2948794B1 (fr) * 2009-07-29 2012-08-03 Oberthur Technologies Carte a microcircuit comprenant au moins deux interfaces externes de conta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5287A1 (en) 2001-11-06 2003-05-08 Gray Robert J Smart card having additional connector pads
US20050212690A1 (en) 2002-08-26 2005-09-29 Dai Nippon Printing Co., Ltd. Sim, sim holder, ic module, ic card and ic card holder
JP2005235127A (ja) 2004-02-23 2005-09-02 Takeshi Hori Icモジュールを含む基板、icモジュールを含む基板の製造方法
JP2007183776A (ja) 2006-01-06 2007-07-1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SO/IEC 7816-2: Information Technology-Integrated Circuits Cards with Contacts─Part 2: Dimensions and location of the Contacts;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 Vol. 7816-2; Mar. 1, 1999; pp.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54955B2 (ja) 2016-12-27
EP2718877B1 (fr) 2016-12-07
MX336227B (es) 2016-01-12
US9183485B2 (en) 2015-11-10
WO2012168666A1 (fr) 2012-12-13
CN103608828A (zh) 2014-02-26
EP2718877A1 (fr) 2014-04-16
FR2976382B1 (fr) 2013-07-05
US20140117097A1 (en) 2014-05-01
CN103608828B (zh) 2016-12-28
FR2976382A1 (fr) 2012-12-14
JP2014517410A (ja) 2014-07-17
MX2013014600A (es) 2014-09-12
KR20140051221A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235B1 (ko) 마이크로회로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
US10289944B2 (en) Metal smart card with dual interface capability
US8608082B2 (en) Microcircuit device including means for amplifying the gain of an antenna
US20150129665A1 (en) Connection bridges for dual interface transponder chip modules
JP5097216B2 (ja) Simアダプタ
US8833668B2 (en) Chip card contact array arrangement
KR100951620B1 (ko) 콤비카드 및 콤비카드 통신 장치
JP2002535784A (ja) ループアンテナを備えたチップカードと結合されるマイクロモジュール
CN106611212B (zh) 双接口ic卡
US11630981B2 (en) Connection bridges for dual interface transponder chip modules
WO2015071086A1 (en) Connection bridges for dual interface transponder chip modules
CN102609753B (zh) 识别身份的证件用的应答器嵌件和用于制造应答器嵌件的方法
KR100802786B1 (ko) 아이씨 카드 제조 방법
US9379463B2 (en) Assembly comprising an adapter and a smart card
US7492604B2 (en) Electronic module interconnection apparatus
JP2006074044A (ja) チップモジュール
KR20120019729A (ko) 스폿 용접을 이용하여 제조된 ic 카드 및 그 제조 방법
US9911078B2 (en) Card and corresponding method of manufacture
JP6451298B2 (ja) デュアルインターフェイスicカード、及び、当該icカードに用いられるicモジュール
KR100293419B1 (ko) 접촉또는비접촉겸용아이씨카드및그제조방법
KR101070303B1 (ko) 콤비 카드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콤비 카드
US9396371B2 (en) Non-contact typ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O2023118268A1 (en) Smartcards with metal layers
KR20070041465A (ko) 아이씨 카드
CN116235179A (zh) 用于智能卡芯片模块的电路、智能卡芯片模块及智能卡芯片模块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