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990B1 -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990B1
KR101971990B1 KR1020160125983A KR20160125983A KR101971990B1 KR 101971990 B1 KR101971990 B1 KR 101971990B1 KR 1020160125983 A KR1020160125983 A KR 1020160125983A KR 20160125983 A KR20160125983 A KR 20160125983A KR 101971990 B1 KR101971990 B1 KR 10197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en end
cap
cross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999A (ko
Inventor
조형래
이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스탠다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스탠다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스탠다드
Priority to KR1020160125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9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3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closure and the bottom presenting local co-operating elements, e.g. projections an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33Lift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65D2501/24006Details relating to bottle crates
    • B65D2501/24866Other details
    • B65D2501/24929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76Accessories for manipulating the pallet
    • B65D2519/00796Guiding means for fork-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Drain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는, 내부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로서 바닥면보다 개방단의 면적이 넓도록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1 캡을 포함하는 커버 박스 모듈;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가 상기 제1 하우징보다 적도록 형성되되, 바닥면보다 개방단의 면적이 좁은 형상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2 캡을 포함하는 이너 박스 모듈; 포함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개방단과 바닥면의 위치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제2 하우징의 바닥면 상측에 상기 제1 하우징의 바닥면이 맞닿도록 교차 적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수산물 양륙 전 또는 최종 운반단계 이후 등 하우징 내부가 빈 상태에서는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 교차 적재되도록 함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Fish Box Assembly for Cross Loading}
본 발명은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 교차 적재가 가능토록 형성된 어상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빈 상태에서는 적재 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내부에 수산물 등을 수용한 상태에서는 적재 안정성 및 운반 효율성 등을 보장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어상자는 수산물의 양륙 및 유통과정에서 수산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과거 나무 어상자가 많이 활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바닥에 선어를 부어 선별, 포장하는 바닥작업 등이 낙후된 위판 시스템의 위생성, 효율성 등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입된 선별 자동화 설비를 포함하는 현대화 위판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대형 어상자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대형 어상자는 수산물 양륙 단계, 어선 하역 및 운반 단계, 선별 단계 등에서 전반적으로 활용되는 바, 강도, 내구성, 경제성, 수산물의 위생성, 물류 이동의 편의성 등을 전반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며, 나아가 전자적 관리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RFID 칩 등을 내장토록 제작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기 대형 어상자는 현대화 위판 시스템에 적용되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며 위생적인 수산물 관리가 가능토록 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산물 양륙 전이나 최종 운반 이후 단계에서 내부가 빈 상태인 어상자를 적재하여 운반하는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 효율성이 떨어질뿐만 아니라 다수의 빈 어상자를 적재 시 적재 높이가 높아져 안전 사고 위험성도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 특허 제 2003-063527호 '신선 식료품 등을 반송하는 접철 가능한 유통용 용기'와, 한국 공개 특허 제 10- 2016-0031838호 '조립식 농수산물 포장상자'에서는, 운반 및 보관시에는 펼친 상태로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상자 형상으로 조립해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운송 면적을 적게 차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들은 사용시마다 각 상자를 조립해야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해 번거로움을 야기하고 작업 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유럽 등록 특허 제 2024242호 'System crate, in particular for transporting fresh fish'의 경우, 선어를 운반하기 위한 크레이트로서, 각 내부가 빈 상태의 각 크레이트가 적층되어 쌓일 수 있도록 형성한 것으로, 크레이트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크레이트 내벽의 수직단면을 계단형으로 구현하여 삽입된 크레이트의 바닥면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 기술은 크레이트를 복수 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는 하였으나, 각 크레이트가 모두 다른 크기로 형성되고 내벽도 계단식으로 형성하는 등 제조 및 활용에 번거로움이 발생한다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내부가 빈 상태에서는 적재 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내부에 수산물 등을 수용한 상태에서는 적재 안정성 및 운반 효율성 등을 보장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보다 신규하고 진보한 어상자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 문헌 0001) 일본 공개 특허 제 2003-063527호 (특허 문헌 0002)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6-0031838호 (특허 문헌 0003) 유럽 등록 특허 제 2024242호
