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100B1 -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3100B1
KR101973100B1 KR1020160160339A KR20160160339A KR101973100B1 KR 101973100 B1 KR101973100 B1 KR 101973100B1 KR 1020160160339 A KR1020160160339 A KR 1020160160339A KR 20160160339 A KR20160160339 A KR 20160160339A KR 101973100 B1 KR101973100 B1 KR 101973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ant
balloon
ship
buoyancy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0626A (ko
Inventor
박주신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0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1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63B2009/0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는 제1몸체, 제1몸체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몸체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몸체, 제1몸체 및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해수를 유출입시켜 부력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탱크, 및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서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수용공간의 크기를 변경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Apparatus for exchanging vessel thruster}
본 발명은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선박의 추진기를 원활히 교체할 수 있는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추진기는 해상 구조물 및 선박에 설치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추진기는 방향을 전환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추진기의 작동 여부는 해상 구조물 및 선박의 상태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일 예로, 추진기가 원활하게 작동되면 해상 구조물 및 선박 등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으면 해상 구조물 및 선박 등은 위험에 노출 된다.
즉, 추진기의 작동 여부는 해상 구조물 및 선박의 안전 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추진기는 해상구조물 및 선박의 운항 중 시스템 및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정교하게 설치된다. 추진기는 설치 이후에도 수시로 점검된다. 현재에는 많은 작업자가 도크에서 해상구조물 및 선박 등에 다양한 장비들을 설치 한 후, 추진기를 설치하는 작업 및 유지 보수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많은 작업자가 많은 시간 동안 작업해야 하며 작업 효율성도 높지 않다. 더욱이, 수중에 위치한 추진기를 도크 등 수리나 보수 작업의 진행이 가능한 지점까지 운반하기 상당히 곤란하여, 보수 작업이나 유지보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선박의 운항 중 고장 난 추진기 등을 신속하게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곤란하여 개선이 필요하였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19960 (2015.02.2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해상에서 선박의 추진기를 원활히 교체할 수 있는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해수를 유출입시켜 부력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탱크, 및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변경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추진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면에 만입되어 형성되고, 추진체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간격조절부의 제어에 따라 추진체에 밀착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추진체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 가능한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으로 팽창되어 부력을 증가시키는 벌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선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벌룬부로 공급하는 유체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선과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계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해상에서 선박의 추진기를 원활히 교체할 수 있다. 해상에서 추진기 등이 고장 나거나, 수리 등이 필요하거나, 보수가 필요한 등의 다양한 경우에 본 발명을 이용하여 매우 신속하게 추진기에 접근하고 수용하여 운반할 수 있다. 특히, 추진기의 크기에 따라 수용공간을 변화시켜 다양한 종류의 추진기를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해상에서도 추진기 등을 교체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등의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를 모선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의 밸러스트 탱크, 벌룬부 및 고정용 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가 추진체의 크기에 대응하여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가 고장 난 추진체로 접근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가 고장 난 추진체를 모선으로 운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와 추진기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와 모선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추진체(본 명세서에서 추진체는 추진기와 동일한 의미이다)를 교체해야 할 경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 연결된 간격조절부(30)를 통해 수용공간(15)의 크기를 가변 시킨다. 이를 통해 추진체를 수용공간(15)에 안정적으로 고정한 후 이동하며, 추진체를 교체할 수 있다(도 5 및 도 6참조).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밸러스트 탱크(11, 21)를 이용하여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11, 21)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에 형성된다.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밸러스트 탱크(11, 21)가 형성된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를 이용해 수중에서 부유하고, 간격조절부(30)를 이용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수용공간(15)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스러스터(60) 및 벌룬부(13)등도 포함하여, 좀 더 용이하게 부력을 형성하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모선(A)의 격납고(B)에 실려 수리가 필요한 추진체 근처로 이송될 수 있다. 