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692B1 -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 - Google Patents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692B1
KR101973692B1 KR1020170105971A KR20170105971A KR101973692B1 KR 101973692 B1 KR101973692 B1 KR 101973692B1 KR 1020170105971 A KR1020170105971 A KR 1020170105971A KR 20170105971 A KR20170105971 A KR 20170105971A KR 101973692 B1 KR101973692 B1 KR 101973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main body
folded
standing
fold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974A (ko
Inventor
유정규
Original Assignee
유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규 filed Critical 유정규
Priority to KR102017010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6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42F9/001Clip boards
    • B42F9/002Clip boards combined with auxiliary devices, e.g. penc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판형태의 메인몸체(10)와, 상기 메인몸체(10)에 결합되는 평판형태이고 다수회 접혀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스탠딩몸체(50)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딩몸체(5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몸체(10)의 외면에 결합되되 다수회 접혀 상기 메인몸체(10)를 지지하는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제1접이몸체(60)와, 상기 메인몸체(10)의 한쪽 끝에서 연장되고 상기 메인몸체(10)로부터 접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접이몸체(60)에 겹쳐지는 제2접이몸체(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스탠딩장치는 가벼운 재질의 매우 얇은 평판구조이지만, 그 일부인 스탠딩몸체(50)가 접히면 입체구조가 되어 스탠딩기능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A standing apparatus and clipboard using this}
본 발명은 스탠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이식 구조를 통해 스탠딩구조로 변형될 수 있는 스탠딩장치와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구용품 중의 하나인 클립 보드(clip board)는 필기 용지의 한쪽을 고정해서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필기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필기판이다. 클립 보드는 각종 문서나 전표와 같은 필기 용지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다수매의 필기 용지를 고정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특히 클립 보드는 필기 용지를 펼쳐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해주므로 사용자가 필기 용지에 대해 바로 편리하게 필기를 할 수 있는 수 있는 동시에 필기된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클립 보드를 세워서 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클립 보드에 고정된 필기 용지를 보면서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다른 사람과 필기 내용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클립 보드를 세워서 보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의 클립 보드는 스탠드 기능이 없어서, 사용자가 별도의 스탠드를 사용하거나 용지를 클립 보드에서 분리해서 따로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필기 용지와 같은 종이류뿐 아니라 태블릿PC나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장치를 세워서 보는 일이 많아지고 있고, 이를 위해서 별도의 스탠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스탠드는 안정적인 거치 및 지지를 위해 부피가 크고 무거운 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아 보관의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6221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탠드장치의 접이구조를 통해서 안정적인 거치 및 지지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스탠드장치가 얇고 가벼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립보드에 스탠드장치 기능을 더하여 사용자가 클립보드를 세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평판형태의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는 평판형태이고 선택적으로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스탠딩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딩몸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에 결합되되 다수회 접혀 상기 메인몸체를 지지하는 입체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제1접이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에서 연장되고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접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접이몸체에 겹쳐질 수 있는 제2접이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이몸체는 상기 메인몸체에 평행하게 밀착되는 평판형태이고, 상기 메인몸체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히는 접이부와, 상기 접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이부에서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 방향으로 접혀 지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 접이부 및 지지부는 삼각형상의 각 변을 구성하여 상기 제1접이몸체는 삼각형태의 입체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1접이몸체와 상기 제2접이몸체는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되 제2접이몸체는 상기 제1접이몸체에 적층되어 입체구조를 형성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1접이몸체가 메인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접이몸체 중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2접이몸체에 가깝고, 지지부는 제2접이몸체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다.
