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093B1 -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093B1
KR101974093B1 KR1020180015277A KR20180015277A KR101974093B1 KR 101974093 B1 KR101974093 B1 KR 101974093B1 KR 1020180015277 A KR1020180015277 A KR 1020180015277A KR 20180015277 A KR20180015277 A KR 20180015277A KR 101974093 B1 KR101974093 B1 KR 101974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odule
support portion
uppermos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모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모아
Priority to KR1020180015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8Shock 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일정부와 접촉되는 소정 형상의 섬유부재; 상기 섬유부재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 구비되는 소정의 인쇄물; 게르마늄이 코팅되어 착용자의 신체부를 향하도록 상기 섬유부재 상에 부착되는 부착물; 상기 섬유부재는 손목아대, 팔꿈치 보호대, 무릎 보호대, 허리 보호대, 안대, 깔창, 안대, 발목 보호대, 베개 피. 온수 패트 및 이불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인쇄물은 소정의 인쇄장치에 의한 인쇄가공에 기반하여 제작되되,상기 인쇄장치는, 인쇄를 위한 피출력물을 인쇄헤드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피출력물을 인쇄헤드부의 하부로 이송하는 피동롤러와, 상기 인쇄헤드부에 의해 출력이 완료된 피출력물을 이송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피출력물을 감아들여 회수하는 회수롤러와,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공급롤러의 출구 측에 승하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헤드부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 후 상기 구동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피출력물을 한 스텝 이송시키면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의 견인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면서 상기 피출력물에 장력을 가하는 인출 측의 텐션롤러와, 상기 인쇄장치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 및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높이방향상의 긴장력을 발생시키는 텐션모듈이 구비되며,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텐션모듈에 의하여 긴장력이 발생되는 상기 지지부 그리핑하는 그리핑모듈이 구비되는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조사 및 상품의 식별력이 우수한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Protector having germanium coating layer}
본 발명은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구 착용시 착용자의 물리적 피해를 방지해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신체부를 향하여 게르마늄 코팅된 코팅부재가 접촉됨으로써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착용자가 게르마늄의 이로운 효과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용도와 목적에 따라 사람들은 신체부위별로 다양한 보호수단을 착용한다. 예건데 손목아대, 팔꿈치 보호대, 무릎 보호대, 허리 보호대, 안대, 깔창, 안대, 발목 보호대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보호수단은 착용자의 신체 특정부를 물리적 마찰과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수단은 착용자가 물리적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일상 가정에서 베개 피. 온수 패트 및 이불 등의 침구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침구류 사용 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간접적인 충격과 마찰 등을 방지하여 안락함을 주고자 하는 용도로 쓰이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호수단은 종래에 다양한 종류로 개발되어 널리 쓰여왔다. 하지만, 단순히 보호수단 자체로서는 만족하되 보호구 이상의 기능을 부여하는 것에는 미흡하여 보호구로서의 한계를 벗어나 건강상에 이로움을 주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36304호
본 발명은, 보호구 착용시 착용자의 물리적 피해를 방지해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신체부를 향하여 게르마늄 코팅된 코팅부재가 접촉됨으로써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착용자가 게르마늄의 이로운 효과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체 일정부와 접촉되는 소정 형상의 섬유부재; 상기 섬유부재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 구비되는 소정의 인쇄물; 게르마늄이 코팅되어 착용자의 신체부를 향하도록 상기 섬유부재 상에 부착되는 부착물; 상기 섬유부재는 손목아대, 팔꿈치 보호대, 무릎 보호대, 허리 보호대, 안대, 깔창, 안대, 발목 보호대, 베개 피. 온수 패트 및 이불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인쇄물은 소정의 인쇄장치에 의한 인쇄가공에 기반하여 제작되되, 상기 인쇄장치는, 인쇄를 위한 피출력물을 인쇄헤드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피출력물을 인쇄헤드부의 하부로 이송하는 피동롤러와, 상기 인쇄헤드부에 의해 출력이 완료된 피출력물을 이송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피출력물을 감아들여 회수하는 회수롤러와,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공급롤러의 출구 측에 승하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헤드부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 후 상기 구동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피출력물을 한 스텝 이송시키면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의 견인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면서 상기 피출력물에 장력을 가하는 인출 측의 텐션롤러와, 상기 인쇄장치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 및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높이방향상의 긴장력을 발생시키는 텐션모듈이 구비되며,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텐션모듈에 의하여 긴장력이 발생되는 상기 지지부를 그리핑하는 그리핑모듈이 구비되는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에 