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358B1 - 화장품 제제의 제조를 위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용도 - Google Patents

화장품 제제의 제조를 위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358B1
KR101973358B1 KR1020147010155A KR20147010155A KR101973358B1 KR 101973358 B1 KR101973358 B1 KR 101973358B1 KR 1020147010155 A KR1020147010155 A KR 1020147010155A KR 20147010155 A KR20147010155 A KR 20147010155A KR 101973358 B1 KR101973358 B1 KR 101973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isosorbide
cosmetic composition
derivatives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100A (ko
Inventor
클라우디아 슈퇴어
마르쿠스 디르커
클라우스 니엔딕
베르너 자이펠
안스가르 베흘러
다니엘라 프린츠
까뜨린 브레빠
마르쿠스 바이쎄네거
한스-크리슈티안 라트스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40072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가 화장 조성물의 제조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개시한다:
Figure 112014036188768-pct00027

[식 중, R 및 R' 는 - 서로 독립적으로 - 하기임:
(i) 수소 원자, 또는
(ii) 라디칼 COR" (식 중, R" 은 탄소수 5 내지 23 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라디칼임), 또는
(iii) 탄소수 6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라디칼, 또는
(iv) 라디칼 CH2-CHOH-R"' (식 중, R"' 은 탄소수 6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임), 또는
(v) 라디칼 (CH2-CH2O)n-H 및/또는 (CH2-CH(CH3)-O)m-H 및/또는 CH2-CHOH-R"' (식 중, n 및 m 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 의 정수 또는 분수일 수 있음), 또는
(vi) 라디칼 SO3X (식 중, X 는 나트륨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냄),
단, 라디칼 R 및 R' 중 최대 하나가 수소 원자임].

Description

화장품 제제의 제조를 위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용도 {USE OF ISOSORBIDE DERIVATIVES FOR PRODUCING COSMETIC PREPARATIONS}
본 발명은 화장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특정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용도, 및 이러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및 헤어케어용 화장품 제제 분야에서, 소비자에 의해 많은 요건들이 부과된다: 의도된 용도를 결정하는 세정 및 케어 효과와 별개로, 최상으로 가능한 피부 적합성, 양호한 지방보충 특성, 우아한 외관, 최적의 관능적 인상 및 저장 안정성과 같은 상이한 매개변수에 유용성이 있음.
인간 피부 및 모발의 세정 및 케어에 사용되는 제제는 일반적으로 일련의 표면-활성 성분과 함께, 특히 오일 바디 및 물을 포함한다. 사용된 오일 바디/연화제는 예를 들어 탄화수소, 에스테르 오일 및 식물성 및 동물성 오일/지방/왁스이다. 관능적 특성 및 최적의 피부 적합성에 관한 시장의 높은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신규한 오일 바디 및 에멀전화제 혼합물이 지속적으로 개발 및 시험되고 있다. 화장품 제제 제조의 경우, 다수의 천연 및 합성 오일, 예를 들어 아몬드 오일 또는 아보카도 오일, 에스테르 오일, 에테르, 알킬 카르보네이트, 탄화수소, 및 또한 실리콘 오일이 사용된다. 피부 윤기와 직접 연관된 오일 성분, 및 케어 효과의 본질적 과제는, 소비자에게 비끈적임, 가능한 빠르게 발현되는 피부 부드러움 및 유연의 지속적인 느낌을 주는 것이다.
오일 바디에 더하여, 예를 들어 발포 거동 및/또는 유동학에 영향을 주거나, 수성 및 비수성 상을 서로 함께 안정하게 제형화하는 목적을 위한 에멀전화제로 역할하거나, 추가 기능, 예를 들어 진주광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추가 구성 성분이 화장 조성물에서 또한 사용된다.
따라서, 화장 조성물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신규 성분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다. 이제, 이소소르비드의 유도체가 화장 조성물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소소르비드 (또는 1,4'; 3,6-디안히드로소르비톨) 는 소르비톨의 무수물이다. 이는 예를 들어 농축 황산 또는 염산의 존재 하에 소르비톨을 가열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당업자에 공지된 방법 자체에 의해, 다양한 이소소르비드의 유도체, 예를 들어 에테르, 에스테르 또는 염을 수득할 수 있다.
제 1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화장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하기 화학식 (1)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4036188768-pct00001
[식 중, R 및 R' 는 - 서로 독립적으로 - 하기임:
수소 원자, 또는
라디칼 COR" (식 중, R" 은 탄소수 5 내지 23 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라디칼임), 또는
탄소수 6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 또는
라디칼 CH2-CHOH-R"' (식 중, R"' 은 탄소수 6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라디칼임), 또는
라디칼 (CH2-CH2O)n-H 및/또는 (CH2-CH(CH3)-O)m-H 및/또는 CH2-CHOH-R"' (식 중, n 및 m 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 의 정수 또는 분수일 수 있음), 또는
라디칼 SO3X (식 중, X 는 나트륨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냄),
단, 라디칼 R 및 R' 중 최대 하나가 수소 원자임].
화학식 (I) 은 또한 이소소르비드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및 이의 임의의 원하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R 및 R' 가 수소 원자인 비유도체화 이소소르비드는 보호로부터 명백하게 배제된다. 화학식 (I) 은 또한 라디칼 R 및 R' 의 서로간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화학식 (I) 에서, 기 "(CH2-CH(CH3)-O)m-H" 은 항상 모든 가능한 위치 이성질체 (개별적이거나 혼합됨), 및 또한 기 (CH(CH3)-CH2-O)m-H 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화장 조성물은 세정, 케어, 보호, 양호한 상태의 유지, 방향, 외관의 변화를 위해 또는 체취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인체에서 또는 인간의 구강에서 외부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배타적으로 또는 주로 의도된 당업자에 공지된 모든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조성물은 특히 바디케어, 예를 들어 바디 밀크, 크림, 로션, 분무가능 에멀전, 체취 제거용 제품 등을 위한 제형일 수 있다. 탄화수소는 또한 계면활성제-함유 제형 예컨대 발포 및 샤워 배쓰, 헤어 샴푸 및 케어 린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의도된 용도에 따라, 화장 제형은 일련의 추가 보조제 및 첨가제, 예컨대 계면활성제, 추가 오일 바디, 에멀전화제, 진주광택 왁스, 농도 조절제 (consistency regulator), 증점제, 과지방보충제 (superfatting agent), 안정화제, 중합체, 지방, 왁스, 레시틴, 인지질, 생물 활성 성분, UV 광 보호 인자, 항산화제, 탈취제, 땀 억제제, 비듬방지제, 필름 형성제, 팽윤제, 방충제, 셀프-태닝제, 티로신 저해제 (탈색소제), 향수성 물질 (hydrotrope), 가용화제, 방부제, 향유, 염료 등을 포함하는데, 이는 아래에서 예로써 열거된다.