상기 접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부가 접히거나 휘어짐에 따라 상기 스탠딩몸체가 상기 메인몸체를 지지하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접이부에서 접히면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한 쪽 끝이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제2접이몸체는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접혀 상기 제1접이몸체의 지지부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스탠딩몸체 사이에는 자석 및 금속재질의 조립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탠딩몸체는 상기 메인몸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스탠딩몸체의 제1접이몸체 및 제2접이몸체에는 상기 조립부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제1자석부와 제2자석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접이몸체와 제2접이몸체가 접혀 제2접이몸체가 제1접이몸체에 겹치면 제1자석부 및 제2자석부의 자력에 의해 제1접이몸체 및 제2접이몸체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메인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피고정물을 걸어 지지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탄성재질의 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의 양단이 상기 메인몸체의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평판형태이고 피고정물의 고정을 위한 클립이 구비된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는 평판형태이고 선택적으로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스탠딩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딩몸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에 결합되되 다수회 접혀 상기 메인몸체를 지지하는 입체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제1접이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에서 연장되고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접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접이몸체에 겹쳐질 수 있는 제2접이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이몸체는 상기 메인몸체에 평행하게 밀착되는 평판형태이고, 상기 메인몸체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히는 접이부와, 상기 접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이부에서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 방향으로 접혀 지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 접이부 및 지지부는 삼각형상의 각 변을 구성하여 삼각형태의 입체구조를 형성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스탠딩장치는 가벼운 재질의 매우 얇은 평판구조이지만, 그 일부인 스탠딩몸체가 접히면 입체구조가 되어 스탠딩기능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평소에는 스탠딩장치를 평판구조로 두어 쉽게 보관할 수 있고, 필요할 때에만 접어 스탱딩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석을 사용하여 평소에는 평판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스탠딩기능을 사용할 때에도 자석을 이용해서 입체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는 모두 보관성과 스탠딩기능의 사용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스탠딩몸체를 구성하는 제1접이부와 제2접이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접힌 후에 일부가 서로 겹쳐져 결합되므로 스탠딩몸체의 입체구조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탠딩장치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단이 있고, 지지단은 스탠딩장치가 지면에 지지되는 면적을 넓게 해줌과 동시에 지지단 상부에 피고정물인 용지나 태블릿PC 등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피고정물의 거치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탠딩몸체에 있는 자석부는 스탠딩장치 또는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를 서류파일이나 냉장고 등 금속재로 만들어진 장소에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한 스탠딩장치와 클립보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장소에 부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탠딩장치를 포함한 클립보드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례의 하부구조를 확대하여 자세하게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례에서 클립보드의 스탠딩장치가 펼쳐지기 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를 반대편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실시례에서 스탠딩장치를 구성하는 제1접이몸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실시례에서 스탠딩장치를 구성하는 제2접이몸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탠딩장치를 포함한 클립보드를 접어 스탠딩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탠딩장치를 포함한 클립보드의 두번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탠딩장치를 포함한 클립보드의 세번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탠딩장치를 포함한 클립보드의 네번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탠딩장치를 포함한 클립보드를 서류파일에 결합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스탠딩장치와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스탠딩장치는 피고정물을 세워서 보기 위한 것을 의미하는데, 평소에는 납작한 형태를 유지해서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스탠딩기능을 위해서는 일부가 접혀 입체구조를 가짐으로써 피고정물을 세울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탠딩장치가 클립보드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스탠딩장치를 포함한 클립보드(이하 '클립보드'라 한다)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은 클립보드가 세워져서 피고정물(도시되지 않음)을 세워서 볼 수 있는 상태이다. 클립보드의 골격과 전체적인 형태는 메인몸체(10)가 만든다. 상기 메인몸체(10)는 납작한 평판구조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메인몸체(10)는 얇은 형태인데, 가벼운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몸체(10)는 골격판과 상기 골격판을 감싸는 외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골격판은 합지재질, 합성수지, 목재, 골재, 합판재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외지는 합지, 스폰지, 마닐라지, 및 크로스지 재질 등 다양한 소재일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의 각 모서리에는 코너부(12)가 있다. 상기 코너부(12)는 상기 메인몸체(10)의 모서리에 결합되어 메인몸체(10)의 모서리를 감싸 보호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코너부(12)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례에서는 메인몸체(10)의 상부에만 구비된다. 물론, 상기 코너부(12)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인몸체(10)의 정면(11)에는 피고정물이 안착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정면(11)은 평면으로 구성되고, 여기에는 필기 용지나 태블릿PC가 지지된다. 참고로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20)이 피고정물의 일부를 메인몸체(10)의 정면(11)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켜줄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의 하부에는 고정수단(18)이 있다. 상기 고정수단(18)은 피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클립보드가 세워진 상태에서 피고정물의 하부를 고정해준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수단(18)은 탄성재질의 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18)의 양단(18')이 상기 메인몸체(10)의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고정수단(18)은 반드시 고정밴드 형태일 필요는 없고, 회전하여 피고정물의 한쪽을 걸어주는 고리형태이거나 아래에서 설명될 클립(20)과 동일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고정수단(18)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에는 클립(20)이 구비된다. 상기 클립(20)은 메인몸체(10)에 구비되어 피고정물을 탄성으로 고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립(20)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보면 상기 클립(20)은 지지플레이트(2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1) 한쪽에 구비된 탄성수단(23)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수단(23)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은 집게부(25)에 전달된다. 상기 집게부(25)는 상기 탄성수단(23)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앞단이 피고정물을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면 방향으로 눌러준다.