따르면 보호구 착용시 착용자의 물리적 피해를 방지해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신체부를 향하여 게르마늄 코팅된 코팅부재가 접촉됨으로써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착용자가 게르마늄의 이로운 효과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보호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성들 중 인쇄물의 인쇄를 위한 종래 인쇄장치 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a 내지 도 1b에 따른 구성들 중 인쇄물의 인쇄를 위한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인쇄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텐션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텐션롤러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텐션롤러의 일측 단부를 가이드장치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쇄장치에 있어 하나의 공급롤러로 복수의 피출력물을 공급하여 인쇄 시 각각의 피출력물에
장력을 가하기 위해 복수개로 텐션롤러를 분리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의 평면도 형상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 인쇄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1a 내지 도 1b에 따른 구성들 중 인쇄물의 인쇄를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인쇄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1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과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은 신체 일정부와 접촉되는 소정 형상의 섬유부재(1), 상기 섬유부재(1)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 구비되는 소정의 인쇄물(3), 게르마늄이 코팅되어 착용자의 신체부를 향하도록 상기 섬유부재(1) 상에 부착되는 부착물(2)을 포함한다. 상기 섬유부재(1)는 손목아대, 팔꿈치 보호대, 무릎 보호대, 허리 보호대, 안대, 깔창, 안대, 발목 보호대, 베개 피. 온수 패트 및 이불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비된다. 게르마늄은 세균과 곰팡이의 서식 억제, 냄새 제거 및 공기정화, 인체에 유용한 산소공급과 원적외선 방출로 신진대사를 촉진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을로 알려져 있다. 특히, 게르마늄에는 유기성 게르마늄과 무기성 게르마늄이 있는데, 무기성 게르마늄은 복용할 수 없지만 체외에 부착하거나 살갗에 닿게 하여 통증을 해소하는 등 성인병에 좋은 효과가 있고 유기성 게르마늄은 합성 용해성 유기 게르마늄으로 병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한편, 상기 부착물(2)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표면부가 게르마늄에 의하여 코팅아 된 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보호구를 착용함에 있어 부착물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게되면 전술한 게르마늄이 가지는 효과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인쇄물(3)은 소정의 인쇄장치에 의하여 인쇄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장치(50)는, 도 3의 개략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인쇄를 위한 피출력물(51)(여기서, 피출력물(51)은 최종 인쇄 및 절단 가공되기 전의 인쇄물(3)(3)에 해당함)을 인쇄헤드부(52)에 공급하기 위해 피출력물(51)을 롤상으로 권회하고 있는 공급롤러(53)와, 상기 공급롤러(53)로부터 인출되어 공급되는 피출력물(51)을 인쇄헤드부(52)의 하부로 안내 이송하는 피동롤러(54)와, 상기 인쇄헤드부(52)에 의해 인쇄출력이 완료된 피출력물(51)을 이송하는 구동롤러(55)와, 인쇄가 끝나고 상기 구동롤러(55)의 모터(도시 생략) 구동에 의해 이송되는 피출력물(51)을 감아들여 회수하는 회수롤러(56)를 포함하고 있다. 피출력물(51)의 인출(공급) 측에는 이송되는 피출력물(51)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공급롤러(53)의 출구측에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헤드부(52)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 후 상기 구동롤러(55)가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피출력물(51)을 한 스텝 이송시키면 상기 이송되는 출력물(51)의 견인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면서 상기
피출력물(51)에 장력을 가하는 인출 측 텐션롤러(57)와, 상기 인출 측 텐션롤러(57)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인출 측 가이드장치(58)와, 상기 인출 측 텐션롤러(57) 또는 그 인출 측 텐션롤러(57)를 견인하는 피출력물(51)의 상한 위치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인출 측 소재위치감지센서(62a)와, 상기 인출 측 소재위치감지센서(62a)로부터 상기 인출 측 텐션롤러(57)의 상한 위치를 검출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인출 측텐션롤러(57)가 소정의 하한 위치로 하강할 때까지 상기 피출력물(51)을 공급하도록 상기 공급롤러(53)를 회전구동하는 인출용 구동기구(5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출력물(51)의 회수 측에는,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51)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회수롤러(56)의 입구 측에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헤드부(52)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 후 상기 구동롤러(55)가 회전하여 상기 피출력물(51)을 한 스텝 이송시키면 상기 이송되는 출력물(51)이 회수측에서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 늘어짐을 없애고 피출력물(51)에 견인력을 부여하도록 중력에 의해 하강 이동하면서 상기 피출력물(51)에 장력을 가하는 회수 측 텐션롤러(60)와, 상기 회수 측 텐션롤러(60)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회수측 가이드장치(61)와, 상기 회수 측 텐션롤러(60) 또는 그 회수 측 텐션롤러(60)를 견인하는 피출력물(51)의 하한 위치를 검출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회수 측소재위치감지센서(62b)와, 상기 회수 측 소재위치감지센서(62b)로부터 상기 회수
