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805B1 -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805B1
KR101973805B1 KR1020180107409A KR20180107409A KR101973805B1 KR 101973805 B1 KR101973805 B1 KR 101973805B1 KR 1020180107409 A KR1020180107409 A KR 1020180107409A KR 20180107409 A KR20180107409 A KR 20180107409A KR 101973805 B1 KR101973805 B1 KR 101973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risk
unit
haz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기락
Original Assignee
강원오픈마켓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오픈마켓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원오픈마켓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위해요소를 검출하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기기로 제공하는 매개장치 및 수집된 위치정보를 상기 매개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매개장치로부터 수신된 위해요소 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는 위해요소의 위치, 위해요소의 종류, 위해요소로부터 회피하기 위한 대응책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Avoidance support system for hazard}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위해요소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염병, 범죄자, 기상이변 등의 다양한 위해 요소를 검출하며, 위해 요소가 검출된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위해요소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개인의 위치 정보를 휴대 단말기 등으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보급되고 있다. 길찾기 서비스, 레스토랑 추천 등의 서비스 등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이다.
한편, 이러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업적 서비스에 이용하려는 노력은 많이 수행되어왔으나, 이러한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각종 위해요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노력은 비교적 저조하게 이루어져 왔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53091호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각종 위해요소로부터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에 근접한 범죄자, 전염병 보유자, 재난 지역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로부터 사용자가 회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위해요소를 검출하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기기로 제공하는 매개장치 및 수집된 위치정보를 상기 매개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매개장치로부터 수신된 위해요소 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는 위해요소의 위치, 위해요소의 종류, 위해요소로부터 회피하기 위한 대응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양한 종류의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효과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위해요소로부터 즉각 회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서버로서 동작하며 주변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정보를 빠르게 전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필요할 때에만 서버로서 동작하며 짧은 시간동안 정보를 수집 및 배포할 뿐이므로, 해킹의 위험에 상시 노출된 서버에 비해 높은 보안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 사용자에 대한 위해요소 근접 여부를 알려줌으로써, 자신 이외의 관심 사용자에 대한 안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200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해요소 회피 지원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해요소 민감도 산출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해요소 항목별 민감도 지수 및 위해 판단기준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해요소 표시 방법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설정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서버는 특정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통신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서버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컴퓨팅 장치가 통신하는 경우 그 중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가 일시적으로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의 서버는 이처럼 상대적인 개념의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관계에서의 서버 또한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즉, 본 명세서의 서버는 정보를 전파하는 매개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든 종류의 컴퓨팅 장치를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위해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특정 개인이 신고하는 경우 해당 정보가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운영하는 중앙 서버로 전송되고, 중앙 서버에서의 판단 및 배포에 의하여 해당 정보가 클라이언트들에 전송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위해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신고하는 특정 개인의 사용자 단말이 곧 해당 사용자 단말이 속한 지역에서의 서버로서 동작하여, 해당 정보를 주변의 사용자 단말에게 전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해당 정보는 주변의 사용자 단말로 전파되고, 해당 정보를 전파받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다시금 서버로서 동작하여 주변의 사용자 단말로 해당 정보를 릴레이 형식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시스템을 운영하는 중앙 서버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배포하는 경우, 명확히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배포하는 경우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며, 운영자에게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보의 검증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소요해야 한다.