도 5 및 도 6을 보면, 상기 메인몸체(10)의 저면(13)에는 조립부가 있다. 상기 조립부는 자화를 일으키는 물질인 자성체(磁性體, magnetic material)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스탠딩몸체(50)의 자석부의 자력에 의해 자석부에 붙는다. 상기 조립부는 자석부와 결합되어 스탠딩몸체(50)가 메인몸체(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메인몸체(10)에는 자성체인 조립부가 있고 스탠딩몸체(50)에 자석부가 있지만, 이와 반대로 상기 메인몸체(10)에는 자석부가 있고 스탠딩몸체(50)에 조립부가 있거나, 또는 메인몸체(10)와 스탠딩몸체(50) 양쪽에 모두 자석부가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조립부는 제1조립부(31)와 제2조립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립부(31)와 제2조립부(35)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스탠딩몸체(50)의 제1자석부(67)와 제2자석부(75)에 대응하는 것으로, 제1조립부(31)는 제1자석부(67)와 붙고, 제2조립부(35)는 제2자석부(75)에 붙는다. 이를 통해서 스탠딩몸체(50)의 제1접이몸체(60) 및 제2접이몸체(70)가 모두 메인몸체(10)의 저면(13)에 붙을 수 있다.
상기 제1조립부(31) 및 제2조립부(35)는 상기 메인몸체(10)에 내장된다. 상기 메인몸체(10)는 골격판과 외지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조립부(31) 및 제2조립부(35)는 골격판에 고정된 상태로 외지로 싸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형태인 것이다.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제1조립부(31) 및 제2조립부(35)가 어느 정도 돌출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실질적으로 그 전체 모습이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는다. 물론, 상기 제1조립부(31) 및 제2조립부(35)는 메인몸체(10)의 저면(13)에 노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에는 스탠딩몸체(50)가 연결된다. 상기 스탠딩몸체(50)는 상기 메인몸체(10)에 결합되는 평판형태이지만 다수회 접혀 입체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메인몸체(10)가 세워진 상태를 지지한다. 도 1에는 스탠딩몸체(50)가 접혀 메인몸체(10)를 세워서 지지한 모습이 표현되어 있고, 도 3과 도 4에는 스탠딩몸체(50)가 메인몸체(10)에 밀착된 상태가 표현되어 있다. 평소에는 스탠딩몸체(50)가 도 3 및 도 4와 같이 메인몸체(10)에 밀착되어 있다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접혀 스탠드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탠딩몸체(50)는 제1접이몸체(60)와 제2접이몸체(7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접이몸체(60)와 상기 제2접이몸체(70)는 상기 메인몸체(10)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되 제2접이몸체(70)는 상기 제1접이몸체(60)에 적층되어 입체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입체구조는 스탠딩몸체(50)가 상기 메인몸체(10)를 세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접이몸체(60)와 제2접이몸체(70)는 각각 메인몸체(10)의 저면(13)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1접이몸체(60)와 제2접이몸체(70)는 상기 메인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즉, 상기 제1접이몸체(60)와 제2접이몸체(70)는 각각 얇은 평판구조이다. 다만,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접이몸체(60)는 다수회 접힐 수 있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접이선(L1,L2)을 갖는데 반해 상기 제2접이몸체(70)는 메인몸체(10)의 하단으로부터 접힐 뿐, 제2접이몸체(70) 자체가 다수회 접히지는 않는다. 즉, 실질적으로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제1접이몸체(60)이다. 물론, 상기 제2접이몸체(70) 자체도 다수회 접혀 상기 제1접이몸체(60)와 함께 입체구조를 만들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접이몸체(60)를 보면, 상기 제1접이몸체(60)는 한쪽이 상기 메인몸체(10)의 외면에 결합되되 다수회 접혀 상기 메인몸체(10)를 지지하는 입체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1접이몸체(60)는 상기 메인몸체(10)에 평행하게 밀착되는 평판형태이다. 상기 제1접이몸체(60)는 연결부(61), 접이부(63) 및 지지부(65)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61)는 상기 메인몸체(10)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부분이고, 접이부(63)는 상기 연결부(61)에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61)에서 상기 메인몸체(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사이에는 제1접이선(L1)이 있다.