측 텐션롤러(60)의 하한 위치를 검출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수 측 텐션롤러(60)가 소정의 상한 위치로 상승할 때까지 상기 피출력물(61)을 감아들이도록 상기 회수롤러(56)를 회전구동하는 회수용 구동기구(63)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공급(인출) 측 텐션롤러(57)(추후 설명할 회수 측 텐션롤러의 구조도 동일하다)를 도시한 것으로, 텐션롤러(57)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회전축(64)의 단부에는 각기 피니언기어(65)가 장착되며. 그 피니언 기어(65)의 내측에는 간격을 두고 가이드롤러(6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급 측 텐션롤러(57)의 양단은 도 5에 도시하는 것 같이 측벽부재(70)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인출 측 가이드장치(58)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인출 측 가이드장치(58)는 내측에 직선형 기어인 래크기어(67)가 형성된 래크바(68)와, 그 래크바(68)와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며, 내측으로 상기 피니언기어(65)를 수용하여 축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하기 위한 ㄴ자 단면 구조의 구속부재(69)로 구성되며, 상기 구속부재(69)의 래크기어 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한 부재에는 가이드롤러 접촉주행면(7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피니언 기어(65)가 상기 래크기어(67)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롤러(66)가 상기 가이드롤러 접촉주행면(71)과 구름접촉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피니언 기어(65)의 축과 가이드 롤러(66)의 축을 분리시켜 서로 상대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피니언 기어(65)와 래크기어(67)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양 축이 서로 슬립하여 상대적 회전 운동하거나 또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구성), 이로써 상기 텐션롤러(57)의 축심과 수평을 이루는 직각 방향으로의 유격 및 진동소음이 없게 구성되어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이에 따라 상기 텐션롤러(57)를 상기 인출 측 가이드장치(58)의 개방된 상부에서 하측으로 삽입하면 피니언 기어(65)가 상기 래크기어(67)와 맞물림이 일어나면서 동시에 상기 가이드 롤러(66)는 상기 가이드롤러 접촉주행면(71)의 표면에 구름접촉하게 되며, 텐션롤러(57)를 지지하는 힘을 제거하면, 텐션롤러(57)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힘이 작용하여 피니언기어(65)가 회전하여 래크기어(67)를 따라 하강하게 되며, 이때 래크기어(67)의 건너편은 가이드롤러(66)가 가이드롤러 접촉주행면(71)에 밀착하여 구름 운동을 하면서 하강 이동이 가이드되므로, 유격에 따른 흔들림이나 소음 발생이 없고, 또한 마찰 감소로 부드러운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한 개략도의 인쇄헤드부(52)를 기준하여 우측부분에 나타난 것과 같이 피동롤러(54)와 공급롤러(53)사이에는 피출력물(51)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다수의 보조롤러(72)(73)(74)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2개의 보조롤러(73)(74) 사이에서 주행하게 되는 피출력물(51)은 대략 U 자 형상으로 상기 텐션롤러(56)를 휘감아 돌아나가며, 이때 인출 방향이 인쇄헤드부(52) 측을 향해 기울어져 있어 이 인출 방향에 맞추어 상기 인출 측 가이드장치(58)도 경사지게 설치, 즉 10?40°정도 범위에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인출 방향에 맞추어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출 측 가이드장치(58)의 래크기어(67)가 수직방향을 이루는 것에 비해 피출력물(51)의 인출 방향을 따라 소정의 경사도를 가질 때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상기 텐션롤러(56)의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다. 도 8은 상기 피출력물(51)의 인출(공급)용 구동기구(59)를 나타낸 도면으로, 인출용 구동기구(59)는 모터(75)와 그 모터(75) 축에 연장하여 회전하는 웜(76)과, 그 웜(76)과 직각을 이루는 상기 공급롤러(53)의 회전축(77)에 고정된 웜기어(78)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75)가 정방향 회전(피출력물을 공급하도록 인출하는 방향)하면 웜(76)이 감속된 회전력을 상기 웜기어(78)에 전달하여 공급롤러(53)가 회전하며 피출력물(51)을 인출 공급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개략도의 인쇄헤드부(52)를 기준하여 좌측부분에 나타난 것과 같이 구동롤러(55)와 회수롤러(56) 사이에는 피출력물(51)에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다수의 보조롤러(79)(80)(8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수 측 텐션롤러(60)와 회수 측 가이드장치(61) 및 회수용 구동기구(63)의 세부적 구성은 앞서 설명한 인출측 장치들(57)(58)(59)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 구성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는 것으로 하여 반복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구체적 세부 구성의 지칭이 필요한 경우 인출 측 장치 구성요소의 도면부호에 별도의 첨자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 블록도로서,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82)는 피출력물(51)을 결선시킨 상태에서 인쇄를 시작하게 될 때인쇄헤드부(52)를 작동 제어하여 피출력물(51)에 원하는 도형이나 문자 등의 인쇄를 실시하게 되며, 인쇄가 종료하면, 제어부(82)가 구동롤러(55)의 모터를 미리 설정해 놓은 소정시간 동안 구동시켜 피출력물(51)을 다음 인쇄 지점이 인쇄헤드부(52) 아래에 위치 되어질 때까지 1스텝 이송시키게 된다. 구동롤러(55)가 회전하면 인출 측의 피출력물(51)이 구동롤러(55) 측으로 이송되며, 이때 공급롤러(53)는 정지상태이므로 견인력을 받게 되는 피출력물(51)은 U 자형으로 휘감은 인출 측 텐션롤러(57)를 끌어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인출 측 가이드장치(58)에서 래크기어(67)에 피니언기어(65)로 맞물려 있는 션롤러(57)는 회전하면서 래크기어(67) 기어를 따라 상승 이동하게 됨으로써 가해지는 장력만큼 텐션롤러(57)가 상승하여 피
