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367B1 -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 - Google Patents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367B1
KR101972367B1 KR1020180063660A KR20180063660A KR101972367B1 KR 101972367 B1 KR101972367 B1 KR 101972367B1 KR 1020180063660 A KR1020180063660 A KR 1020180063660A KR 20180063660 A KR20180063660 A KR 20180063660A KR 101972367 B1 KR101972367 B1 KR 101972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flying disk
partition
fly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권
Original Assignee
임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권 filed Critical 임태권
Priority to KR102018006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367B1/ko
Priority to PCT/KR2019/006174 priority patent/WO20192311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던져진 플라잉디스크를 내부로 유입하여 일정곡률을 갖는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설정된 방향 및 각도로 플라잉디스크를 토출시켜, 혼자서도 플라잉디스크 던지기 및 받기 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실내와 같은 제한된 공간에 설치가능하고, 플라잉디스크가 유입되고 토출되는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Return Board for Fling Disk}
본 발명은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던져진 플라잉디스크를 내부로 유입하여 일정곡률을 갖는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설정된 방향 및 각도로 플라잉디스크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에 관한 것이다.
플라잉디스크란 남녀노소 누구나 야외공터에서 쉽게 던지고 받으며 2인 또는 여러명이 함께 즐길수 있는 원형 접시모양의 놀이기구로서, 현재 정식 스포츠 종목인 얼티미트경기와 디스크골프 경기 등 플라잉디스크를 이용한 정식스포츠종목으로 까지 대중화 되어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플라잉디스크는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날리면 양력이 발생하여 바닥으로 바로 떨어지지 않고 공기를 가르며 수평으로 멀리 날아가도록 체공시간을 증가시키도록 형성되어, 투척 시에 회전력을 가해 투척하게 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방을 향해 투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플라잉디스크 놀이 시에는 2명 이상의 사용자가 플라잉디스크를 던져서 상대방과 주고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원, 광장 또는 운동장과 같은 야외장소나 넓은 실내공간을 갖는 장소가 필요하게 되고, 이를 실내에서 가지고 놀기에는 공간적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58319호(타겟유닛의 프레임 구조체, 2016.09.09.)에서는 착탈 가능한 타겟이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를 개시하고 있으나. 플라잉디스크를 이용한 실내운동 놀이는 디스크캐쳐나 그물망캐쳐 또는 원통형 바스켓에 던져 골인시키는 놀이를 하거나 상기 문헌과 같이 타겟판 또는 타겟그물망 등에 던져 목표물에 적중시키는 놀이등으로 한정된 플라잉디스크 실내 놀이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58319호(타겟유닛의 프레임 구조체, 2016.09.0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던져진 플라잉디스크를 내부로 유입하여 일정곡률을 갖는 내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설정된 방향 및 각도로 플라잉디스크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투척되어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며 날아오는 원반형상의 플라잉디스크(10)를 유입하여 사용자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을 유도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에 있어서, 상기 리턴보드(1000)는 일단에 플라잉디스크(10)가 유입되는 유입부(120)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배출되는 토출부(130)를 형성하여, 유입된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일정곡률을 갖는 내면을 따라 유도되도록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타측에 지면과 수직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벽(111)과 상기 내벽(111)의 상하방향으로의 양단으로부터 지면과 수평되는 방향에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메인칸막이(112) 및 상기 내벽(111)의 내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지면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을 구획하는 내면칸막이(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면으로부터 지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지지하는 받침다리(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토출부(130)는 상기 유입부(120)보다 지면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 또는 토출부(130)방향으로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조절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률조절장치(3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외면에 구비되는 조절당김쇠(310)와 상기 조절당김쇠(310)에 연결된 와이어를 신축시키는 구동부(330)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3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조절당김쇠(310)에 연결된 와이어를 신축시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 또는 토출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의 곡률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내면칸막이(140)사이의 간격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에서 토출부(130)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내면칸막이(14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토출부(130)의 끝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 꺾이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면칸막이(140)의 끝단에서의 각도에 따라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토출되는 상하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토출부(130)는 끝단에 형성된 상기 내면칸막이(14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벽(111)에 부착되는 유도피스(13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도피스(131)의 두께에 따라,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토출되는 좌우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복수의 단위프레임(110)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의 내벽(111)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경첩(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칸막이(112)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를 결합하며, 상기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은 가하는 고정스프링(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칸막이(112)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이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프레임(110)의 상기 메인칸막이(112) 및 내면칸막이(140)는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단(141) 및 타단에 인접하여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돌출단(141)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단(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칸막이(112) 