상기 지지부(65)는 상기 접이부(63)에 연결되고 상기 접이부(63)에서 상기 메인몸체(10)의 한쪽 끝 방향으로 더 접혀 지면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이부(63)와 지지부(65) 사이에는 제2접이선(L2)이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부(61), 접이부(63) 및 지지부(65)는 삼각형상의 각 변을 구성하여 제1접이몸체(60)가 삼각형태의 입체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1접이몸체(60)가 삼각형상의 입체구조이지만, 만약 접이부(63)가 다시 다수회 절곡될 수 있는 구조라면 사각형상 이상의 입체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접이부(63)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부가 접히거나 휘어짐에 따라 상기 스탠딩몸체(50)가 상기 메인몸체(10)를 지지하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각도조절부는 접이부(63)의 일부로서, 상기 접이부(63)를 다시 자체적으로 접거나 휠 수 있는 부분에 해당한다.
제1접이몸체(60)가 접히기 전, 즉 상기 제1접이몸체(60)가 메인몸체(1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접이몸체(60) 중에서 상기 연결부(61)가 상기 제2접이몸체(70)에 가깝고, 지지부(65)는 제2접이몸체(70)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다. 그리고 지지부(65)와 접이부(63)가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제2접이몸체(70)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65)가 상기 접이부(63)에서 접히면 상기 지지부(6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몸체(10)의 한쪽 끝보다 더 돌출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지지부(65)의 가장 돌출된 지지단(68)은 상기 메인몸체(10)의 한쪽 끝에서 더 돌출되고, 따라서 메인몸체(10)의 하단이 상기 지지부(65)의 상부에 안착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피고정물이 더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지지부(65)의 돌출된 지지단(68)의 상면에 피고정물의 하단이 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접이몸체(60)에는 자석부 중 제1자석부(67)가 구비된다. 상기 제1자석부(67)는 상기 제1접이몸체(60)에 부착되는 자석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자석부(67)는 상기 제1접이몸체(60)의 지지부(65)에 내장된다. 도 5를 보면, 상기 제1자석부(67)는 지지부(65)에 내장되되 앞서 설명한 제1조립부(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접이몸체(60)가 메인몸체(10)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제1자석부(67)가 제1조립부(31)에 붙어 고정된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자력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주어야 지지부(65)를 메인몸체(10)에서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접이몸체(70)는 상기 메인몸체(10)의 한쪽 끝에 있다. 상기 제2접이몸체(70)는 메인몸체(10)의 하단에서 더 연장되는데, 메인몸체(10)로부터 절곡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접이몸체(70)는 제1접이몸체(60)보다 짧다. 제2접이몸체(70)는 입체구조를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제1접이몸체(60) 보다 적기 때문에, 제1접이몸체(60)만큼 길게 형성될 필요가 없다.