수리가 필요한 추진체 근처에 도달하였을 때,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격납고(B)로부터 이탈되어 수리가 필요한 추진체로 접근한다. 이때,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모선(A)과 계류라인(8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격납고(B)로부터 이탈되더라도 모선(A)과 지속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수중으로 추진체에 접근할 수 있으며, 특히, 수용공간(15)의 크기를 가변 시켜 추진체를 수용공간(15)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진체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수리시설이 설치된 모선이나 도크 등에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에 포함되는 제1몸체(10), 제2몸체(20) 및 간격조절부(30) 등 각 구성부와 작용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수중에서 부유한 체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된 밸러스트 탱크(11, 21) 등을 이용하여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연결되어 추진체(T)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5)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와 ‘└’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결합되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수용공간(15)이 형성된다. 그러나,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의 형상이나 수용공간(15)의 형상을 이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는 수용공간(15)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의 한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신축이 가능하다는 것은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한도 내에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 하나가 다른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구조, 또는 연결체에 의해 연결된 구조 등의 다양한 구조를 활용하여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를 신축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몸체(20)와 제1몸체(10) 사이에는 간격조절부(30)가 설치된다. 간격조절부(30)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 연결되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전술한 수용공간(15)의 크기를 변경한다. 간격조절부(30)는 예를 들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30)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좀 더 원활하게 신축(伸縮)될 수 있도록 하고, 신축되는 양을 조절하여 수용공간(15)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간격조절부(30)는 일단부가 제1몸체(10)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제2몸체(20)에 설치되는 실린더로 형성되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간격을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전술한 밸러스트 탱크(11, 21), 및 벌룬부(13), 스러스터(60), 고정용 암(40), 센서제어부(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밸러스트 탱크(11, 21)와 벌룬부(13)를 이용하여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고, 스러스터(60)를 이용하여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용 암(40)으로 수용공간(15)에 수용된 추진체를 고정시킬 수 있고, 센서부(50)는 추진체의 거리 및 크기 등을 측정하여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하, 밸러스트 탱크(11, 21), 벌룬부(13), 스러스터(60), 고정용 암(40) 및 센서부(50) 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밸러스트 탱크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해수를 유출입시켜 부력을 조절한다. 밸러스트 탱크(11, 21)는 유출입되는 해수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부력을 형성한다. 밸러스트 탱크(11, 21)는 제1몸체(10)에 설치되는 제1밸러스트 탱크(11)와 제2몸체(20)에 설치되는 제2밸러스트 탱크(21)로 나누어진다. 제1 밸러스트 탱크(11)와 제2밸러스트 탱크(21)는 설치되는 몸체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부피가 현저히 크게 형성되는 경우 등에는 부피가 큰 측에 밸러스트 탱크를 설치하여 충분한 부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20)가 대칭된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에 제1밸러스트 탱크(11)와 제2밸러스트 탱크(21)를 각각 설치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제1밸러스트 탱크(11)와 제2밸러스트 탱크(21)는 각각 복수 개의 밸브(110, 210)와 같이 해수의 입출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110, 210)구조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유출입되는 해수량을 조절하고 밸러스트 탱크(11, 21)에 형성되는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벌룬부(13)는 팽창 및 수축하며 다양한 크기의 부력을 형성한다. 벌룬부(13)는 모선(A)과 연결된 유체공급관(70)과 연결되어 유체공급관(70)으로부터 해수보다 밀도가 낮은 유체를 공급받아 팽창할 수 있다. 또한, 공급된 유체를 다시 모선(A)으로 배출시키며 수축할 수 있다. 벌룬부(13)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벌룬부(13)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벌룬수납부(12)에 설치될 수 있다. 벌룬수납부(12)는 힌지 결합된 커버(14)로 개폐될 수 있다.