계면활성제 존재할 수 있는 표면-활성 성분은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계면활성제-함유 화장품 제제, 예컨대 샤워젤, 발포 배쓰, 샴푸 등에,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존재한다. 본원에서 계면활성제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특히 10 내지 20 중량% 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비누,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칸술포네이트, 올레핀술포네이트, 알킬 에테르 술포네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술포네이트, α-메틸 에스테르 술포네이트, 술포 지방산, 알킬 술페이트, 지방 알코올 에테르 술페이트, 글리세롤 에테르 술페이트, 지방산 에테르 술페이트, 히드록시 혼합 에테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에테르) 술페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술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 모노- 및 디알킬 술포숙시나메이트, 술포트리글리세리드, 아미드 비누,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이의 염, 지방산 이세티오네이트, 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타우라이드, N-아실아미노산, 예컨대 아실 락틸레이트, 아실 타르트레이ㅌ, 아실 글루타메이트 및 아실 아스파르테이트, 알킬 올리고글리코시드 술페이트, 단백질 지방산 축합물 (특히 밀-기반 식물성 생성물) 및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글리콜 에테르 사슬을 함유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인 동족체 분포를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좁은 동족체 분포를 갖는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 예는 지방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폴리글리콜 에테르, 지방 아민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콕시화 트리글리세리드, 혼합 에테르 및 혼합 포르말, 임의로 부분 산화 알(케)닐 올리고글리코시드 및 글루쿠론산 유도체, 지방산 N-알킬글루카미드, 단백질 가수분해물 (특히 밀-기반 식물성 생성물),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당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소르베이트 및 아민 산화물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폴리글리콜 에테르 사슬을 함유하는 경우, 이는 통상적인 동족체 분포를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좁은 동족체 분포를 갖는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인 예는 4차 암모늄 화합물, 예컨대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에스테르 쿼트, 특히 4차화 지방산 트리알칸올아민 에스테르 염이다. 양쪽성 또는 쯔비터이온 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 예는 알킬베타인, 알킬아미도베타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아미노글리시네이트, 이미다졸리늄베타인 및 술포베타인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배타적으로 공지된 화합물이다. 이러한 성분의 구조 및 제조에 관하여, 이러한 분야에서의 관련된 개괄 작업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순한, 즉 특히 피부-적합성, 계면활성제의 전형적 예는, 지방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술페이트, 모노- 및/또는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 지방산 이세티오네이트, 지방산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타우라이드, 지방산 글루타메이트, α-올레핀술포네이트, 에테르 카르복실산, 알킬 올리고글루코시드, 지방산 글루카미드, 알킬아미도베타인, 암포아세탈 및/또는 단백질 지방산 축합물이고, 후자는 바람직하게는 밀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다.
오일 바디 바디케어 조성물, 예컨대 크림, 로션 및 밀크는 일반적으로 관능적 특성을 보다 최적화하는데 기여하는 일련의 추가 오일 바디 및 연화제를 포함한다. 오일 바디는 일반적으로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 특히 5 내지 15 중량% 의 총량으로 존재한다. 추가 오일 바디로서 예를 들어 탄소수 6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의 지방 알코올 기반의 게르베 알코올 (Guerbet alcohol), 선형 C6-C22-지방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C6-C22-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 또는 분지형 C6-C13-카르복실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C6-C22-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팔미테이트, 미리스틸 스테아레이트, 미리스틸 이소스테아레이트, 미리스틸 올레에이트, 미리스틸 베헤네이트, 미리스틸 에루케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세틸 스테아레이트, 세틸 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 올레에이트, 세틸 베헤네이트, 세틸 에루케이트, 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올레에이트, 스테아릴 베헤네이트, 스테아릴 에루케이트, 이소스테아릴 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릴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스테아릴 올레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베헤네이트, 이소스테아릴 올레에이트, 올레일 미리스테이트, 올레일 팔미테이트, 올레일 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이소스테아레이트, 올레일 올레에이트, 올레일 베헤네이트, 올레일 에루케이트, 베헤닐 미리스테이트, 베헤닐 팔미테이트, 베헤닐 스테아레이트, 베헤닐 이소스테아레이트, 베헤닐 올레에이트, 베헤닐 베헤네이트, 베헤닐 에루케이트, 에루실 미리스테이트, 에루실 팔미테이트, 에루실 스테아레이트, 에루실 이소스테아레이트, 에루실 올레에이트, 에루실 베헤네이트 및 에루실 에루케이트가 있다. 또한 적합한 것은 선형 C6-C22-지방산과 분지형 알코올, 특히 2-에틸헥산올의 에스테르, C18-C38-알킬히드록시카르복실산과 선형 또는 분지형 C6-C22-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 특히 디옥틸 말레에이트, 선형 및/또는 분지형 지방산과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르디올 또는 트리메르트리올) 및/또는 게르베 알코올의 에스테르, C6-C10-지방산 기반의 트리글리세리드, C6-C18-지방산 기반의 액체 모노-/디-/트리글리세리드 혼합물, C6-C22-지방 알코올 및/또는 게르베 알코올과 방향족 카르복실산, 특히 벤조산의 에스테르, C2-C12-디카르복실산과 탄소수 1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탄소수 2 내지 10 및 히드록실기 수 2 내지 6 의 폴리올의 에스테르, 식물성 오일, 분지형 1차 알코올, 치환 시클로헥산, 선형 및 분지형 C6-C22-지방 알코올 카르보네이트, 예를 들어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Cetiol® CC), 탄소수 6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의 지방 알코올 기반의 게르베 카르보네이트, 벤조산과 선형 및/또는 분지형 C6-C22-알코올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Finsolv® TN), 알킬 기 당 6 내지 22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대칭 또는 비대칭 디알킬 에테르, 예를 들어 디카프릴릴 에테르 (Cetiol® OE),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의 폴리올의 개환 생성물이다.