출력물(51)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때 만일, 인출 측 소재위치감지센서(62a)가 소재, 즉 피출력물 또는 텐션롤러(57)의 상승 위치가 정해진 상한 위치에 도달하였음이 감지되면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82)는 인출용 구동기구(59)가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모터(75) 회전에 의해 웜(76)과 맞물린 웜기어(78)가 회전하여 공급롤러(53)에 감겨 있는 피출력물(51)이 인출되어지게 되며, 이는 곧바로 인출측의 피출력물(51)의 길이 증대를 가져와 장력이 감소되며, 늘어진 인출량에 따른 장력감소를 자동적으로 보상하도록 지지력을 상실한 인출 측 텐션롤러(57)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피출력물(51)에 장력을 가하게 되며, 텐션롤러(57)가 소정 위치에 하강하면 제어부(82)가 모터(75)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이로써 피출력물(51)이 공급롤러(53)에 감겨 있는 양에 관계없이 항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공급 롤러(53)로부터의 인출량을 적절한 설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구동롤러(55)가 회전하여 피출력물(51)의 이송이 이루어지면, 회수측의 피출력물(51)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장력의 감소를 가져와 늘어짐이 발생되며, 이 늘어짐에 의한 장력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회수 측 텐션롤러(60)가 설계된 초기 상승 위치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피출력물(51)에 장력을 가하게 되며, 이때 회수측 텐션롤러(60)의 하강이 설계된 하한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한 회수 측 소재위치감지센서(62b)가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를 인가받은 제어부(82)는 회수용 구동기구(63)(회수용 구동기구의 구조는 도 8에 도시한 인출용 구동기구와 동일하다)를 구동시켜 회수롤러(56)로 하여금 피출력물(51)을 감아들이게 된다. 상기 회수롤러(56)가 피출력물(51)을 감아들이게 되면, 피출력물의 장력이 증가하게 되며, 이 같은 장력 증대에 따라 회수 측 텐션롤러(60)가 상승 이동을 하여 장력을 초기 설정치로 유지되도록 하며, 이 상승 이동이 초기 설정 위치에 도달하면 제어부(82)는 회수 측 텐션롤러(60)를 정지토록 회수용 구동기구(63)의 모터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을 차단토록 제어하며, 이로써 피출력물(51)이 회수롤러(56)에 감겨 있는 양에 관계없이 항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회수롤러(56)로부터감아들이는 양을 적절한 설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제한하게 되는것이다. 이 같은 방식으로 피출력물의 인출 및 회수를 제한하면 하나의 롤러 상에 2개 이상의 피출력물을 공급할 때 양쪽의 감겨 있는 분량이 차이가 있더라도 항시 적절한 장력과 이송 속도를 유지하도록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83은 인쇄헤드부(52)에 대응되는 소재지지부(83)로서, 예를 들면, 이송되어 온피출력물(51)을 진공 흡착하여 위치를 고정시키고, 인쇄헤드부(52)에서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가 끝나 회수 측으로 배출 이송할 때에는 진공흡착기구가 컨베어벨트 식으로 형성되어 구동롤러(55)와 협력하여 피출력물(51)의 안정적 이송을 돕도록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인쇄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인쇄장치(50)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B)와, 상기 지지부(B)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1110)와,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서
상기 지지부(B)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11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11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서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1121)와, 상기 바닥부(11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112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상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B), 상기 지지부가 거치
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1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11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서 설정범위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1121)와, 상기 바닥부(11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1122)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1122)는 상기 바닥부(11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11221)와, 상기 최하단유동체(11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11223)와, 상기 최하단유동체(11221)와 상기 최상단유동체(11223)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11222)를 포함한다. 상기 최하단유동체(11221), 상기 최상단유동체(11223)및 상기 중단유동체(11222)의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ML)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 상에 자성 결합되되, 상기 유동체(1122)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s1)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s1)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L)가 복수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L)는 상기지지부(B)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자성층(ML)에 후단측에는 초음파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EL)와, 히팅을 위한 히팅부(HL)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층(ML)은 외부 제어수단(미도시) 제어 하에 (예 : 전력원 공급 여부 등)에 따라 동작이 on 또는 off 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HL), 상기 초음파 진동부(EL), 상기 자성층(ML)의 동작은 외부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다양한 순서로 동작되거나, 동시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진퇴형 노즐(N)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B)를 향해 접착액을 토출한 뒤 상기 자성층(ML) 내부로 후퇴한다. 