반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단말이 서버로서 동작하며 주변 영역의 사용자 단말에만 정보를 전파하며, 이는 개인 간의 참고자료 전달로서만 기능할 뿐이고 각 자료의 진위에 대한 책임소재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중앙 서버로부터 전파되는 정보에 비해 정확도는 다소 낮을 수 있으나, 각 개인의 판단에 따라 참고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빠르게 전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인이 업로드하는 정보를 중앙 서버에서 수집하는 경우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나,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필요할 때에만 서버로서 동작하며 짧은 시간동안 정보를 수집 및 배포할 뿐이므로, 해킹의 위험에 상시 노출된 서버에 비해 높은 보안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100는 사용자 기기 200 및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와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 100는 외부의 기업 또는 기관의 서버 11로부터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정보 제공자 기기 10(사용자 기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음)로부터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는 위해요소의 위치, 위해요소의 종류, 위해요소로부터 회피하기 위한 대응책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업 또는 기관의 서버 11는 예컨대, 서버 100에 전염병 발병 지역에 대한 정보, 기상 관련 정보(폭설, 태풍, 오존 주의보 설정 지역 등), 재난 관련 정보, 범죄 관련 정보(보호관찰 대상자 위치 등), 교통 관련 정보(교통사고 신고 지역)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제공자 기기 10는 상기 서버 100와 연동된 웹페이지 또는 SNS 등에 위해요소와 관련된 정보를 개인이 신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 제공자 기기 10는 실시간 발생되는 현행범죄, 재난 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서버 100에서 접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자 기기 10는 사용자 기기 200와 동일한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서버 100는 상기 기재한 방식에 따라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서버 100는 접수된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자체적으로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위험도 단계를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 기기 20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근접한 위해요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 후, 사용자의 위치에 기 설정된 거리 이하로 근접한 위해요소가 존재할 경우, 해당 위해요소의 정보를 사용가기기 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서버 100는 통신부 110, 저장부 120, 제어부 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30는 위해요소 분류부 131, 위해요소 접수부 132, 위해요소 검출부 133, 그룹관리부 134,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 통계부 1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그룹관리부 134는 그룹 설정부 134a 및 그룹 동작 수행부 13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디바이스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LTE-A), 5G(Five Generation)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 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기기(정보 제공자 기기 포함) 및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기기 200로부터 사용자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 110는 외부의 기업 및 기관 서버 11 및 정보 제공자 기기 10로부터 위해요소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기기 200로 사용자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위해요소의 존재 여부 및 위해요소의 상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3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20는 외부 서버 및 정보 제공자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위해요소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120는 위해요소를 항목별 및 위험성의 단계별로 분류하기 위한 기준 정보 및 분류 관련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20는 사용자 기기 200로부터 수집되는 사용자 계정 정보 및 사용자별 위해요소 판단 기준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3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 130는 위해요소 분류부 131, 위해요소 접수부 132, 위해요소 검출부 133, 그룹 관리부 134,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 통계부 1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분류부 131는 서버의 외부로부터 수집된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들을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분류부 131는 수집된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는 예컨대, 범죄, 질병, 교통, 기상 현상를 포함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와같이 상기 위해요소 분류부 131는 