및 내면칸막이(140)의 돌출단(141)은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에 수직되는 단면의 넓이가 상기 단위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으로의 상기 유입부(120)의 후단에서 인접하여 연결되는 단위프레임(110)의 내면칸막이(140)의 전단이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과 수직되는 단면의 넓이 및 높이가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유입단(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결합된 복수의 단위프레임(1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내면칸막이(140)가 형성되지 않는 단위프레임(11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의 상기 메인칸막이(112)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이 내측으로 접히도록 힌지 결합된 접힘경첩(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플라잉디스크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유입방향을 바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리턴보드(1000)는 각각의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는 혼자서도 플라잉디스크 던지기 및 받기 놀이를 즐길 수 있으며, 실내와 같은 제한된 공간에 설치가능하고, 플라잉디스크가 유입되고 토출되는 각도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다양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보드를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보드의 내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A부분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보드의 토출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피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프레임 간의 결합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보드의 접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접힘경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보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본 발명의 리턴보드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보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는 일단에 플라잉디스크(10)이 유입되는 유입부(120)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이 배출되는 토출부(130)를 형성하여, 유입된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이 일정곡률을 갖는 내면을 따라 유도되도록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상기 리턴보드(1000)에 사용자로부터 던져진 플라잉디스크(10)가 상기 유입부(120)로 유입되어 플라잉디스크(10)의 회전력 및 추진력으로 인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토출부(130)를 통하여 사용자 방향으로 토출시켜, 사용자가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을 던지고 토출되어 날아오는 플라잉디스크(10)을 받는 놀이를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혼자서는 물론 2인 이상의 사용자가 상기 리턴보드(1000)에 플라잉디스크(10)을 던지고 받으며 놀이를 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유입되는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을 유도하여 사용자방향으로 재 토출시키기 위한 일정곡률을 갖으며 형성되고,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면이 개방되어 단면이 ㄷ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내벽(111) 및 상기 내벽(111)의 상하방향으로의 양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메인칸막이(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일측면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플라잉디스크(10)의 일부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개방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벽(11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메인칸막이(112)에 수평방향으로의 넓이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보다 작게 형성 가능함으로 상기 리턴보드(1000)를 더욱 소형화 시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개방면으로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일부가 돌출되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라잉디스크(1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이 맞닿는 면적이 감소하여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받는 마찰저항을 감소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프레임(100) 내부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하면은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플라잉디스크(10)를 상기 토출부(130)로 유도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복수의 단위프레임(110)이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면으로부터 지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다리(2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다리(200)는 지면과 맞닿는 하단에 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리턴보드(10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200)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면에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지지하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토출부(130)가 상기 유입부(120)보다 지면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다리(200)의 높이가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부(130)가 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던져진 플라잉디스크(10)이 날아가면서 낮아지는 높이를 보상하여 상기 토출부(130)에서 토출된 플라잉디스크(10)이 더욱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리턴보드(1000)의 유입부(120) 및 토출부(130)는 사용자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을 유입 및 토출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곡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유입부(120) 또는 토출부(130) 방향으로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조절장치(3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입부(120) 및 토출부(130)의 좌우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플라잉디스크(10)을 던지고 받는 방향을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곡률조절장치(3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외면에 구비되는 조절당김쇠(310)와 상기 조절당김쇠(310)에 연결된 와이어를 신축시키는 구동부(330)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3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조절당김쇠(310)에 연결된 와이어를 신축시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 또는 토출부(130)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조절당김쇠(310)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coiling) 및 보빈(bobbin)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자동으로 상기 와이어를 권취 및 보빈 시킬 수 있는 회전축을 갖는 모터 또는 수동으로 상기 와이어를 권취 및 보빈 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수동도르레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330)의 구성 및 