또한, 상기 노즐(N)이 상기 지지부(B)와 접촉함으로써 접착액을 토출하며 후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체(1122)는, 상기 완충공간(s1)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FU)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FU)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1122)는 상기 최상단유동체(11223) 상에 구비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11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11223)의 상부에는 완충패드(1123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모듈(1120)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B)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체(1122)는, 상기 중단유동체(11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11221)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11223)은 상기 중단유동체(11222)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11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11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24 내지 도 29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도 24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유동체(1222)는 상기 중단유동체(12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12221)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12223)는 상기 중단유동체(12222)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12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1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21은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최하단유동체(12221), 상기 중단유동체(12222), 상기 최상단유동체(1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전방이 후방과 상호 반전되도록 회전되며, 각 후단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 상에 접촉되도록 하기위한 내부와 외부간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한 흡착모듈(I)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모듈(I)은 제1 흡착모듈(I1)과, 상기 제1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2 흡착모듈(I2)와, 상기 제2 흡착모듈(I2)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3 흡착모듈(I3)을 포함한다. 도 22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2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1210) 상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가능 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1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모듈(P1)과, 상기 제1 가압모듈(P1)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하단 유동체(12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모듈(P2)과, 상기 제2 가압모듈(P2)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중단유동체(12222)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3 가압모듈(P3)과, 상기 제3가압모듈(P3)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상단유동체(12223)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4 가압모듈(P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모듈(P1)은 상방에 상기 제1 가압모듈(P1)을 상기 베이스몸체부(12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조임모듈(L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방에 상기 제2 가압모듈(P2)을 상기 제1 가압모듈(P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임모듈(L2)이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압모듈(P3)은 상방에 상기 제3 가압모듈(P3)을 상기 제2 가압모듈(P2)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조임모듈(L3)이 구비된다.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상방에 상기 제4 가압모듈(P4)을 상기 제3 가압모듈(P3)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 조임모듈(L4)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압모듈(P1)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은(P4)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수동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자동방식으로 동작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동작된다. 도 23은 도 22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3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각각 상기 최하단유동체(12221) 내지 상기 최상단유동체(12223) 상에 바(Bar)형상체로 결속되어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바 형상체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기 제1 가압모듈(P1)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하단유동체(12221)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3 가압모듈(P2)이 상기 제2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중단유동체(12222)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고, 상기 제4 가압모듈(P4)이 상기 제3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상단유동체(12223)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제4 가압모듈(P4)이 하방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1 조임모듈(L1) 내지 상기 제4 조임모듈(L4)을 통해 상호 결속된다. 도 24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1123) 상에는 상기 지지부(B)를 항하여 진퇴 가능한 플레이트부(1123a)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분사노즐(1123b)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123b)은 상기 플레이트부(1123a)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1123)와 상기 지지부(B) 사이의 형성되는 소정의 충진공간(FS) 상에 접착액을 분사하여 토출시킨다. 상기 각 자성층(ML)의 내부에는 길이방향 상으로 소정의 관통공(FH)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1123b)로부터 분사된 접착액은 상기 관통공(FH)에 유입되어, 상기 지지부(B)가 상기 고정모듈(1120)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층(ML) 상호간을 결속시켜 상기 고정모듈(1120)과 상기 지지부(B) 상호간의 결속을 강화시킨다. 