본 발명은 내부가 빈 상태에서는 적재 시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내부에 수산물 등을 수용한 상태에서는 적재 안정성 및 운반 효율성 등을 강화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는, 내부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로서 바닥면보다 개방단의 면적이 넓도록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1 캡을 포함하는 커버 박스 모듈;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가 상기 제1 하우징보다 적도록 형성되되, 바닥면보다 개방단의 면적이 좁은 형상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2 캡을 포함하는 이너 박스 모듈; 포함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의 개방단과 바닥면의 위치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제2 하우징의 바닥면 상측에 상기 제1 하우징의 바닥면이 맞닿도록 교차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바닥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여, 교차 적재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개방단 둘레와 맞닿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개방단 둘레의 각 꼭지점 부위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제1 연장부를 수직 관통 형성한 제1 하우징 크레인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돌출부는, 교차 적재 시 상기 제1 하우징 크레인고리와 맞닿는 부위를 수직 관통한 제2 하우징 크레인고리를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캡은, 각 꼭지점 부위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부위를 수직 관통 형성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크레인고리와 연속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 캡 크레인고리를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바닥면의 양 단변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2 연장부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한 쌍의 제1 포크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캡은, 둘레 부위를 따라 함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커버 박스 모듈끼리의 적재 시 상기 제2 연장부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는 공간인 제1 라인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바닥면의 꼭지점 부위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블록에 장변 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여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교차 적재 시 상기 블록의 외측 모서리 일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연장부의 내면과 맞닿도록 배치된 제2 포크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내부 수용 공간의 하면 중앙 부위가 융기된 형상을 갖고, 각 측벽의 하부 일 측에는 각각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는,
1) 수산물 양륙 전 또는 최종 운반단계 이후 등 하우징 내부가 빈 상태에서는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 교차 적재되도록 하고, 캡은 각각 따로 적재 보관함으로써 적재 공간을 줄여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2) 수산물이 수용된 경우의 하우징과 캡, 교차 적재되는 경우 한 쌍의 하우징에 각각 형성되는 크레인고리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설계하여 운반과정 중 분리 및 분실을 예방하여 보다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토록 하며,
3) 정상 적재 및 교차 적재 시 각각 적용될 수 있는 물리적 고정 구조를 포함하여 적재 안정성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4) 배수를 위한 내부 하면 경사를 균형있게 배치함으로써 특정 부위로 수산물이 집중 배치되는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 어셈블리의 커버 박스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 어셈블리의 이너 박스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교차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어상자 어셈블리는 형상 및 구성이 상이하게 형성된 두가지 형태의 박스 모듈, 즉 제1 하우징과 제1 캡을 포함하는 커버 박스 모듈과 제2 하우징과 제2 캡을 포함하는 이너 박스 모듈을 포함하여, 내부에 수산물 등을 수용한 상태에서는 내부 수용 공간의 냉기 보존을 위하여 각 하우징에 대응되는 상기 각각의 캡을 적용한 후 각각의 모듈별로 적층하여 일반적인 방식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수산물 양륙 전 또는 최종 운반단계 이후 등 하우징 내부가 빈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교차 적재되도록 하고, 제1 캡과 제2 캡은 각각 따로 적재 보관함으로써 적재 공간을 줄여 공간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 어셈블리의 커버 박스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커버 박스 모듈(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 박스 모듈(100)은 제1 하우징(110)과 제1 캡(12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0)은, 내부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로서 적재나 운반 시 보다 안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직사각형인 직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수용 공간은 수산물 양륙 시에는 내부에 수산물을 담을 수 있고, 내부가 빈 상태에서는 상기 이너 박스의 제2 하우징(210)이 삽입된다. 이 때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형상은 바닥면보다 내부 수용 공간의 최상부인 개방단의 면적이 더 넓도록, 즉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110)에는 운반 과정에서 크레인 및 지게차 등과 호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하우징 크레인고리(111a)와 제1 포크홀(112a)이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에는 하우징의 개방단 둘레의 각 꼭지점 부위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제1 연장부(111)와, 상기 바닥면의 양 단변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2 연장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하우징 크레인고리(111a)는 상기 제1 연장부(111)의 일 측을 수직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포크홀(112a)은 상기 제2 연장부(112)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수평 관통한 한 쌍의 관통홀이다.