지방 및 왁스 지방 및 왁스는 케어 성분으로서 및 또한 화장품의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바디케어 제품에 첨가된다. 지방의 전형적 예는 글리세리드, 즉 고체 식물성 또는 동물성 생성물이고, 이는 본질적으로 고급 지방산의 혼합 글리세롤 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지방산 부분 글리세리드, 즉 글리세롤과 탄소수 12 내지 18 의 지방산의 기술적-등급 모노- 및/또는 디에스테르 예를 들어 글리세롤 모노/디라우레이트, -팔미테이트 또는 -스테아레이트가 또한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다. 적합한 왁스는 특히 천연 왁스, 예를 들어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목랍 (japan wax), 아프리카 띠류 왁스 (esparto grass wax), 코르크 왁스, 구아루마 왁스 (guaruma wax), 쌀눈 오일 왁스, 사탕 수수 왁스, 오우리쿠리 왁스 (ouricury wax), 몬탄 왁스, 밀납, 쉘락 왁스, 경랍, 라놀린 (울 왁스), 미지선 그리스 (uropygial grease),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지랍), 석유,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왁스; 화학적 개질 왁스 (하드 왁스), 예를 들어 몬탄 에스테르 왁스, 사솔 왁스 (sasol wax), 수소화 호호바 왁스, 및 또한 합성 왁스,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 왁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이다. 지방 이외에, 적합한 첨가제는 또한 지방형 성분 예컨대 레시틴 및 인지질이다. 언급될 수 있는 천연 레시틴의 예는 세팔린이고, 이는 포스파티드산으로 또한 언급되고 1,2-디아실-sn-글리세롤-3-인산의 유도체이다. 대조적으로, 인지질은 일반적으로 인산과 글리세롤의 모노- 및 바람직하게는 디에스테르 (글리세롤 포스페이트) 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이는 일반적으로 지방으로 분류된다. 또한, 스핑고신 및 스핑고리피드가 또한 적합하다.
적합한 증점제는 예를 들어 Aerosil 등급 (친수성 실리카), 다당류, 특히 잔탄 검, 구아 구아, 한천, 알기네이트 및 전충제 (ty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벤토나이트 예컨대 Bentone® Gel VS-5PC (Rheox) 이다.
UV 광 보호 인자는 예를 들어 실온에서 액체 또는 결정질 형태로 존재하고 자외선을 흡수하고 흡수된 에너지를 장파장 방사선, 예를 들어 열의 형태로 또다시 방출할 수 있는 유기 성분 (광 보호 필터) 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UV-B 필터는 유용성 또는 수용성일 수 있다. 적합한 전형적 UV-A 필터는 특히 벤조일메탄의 유도체이다. UV-A 및 UV-B 필터는 당연히 또한 혼합물로, 예를 들어 벤조일메탄의 유도체, 예를 들어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Parsol® 1789) 및 2-에틸헥실 2-시아노-3,3-페닐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및 신남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4-메톡시신나메이트 및/또는 프로필 4-메톡시신나메이트 및/또는 이소아밀 4-메톡시신나메이트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조합은 흔히 수용성 필터 예를 들어 2-페닐벤지미다졸-5-술폰산 및 이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암모늄, 알킬암모늄, 알칸올암모늄 및 글루카암모늄 염과 조합된다.
명시된 가용성 성분에 더하여, 불용성 광 보호 안료, 즉 미세 분산 금속 산화물이 또한 적합하다. 적합한 금속 산화물의 예는 특히 아연 산화물 및 티타늄 이산화물이다. 상기 언급된 1차 광보호 성분의 군 두 개 이외에, 항산화제 유형의 2차 광 보호제를 또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UV 방사선이 피부에 침투할 때 유발되는 광화학 반응 사슬을 방해한다.
생물학적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브산, (데옥시)리보핵산 및 이의 분절 생성물, β-글루칸, 레티놀, 비사볼롤, 알란토인, 피탄트리올, 판테놀, AHA 산, 아미노산, 세라미드, 유사 세라미드, 에센셜 오일, 식물 추출물, 예컨대 자두 추출물, 밤바라 너트 추출물 및 비타민 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탈취 활성 성분은 체취에 대응하거나, 이를 마스킹하거나, 이를 제거한다. 체취는 불쾌한 냄새가 나는 분해 생성물이 형성되는 아포크린 땀에 대한 피부 박테리아의 작용의 결과로서 발생한다. 따라서, 적합한 탈취 활성 성분은 특히 항균제, 효소 저해제, 냄새 흡수제 또는 냄새 마스커이다.
적합한 방충제는 예를 들어 N,N-디에틸-m-톨루아미드, 1,2-펜탄디올 또는 3-(N-n-부틸-N-아세틸아미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이는 Merck KGaA 에 의해 Insect Repellent® 3535 의 명칭으로 시판됨), 및 또한 부틸아세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이다.
적합한 셀프 - 태닝제는 디히드록시아세톤이다. 멜라닌의 형성을 방지하고 탈색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적합한 티로신 저해제는 예를 들어 아르부틴, 페룰산, 코지산, 쿠마르산 및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이다.
적합한 보존제는 예를 들어 페녹시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용액, 파라벤, 펜탄디올 또는 소르브산, 및 또한 Surfacine® 의 명칭으로 공지된 은 착물, 및 화장품 법령 (Cosmetics Ordinance) 의 별첨 6, 파트 A 및 B 에 열거된 기타 성분 부류이다.