상기 완충패드(11231) 상면부에는 상기 완충패드(1123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본체부(11231a1)와, 상기 본체부(11231a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토출부(11231a2)를 포함하는 제2 분사노즐(11231a)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노즐(11231a)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상기 바닥부(1121)는 하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체(1121a)와, 수평방향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상기 제2 가압체(1121b)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는, 상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3 가압체(1121c)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1121)는, 상기 제1 가압체(1121a)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압체(1121a)와 상기 바닥부(1121)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3 분사노즐(AN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체(1121b)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압체(1121b)와 상기 바닥부(1121)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4 분사노즐(AN2)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는, 상기 제3 가압체(1121c)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가압체(1121c)와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5 분사노즐(AN3)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는, 저면부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6 분사노즐(1111)이 구비되며, 상기 제6 분사노즐(1111)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제2 본체부(1111b)와, 제2 본체부(1111b)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제2 토출부(11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6 분사노즐(1111)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도 25는 도 10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전술한바와 같이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 될 수있는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부(B)에 대하여 접착액 토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지부(B)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퇴되면서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는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접착액(예: 에폭시 등) 토출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기 접착액과 혼합을 위한 유체(예 : 경화제, 첨가제, 기타 등)가 토출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상기 진퇴형 노즐(N)을 수용하도록 소정형상의 믹싱모듈(MX)이 구비되며,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진퇴형 노즐(N)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액과 유체를 믹싱하여 믹싱 용액을 분사노즐(N2)을 통해 상기 지지부(B)에 토출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혼합액과 상기 유체가 충진되며 충진되는 충진액을 믹싱 용액으로 믹싱하되, 상기 충진액과 상기 유체를 설정온도 값으로 유지한 채, 초음파 진동을 가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자성층(ML) 상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진퇴 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B)는 상기 지지부(B) 상에 높이방향상의 긴장력을 발생시키는 텐션모듈(91)이 구비되며,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지지부(B) 사이에는 상기 텐션모듈(91)에 의하여 긴장력이 발생되는 상기 지지부(B)를 그리핑하는 그리핑모듈(93)이 구비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텐션모듈(91)은 상기 지지부의 높이방향 상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결속부(91a)와, 상기 지지부의 높이방향 상의 타측측에 설치되는 제2 결속부(91b)와, 상기 일측이 상기 제1 결속부(91a)에 결속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결속부(91b)에 결속되며 상기 제1 결속부(91a)와 상기 제2 결속부(91b)를 매개로 상기 지지부(B) 상에 텐션을 발생시키는 텐션발생부(91c)를 포함한다. 상기 그리핑모듈(92)은, 소정의 중앙몸체(92a)와, 상기 중앙몸체(92a)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진퇴 유동되며 상기 지지부(B)를 그리핑한 상태에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되는 유동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구는, 상기 중앙몸체(92a)의 최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그리핑하는 최상단 유동구(92b)와, 상기 중앙몸체의 최상단에 위치되어 상지 지지부를 그리핑하는 최하단 유동구(92c)와, 상기 중앙몸체의 중단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그리핑하는 중단 유동구(92d)를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 유동구(92b)는 그리핑 상태에서 상기 제1 결속부(91a)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하단 유동구(92b)는 그리핑 상태에서 상기 제2 결속부(92b)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중단 유동구(92c)는 그리핑 상태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지지부 상에는 내측으로 단차지도록 함입되는 다수의 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유동구(92b), 상기 중단 유동구(92d) 및 상기 최하단 유동구(92c)는 각각 상기 함입부에 형합되어 상기 지지부(B)를 그리핑하며, 상기 중앙몸체(92a)의 저면부 상에는 다수의 제2 지지부(B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부(B2)는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거치되며, 상기 고정모듈(11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서 상기 제2 지지부(B)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추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부(B)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섬유부재