위해요소를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해요소 분류부 131는 위험도의 단계에 따라 위해요소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분류부 131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차 분류 시, 카테고리별로 위해요소를 분류하고, 2차 분류 시,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위해요소들의 위험성을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위해요소의 단계별 분류 방법은 기상 현상의 경우, 주의보 수준의 위해요소는 1단계, 경보 수준의 위해요소는 2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분류부 131는 위해요소를 단계별 분류시 사용자 특정에 맞춘 분류 기준에 따라 단계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기상 현상에 대하여 민감도가 낮게 설정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기상 현상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위해요소의 단계 분류는 평균 단계 분할 개수보다 적은 수로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의 민감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 높게 설정된 카테고리에 대하여(예, 범죄) 위험성 단계를 기 설정된 단계 개수보다 증가시켜(예, 4단계로 분류)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접수부 131는 타 사용자의 신고(예, 정보 제공자 기기 10로부터 수신)에 의해 접수되는 위해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위해요소 접수부 131는 상기 서버 100와 연동된 SNS를 비롯한 웹페이지 등에 등록되는 위해요소 신고 정보들을 기반으로 위해요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위해요소 접수부 131는 연동 웹페이지에 신고된 범죄현장 위치 정보, 교통사고 위치 정보, 화재 및 폭발 현장의 위치 정보 등과 같이 현장에 위치한 개별 사용자의 신고를 통해 접수 가능한 위해요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검출부 133는 기업 또는 기관측의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제공받는 위해요소 관련 정보들을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검출부 133는 전달되는 위해요소의 위치 정보(행정상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지도상의 위치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접수부 132 및 위해요소 검출부 133를 통해 수집된 위해요소 정보들은 위해요소 분류부 131에 제공될 수 있고, 위해요소 분류부 131에서는 수집된 위해요소 정보들을 대상으로 위해요소 여부 및 기 설정된 분류기준에 따른 카테고리별 및 위험도 단계별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그룹 관리부 134는 적어도 2명 이상의 사용자를 그룹화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그룹 관리부 134는 그룹 설정부 134a와 그룹 동작 수행부 13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룹 설정부 134a는 특정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사용자와 그룹이 될 타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타 사용자와 그룹을 요청한 사용자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그룹 설정부 134a에서 설정하는 그룹의 종류는 일방향 그룹과 쌍방향 그룹이 존재할 수 있다. 일방향 그룹은 상대방의 동의하에 자신의 계정에서 상대방과 그룹이 설정되는 것으로 표시되되, 상대방측 계정에서는 자신과 그룹이 설정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고, 쌍방향 그룹은 상대방과의 동의하에 자신의 계정 및 상대방 계정 모두에서 그룹이 설정되는 것으로 표시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부모가 자녀와 그룹을 설정하고자 할 시, 부모는 자녀와 일방향 그룹을 설정함을 통해, 자신의 기기상에서는 자녀와 그룹이 설정된 것으로 표시되나, 자녀의 기기상에서는 부모와 그룹이 아닌 것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그룹 설정부 134a는 사용자의 주 사용 연락처, 계정 사용자의 연령대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친구 여부를 판단하고, 친구로 판단되는 사용자 계정을 그룹으로 설정하도록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그룹 설정부 134a는 위해요소 민감도가 유사한 타 사용자들을 그룹설정할 친구 목록으로 추천할 수 있다.
상기 그룹 동작 수행부 134b는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그룹차원에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룹 동작 수행부 134b는 그룹으로 설정된 사용자들의 근접 위해요소 존재 여부에 대한 정보를 해당 그룹 구성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룹 내 사용자는 자신이 그룹으로 설정해둔 타 사용자의 위해요소 근접 여부를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그룹 동작 수행부 134b는 그룹 구성원 중 적어도 1명이 위해요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회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해요소로부터의 해당 그룹원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유지될 경우), 해당 사용자와 동일 그룹으로 설정된(또는 해당 사용자를 그룹으로 설정해둔) 사용자에게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동작 수행부 134b는 그룹원들의 모임 장소를 결정할 경우 각 그룹원들의 현재 위치 또는 지정 출발위치를 기반으로 접근성이 용이하며, 위해요소가 적은 장소를 모임장소로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동작 수행부 134b는 그룹원들이 모임장소로 이동하는 동안 마주칠 수 있는 위해요소를 회피하도록 위해요소 회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회피 정보는 예컨대, 위해요소를 피하여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길 안내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그룹 