언급될 수 있는 향유는 천연 및 합성 향의 혼합물이다. 천연 향은 꽃, 줄기 및 잎, 과일, 과일 껍질, 뿌리, 목재, 허브 및 풀, 니들 (needle) 및 가지, 수지 및 발삼으로부터의 추출물이다. 또한 적합한 것은 동물성 원료 물질, 예를 들어 사향 고양이 및 비버향, 및 또한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코올 및 탄화수소 유형의 합성 향 화합물이다.
특히 표면-활성 제형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진주광택 왁스는 예를 들어 하기이다: 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 구체적으로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구체적으로 코코넛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부분 글리세리드, 구체적으로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리드; 다가, 임의로 히드록시-치환 카르복실산과 탄소수 6 내지 22 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 구체적으로 타르타르산의 장쇄 에스테르; 지방 물질, 예를 들어 지방 알코올, 지방 케톤, 지방 알데히드, 지방 에테르 및 지방 카르보네이트 (이는 총 24 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짐), 구체적으로 라우론 및 디스테아릴 에테르; 지방산 예컨대 스테아르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또는 베헨산, 탄소수 12 내지 22 의 올레핀 에폭시드의 탄소수 12 내지 22 의 지방 알코올 및/또는 탄소수 2 내지 15 및 히드록실기 수 2 내지 10 의 폴리올 (소르비탄 유도체 없음) 에 의한 개환 생성물, 및 이의 혼합물.
사용될 수 있는 과지방보충제는 예를 들어 라놀린 및 레시틴 및 또한 폴리에톡시화 또는 아실화 라놀린 및 레시틴 유도체,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리드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와 같은 물질이고, 후자는 동시에 발포 안정화제로서 역할한다.
사용될 수 있는 안정화제는 지방산의 금속 염,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알루미늄 및/또는 아연의 스테아레이트 및 리시놀레에이트이다.
흐름 거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향수성 물질 ( hydrotrope ),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폴리올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적합한 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 및 둘 이상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다. 폴리올은 또한 추가 관능기, 특히 아미노기를 함유할 수 있고/거나 질소에 의해 개질될 수 있다.
특히, 수성 상 및 오일 상을 서로 동시에 갖고 예를 들어 에멀전 (유중수 또는 수중유) 의 형태로 존재하고, 하나의 성분으로서 상기 정의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는 오일 상 또는 연화제로서, 또는 오일 상의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아래 더 자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이는 또한 이의 구조에 따라 특정한 기능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이소소르비드의 에스테르는 본 발명의 교시의 맥락 내에서 사용된다. 이소소르비드 에스테르는 공지된 에스테르화 공정 자체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예로써, WO 01/83488 은 적합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원에서, 이소소르비드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또는 모노- 및 디에스테르의 혼합물이 임의로 비개질된 이소소르비드의 존재 하에 가능하고, 본 발명의 교시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소소르비드의 모노에스테르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하기일 수 있다: 화학식 (I) 의 이소소르비드 유도체 (식 중: R = H 이고, R' = COR" 이고, 여기서 R" 은 탄소수 5 내지 23 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라디칼임) 일 수 있다. 또한 유리한 것은 또한 디에스테르, 예를 들어 화학식 (I) 의 이소소르비드 유도체 (식 중: R 및 R' 은 서로 독립적으로 라디칼 COR" 이고, 여기서 R" 은 탄소수 5 내지 23 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라디칼이고, 선형, 포화 알킬 라디칼이 특히 바람직함) 이다.
특히 유리한 것으로 인식되는 화학식 (I) 의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는 하기와 같은 것이다: R = H 이고, R' 은 탄소수 6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임. 디에스테르의 경우, 특히 적합한 유도체는 화학식 (I) 의 이소소르비드 유도체 (식 중, R 및 R' 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임) 이다.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추가 부류는 히드록시알킬 에테르이다. 이러한 화학식 (I) 에 따른 유도체의 경우, R = H 이고, R' 은 라디칼 CH2-CHOH-R"' 이고, 여기서 R"' 은 탄소수 6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이다. 본원에서 또한 1관능성 및 2관능성 유도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하기를 또한 사용할 수 있음: 화학식 (I) 의 이소소르비드 유도체 (식 중: R 및 R' 은 서로 독립적으로 라디칼 CH2-CHOH-R"' 이고, 여기서 R"' 은 탄소수 6 내지 22 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임).
언급되는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추가 부류는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 특히 에틸렌 글리콜 기반의 유도체이다: 이는 화학식 (I) 의 이소소르비드 유도체 (식 중: R = H 이고, R' 는 라디칼 (CH2-CHO)n- 이고, 여기서 n 은 1 내지 10 의 정수 또는 분수를 의미할 수 있음) 이다. 본원에서 또한 계속하여, 또다시 1관능성 또는 2관능성 유도체, 또는 임의로 비유도체화 이소소르비드와의 혼합물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화장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화학식 (I) 의 이소소르비드 유도체 (식 중: R 및 R' 는 서로 독립적으로 라디칼 (CH2-CHO)n- 이고, 여기서 n 은 1 내지 10 의 정수 또는 분수일 수 있음) 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다음 군은 음이온성 유도체이다. 본원에서, 먼저 술페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는 하기와 같은 화학식 (I) 에 따른다: R 은 C6 내지 C22-알킬 라디칼이고, R' 은 라디칼 SO3X 이고, 여기서 X 는 양이온, 바람직하게는 1가 양이온, 특히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냄.
화학식 (I) 의 구조적으로 상이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 둘 이상의 혼합물은 당연히 서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R 또는 R' 가 수소 원자인 화학식 (I) 의 이소소르비드 유도체, 이에 따른 상기 상세한 설명에 따르는 각각의 이소소르비드의 1관능성 유도체 (모노에스테르에 특히 주안점을 둠) 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1관능화 또는 2관능화 유도체가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와 같은 차이 이외에, 구조 및 특히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알킬 사슬의 길이가 화장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이의 적합성에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모노에스테르의 경우에, 유리한 유도체는 라디칼 R" 이 탄소수 10 내지 18, 특히 11 내지 17,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6 인 것임.