2 : 부착물
3 : 인쇄물
G1 : 제1 파지부
G2 : 제2 파지부
G3 : 제3 파지부

Claims (4)

  1.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보호구는, 신체 일정부와 접촉되는 소정 형상의 섬유부재; 상기 섬유부재의 적어도 일측면 상에 구비되는 소정의 인쇄물; 게르마늄이 코팅되어 착용자의 신체부를 향하도록 상기 섬유부재 상에 부착되는 부착물; 상기 섬유부재는 손목아대, 팔꿈치 보호대, 무릎 보호대, 허리 보호대, 안대, 깔창, 안대, 발목 보호대, 베개 피. 온수 패트 및 이불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인쇄물은 상기 인쇄장치에 의한 인쇄가공에 기반하여 제작되며,
    상기 인쇄장치는, 인쇄를 위한 피출력물을 인쇄헤드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피출력물을 인쇄헤드부의 하부로 이송하는 피동롤러와, 상기 인쇄헤드부에 의해 출력이 완료된 피출력물을 이송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피출력물을 감아들여 회수하는 회수롤러와,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공급롤러의 출구 측에 승하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쇄헤드부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 후 상기 구동롤러가 회전하여 상기 피출력물을 한 스텝 이송시키면 상기 이송되는 피출력물의 견인력에 의해 상승 이동하면서 상기 피출력물에 장력을 가하는 인출 측의 텐션롤러와, 상기 인쇄장치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 및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높이방향상의 긴장력을 발생시키는 텐션모듈이 구비되며,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텐션모듈에 의하여 긴장력이 발생되는 상기 지지부를 그리핑하는 그리핑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텐션모듈은, 상기 지지부의 높이방향 상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결속부와, 상기 지지부의 높이방향 상의 타측측에 설치되는 제2 결속부와, 상기 일측이 상기 제1 결속부에 결속되고 타측이 상기 제2 결속부에 결속되며 상기 제1 결속부와 상기 제2 결속부를 매개로 상기 지지부상에 텐션을 발생시키는 텐션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체는,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와, 상기 최하단유동체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와, 상기 최하단유동체와 상기 최상단유동체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기 최상단유동체 및 상기 중단유동체의 상기 지지부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 상에 자성 결합되되,상기 유동체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가 복수 구비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부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되되,
    상기 유동체는, 상기 완충공간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체는 상기 최상단유동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몸체 저면부를 향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의 상부에는 완충패드가 구비되고,상기 승강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를 항하여 진퇴 가능한 플레이트부와,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형성되는 소정의 충진공간 상에 접착액을 분사하여 토출시키며,
    상기 고정모듈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리핑모듈은, 소정의 중앙몸체와,
    상기 중앙몸체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진퇴 유동되며 상기 지지부를 그리핑한 상태에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되는 유동구를 포함하며,
    상기 유동구는, 상기 중앙몸체의 최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그리핑하는 최상단 유동구와, 상기 중앙몸체의 최상단에 위치되어 상지 지지부를 그리핑하는 최하단 유동구와, 상기 중앙몸체의 중단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그리핑하는 중단 유동구를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 유동구는 그리핑 상태에서 상기 제1 결속부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하단 유동구는 그리핑 상태에서 상기 제2 결속부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중단 유동구는 그리핑 상태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지지부 상에는 내측으로 단차지도록 함입되는 다수의 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유동구, 상기 중단 유동구 및 상기 최하단 유동구는 각각 상기 함입부에 형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그리핑하며,
    상기 중앙몸체의 저면부 상에는 다수의 제2 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 거치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제2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추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유동체는, 상기 중단유동체는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은 상기 중단유동체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와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유동하여 접하며,
    상기 중단유동체는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중단유동체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와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하고,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기 중단유동체,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는 전방이 후방과 상호 반전되도록 회전되며, 각 후단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 상에 접촉되도록 하기위한 흡착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흡착모듈은 제1 흡착모듈과, 상기 제1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2 흡착모듈와, 상기 제2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3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모듈과, 상기 제1 가압모듈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하단유동체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모듈과, 