제1 캡(120)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것으로, 내부에 수산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냉기를 보존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수용 공간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1 캡(120)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개방단 내주면 부위와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캡(120) 및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개방단 내주면 부위는 서로 대응되는 부위를 함입 및 돌출시켜 단단히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폐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외 다른 결합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제1 캡(120)에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개방단을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크레인고리(111a)와 관통 부위가 연속적으로 대응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캡 크레인고리(121a)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캡 크레인고리(121a)는, 각 꼭지점 부위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제3 연장부(121)의 일 측을 수직 관통 형성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1 캡(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크레인고리(111a)와 연속적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크레인을 이용한 운반 작업 시 제1 하우징(110)과 제1 캡(120)의 각 크레인고리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커버 박스 모듈(100)은 제1 하우징(110) 내부에 수산물이 수용된 경우 상기 제1 캡(120)이 결합됨에 의해 내부 수용 공간의 냉기 보존이 보장된 상태로 복수 개 적재되는데, 이 때 적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하부에 배치된 커버 박스 모듈(100)의 제1 캡(120)에는, 상부에 적층된 커버 박스 모듈(100)의 제1 하우징(110)의 하부와의 고정력을 보다 강화시키는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캡(120)의 상면에는 둘레 부위를 따라 하방으로 함입 형성된 제1 라인홈(120a)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홈(120a)의 위치 및 역할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 박스 모듈(100)끼리 적재될 경우 상기 제1 캡(120)의 상면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하단 부위가 서로 접촉하게 되는데, 상기 제1 라인홈(120a)이 마련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하단 부위, 즉 상기 제2 연장부(112)의 하부가 상기 제1 라인홈(120a)에 삽입되어 비교적 단단하게 고정 적재될 수 있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적재 안정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 어셈블리의 이너 박스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기 이너 박스 모듈(200)도 상기 커버 박스 모듈(100)과 유사한 구성인 내부 수용 공간을 갖는 제2 하우징(210)과, 상기 제2 하우징(210)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뚜껑인 제2 캡(220)을 포함하되, 내부가 빈 상태에서 제2 하우징(210)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교차 적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210) 및 제2 캡(220)의 상세한 형상 및 구성은 상기 커버 박스 모듈(100)의 제1 하우징(110) 및 제1 캡(120)과 상이하게 형성된다.
제2 하우징(210) 역시 바닥면이 직사각형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 수용 공간을 갖되, 상기 제1 하우징(110)에 뒤집힌 상태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우징(110)의 형상과는 세로 방향 기준으로 반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바닥면이 넓고 개방단이 좁은 형태인 상협하광으로 형성되고, 삽입 과정에서 걸림이 없도록 네 개의 측벽 외면은 돌출된 부위가 없이 매끈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는 제1 하우징(110)보다 적도록, 즉 네 개의 측벽 외면의 둘레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 공간의 둘레보다 작거나 같아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 하우징(210)은 교차 적재 시(제1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삽입 시) 제1 하우징(110)과의 적재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추가적으로 크레인에 적용 시 운반효율을 더욱 높이도록 하기 위하여, 돌출부(211) 및 제2 하우징 크레인고리(21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1)는, 상기 제2 하우징(210)의 바닥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더 돌출된 부위로서, 제1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삽입될 경우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개방단 둘레와 맞닿아 삽입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돌출부(211)는 꼭지점 부위에서 각각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부위 일 측, 즉 교차 적재 시 상기 제1 하우징 크레인고리(111a)와 대응되는 부위를 수직 관통 형성한 제2 하우징 크레인고리(211a)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차 적재 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210)의 각 크레인고리가 서로 연결되어 한번에 크레인을 통해 운반될 수 있어 운반 과정 중 분리가 예방되어 작업 효율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210)에도 포크홀이 형성되어야 할 것인바, 제2 포크홀(212a)은 제1 포크홀(112a)과는 달리, 상기 바닥면의 꼭지점 부위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블록(212)의 일 측을 장변 방향으로 수평 관통한 것이다. 즉, 상기 블록(212)에 지게차 포크가 상기 바닥면의 단변과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는 방향인 바닥면의 장변 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한 것으로, 상술한 상기 제2 하우징 포크홀의 관통 방향은 상기 제1 포크홀(112a)과 동일하다. 