디에스테르의 경우, 하기 유도체가 특히 유리한 것으로 여겨진다: R 및 R' 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0 내지 18, 특히 11 내지 17,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6 의 선형, 포화 알킬 라디칼인 화학식 (I) 에 따른 유도체.
모노에테르의 경우, 유리한 특성은 R' 가 탄소수 8 내지 18, 특히 6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 또한 탄소수 10 내지 14 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인 화학식 (I) 에 따른 유도체가 선택되는 경우에 발견된다.
디에테르의 경우: R 및 R' 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6 내지 16,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 특히 탄소수 10 내지 14 인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라디칼이다.
히드록시알킬 에테르의 경우, 두 개의 상이한 구조가 유리한 것으로 인식된다: 먼저, 화학식 (I) 에 따른 유도체 (식 중, R' 는 라디칼 CH2-CHOH-R"' 이고, 여기서 R"' 는 탄소수 6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6 의 선형 알킬 라디칼임) 가 선택됨. 또한 적합한 것은 화학식 (I) 에 따른 유도체 (식 중, R 및 R' 는 서로 독립적으로 라디칼 CH2-CHOH-R"' 이고, 여기서 R"' 는 탄소수 6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6 의 선형 알킬 라디칼임) 이다.
알킬렌 글리콜 유도체의 경우, 또다시 화학식 (I) 에 따른 1관능화 및 2관능화 화합물이 적합한데, 여기서 제조의 결과로서, 대개 배타적으로 2관능화 유도체가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R' 및 R 은 서로 독립적으로 라디칼 (CH2-CHO)n -H, 또는 (CH2-CH(CH3)O)m -H 이고, 여기서 n 및 m 은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의 정수 또는 분수일 수 있다. 알콕실레이트에 대해 통상적인 바와 같이, 순수한 에톡실레이트, 또는 순수한 프로폭실레이트가 에톡실레이트 및 프로폭실레이트의 서로와의 혼합물과 마찬가지로 가능하고, 분포는 무작위 또는 블록형일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가 화장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양에 관하여, 이는 특정 제형에 가변적이고 넓은 범위에 걸쳐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전형적인 양은 각각의 경우에 화장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 특히 1.5 내지 5 중량% 의 양이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실리콘 오일이 없는 화장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는 수성 화장 조성물 및 또한 비이온성 에멀전화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가 없음), 탄화수소, 아스트린젠트, 염료, 향, 추진제, 증점제 및/또는 진주화 작용제를 또한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에 예외적으로 적합하다.
이의 구조에 따라, 유도체는 특정 제형 과제를 위한 적합성을 이에 제공하는 특히 긍정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수성 화장 조성물을 위한 증점제, 에멀전화제, 오일 상/연화제 및/또는 발포 개선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
본 발명은 또한 특정한, 선택된 이소소르비드의 유도체를 제공한다: 이는 하기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임:
Figure 112014036188768-pct00002
[식 중, R 및 R' 은 서로 독립적으로 라디칼 COR" 이고, 여기서 R" 은 탄소수 5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 특히 5 내지 7 의 선형, 포화 알킬 라디칼임].
이러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는 특히 화장 조성물 중 연화제로서 적합하다.
또한 선택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I) 에 따른다:
Figure 112014036188768-pct00003
[식 중, 하나의 라디칼 R 또는 R' 는 수소 원자이고, 다른 라디칼 R 또는 R' 는 기 COR" 이고, 여기서 R" 은 탄소수 15 내지 19,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7 의 선형, 포화 알킬 라디칼임].
이러한 유도체는 유리하게는 진주광택 조성물에서 사용된다.
추가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I) 을 따른다:
Figure 112014036188768-pct00004
[식 중, 하나의 라디칼 R 또는 R' 는 수소 원자이고, 다른 라디칼 R 또는 R' 는 기 COR" 이고, 여기서 R" 은 탄소수 9 내지 13,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1 의 선형, 포화 알킬 라디칼임]. 이러한 유도체는 유리하게는 수성 화장 조성물에서 증점제로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하기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14036188768-pct00005
[식 중, R 또는 R' 는 수소 원자이고, 다른 라디칼 R 또는 R' 는 기 CH2-CHOH-R" 이고, 여기서 R" 은 탄소수 8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4, 또한 12 내지 18 또는 12 내지 14 의 선형 알킬 라디칼임]. 이러한 유도체는 유리하게는 화장 조성물에서 에멀전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에 특히 R" 가 탄소수 8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4 의 선형 알킬 라디칼인 유도체가 선택된다.
추가 주제는 발포 성분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을 위한 발포 부스터로서, 하기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4036188768-pct00006
[식 중, R 또는 R' 는 수소 원자이고 다른 라디칼 R 또는 R' 는 탄소수 8 내지 12 의 알킬기임].
또한 발포 성분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을 위한 발포 부스터로서, 하기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용도이다.
Figure 112014036188768-pct00007
[식 중, R 및 R' 는 기 (CH2-CH2-O)n-H 및/또는 (CH2-CH(CH3)-O)m-H 이고, 여기서 n 및 m 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0 의 정수 또는 분수임].
그리고 또한 수성 조성물을 위한 증점제로서, 하기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용도이다:
Figure 112014036188768-pct00008
[식 중, 하나의 기 R 또는 R' 는 탄소수 8 내지 18 의 알킬 라디칼이고, 다른 기 R 또는 R' 는 라디칼 SO3X 이고, 여기서 X 는 나트륨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단 R ≠ R' 임].
본 발명의 교시는 또한 하나 이상의 물 상 및 하나의 오일 상을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을 제공하고, 여기서 이는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특성과 관련하여, 아래 기재된 조사를 수행하였다. 성분이 명시되는 곳에서는, INCI 명명법을 사용하였다.