상기 제2 가압모듈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중단유동체가 상기 지지부를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3 가압모듈과, 상기 제3 가압모듈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상단유동체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4 가압모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압모듈은 상방에 상기 제1 가압모듈을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조임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모듈은 상방에 상기 제2 가압모듈을 상기 제1 가압모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임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압모듈은 상방에 상기 제3 가압모듈을 상기 제2 가압모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조임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모듈은 상방에 상기 제4 가압모듈을 상기 제3 가압모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 조임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압모듈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수동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자동방식으로 동작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동작되는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
KR1020180015277A 2018-02-07 2018-02-07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 KR10197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277A KR101974093B1 (ko) 2018-02-07 2018-02-07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277A KR101974093B1 (ko) 2018-02-07 2018-02-07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093B1 true KR101974093B1 (ko) 2019-04-30

Family

ID=6628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277A KR101974093B1 (ko) 2018-02-07 2018-02-07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09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467U (ko) * 1993-12-13 1995-07-20 이재국 지지장치
KR101536729B1 (ko) * 2014-12-18 2015-07-16 주식회사 딜리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 공급배출장치
KR101736304B1 (ko) 2012-02-23 2017-05-16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호흡용 보호구
KR101771585B1 (ko) * 2016-06-13 2017-09-05 주식회사 딜리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디지털 인쇄장치
KR101778187B1 (ko) * 2017-06-12 2017-09-13 박종헌 아파트 계단용 청소장치
KR101833688B1 (ko) * 2017-10-18 2018-02-28 김홍철 계단 청소장치
KR101821615B1 (ko) * 2017-10-31 2018-03-08 강창걸 초콜릿 제조방법
KR101834136B1 (ko) * 2017-10-18 2018-04-13 (주)유시티메디칼 골편 결합용 조립체 조립방법
KR101893979B1 (ko) * 2017-09-15 2018-08-31 이영범 갈비탕 제조방법 및 갈비탕 재료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467U (ko) * 1993-12-13 1995-07-20 이재국 지지장치
KR101736304B1 (ko) 2012-02-23 2017-05-16 코겐 가부시키가이샤 호흡용 보호구
KR101536729B1 (ko) * 2014-12-18 2015-07-16 주식회사 딜리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 공급배출장치
KR101771585B1 (ko) * 2016-06-13 2017-09-05 주식회사 딜리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디지털 인쇄장치
KR101778187B1 (ko) * 2017-06-12 2017-09-13 박종헌 아파트 계단용 청소장치
KR101893979B1 (ko) * 2017-09-15 2018-08-31 이영범 갈비탕 제조방법 및 갈비탕 재료 가공장치
KR101833688B1 (ko) * 2017-10-18 2018-02-28 김홍철 계단 청소장치
KR101834136B1 (ko) * 2017-10-18 2018-04-13 (주)유시티메디칼 골편 결합용 조립체 조립방법
KR101821615B1 (ko) * 2017-10-31 2018-03-08 강창걸 초콜릿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2855A (en) Stretch wrapping tape dispensing apparatus
ATE242721T1 (de) Vorrichtung zum laden von folien in einer maschine zum einwickeln von produkten
CN205111547U (zh) 一种圆管抛光机的控制装置
KR101974093B1 (ko) 인쇄장치를 이용한 보호구 가공 시스템
US6514369B1 (en) Method for and devices used in covering a roll core with a resin infused fiber reinforced adhesive under layer and a polymeric top layer, the method including the use of an improved mold tape
EP0875346B1 (en) Apparatus for drilling and fitting pins in the head portions of panels
KR101699415B1 (ko) 기능성 패널 제조 자동화 장치
KR101870089B1 (ko) 디지털 인쇄장치
US20240059202A1 (en) Trailer-mounted conveyor system and method
US5575138A (en) Stretch wrapping tape dispensing apparatus
KR101123681B1 (ko) 새시용 래핑장치
KR100948661B1 (ko) 차량용 필터 캡의 접착제 도포장치
CN205802260U (zh) 一种带张紧装置的皮带输送机
KR101261579B1 (ko) 골프공 제조장치
CN104995017B (zh) 包带供给装置
CN108654915A (zh) 一种刹车片用钢背的涂胶装置
GB1251126A (ko)
CN212733242U (zh) 一种方便上料的除磷装置
CN108043658A (zh) 一种板材涂胶装置
KR101538786B1 (ko) 기능성 솜 제조 방법과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솜 그리고 기능성 솜을 갖는 침구 제품
WO2017090369A1 (ja) 粘着シート貼付け方法および粘着シート貼付け装置
EP1422341B1 (en) Method of forming a roll
KR20030095629A (ko) 양면 합포 방법 및 양면 합포기
CN102131624B (zh) 装饰片及模内装饰装置
KR20160124950A (ko) 상자 원지 연결용 접착제 도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