벌룬부(13)는 유체공급관(70)으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벌룬수납부(12) 외측으로 팽창하며 부력을 증가시키고, 유체공급관(70)으로부터 유체가 흡입되면, 벌룬수납부(12) 내측으로 수축하며 부력을 감소시킨다. 이때, 커버(14)는 벌룬부(13)의 크기에 따라 자연스럽게 회동하며 벌룬수납부(12)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벌룬부(13)의 수납방식을 이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보다 적절한 다양한 구조를 활용하여 벌룬부(13)를 수용하고 용이하게 팽창시키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스러스터(60)는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에 추진력을 제공한다. 스러스터(60)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스러스터(60)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스러스터(60)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하단부 외측면에 복수 개로 설치되고, 복수 개가 각각 독립하여 작동될 수 있다. 스러스터(60)는 아지무스(azimuth) 스러스터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용 암(40)은 수용공간(15)에 수용된 추진체(T)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용 암(40)은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다. 고정용 암(40)은 적어도 하나의 암 연결체(41)와 암 연결체(41)의 일단에 연결된 가압부(42)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용 암(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암이 링크 구조로 연결된 암 연결체(41)를 포함하는 매니퓰레이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고정용 암(40)의 구조는 보다 고정이 용이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고정용 암(40)은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고정용 암(40)은 수용된 추진체(T)의 크기에 대응하여 동작하면서 다양한 위치에서 추진체를 가압할 수 있다. 고정용 암(40)의 형상은 도시된 바로 한정되지 않으며, 추진체(T)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에 한해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센서부(50)는 추진체의 상태를 측정한다. 센서부(5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근거로 간격조절부(30), 스러스터(60) 및 밸브(110, 210)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몸체(10) 및 제2몸체(20)의 상단부 등 추진체를 감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각각 복수 개로 센서부(5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리가 필요한 추진체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센서부(50)의 측정값을 제공받아 간격조절부(30), 스러스터(60) 등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함께 구성할 수 있다. 센서부(50)는 수중에서 위치나 거리 물체의 크기 등을 감지하는 소나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의 밸러스트 탱크, 벌룬부 및 고정용 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가 추진체의 크기에 대응하여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밸러스트 탱크(11, 21) 및 벌룬부(13)를 이용해 부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밸브(110, 210)를 통해 밸러스트 탱크(11, 21)에 해수(W1)를 채워 부력을 작게 할 수 있고(도 3의 (a)참조), 밸러스트 탱크(11, 21)에 채워진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해수(W2)량을 줄여 부력을 키울 수 있다(도 3의 (b)참조). 또한, 유체공급관(70)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통해 벌룬부(13)를 팽창시켜 부력을 키울 수도 있고, 공급된 유체를 다시 흡입하여 수축시켜 부력을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고정용 암(40)을 통해 추진체를 수용공간(15)에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용 암(40)은 직선 및 회전 운동하며 추진체를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용 암(40)은 추진체(T1, T2)의 크기에 따라 직선 및 회전 운동량을 다르게 하여 고정위나 압력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크기의 압력으로 추진체(T1, T2)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추진체(T1, T2)의 크기에 따라 수용공간(15)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소형 선박에 설치되는 소형 추진체(T1)를 수용하여야 하는 경우, 간격조절부(15)를 수축시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간격을 좁혀 수용공간(15)의 폭을 줄일 수 있다(d1 참조). 반면, 대형 선박에 설치되는 대형 추진체(T2)를 수용하여야 하는 경우, 간격조절부(15)를 신장시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사이의 간격을 넓혀 수용공간(15)의 폭을 넓힐 수 있다(d2 참조).
간격조절부(15)는 전술한 센서부(50)가 측정한 측정값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즉, 센서부(50)를 이용하여 인접한 추진체의 위치와 크기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보다 정밀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스러스터(60)와 고정용 암(40) 등도 함께 작동하며 추진체를 용이하게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추진체(T1, T2)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용공간(15)의 크기를 정밀하게 변경시키며 다양한 크기의 추진체를 용이하게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가 고장 난 추진체로 접근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가 고장 난 추진체를 모선으로 운송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모선(A)의 격납고(B) 등에 격납된 상태로 추진체(T)의 수리가 필요한 선박(C)근처로 이송될 수 있다. 이후, 밸러스트 탱크(11, 21)와 스러스터(60) 등의 작동을 통해 격납고(B)로부터 이탈되어, 수중으로 잠수해 수리가 필요한 추진체(T)로 이동한다. 이때,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모선(A)과 연결된 계류라인(80)이 연결되어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가 격납고(B)에서 이탈되더라도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모선(A)과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계류라인(80)은 모선(A)에 형성된 릴에 연결되어,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가 수리가 필요한 추진체(T)에 도달할 수 있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모선(A)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추진체(T)로 접근할 수 있다. 추진체(T)에 접근하면, 추진체(T)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용공간(15)의 크기를 변경해 추진체(T)를 수용하고, 고정용 암(40)으로 추진체(T)를 가압하여 수용공간(15)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이때 센서부(50)로 추진체(T)의 위치와 크기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보다 용이하게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공간(15)에 추진체(T)를 수용하고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추진체(T)는 선박(C)의 내부에서 작업자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최종 분리될 수 있다.