점도를 측정하고 진주광택을 평가하기 위해, 높은 모노 비율을 갖는 이소소 르비드 에스테르를, 진주광택을 더 양호하게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염료를 포함하는 아래 나타낸 표 1 에 기재된 제형에 1 중량% 로 혼입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사슬 길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표 1 - 제형:
Figure 112014036188768-pct00009
점도를 브룩필드 RVT 점도계 (스핀들: RV 스핀들 제 5 호) 를 사용하여 20 ℃ 에서 측정하였다.
표준 진주화 작용제 (EGDS = Cutina AGS) 와 비교함으로써 진주광택을 시각적으로 사정하고, 0 (진주광택 없음) 부터 3 (표준에 필적하는 진주광택) 까지의 스케일로 평가하였다.
아래 표 2 에 주어진 모노 함량은 GC 분석에 의해 측정되었다. 100 % 까지의 누락된 비율은 본질적으로 디에스테르 및 소량의 이소소르비드 및/또는 유리 지방 산으로 구성된다.
표 2
Figure 112014036188768-pct00010
SI = 면적분
측정값은 점도와 사슬 길이 사이의 관계를 밝혀냈다. 단쇄 C14-에스테르는 또다시 장쇄 C16- 및 C18-에스테르보다 상당히 더 높은 점도를 구축한다. 진주광택은 오로지 장쇄 C16- 및 C16-에스테르의 경우에 관찰되었다. C18-에스테르는 표준에 필적하는 진주광택 효과를 가진다.
상이한 사슬 길이 및 관능기 (에스테르, 에테르) 를 갖는 포화 및 불포화, 선형 및 분지형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를 하기 제형을 사용하여 그 발포 특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표 3 - 제형 발포 시험
Figure 112014036188768-pct00011
모든 유도체는 75% 초과의 모노 함량을 갖는다. 전형적인 부산물은 상응하는 2관능화 생성물, 잔여 출발 물질 (이소소르비드) 또는 지방 알코올 (오로지 에테르의 경우) 이다.
성능 시험 : 발포 거동
이소소르비드의 4 개의 에스테르 및 2 개의 에테르의 발포 거동을 측정하였다. 모든 제형을 경수 (비율 1:4, 30 ℃) 로 희석하고, 2000 rpm 으로 10 초 동안 비커에서 교반한 후, 발포 높이를 측정하였다. 모든 결과를 또한 위약 제형과 비교하였다. 모든 측정을 3 번 반복하고, 그 결과를 평균냈다.
결과는 로타 발포 시험 (Rota Foam Test) 에서 얻어졌고, 도 4 의 도표에 시각화되어 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소소르비드 에스테르 또는 에테르를 함유하는 제형의 생성된 발포의 평균적 양은 첨가제 없는 위약 제형에 비해 더 높다. 최상의 성능은 단쇄 (카프릴 에스테르 및 에테르, 라우릴 에테르) 및 선형 불포화 유도체 (올레에이트) 에 대하여 관찰될 수 있다.
또한, 이소소르비드 에테르 술페이트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포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2.5 중량% 의 시험하고자 하는 성분의 활성 함량을 갖는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나트륨 이소소르비드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를 표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 및 비이온성 라우릴 글루코시드와 비교하였다.
발포 측정의 수행:
400 g 을 사용해 제형을 제조하였고; 각 경우에 30 ℃ 로의 가열 후에 100 g 의 제형을 발포시켰다. 발포는 마이저 디스크 (Meiser disk) 를 사용하여 2000회전으로 10 초 동안 800 ml 비커에서 실행하였다. 발포 높이를 비커에서 측정하였다. 4 회의 측정을 수행한 후, 평균냈다.
Figure 112014036188768-pct00012
AS = 활성 성분
결과는 도 1 에서 볼 수 있다: EO 가 없는 이소소르비드 에테르 술페이트의 발포 능력은 심지어 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를 사용했을 때보다 낮은 발포 높이가 달성되었음에도 높은 수준이다.
NaCl 을 사용한 증점화의 측정: 염화나트륨을 사용한 증점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상이한 염화나트륨 농도를 갖는 시험 성분의 12% 농도 수용액을 제조하고, 브룩필드, DV-II + Pro 점도계 (낮은 점도의 경우 스핀들 LV62 및 60 회전, 높은 점도의 경우 스핀들 LV64 및 6 회전) 를 사용해 22 ℃ 에서 측정하였다.
Figure 112014036188768-pct00013
결과를 도 2 에 나타냈다. 이소소르비드 에테르 술페이트를 포함하는 수용액은 염화나트륨에 의해 훨씬 더 쉽게 증점화될 수 있고 높은 출발 점도를 갖는다. 구축된 점도는 동일한 조건 하에 나트륨 라우레트 술페이트에 의해 달성된 것을 두 자릿수까지 더 초과하였다.
또다른 실험에서, 상이한 사슬 길이 및 관능기 (에스테르, 에테르) 를 갖는 포화 및 불포화, 선형 및 분지형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를 하기 제형을 사용하여 염화나트륨의 존재 하에 그 증점 능력에 관해 평가하였다.
표 4 - 제형 증점화 시험
Figure 112014036188768-pct00014
각각의 시험 성분에 대해 상이한 염화나트륨 농도를 갖는 제형 4 개를 제조하였다. 모든 유도체는 75% 초과의 모노 함량을 가진다. 전형적인 부산물은 상응하는 2관능화 생성물, 잔여 출발 물질 (이소소르비드) 또는 지방 알코올 (오로지 에테르의 경우) 이다.
모든 제형의 점도를 브룩필드 RVF 점도계 (스핀들 제 3-5 호, 20 rpm) 를 사용하여 20 ℃ 에서 측정하였다.
이러한 이소소르비드 모노에스테르 및 모노에테르의 증점 능력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 5 에 나타냈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시험된 유도체는 매우 양호한 증점 성능을 나타낸다. 특히 라우릴 에스테르 및 에테르는 낮은 염화나트륨 농도에서 이미 시험 제형을 증점시킬 수 있다.