관리부(그룹 동작 수행부 134b)는 동일 그룹 내 타 사용자들의 위해요소 민감도 평균값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해요소 민감도와 상기 평균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사용자의 민감도 조정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30는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근접한 곳에 존재하는 위해정보를 판단하고, 해당 위해정보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는 사용자의 위치 변경 추이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이동할 것으로 유추되는 지점의 위해요소를 회피할 수 있도록 경로 변경을 요청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는 사용자가 위해요소를 회피할 수 있도록 현재 사용자의 위치 및 위해요소의 위치 지점(또는 위해요소의 영역 범위)를 지도상에 표시한, 네비게이션 형식의 길 안내 서비스를 사용자 기기 200측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는 위해요소의 카테고리별 또는 위해요소의 개별 항목별 대응방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기기 200측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위해요소 항목이 지진에 관한 것일 경우, 상기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는 지진 대응 매뉴얼 및 사용자 위치 주변의 대피시설 정보를 사용자 기기 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는 기 저장된 위해요소별 대응 매뉴얼 및 사용자 기기에 전송해야할 정보 목록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는 외부 기관 및 기업 서버로부터 위해요소 정보와 함께 전달되는 매뉴얼 정보를 사용자 기기측에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는 위해요소의 위험성 단계가 매우 위험한 것으로 판단되는 단계에 해당할 경우(예, 3단계 이상)에 한하여 사용자에게 대응 매뉴얼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5는 사용자가 특정 위해요소에 대하여 상세정보를 요청함에 따라 대응 매뉴얼 및 그에 상응하는 기타 회피 정보를 함께 사용자 기기측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계부 136은 사용자가 주로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위해요소 정보 및 민감 반응하는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통계부 136는 사용자의 위해요소에 대한 민감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민감도는 사용자가 자신의 기기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하는지 여부, 사용자가 상세정보를 요청하는 횟수, 사용자가 관심 항목으로 설정하였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계부 136는 사용자의 연령대별, 성별, 주 위치 지역에 따른 위해요소 항목별 민감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해요소 분류부 131는 상기 통계부 136에서 산출하는 위해요소 민감도에 따라 위해요소 판단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이 ?? 상기 위해요소 분류부 131는 사용자 계정별로 변경된 위해요소 판단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해요소 분류부 131는 개인별로 산출된 위해요소 민감도가 아닌, 연령별, 성별, 주 위치 지역별 등의 사용자 특성별 민감도의 평균값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연령, 성별, 주위치에 따른 판단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위해요소 분류부 131는 신규 사용자에 대하여 통계부 136에서 판단한 사용자 특성별 민감도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연령, 성별, 주 위치 지역에 대응하는 민감도 및 위해요소 판단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통계부 136는 신규 사용자의 축적된 위해요소에 대한 반응 정보에 기반하여 새로운 민감도 값을 산출할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상기 위해요소 분류부 131는 해당 개인에 대응하는 민감도 및 위해요소 판단기준을 추후 적용할 수 있다. 민감도 및 위해요소 판단기준에 대하여는 하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200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 200의 구성은 통신부 210, 저장부 220, 카메라부 230, 입력부 240, 표시부 250 및 제어부 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260는 위해요소 회피 실행부 261, 위해요소 신고 지원부 262, 사용자 민감도 정보 수집부 263, 방문 기록 수집부 2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210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프로세서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210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GPS, 기지국 등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210는 본 발명의 서버 100측에 탐지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210는 서버 100로부터 위해정보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2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그룹 설정된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위해요소 신고 관련 사진 정보, 특정 기간 동안의 사용자의 방문 위치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 230는 사용자가 위해요소를 발견한 경우 사용자 기기로 위해요소를 신고하기 위한 목적의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2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그룹 신청, 위해요소 표시 제거, 위해요소 상세 정보 요청 등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 수 있다.