형태는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당김쇠(31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연결된 고리(311)를 형성하여 상기 고리(311)에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외면에 와이어가 연결되고, 연결된 각각의 와이어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외측면에 구비된 고리(311)에 연결되어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조절당김쇠(310)의 고리(311)와 연결되는 와이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당김쇠(31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외면을 따라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 및 토출부(130)의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곡률조절장치(300)로부터 토출부(130)로의 방향으로 복수 형성된 상기 조절당김쇠(310)는 점차 그 높이가 높아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토출부(130)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조절당김쇠(310)에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토출부(130)의 끝단부 이전에 구비되는 조절당김쇠(310)는 상기 와이어가 상기 고리(311)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곡률조절장치(300)로부터 상기 와이어를 권취할 시에, 상기 조절당김쇠(310)가 순차적으로 당겨짐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작용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내구성 및 상기 곡률조절장치(300)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률조절장치(300)는 상기 유입부(130)와 토출부(130)의 사이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외측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률조절장치(3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방에 상기 조절당김쇠(310)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시키기 위한 구동부(330)가 구비되며, 이때 상기 구동부(330)는 복수의 상기 받힘다리(200) 중 선택되는 하나에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부(330)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조절스위치(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복수의 조절당김쇠(310)에 연결된 와이어를 상하방향으로 전환하는 와이거치롤러(3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와이어거치롤러(320)는 상기 구동부(330)가 설치되는 상기 받힘다리(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에서 권취하는 구동부(330)로부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와이어에 전달되는 장력이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며,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보드의 내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A부분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보드(1000)의 토출부(130)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벽(111)의 내면에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을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칸막이(140)를 더 포함하여, 복수 개의 플라잉디스크(1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면칸막이(14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내면칸막이(140)사이의 간격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에서 토출부(130)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이 진행방향으로 상기 토출부(130)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곡선전환 비행 및 상승전환 비행을 상하 칸막이 간의 충돌 없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내면칸막이(14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토출부(130)의 끝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 꺾이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면칸막이(140)의 끝단에서의 각도에 따라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토출되는 상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토출부(130)는 끝단에 형성된 상기 내면칸막이(14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벽(111)에 부착되는 유도피스(131)를 더 포함하여, 상기 토출부(130) 끝단에서의 상기 유도피스(131)의 두께에 따라,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이 토출되는 좌우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피스(131)는 끝단부의 높이가 상기 내면칸막이(14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유도피스(131)의 타측면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에 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의 내면상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비된 충격흡수부재(12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격흡수부재(121)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에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상기 유입부(120)로 유입될 시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에 정확히 수직하는 방향으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을 따라 진행할 시 상하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에, 상기 충격흡수부재(121)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접촉되는 면이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거친 표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부재(121)는 다공질의 발포성 고무로 형성되어 표면의 거칠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의 내면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이 부딪힐 시, 충격을 완화하며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이 내면에서 회전을 수행하며 이동할 시에는 고체로서의 성질을 나타내는 점탄성을 갖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충격흡수부재(121)는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남이 없는 어떠한 물질로 대체 및 변형실시 가능할 수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측의 전면에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프레임간의 결합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a)는 인접하여 배치된 단위프레임(110)이 결합된 리턴보드(1000)를 도시하고, (b)는 결합된 단위프레임(110)의 곡률이 가변되어 일정각도 이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복수의 단위프레임(110)이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의 내벽(111)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경첩(150)을 더 포함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곡률조절장치(300)에 의해 상기 단위프레임(110)에 연결된 와이어가 신축되어, 상기 연결경첩(150)이 외측으로 접힘으로 상기 단위프레임(110)간의 연결부위가 외측으로 접힘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유입부(120) 및 토출부(130)의 곡률이 가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위프레임(110)의 내측에는 각기 상기 내면칸막이(140)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단위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상기 조절당김쇠(310)가 각기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단위프레임(110)이 결합되어 