상이한 알킬화도를 갖는 (에톡시화 또는 프로폭시화) 다양한 이소소르비드 샘플을 위약 제형 (첨가제 없음) 과 비교된 이의 발포 능력에 관하여 하기 표 5 에 따른 제형에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표 5 - 제형:
Figure 112014036188768-pct00015
표 6
Figure 112014036188768-pct00016
발포 측정의 수행: 제형을 위해, 개별적 성분을 연속으로 칭량하고 함께 혼합하였다. 이를 이후 경수 (hard water) 를 이용해 1:4 로 희석시키고 10 초 동안 2000 회전으로 800 ml 비커에서 마이저 디스크 (Meiser disk) 를 사용하여 30 ℃ 에서 발포시켰다. 발포 높이를 비커에서 측정하였다. 모든 생성물은 첨가제 없는 제형에 비해 발포 높이에 있어서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다.
발포 품질의 개선: 발포 품질을 사정하기 위해, 하기 두 제형을 제조하고, 이를 이후 내부 표준과 비교함으로써 발포 시험에서 그 발포 품질에 관해 시각적으로 (도 3 의 사진 참조) 평가하였다:
제형 1 (위약):
Figure 112014036188768-pct00017
제형 2 (위약):
Figure 112014036188768-pct00018
발포 측정의 수행: 제형을 위하여, 개별적 성분을 연속으로 칭량하고, 함께 혼합하였다. 이후, 17.9 g 의 제형을 경수를 사용해 100 g 까지 만들어, 2.5 % 농도 용액을 산출하였다. 2.5% 농도 용액에 10 초 동안 2000 회전으로 800 ml 비커에서 마이저 디스크를 사용해 충격을 주었다. 비커에서 발포 높이를 측정하였다. 세란 플레이트 (Ceran plate) 에 발포를 떠 놓고, 다시 사진찍었다. 이소소르비드 에톡실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제형 1 을 사용하여서는, 오로지 제형 2 에 비해 품질적으로 낮은 품질의 발포만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소소르비드 에톡실레이트의 첨가제는 고려가능한 정도로 발포 품질을 증가시킨다.

Claims (39)

  1. 하기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로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가 수성 화장 조성물 중 발포 개선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조성물:
    Figure 112018106249612-pct00033
    (I)
    [식 중, 여기서 R" 은 탄소수 5 내지 23 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라디칼임].
  2. 제 1 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조적으로 상이한 화학식 (I) 의 이소소르비드 유도체가 서로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 이 탄소수 10 내지 18 의 선형, 포화 알킬 라디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가 각각의 경우에 화장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0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 조성물이 실리콘 오일이 없는 화장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 조성물이 비이온성 에멀전화제, 탄화수소, 아스트린젠트, 염료, 향, 추진제, 증점제 및/또는 진주화 작용제를 포함하는 수성 화장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I) 에 따른 이소소르비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147010155A 2011-09-19 2012-09-07 화장품 제제의 제조를 위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용도 KR101973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1837.3 2011-09-19
EP11181837 2011-09-19
PCT/EP2012/067481 WO2013041388A1 (en) 2011-09-19 2012-09-07 Use of isosorbide derivatives for producing cosmetic prepar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100A KR20140072100A (ko) 2014-06-12
KR101973358B1 true KR101973358B1 (ko) 2019-04-29

Family

ID=4682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155A KR101973358B1 (ko) 2011-09-19 2012-09-07 화장품 제제의 제조를 위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40356296A1 (ko)
EP (1) EP2758404B1 (ko)
JP (1) JP6396212B2 (ko)
KR (1) KR101973358B1 (ko)
CN (1) CN103814033B (ko)
BR (1) BR112014006482B1 (ko)
ES (1) ES2719262T3 (ko)
IN (1) IN2014CN02755A (ko)
WO (1) WO2013041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1514B2 (ja) * 2014-03-12 2017-09-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体
EP3166585B1 (en) 2014-07-11 2020-09-09 Basf Se A composition comprising isosorbide monooleate
WO2016008751A1 (en) 2014-07-16 2016-01-21 Basf Se A use of isosorbide monooleate
WO2016008747A1 (en) * 2014-07-16 2016-01-21 Basf Se A use of isosorbide monooleate
US10597402B2 (en) 2015-03-27 2020-03-24 Sytheon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storing epidermal integrity and function and treating dermatological diseases
EP3273951B1 (en) 2015-03-27 2020-07-29 Symbiony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soriasis
EP3277087A1 (en) * 2015-04-01 2018-02-07 Basf Se Isosorbide ether derivatives with preservation activity
ES2770111T3 (es) * 2015-04-24 2020-06-30 Basf Se Diésteres de isosorbida como agentes nacarantes y opacificantes
EP3302714B1 (de) * 2015-05-27 2019-01-30 Basf Se Kombination von isosorbiddiestern mit nichtionischen tensiden als perlglanzmittel
FR3046927B1 (fr) * 2016-01-26 2018-03-02 L'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mprenant une merocyanine et une phase huileuse comprenant au moins un ether d'isosorbide
WO2017173240A1 (en) 2016-03-31 2017-10-05 Gojo Industries, Inc. Antimicrobial peptide stimulating cleansing composition
AU2017240069B2 (en) 2016-03-31 2024-03-07 Gojo Industries, Inc. Sanitizer composition with probiotic/prebiotic active ingredient
CA3044670A1 (en) * 2016-11-23 2018-05-31 Gojo Industries, Inc. Topical cleansing composition with prebiotic/probiotic additive
JP2020500860A (ja) 2016-11-23 2020-01-16 ゴジョ・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ロバイオティック/プレバイオティックな有効成分を含む消毒薬組成物
KR101959994B1 (ko) 2017-07-25 2019-03-2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이소소르비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EP3851509A1 (en) 2020-01-14 2021-07-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0464A1 (en) * 2008-10-09 2010-04-15 Cognis Ip Management Gmbh Isosorbide-derivatives
WO2010115565A1 (en) * 2009-04-09 2010-10-14 Cognis Ip Management Gmbh Isosorbide monoesters and their use in household applications
US20100324153A1 (en) * 2009-06-18 2010-12-23 Cognis Ip Management Gmbh Anionic isosorb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US20110059884A1 (en) * 2009-09-10 2011-03-10 Cognis Ip Management Gmbh Use of isosorbide ethers in detergents and cleaners
US20110117036A1 (en) * 2009-11-13 2011-05-19 Sytheon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8371A (en) * 1960-10-31 1965-04-13 David L Berman Lipstick removing methods
JPS59175408A (ja) * 1983-03-23 1984-10-04 Nippon Saafuakutanto Kogyo Kk 化粧料
US4495079A (en) * 1983-04-21 1985-01-22 Good Allen H Facial skin cleanser capable of softening and removing sebum plaque
LU86474A1 (fr) * 1986-06-16 1988-01-20 Oreal Composition tinctoriale pour fibres keratiniques humaines sous forme de mousse,a base de 5,6-dihydroxyindole
DE3640755A1 (de) * 1986-11-28 1988-06-09 Henkel Kgaa Fliessfaehiges perlglanzkonzentrat
JPH08173787A (ja) * 1994-08-12 1996-07-09 Lion Corp 界面活性剤組成物
FR2746801B1 (fr) * 1996-03-27 1998-05-07 Ceca Sa Esters phosphoriques d'alkyl ou d'acyl dianhydro-1,4:3,6-d- glucitol,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FR2802207B1 (fr) * 1999-12-08 2002-01-18 Inst Francais Du Petrole Derives de l'isosorbide utilisables dans des compositions detergentes pour carburants de type essence
NL1015119C2 (nl) * 2000-05-04 2001-11-06 Inst Agrotechnologisch Onderzoek Ato Dlo Verbeterde synthese van anhydroglycitol-esters met verbeterde kleur.