상기 제2접이몸체(70)에는 제2자석부(75)가 있다. 상기 제2자석부(75)는 상기 제2접이몸체(70)에 내장되어 메인몸체(10)의 제2조립부(35)에 붙는다. 도 6을 보면, 제2자석부(75)가 제2조립부(35)에서 떨어진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평소에는 제2자석부(75)가 제2조립부(35)에 자력으로 붙기 때문에 제2접이몸체(70)가 메인몸체(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클립보드를 이용해서 스탠딩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을 이용해서 스탠딩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평소에는 클립보드가 도 7(a)와 같은 상태이다. 즉, 스탠딩몸체(50)를 구성하는 제1접이몸체(60)와 제2접이몸체(70)가 메인몸체(10)에 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클립보드에 용지를 고정해서 사용자가 필기를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하거나, 클립보드를 쉽게 보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스탠딩몸체(50)의 제1접이몸체(60) 및 제2접이몸체(70)에는 제1자석부(67)와 제2자석부(75)가 각각 구비되고, 메인몸체(10)에는 이에 대응하는 제1조립부(31)와 제2조립부(35)가 있어서, 서로 자력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클립보드를 들거나 흔들어도 중력에 의해 제1접이몸체(60) 및 제2접이몸체(70)가 메인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사용자가 클립보드를 세워 스탠딩기능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상기 스탠딩몸체(50)를 변형해야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스탠딩몸체(50)를 접어 입체구조를 만드는 것인데, 이를 위해 먼저 스탠딩몸체(50)를 구성하는 제1접이몸체(60)와 제2접이몸체(70)를 메인몸체(10)에서 분리시켜야 한다. 제1접이몸체(60)와 제2접이몸체(70)는 제1자석부(67)와 제2자석부(75)에 의해 각각 메인몸체(10)에 붙어 있는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제1자석부(67)와 제2자석부(75)의 자력을 극복하면서 제1접이몸체(60)와 제2접이몸체(70)를 메인몸체(10)의 저면(13)에서 떼어내야 하는 것이다.
도 7(b)를 보면, 사용자는 제1접이몸체(60)의 지지부(65)를 메인몸체(10)에서 분리하여 회전시키게 되는데, 지지부(65)는 접이부(63)에 연결되므로 지지부(65)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지지부(65)와 접이부(63) 사이가 꺾인다. 꺾이는 기준은 지지부(65)와 접이부(63) 사이의 제2접이선(L2)이 된다. 동시에, 상기 메인몸체(10)에 붙어있는 연결부(61)와 접이부(63) 사이도 꺾이는데, 둘 사이에 있는 제1접이선(L1)이 기준이 된다. 제1접이몸체(60)가 메인몸체(10)로부터 떨어지면 사용자가 지지부(65)를 제2접이몸체(70) 방향(도 7(b)의 화살표①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제2접이몸체(70)를 메인몸체(10)에서 떼어낸다. 제2자석부(75)의 자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제2접이몸체(70)를 메인몸체(10)에서 떼어내고 이를 메인몸체(10)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7(b)의 화살표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7(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제1접이몸체(60)를 더욱 회전시키면 제1접이몸체(60)는 연결부(61), 접이부(63) 및 지지부(65)가 삼각형태의 입체형상을 만들게 되고, 그 과정에서 지지부(65)는 메인몸체(10)의 하단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2접이몸체(70)가 지지부(65) 위에 위치하게 되면 제1접이몸체(60)의 제1자석부(67)와 제2접이몸체(70)의 제2자석부(75)가 자력에 의해 강하게 결합된다. 앞서 제1자석부(67)-제1조립부(31)와 제2자석부(75)-제2조립부(35)는 자석과 금속재질 사이의 자력에 의한 결합이었다면, 제1자석부(67) 및 제2자석부(75)는 서로 극성이 다른 자석 사이의 결합이므로 더욱 강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스탠딩기능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c)에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부(65)의 가장 돌출된 지지단(68)은 상기 메인몸체(10)의 한쪽 끝에서 더 돌출되고, 따라서 메인몸체(10)의 하단이 상기 지지부(65)의 상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65)의 돌출된 지지단(68)의 상면에 피고정물의 하단이 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피고정물이 더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10)는 스탠딩몸체(50)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므로, 피고정물도 함께 세워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피고정물을 보다 편한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피고정물로 태블릿PC를 사용한다면 메인몸체(10)의 전면(11)에 피고정물인 태블릿PC를 거치할 수 있다. 이때 태블릿PC의 하단은 상기 지지단(68) 상에 안착되고, 고정수단(18)을 이용해서 태블릿PC의 하단부를 감싸면 보다 안정적인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서 보듯이 제1접이몸체(60)의 지지부(65)에는 지지단(68)이 없을 수도 있다. 