하나의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는 원하는 크기, 방향 및 개수의 단위프레임(110)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규격의 조립식 메인프레임(100)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정 부위의 부품의 파손 및 고장 시, 고장난 부위의 상기 단위프레임(110)을 분리하여 교환 및 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단위프레임(110)의 외측으로 상기 곡률조절장치(300)로부터의 발생하는 장력으로 인해, 각각의 단위프레임(110)의 연결부의 결합이 탈락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칸막이(112)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를 결합하며, 상기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은 가하는 고정스프링(16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단위프레임(110)간에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곡률조절장치(300)로부터의 장력에 의해 상기 단위프레임(1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칸막이(112)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이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70)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곡률조절장치(300)에서 상기 고정스프링(160)의 탄성력을 상회하는 과도한 장력이 발생할 시, 상기 단위프레임(110)간의 결합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170)는 결합되는 상기 단위프레임(110a, 110b)에 고정되어 결합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이프(171)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형성된 유격홈(172)과 상기 유격홈(172)에 삽입되어 상기 유격홈(172)이 형성된 거리만큼 상기 단위프레임(110a, 110b)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고정핀(1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170)는 결합되는 상기 단위프레임(110a, 110b)이 이격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일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복수의 단위프레임(110)이 결합되고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으로의 곡률을 가변시키는 상기 복수의 단위프레임(110)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단위프레임(110a, 110b)간에 꺾이는 각도는 반비례하여 작아짐으로 상기 스토퍼(170)는 상기 단위프레임(110a, 110b)이 이격되는 거리가 비교적 짧음에 따라 상기 스토퍼(170)는 직선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170)는 상기 단위프레임(110a, 110b)이 이격되는 각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곡률조절장치(300)로부터의 장력이 상기 고정스프링(160)의 탄성력보다 하회할 경우 또는 와이어가 끊어질 경우에 상기 단위프레임(110)간에 이격된 각도를 제한하여 상기 리턴보드(1000)의 고장 및 놀이 시에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곡률이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면칸막이(140)는 내부가 중공되는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프레임(110)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내면칸막이(140)는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단(141) 및 타단에 인접하여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돌출단(141)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단(142)을 포함하여, 인접하여 결합되는 상기 단위프레임(110)간에 결합되며, 상기 단위프레임(110)의 메인칸막이(112)의 일단 및 타단에 상기 돌출단(141) 및 끼움단(142)이 형성되어 상기 단위프레임(110)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메인칸막이(112) 및 내면칸막이(140)는 상기 돌출단(141)의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에 수직되는 단면의 넓이가 상기 단위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면칸막이(140)의 돌출단(141)이 인접하는 상기 끼움단(142)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단위프레임(110)이 외측으로 일정각도 꺾이도록 형성될 시에, 상기 단위프레임(110)간의 결합부위의 상기 내면칸막이(140)의 내측면이 끊어지지 않도록 구비되어,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으로 일정부분 상기 내면칸막이(140)가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으로의 상기 유입부(120)의 후단에서 인접하여 연결되는 단위프레임(110)의 내면칸막이(140)의 전단이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과 수직되는 단면의 넓이가 작아지는 삼각뿔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유입단(144)을 포함하여, 상기 유입부(120)에서 상기 내면칸막이(140)사이로 유입되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를 안내한다. 이때,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상기 내면칸막이(140)의 유입단(144)에 부딪힐 시, 상기 유입단(144)의 일측면을 타고 진행하다, 상하방향으로 미끌어져 상기 내면칸막이(140)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진입하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상기 내면칸막이(140)에 부딪혀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유입단(10)의 후단과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으로의 상기 유입부(120)의 후단에서 인접하여 연결되는 단위프레임(110)의 내면칸막이(140)의 전단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단(10)과 상기 내면칸막이(140)를 연결하되, 전단면은 삼각형의 형상을 갖으며 후단면은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 유입뿔대(14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면칸막이(140), 유입단(144) 및 유입뿔대(143)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일방면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결합된 복수의 단위프레임(1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내면칸막이(140)가 형성되지 않는 단위프레임(110)이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에서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에 복수의 상기 내면칸막이(140)를 통해 구획된 공간에 유입되고, 상기 내면칸막이(140)간의 사이공간의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내면칸막이(140)가 형성되지 않는 단위프레임(110)에서 구획된 공간을 이탈하여 인접하여 결합된 다른 하나의 단위프레임(110)에 형성된 복수의 구획된 공간 사이로 랜덤하게 유입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기 플라잉디스크(10) 진행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내면칸막이(140)이 형성되지 않은 단위프레임(110)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중간에 결합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이 토출되는 방향을 예상할 수 없게 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더욱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보드의 접힘 작동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접힘경첩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의 상기 메인칸막이(112)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이 내측으로 접히도록 힌지 결합된 접힘경첩(18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단위프레임(110)이 내측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하여, 상기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의 보관 시에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접힘경첩(180)을 통하여 결합되는 단위프레임(110)의 내면에 형성된 내면칸막이(140)의 돌출단(141)은 내측으로 접힘 가능하도록 일측 및 타측이 상기 