상기 표시부 250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위해요소에 대한 위치 정보 및 상세정보를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250는 사용자가 위해요소를 피하기 위해 선택해야 할 길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비롯한 지도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260는 위해요소 회피 실행부 261, 위해요소 신고 지원부 262, 사용자 민감도 정보 수집부 263, 방문 기록 수집부 2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회피 실행부 261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길안내 서비스(네비게이션)를 비롯한, 사용자 위치에 근접한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 표시 기능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위해요소 신고 지원부 262는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을 비롯한 위해요소 신고 자료를 서버 100와 연동된 SNS 또는 웹페이지에 업로드하여 신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민감도 정보 수집부 263은 사용자의 특정 위해요소에 대한 선택 정보, 상세정보 요청 정보 등을 민감도 정보로써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에서 수집된 해당 사용자의 민감도 정보는 서버 100측에 제공되어 민감도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문 기록 수집부 264는 사용자 기기에서 주기적으로 수집된 사용자 기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방문 기록을 수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해요소 회피 지원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기기 200는 서버 100측에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5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00는 위해요소를 검출하는(132, 132를 통해 위해요소의 수집한 후 131을 통해 분류된 위해요소 중 사용자 기기의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로 근접한 위해요소를 검출하는 동작) 5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00는 사용자 기기 200에 사용자 위치 기반 위해 요소 정보를 제공하는 5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 200는 서버 100로부터 수신한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기기 상에서 표시하는 52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는 1차적으로 위치정보만 표시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세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520동작이 위해요소의 위치정보만 표시하는 동작이라고 할 때, 상기 사용자 기기 200는 서버 100에 특정 위해요소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하는 5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서버 100는 해당 위해요소에 대한 대응방안을 포함한 위해요소 회피 정보를 제공하는 530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 기기 200는 이에 대응하여 위해요소 회피 정보를 표시하는 53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해요소 민감도 산출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서 서버 100는 위해요소를 검출하는 6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위해요소를 검출하는 동작은 132, 132를 통해 위해요소의 수집한 후 131을 통해 분류된 위해요소 중 사용자 기기의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이하로 근접한 위해요소를 검출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00는 검출된 위해요소 정보를 제공하는 6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위해요소 정보를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 기기 200는 위해요소를 화면에 표시하는 6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 200측에서 표시된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는 등의 동작을 통해 서버에 위해요소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청하는 620을 수행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 100는 상세 정보 요청된 위해요소의 항목을 확인하는 6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기기 200측에서도 사용자의 민감도 판단에 요구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후에 서버측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00는 상세정보 요청된 위해요소의 항목에 대한 민감도 지수를 증가하도록 설정하는 63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민감도 감소에 대한 동작도 이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상에 제공된 위해요소 중 특정 위해요소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가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경우, 서버 100는 표시 해제된 위해요소 항목에 대하여 민감도 지수를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해요소 항목별 민감도 지수 및 위해 판단기준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위해요소 항목별 민감도 지수와 위해요소 판단기준을 도 7에서와 같이 산출하고 적용할 수 있다. 위해요소 항목은 범죄, 질병, 교통, 기상 등으로 카테고리화될 수 있고, 세부 상목은 A,B,C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범죄 A는 성범죄, 범죄 B는 폭력범죄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민감도 지수는 사용자의 해당 위해요소에 대한 상세정보 요청 횟수, 관심 위해요소 설정 여부 등에 기반하여 산출되는 수치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위해요소 판단기준은 위해요소의 위험도 단계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위해요소의 기준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A의 경우 범죄 A에 대한 민감도가 90퍼센트로 설정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A는 범죄 A에 대하여 매우 민감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A의 범죄 A에 대한 위해요소 판단 기준은 전체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A의 질병 A에 대한 민감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고 이에 대응하는 위해요소 판단기준은 '1~3단계를 제외'로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서버 100는 사용자가 낮은 민감도를 갖는 위해요소 항목에 대하여 위해요소 판단 기준을 기준치보다 높게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민감도의 수치를 자신의 니즈에 따라 숫자 입력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그룹 내 평균 민감도 수치와의 비교를 통해 민감도 수치의 조정이 