앞선 실시례에서 지지단(68)은 메인몸체(1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었지만, 도 8과 같이 지지단(68)이 생략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9에서 보듯이 스탠딩몸체(50)는 제1접이몸체(60)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제2접이몸체(70) 없이 제1접이몸체(60)만으로 입체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접이몸체(60)의 지지부(65) 상에는 홈부가 있고, 메인몸체(10)의 하단은 홈부에 끼워져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도 10에는 스탠딩몸체(50)를 구성하는 제2접이몸체(70)가 전방으로 꺾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달리 제2접이몸체(70)가 안쪽이 아니라 바깥쪽으로 꺾여 제1접이몸체(60)의 지지단(68) 상에 겹쳐지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활용한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보듯이, 사용자는 본 발명의 클립보드를 별도의 서류파일에 결합할 수도 있다. 서류파일 상에 클립보드를 안착시켜 사용하는 것인데, 이때 서류파일의 상면에 금속부재가 있다면 본 발명의 제1자석부(67)나 제2자석부(75)에 의해 클립보드가 서류파일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서류파일에만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클립보드에는 자석부가 있기 때문에 냉장고와 같이 금속재질의 외면을 갖는 다양한 장소에 본 발명을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앞선 실시례에서는 스탠딩장치가 적용된 클립보드를 예로 들었으나, 스탠딩장치는 탁상용 달력이나 스케쥴러 또는 전자제품 거치대 등 다양한 제품에 응용될 수도 있다.
10: 메인몸체 18: 고정수단
31: 제1자석부 35: 제2자석부
50: 스탠딩몸체 60: 제1접이몸체
70: 제2접이몸체

Claims (20)

  1. 평판형태의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는 평판형태이고 선택적으로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스탠딩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딩몸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에 결합되되 다수회 접혀 상기 메인몸체를 지지하는 입체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제1접이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에서 연장되고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접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접이몸체에 겹쳐질 수 있는 제2접이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이몸체는 상기 메인몸체에 평행하게 밀착되는 평판형태이고,
    상기 메인몸체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히는 접이부와,
    상기 접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이부에서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 방향으로 접혀 지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 접이부 및 지지부는 삼각형상의 각 변을 구성하여 상기 제1접이몸체는 삼각형태의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스탠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이몸체와 상기 제2접이몸체는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되 제2접이몸체는 상기 제1접이몸체에 적층되어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스탠딩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이몸체가 메인몸체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접이몸체 중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2접이몸체에 가깝고, 지지부는 제2접이몸체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스탠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부가 접히거나 휘어짐에 따라 상기 스탠딩몸체가 상기 메인몸체를 지지하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는 스탠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접이부에서 접히면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한 쪽 끝이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탠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이몸체는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접혀 상기 제1접이몸체의 지지부 상면에 안착되는 스탠딩장치.
  9.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스탠딩몸체 사이에는 자석부 및 금속재질의 조립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탠딩몸체는 상기 메인몸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스탠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몸체의 제1접이몸체 및 제2접이몸체에는 상기 조립부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제1자석부와 제2자석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접이몸체와 제2접이몸체가 접혀 제2접이몸체가 제1접이몸체에 겹치면 제1자석부 및 제2자석부의 자력에 의해 제1접이몸체 및 제2접이몸체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스탠딩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피고정물을 걸어 지지하는 스탠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탄성재질의 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의 양단이 상기 메인몸체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스탠딩장치.