US6433024B1 (en) * 2000-05-08 2002-08-13 Karl F. Popp Topical anti-acne composition
US20030203070A1 (en) * 2000-09-26 2003-10-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sorbitan monoesters
DE102005026069A1 (de) * 2005-06-07 2006-12-14 Goldschmidt Gmbh Topische kosmetische Formulierungen zur Regulierung und Verbesserung des Feuchtigkeitsgehalts der Haut
DE102007006442A1 (de) * 2007-02-05 2008-08-07 Evonik Oxeno Gmbh Gemisch von Diestern von Dianhydrohexitolderivaten mit Carbonsäuren der Summenformel C8H17COOH,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Diester und Verwendung dieser Gemische
EP2174641A1 (de) * 2008-10-09 2010-04-14 Cognis IP Management GmbH Ölkörpermischungen, enthaltend Derivate des Isosorbids
US9358199B2 (en) * 2011-08-04 2016-06-07 Clariant International Ltd. Use of isosorbide diesters as thicken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0464A1 (en) * 2008-10-09 2010-04-15 Cognis Ip Management Gmbh Isosorbide-derivatives
WO2010115565A1 (en) * 2009-04-09 2010-10-14 Cognis Ip Management Gmbh Isosorbide monoesters and their use in household applications
US20100324153A1 (en) * 2009-06-18 2010-12-23 Cognis Ip Management Gmbh Anionic isosorb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US20110059884A1 (en) * 2009-09-10 2011-03-10 Cognis Ip Management Gmbh Use of isosorbide ethers in detergents and cleaners
US20110117036A1 (en) * 2009-11-13 2011-05-19 Sytheon Limi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Vol.40, pp.1155-1165, 20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1388A1 (en) 2013-03-28
CN103814033B (zh) 2016-07-13
CN103814033A (zh) 2014-05-21
JP2014526482A (ja) 2014-10-06
BR112014006482A2 (pt) 2017-05-16
IN2014CN02755A (ko) 2015-09-04
EP2758404A1 (en) 2014-07-30
KR20140072100A (ko) 2014-06-12
JP6396212B2 (ja) 2018-09-26
BR112014006482A8 (pt) 2018-08-14
US20140356296A1 (en) 2014-12-04
ES2719262T3 (es) 2019-07-09
EP2758404B1 (en) 2019-01-09
BR112014006482B1 (pt)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358B1 (ko) 화장품 제제의 제조를 위한 이소소르비드 유도체의 용도
US9890107B2 (en) Cross-linked polyglycerol esters
KR101904684B1 (ko) 화장료 조성물
EP0767781B1 (fr) Nouveaux derives d'ammoniums quaternair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agents de surface
KR101369649B1 (ko) 특이적 분지형 탄화수소 기재의 연화제 및 미용 조성물
CN113507917A (zh) 具有物理化学修饰特性的皮肤和头发护理用活性剂
EP3682863B1 (en) O/w emulsions comprising a saturated c8-c14 alkyl n,n-dialkylamide
US7625853B2 (en) Aqueous surface-active formulation including polypropylene glycol(3) myristyl ether
CA2257966A1 (en) Aqueous nacreous lustre concentrates
JP4973903B2 (ja) 化粧品組成物
US20080085247A1 (en) Composition of Menthyl Lactate and a Mixture of Menthol Isomers
EP1661976A1 (en) Ethercarboxylates and glycerine derivatives as foam-enhancing agent for surfactants
EP3547992B1 (en) Mixtures comprising a phenyl alkanol and a linear alcohol with 8 to 12 carbon atoms
EP4031105B1 (en) Stabilizer concentrates for wax dispersions
US20050079193A1 (en) Compound for preparations for treating keratinous fibers
AU2011361982B2 (en) Antibacterial or preserving composition containing 3-butoxy-1,2-propanediol
JP5615699B2 (ja) 2−プロピルヘプタン酸に基づくエステル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US20230089228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ES2770111T3 (es) Diésteres de isosorbida como agentes nacarantes y opacificantes
US5371251A (en) Polyol polyether sulfosuccinates, a process for preparing them, and their use
WO2018100018A1 (en) Mixtures comprising a phenyl alkanol and a linear alcohol with 8 to 12 carbon atoms
US10517809B2 (en) Combination of isosorbide diesters with non-ionic surfactants for use as pearlizing agent
JP2005187438A (ja) 防腐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