추천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민감도 수치를 그룹 내 평균 민감도 수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해요소 표시 방법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사용자 기기 200 상에서 표시되는 위해요소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의 위치는 801에서와 같이 지도상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 범위는 802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위해요소의 위치는 805와 같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805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805는 위험요소의 카테고리 및 위험도 단계에 따라 모양 및 색상이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하는 길 방향에 따라 길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위해요소를 마주치게 될 확률이 높은 길에 대하여는 804와 같이 표시될 수 있고, 추천되는 길에 대하여는 803과 같이 화살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지도상에 표시되는 위해요소 803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사용자는 특정 위해요소에 대한 상세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해 요소 상세 정보가 도 8 하단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체적인 항목, 특이사항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대응방안 등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더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그룹 설정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기기 200는 서버 100 측에 지인 검색 및 그룹 설정을 요청하는 9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 100는 검색된 계정과 그룹을 설정하는 9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 100는 그룹 설정이 완료됨에 따라 그룹 설정 정보를 사용자 기기 측에 제공하는 9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추후 사용자 기기 200에서 설정된 그룹을 선택하는 등의 그룹용 정보를 요청하는 920동작을 수행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 100는 그룹 사용자 위치 기반 위해요소를 검출하는 9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 100는 그룹 사용자 위치 기반 위해요소 정보를 그룹용 정보를 요청한 사용자 기기 200측에 전송하는 93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 200는 그룹 사용자 위치 기반 위해요소를 표시하는 93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의 제어부는 위치 이동 이벤트가 감지되면 위치 이동에 따라 방문한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날짜별 방문 위치를 기록할 수 있으며, 서버로부터의 특정 일자의 발병지역 방문 기록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일자의 사용자 방문 기록 정보 중 상기 발병지역에 대한 방문 기록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는 위해요소 검출부에 의해 발병지역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발병지역에 대한 방문 기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는 상기 발병지역에 대한 방문 기록이 검출된 사용자 기기에 대하여 위해요소로 규정하고 해당 사용자의 위치를 타 사용자에게 위해요소 위치로써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작이 수행됨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특정 사용자가 위해요소로 간주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구체적인 신상정보(성별, 연령대 등)는 타 사용자들에게 제공되지 않도록 제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서버
131 : 위해요소 분류부
132 : 위해요소 접수부
133 : 위해요소 검출부
134 : 그룹관리부
135 :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
136 : 통계부
200 : 사용자 기기
261 : 위해요소 회피 실행부
262 : 위해요소 신고 지원부
263 : 사용자 민감도 정보 수집부
264 : 방문 기록 수집부

Claims (8)

  1. 사용자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위해요소를 검출하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기기로 제공하는 매개장치;
    수집된 위치정보를 상기 매개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매개장치로부터 수신된 위해요소 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는 위해요소의 위치, 위해요소의 종류, 위해요소로부터 회피하기 위한 대응책을 포함하고
    상기 매개장치는
    사용자 기기 및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신고된 위해요소 내역으로부터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위해요소 접수부;
    기 연동된 외부 기관 서버로부터 실시간 제공되는 정보로부터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위해요소 검출부;
    상기 위해요소 접수부 및 위해요소 검출부에서 수집한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위해요소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며, 사용자별 위해요소 판단기준에 따라 위해요소 여부를 판별하는 위해요소 분류부;
    사용자 기기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위해요소에 대한 민감도 정보와 사용자의 주 위치 지역, 성별, 연령을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특성별 위해요소 민감도를 산출하는 통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해요소 분류부는 위해요소들을 범죄, 질병, 교통, 기상현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테고리로 분류하며, 위해요소들을 위험도에 따라 단계를 구분 설정하며, 상기 통계부에서 산출된 사용자 특성별 위해요소 민감도를 신규 사용자의 위해요소 판단 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와 근접한 위치에서 위해요소가 확인되면, 위해요소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해요소 회피 지원부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위해요소의 상세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위해요소의 카테고리, 위험 수준, 위해요소에 대한 대응방안을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고, 동일 그룹 사용자들의 근접 위치에 존재하는 위해요소의 현황 정보를 제공하며, 동일 그룹 사용자들 중 적어도 1명의 사용자가 위해요소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근접 거리를 유지할 경우에 대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부는