단위프레임(110)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사각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위프레임(110)이 내측으로 접힐 시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리턴보드(1000)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따른 본 발명의 리턴보드(1000)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의 일변형예를 설명하면,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유입방향을 바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리턴보드(10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개방된 내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양측으로 배치된 한 쌍의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로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을 던질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던지는 방향에 따라 포핸드(Forehand) 또는 백핸드(backhand) 스타일을 구사하여 상기 유입부(120)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을 던지고 받는 놀이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리턴보드(1000)는 서로 교차되는 부위에서 어느 하나의 메인프레임(100)이 상측으로 올라오도록 교차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한 쌍의 리턴보드(100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리턴보드(1000)를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한 쌍의 리턴보드(1000)의 외면을 감싸는 밴드, 커플링 또는 브라켓 등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플라잉디스크
1000 :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
100 : 메인프레임 110 : 단위프레임
111 : 내벽 112 : 메인칸막이
120 : 유입부 121 : 충격흡수부재
130 : 토출부 131 : 유도피스
140 : 내면칸막이 141 : 돌출단
142 : 끼움단 143 : 유입뿔대
144 : 유입단
150 : 연결경첩 160 : 고정스프링
170 : 스토퍼
180 : 접힘경첩
200 : 받힘다리 210 : 바퀴
300 : 곡률조절장치 310 : 조절당김쇠
320 : 와이어거치롤러 330 : 구동부
340 : 조절스위치

Claims (20)

  1. 사용자에 의해 투척되어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며 날아오는 원반형상의 플라잉디스크(10)를 유입하여 사용자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을 유도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에 있어서,
    상기 리턴보드(1000)는,
    일단에 플라잉디스크(10)가 유입되는 유입부(120)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배출되는 토출부(130)를 형성하여, 유입된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일정곡률을 갖는 내면을 따라 유도되도록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타측에 지면과 수직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벽(111),
    상기 내벽(111)의 상하방향으로의 양단으로부터 지면과 수평되는 방향에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메인칸막이(112) 및,
    상기 내벽(111)의 내면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지면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을 구획하는 내면칸막이(1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하면으로부터 지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지지하는 받침다리(2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토출부(130)는 상기 유입부(120)보다 지면으로부터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5. 일단에 플라잉디스크(10)가 유입되는 유입부(120)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배출되는 토출부(130)를 형성하여, 유입된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일정곡률을 갖는 내면을 따라 유도되도록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및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 또는 토출부(1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의 곡률을 조절하는 곡률조절장치(300);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내벽(111) 및 상기 내벽(111)의 상하방향으로의 양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메인칸막이(1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조절장치(3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외면에 구비되는 조절당김쇠(310)와 상기 조절당김쇠(310)에 연결된 와이어를 신축시키는 구동부(330)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3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조절당김쇠(310)에 연결된 와이어를 신축시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 또는 토출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의 곡률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내면칸막이(140) 사이의 간격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유입부(120)에서 토출부(130)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칸막이(14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토출부(130)의 끝단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 꺾이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면칸막이(140)의 끝단에서의 각도에 따라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토출되는 상하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10. 일단에 플라잉디스크(10)가 유입되는 유입부(120)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배출되는 토출부(130)를 형성하여, 유입된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일정곡률을 갖는 내면을 따라 유도되도록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내벽(111) 및 상기 내벽(111)의 상하방향으로의 양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메인칸막이(112) 및 상기 내벽(111)의 내면상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을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칸막이(140) 및,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토출부(130)는 끝단에 형성된 상기 내면칸막이(14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벽(111)에 부착되는 유도피스(131)를 더 포함하여,
    상기 유도피스(131)의 두께에 따라,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토출되는 좌우방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11. 제1항, 제5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복수의 단위프레임(11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의 내벽(111)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경첩(15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13. 일단에 플라잉디스크(10)가 유입되는 유입부(120)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배출되는 토출부(130)를 형성하여, 유입된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일정곡률을 갖는 내면을 따라 유도되도록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내벽(111) 및 상기 내벽(111)의 상하방향으로의 양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메인칸막이(112)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프레임(11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의 내벽(111)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연결경첩(150) 및,