추진체(T)를 실은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전술한 밸러스트 탱크(11, 21), 벌룬부(13) 및 스러스트(60)등을 이용하여 부력을 조절하며 이동방향도 용이하게 조절한다. 특히, 밸러스트 탱크(11, 21)와 벌룬부(13)로 부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벌룬부(13) 보다 신속히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중에서 이동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격납고(B)로 이동할 수 있다.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에 의해 운송된 추진체(T)는 모선(A)의 수리 설비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모선(A)외 다른 도크 등으로 추진체(T)를 이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추진체(T)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수리하거나 다른 추진체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는 전술한 과정을 역으로 진행하여 수리되거나 교환된 추진체를 다시 원위치에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와 추진체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1)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명이 간결해 질 수 있도록 중복되는 장치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1-1)의 제1몸체(10-1)와 제2몸체(20-1)는 수용공간(15)을 향하는 면에 만입되어 형성되고, 추진체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곡면부(90)를 포함한다. 곡면부(90)는 추진체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률로 굴절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면부(90)는 전술한 간격조절부(30)의 제어에 따라 추진체 외주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특히, 곡면부(90)는 추진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추진체(T)의 외주면 일부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곡면부(90)는 간격조절부(30)의 제어에 따라 추진체를 가압하며 별도의 암 등이 없이도 수용공간(15)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곡면부(90)에 수용된 추진체는 곡면 접촉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통상 곡면 형상의 외주부를 포함하는 추진체의 형상을 감안하여 대응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부(90)로 추진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암 등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고정하면 보다 효과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역시 추진체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10: 제1몸체 11: 제1밸러스트 탱크
12: 벌룬수납부 13: 벌룬부
14: 커버 15: 수용공간
20: 제2몸체 21: 제2 밸러스트 탱크
30: 간격조절부 40: 고정용 암
41: 암 연결체 42: 가압부
50: 센서부 60: 스러스터
70: 유체공급관 80: 계류라인
A: 모선 B: 격납고
C: 선박 T: 추진체

Claims (8)

  1.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해수를 유출입시켜 부력을 조절하는 밸러스트 탱크;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변경하는 간격조절부;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스러스터;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으로 팽창되어 부력을 증가시키는 벌룬부;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벌룬부를 수납하는 벌룬수납부; 및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벌룬수납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사이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린더를 포함하는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추진체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암을 더 포함하는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면에 만입되어 형성되고, 추진체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간격조절부의 제어에 따라 추진체에 밀착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추진체의 위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 가능한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모선으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상기 벌룬부로 공급하는 유체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모선과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계류라인을 더 포함하는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KR1020160160339A 2016-11-29 2016-11-29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KR101973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339A KR101973100B1 (ko) 2016-11-29 2016-11-29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339A KR101973100B1 (ko) 2016-11-29 2016-11-29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626A KR20180060626A (ko) 2018-06-07
KR101973100B1 true KR101973100B1 (ko) 2019-04-26

Family

ID=6262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339A KR101973100B1 (ko) 2016-11-29 2016-11-29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367B1 (ko) 2018-06-15 2019-02-27 대양마린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888B1 (ko) * 2015-06-16 2015-09-09 박진옥 침몰선박 인양장치 및 그 인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63B1 (ko) * 2008-11-10 2012-05-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계류 장치
KR20150019960A (ko) 2013-08-16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스트링거에 배치되는 핸드레일의 설치 방법
KR20160033420A (ko) * 2014-09-18 2016-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적하역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888B1 (ko) * 2015-06-16 2015-09-09 박진옥 침몰선박 인양장치 및 그 인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626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354B1 (ko) 수중 조작 아암 로봇
RU2137661C1 (ru) Замыкающий и размыкающий механизм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загружающего/разгружающего буя на судне в открытой снизу приемной камере
JP5475414B2 (ja) ライザー切り離し及び保持機構
WO2012021205A2 (en) Process, apparatus and vessel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two structures
NO314250B1 (no) Dynamisk posisjonert lasteböye
AU2006249255B2 (en) Offshore fluid transfer system
KR101973100B1 (ko)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EP3849895B1 (en) System for transfer of a fluid product
JP2006232046A (ja) 係留装置
US20170240257A1 (en) Submarine vehicle, method for picking up a load from the seabed and a method for setting down a load on the seabed
EP1807916B1 (fr) Systeme interface de transfert d'energie electrique entre un navire et une installation portuaire
KR101775472B1 (ko) 선박 벙커링 장치
CN107000816B (zh) 在外海上转移货物流体的方法与系统
EP2452869B1 (en) Unmanned underwater vehicle
CN110352159B (zh) 用于联接两艘船的装置
AU2002348952A1 (en) Offshore fluid transfer system
US10668989B2 (en) Methods and system relating to positioning a ship to side-by-side configuration alongside a floating offshore storage facility and transferring fluid cargo therebetween
WO2009126059A1 (ru) Подводный 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RU2326786C1 (ru) Судно-док
CN107672769A (zh) 海底电缆无人检修舱
GB2391838A (en) Fluid transfer interface with a floating vessel
WO2001074657A1 (en) Multi-use vessel
EP1557352B1 (en) Offshore fluid transfer system
KR102070899B1 (ko) 화물 하역장치
EP43214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veloping floating structures in deep open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