  13. 평판형태이고 피고정물의 고정을 위한 클립이 구비된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결합되는 평판형태이고 선택적으로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스탠딩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딩몸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몸체의 외면에 결합되되 다수회 접혀 상기 메인몸체를 지지하는 입체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제1접이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에서 연장되고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접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접이몸체에 겹쳐질 수 있는 제2접이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이몸체는 상기 메인몸체에 평행하게 밀착되는 평판형태이고,
    상기 메인몸체에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서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히는 접이부와,
    상기 접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접이부에서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 방향으로 접혀 지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 접이부 및 지지부는 삼각형상의 각 변을 구성하여 삼각형태의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클립보드.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접이부 사이, 상기 접이부와 지지부 사이에는 각각 제1접이선과 제2접이선이 요입되는 클립보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접이부에서 접히면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한쪽 끝이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클립보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이몸체는 상기 메인몸체로부터 접혀 상기 제1접이몸체의 지지부 상면에 안착되는 클립보드.
  18. 제 13 항, 제 15 항, 제 16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스탠딩몸체 사이에는 자석부 및 금속재질의 조립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탠딩몸체는 상기 메인몸체에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클립보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몸체의 제1접이몸체 및 제2접이몸체에는 상기 조립부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제1자석부와 제2자석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접이몸체와 제2접이몸체가 접혀 제2접이몸체가 제1접이몸체에 겹치면 제1자석부 및 제2자석부의 자력에 의해 제1접이몸체 및 제2접이몸체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클립보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이몸체가 연결되는 메인몸체의 한쪽 끝 부분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피고정물을 걸어 지지하는 클립보드.
KR1020170105971A 2017-08-22 2017-08-22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 KR101973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71A KR101973692B1 (ko) 2017-08-22 2017-08-22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71A KR101973692B1 (ko) 2017-08-22 2017-08-22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974A KR20190020974A (ko) 2019-03-05
KR101973692B1 true KR101973692B1 (ko) 2019-04-29

Family

ID=6576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971A KR101973692B1 (ko) 2017-08-22 2017-08-22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29Y1 (ko) * 2019-11-14 2021-04-14 이광호 다기능 클립 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6803B2 (en) 2000-08-16 2003-03-25 Sofos Partnership Limited Folder
JP2006137164A (ja) 2004-11-15 2006-06-01 Cih Corp スタンド機能付きカタログセット
KR101477984B1 (ko) 2013-09-17 2015-01-0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립보드 독서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066Y2 (ko) * 1986-12-18 1993-07-19
KR20110003514U (ko) * 2009-10-01 2011-04-07 오승원 탁상 겸용 휴대용 다이어리
KR101765783B1 (ko) 2015-11-27 2017-08-23 김수현 회전가능한 클립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6803B2 (en) 2000-08-16 2003-03-25 Sofos Partnership Limited Folder
JP2006137164A (ja) 2004-11-15 2006-06-01 Cih Corp スタンド機能付きカタログセット
KR101477984B1 (ko) 2013-09-17 2015-01-0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립보드 독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974A (ko)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379B2 (en) Information book with PDA and multiple foldable pieces
JP6095638B2 (ja) ホワイトボード、及びこのホワイトボードに用いられるボード部材
TWM648050U (zh) 物品固定結構
KR101973692B1 (ko) 스탠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립보드
JP2014165598A (ja) 携帯情報端末機器の簡易スタンド
JP3165771U (ja) 折畳式携帯書見台
TWM623194U (zh) 置物架
KR200397837Y1 (ko) 학습용 도서
TWM623149U (zh) 具物品支撐功能之卡片收納結構
CN217441183U (zh) 移动设备支撑架
EP2348358A1 (en) Foldable tabletop projector screen support
CN220355075U (zh) 可折式物品支撑结构
US20130284613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24027497A1 (zh) 一种可移动设备保护及支撑装置
KR20130005681U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0316841Y1 (ko) 클램프를 채용한 절첩식 독서대
CN215410922U (zh) 便携式支撑架
KR20130004538U (ko) 스마트폰 거치대
KR102725173B1 (ko) 다목적 사무용품
CN219317987U (zh) 具有支撑结构的可移动设备背盖
CN220337893U (zh) 可折式支撑结构
KR102010657B1 (ko)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KR200456503Y1 (ko) 기록지용 받침기구 및 이를 갖는 기록지
JP3214864U (ja) 卓上カレンダー
CN205416812U (zh) 一种多功能笔记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