    동일 그룹 내 타 사용자들의 위해요소 민감도 평균값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해요소 민감도와 상기 평균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사용자의 민감도 조정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매개장치로부터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위치 이동 이벤트가 감지되면 위치 이동에 따라 방문한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날짜별 방문 위치를 기록하는 방문 기록 수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문 기록 수집부는
    상기 매개장치로부터의 특정 일자의 발병지역 방문 기록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일자의 사용자 방문 기록 정보 중 상기 발병지역에 대한 방문 기록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 정보를 상기 매개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장치는
    위해요소 검출부에 의해 발병지역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에 발병지역에 대한 방문 기록을 요청하고, 상기 발병지역에 대한 방문 기록이 검출된 사용자 기기에 대하여 위해요소로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KR1020180107409A 2018-09-07 2018-09-07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KR101973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409A KR101973805B1 (ko) 2018-09-07 2018-09-07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409A KR101973805B1 (ko) 2018-09-07 2018-09-07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805B1 true KR101973805B1 (ko) 2019-04-30

Family

ID=6628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409A KR101973805B1 (ko) 2018-09-07 2018-09-07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8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966A (ko) * 2019-11-18 2021-05-26 주식회사 빅스터 생활안전 통합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활안전 통합 예측 방법
KR102434448B1 (ko) * 2021-06-14 2022-08-22 다움커리어주식회사 학생 교육 환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261B1 (ko) * 2015-08-25 2016-02-05 정선진 무선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소형선박 안전운항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70096505A (ko) * 2016-02-16 2017-08-24 (주) 군월드 위험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782837B1 (ko) * 2015-02-27 2017-09-29 김영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2차 교통사고예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837B1 (ko) * 2015-02-27 2017-09-29 김영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2차 교통사고예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92261B1 (ko) * 2015-08-25 2016-02-05 정선진 무선통신 단말기와 연동하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소형선박 안전운항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70096505A (ko) * 2016-02-16 2017-08-24 (주) 군월드 위험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966A (ko) * 2019-11-18 2021-05-26 주식회사 빅스터 생활안전 통합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활안전 통합 예측 방법
KR102347259B1 (ko) * 2019-11-18 2022-01-05 주식회사 빅스터 생활안전 통합 예측 방법
KR102434448B1 (ko) * 2021-06-14 2022-08-22 다움커리어주식회사 학생 교육 환경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6907B2 (en) Safety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854095B2 (en) Fligh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light clearance method, flight safety maintenance method and apparatus, server, and aerial vehicle
US11967403B2 (en) Remote monitoring of medical devices
US8073467B2 (en) WiFi and GSM landmarks and neighborhoods for location based services
US9165288B2 (en) Inferring relationships based on geo-temporal data other than telecommunications
KR101453317B1 (ko) 와이파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217948B1 (ko) Nfc 기반의 리뷰 관리 시스템
US9622048B2 (en) SNS based incident management
KR101973805B1 (ko) 위해요소 회피 지원 시스템
WO2017035993A1 (zh) 安全评估方法和装置
US20190356571A1 (en) Determining attributes using captured network probe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15016262A1 (ja) 情報処理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31272B2 (ja) 携帯端末装置、移動先情報提供サーバ装置、移動先情報表示プログラム、移動先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移動先情報提供システム
US201601406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ectable temporospatial insurance coverage
JP6664583B2 (ja) 情報制御装置、情報制御方法及び情報制御プログラム
KR102615888B1 (ko) 매장 영업 특성 판단 방법
JP2019153937A (ja)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11864079B2 (en)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ing to long period ground motion, server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ing to long period ground motio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ing to long period ground motion
KR20130116501A (ko) 고객에 맞춤형 보험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보험 상품 제공 서버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545383B1 (ko) 신변 보호 알람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301801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dedicated services restricted to a service area
US20170265161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device
KR101418522B1 (ko) 진입 경로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16258500A (zh) 风险预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905724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