    상기 메인칸막이(112)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를 결합하며, 상기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은 가하는 고정스프링(16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칸막이(112)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이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프레임(110)의 상기 메인칸막이(112) 및 내면칸막이(140)는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단(141) 및 타단에 인접하여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돌출단(141)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단(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16. 일단에 플라잉디스크(10)가 유입되는 유입부(120)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배출되는 토출부(130)를 형성하여, 유입된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일정곡률을 갖는 내면을 따라 유도되도록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태로 이루어지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내벽(111) 및 상기 내벽(111)의 상하방향으로의 양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메인칸막이(112) 및 상기 내벽(111)의 내면상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을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칸막이(140)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프레임(11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프레임(110)의 상기 메인칸막이(112) 및 내면칸막이(140)는 길이방향으로의 일단이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단(141) 및 타단에 인접하여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돌출단(141)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끼움단(142)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칸막이(112) 및 내면칸막이(140)의 돌출단(141)은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에 수직되는 단면의 넓이가 상기 단위프레임(110)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17. 일단에 플라잉디스크(10)가 유입되는 유입부(120)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배출되는 토출부(130)를 형성하여, 유입된 상기 플라잉디스크(10)가 일정곡률을 갖는 내면을 따라 유도되도록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복수의 단위프레임(11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으로의 상기 유입부(120)의 후단에서 인접하여 연결되는 단위프레임(110)의 내면칸막이(140)의 전단이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진행방향과 수직되는 단면의 넓이 및 높이가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유입단(14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결합된 복수의 단위프레임(1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내면칸막이(140)가 형성되지 않는 단위프레임(11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인접하여 결합되는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의 상기 메인칸막이(112)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단위프레임(110a, 110b)이 내측으로 접히도록 힌지 결합된 접힘경첩(1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20. 제1항, 제5항, 제10항, 제13항, 제16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리턴보드(1000)는 상기 플라잉디스크(10)의 유입방향을 바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리턴보드(1000)는 각각의 메인프레임(100)의 내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1000).
KR1020180063660A 2018-06-01 2018-06-01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 KR101972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660A KR101972367B1 (ko) 2018-06-01 2018-06-01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
PCT/KR2019/006174 WO2019231169A1 (ko) 2018-06-01 2019-05-23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660A KR101972367B1 (ko) 2018-06-01 2018-06-01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367B1 true KR101972367B1 (ko) 2019-04-25

Family

ID=6628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660A KR101972367B1 (ko) 2018-06-01 2018-06-01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72367B1 (ko)
WO (1) WO201923116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2456A (ja) * 1996-01-22 1999-03-02 リトビック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両面使用可能なレーストラックシステム
KR200166122Y1 (ko) * 1999-07-27 2000-02-15 한한희 장난감 자동차용 회전트랙
JP2003517907A (ja) * 1999-12-22 2003-06-03 レゴ エー/エス 玩具遊戯用具
KR101658319B1 (ko) 2014-10-13 2016-09-20 (주)프리원 타겟유닛의 프레임 구조체
KR101846064B1 (ko) * 2016-03-03 2018-04-05 최종일 주행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2456A (ja) * 1996-01-22 1999-03-02 リトビック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両面使用可能なレーストラックシステム
KR200166122Y1 (ko) * 1999-07-27 2000-02-15 한한희 장난감 자동차용 회전트랙
JP2003517907A (ja) * 1999-12-22 2003-06-03 レゴ エー/エス 玩具遊戯用具
KR101658319B1 (ko) 2014-10-13 2016-09-20 (주)프리원 타겟유닛의 프레임 구조체
KR101846064B1 (ko) * 2016-03-03 2018-04-05 최종일 주행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31169A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4122A (en) Sport game and field
US7611427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ayer competitive recreation
US5813931A (en) Ball and tail
RU2224570C2 (ru) Игрушка в виде направляющей дорожки для шаров
US5941529A (en) Saucer target
US6287226B1 (en) Game ball and goal
US3368814A (en) Target game with secondary propulsion element inclined toward target
US5016891A (en) Projectile-target game apparatus
JP2019508192A (ja) 返球装置及びシステム
US9427643B2 (en) Ball hurling target game and associated apparatus
US5413340A (en) Adjustable goal frame
US20080093796A1 (en) Banked air hockey table
KR101972367B1 (ko) 플라잉디스크 리턴보드
US6659466B2 (en) Throwing game and goal therefor
US8393981B2 (en) Ball travel-modifying device
US5080371A (en) Foot attachable apparatus for tossing and receiving a ball
KR101739548B1 (ko) 골프공을 잡는 장치 및 방법
US5443258A (en) Basketball return device
US20150328524A1 (en) Multi sport ball rolling, levitating, tosssing and throwing system
JPS6331686A (ja) 球技用具
AU2011331897B2 (en) Sports training device
KR101985670B1 (ko) 드론을 이용한 야구 경기장 시스템
JP7076642B2 (ja) フライングディスク用のボウリングゲーム装置
WO2006043041A1 (en) Goal for a ball game
US1821918A (en) Basket ball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