이 때 상기 제2 포크홀(212a)은, 교차 적재 시 상기 블록(212)의 외측 모서리 일부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제2 연장부(112)의 내면과 맞닿도록 배치되어, 교차 적재 시 적재 안정성을 더욱 증가시키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측벽 모서리 중앙 부위에는, 음각 처리된 걸림 고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걸림 고리는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외측 측벽 모서리 일 측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공간인 함입홈(213a)과, 상기 함입홈의 상단 일 측에서 하방으로 상기 함입홈의 높이보다 작은 길이로 돌출 연장된 돌출고리(213b)를 포함하여, 개방부위가 없는 연속적인 띠라 할지라도 상기 함입홈(213a) 공간으로 삽입된 후 상기 돌출고리(213b)에 걸리는 방식으로 상기 제2 하우징(210)과 고정될 수 있어 크레인 뿐만 아니라 다양한 띠나 고리 등에 호환되어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교차 적재 시 방해 요소로 작용되면 안될 것이므로, 상기 걸림 고리는 일부라도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감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돌출고리(213b)는 상기 제2 하우징(210)의 모서리와 같은 라인 선상이거나 더 내측으로 들여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 캡(220)은, 제2 하우징(210)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것으로, 상기 이너 박스 모듈(200)끼리의 적재 시 상부에 적재되는 제2 하우징(210)의 하부에 돌출된 상기 제2 포크홀(212a)과의 고정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2 라인홈(220a)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제2 라인홈(220a)은 상기 제2 포크홀(212a)과 맞닿게 되는 부위에만 형성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포크홀(212a)과 맞닿는 부위를 포함하여 둘레 전체를 따라 함입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210)의 내부 수용 공간의 하면은 중앙 부위가 융기된 형상으로 구성되고, 각 측벽의 하부 중앙 부위에는 별도의 마개에 의해 필요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수홀(110a, 210a)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내부에 수산물 등을 수용한 경우 배수가 원활토록 하기 위해서는 내부 수용 공간의 하면을 경사지게 형성해야 할 것인바, 종래와 같이 일 측이 낮고 타 측이 높도록 1차원적으로 경사를 형성할 경우 수산물이 낮게 형성된 부위로 쏠려 해당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수산물 위생 및 적재 안정성 등에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중앙 부위가 상측으로 라운딩지게 돌출되도록 형성하였으며, 이에 따라 둘레 부위를 향해 하방 경사지게 구현됨으로써 특정 부위로 수산물이 집중 배치되는 현상을 완화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교차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상광하협의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협하광으로 상기 제1 하우징(110)보다 작은 사이즈인 상기 제2 하우징(210)은, 내부가 각각 빈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상기 제2 하우징(210)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교차 적재되어 공간 효율성을 높인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하우징(210)은 개방단과 바닥면의 위치가 뒤집어진 상태, 즉 상하로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삽입된 상기 제2 하우징(210)의 바닥면 상측에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바닥면이 맞닿도록 적재된다.
이 때 상기 제2 하우징(210)의 돌출부(211)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개방단 둘레와 대응되어 걸림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하우징(210)의 제2 포크홀(212a)의 외측 모서리 일부를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제2 연장부(112)가 감싸는 방식으로 적재되어, 적재 안정성을 강화시킨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커버 박스 모듈
110: 제1 하우징
110a: 배수홀
111: 제1 연장부
111a: 제1 하우징 크레인고리
112: 제2 연장부
112a: 제1 포크홀
120: 제1 캡
120a: 제1 라인홈
121: 제3 연장부
121a: 제1 캡 크레인고리
200: 이너 박스 모듈
210: 제2 하우징
210a: 배수홀
211: 돌출부
211a: 제2 하우징 크레인고리
212: 블록
212a: 제2 포크홀
213a: 함입홈
213b: 돌출고리
220: 제2 캡
220a: 제2 라인홈

Claims (7)

  1. 내부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로서 바닥면보다 개방단의 면적이 넓도록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1 캡을 포함하는 커버 박스 모듈;
    내부 수용 공간의 부피가 상기 제1 하우징보다 적도록 형성되되, 바닥면보다 개방단의 면적이 좁은 형상의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개방단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는 제2 캡을 포함하는 이너 박스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은 개방단과 바닥면의 위치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제2 하우징의 바닥면 상측에 상기 제1 하우징의 바닥면이 맞닿도록 교차 적재되되,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개방단 둘레의 각 꼭지점 부위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제1 연장부를 수직 관통 형성한 제1 하우징 크레인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바닥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교차 적재 시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제1 하우징 크레인고리와 맞닿는 부위를 수직 관통한 제2 하우징 크레인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은,
    각 꼭지점 부위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부위를 수직 관통 형성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크레인고리와 연속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 캡 크레인고리를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바닥면의 양 단변에서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2 연장부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한 쌍의 제1 포크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캡은,
    둘레 부위를 따라 함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커버 박스 모듈끼리의 적재 시 상기 제2 연장부의 하부가 삽입 고정되는 공간인 제1 라인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바닥면의 꼭지점 부위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블록에 장변 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여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교차 적재 시 상기 블록의 외측 모서리 일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제2 연장부의 내면과 맞닿도록 배치된 제2 포크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내부 수용 공간의 하면 중앙 부위가 융기된 형상을 갖고,
    각 측벽의 하부 일 측에는 각각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
KR1020160125983A 2016-09-30 2016-09-30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 KR10197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983A KR101971990B1 (ko) 2016-09-30 2016-09-30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983A KR101971990B1 (ko) 2016-09-30 2016-09-30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999A KR20180035999A (ko) 2018-04-09
KR101971990B1 true KR101971990B1 (ko) 2019-04-24

Family

ID=6197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983A KR101971990B1 (ko) 2016-09-30 2016-09-30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9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0934A1 (en) * 2014-05-27 2015-12-03 Rotogal, S.L. Isothermal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527A (ja) 2001-06-11 2003-03-05 Yuushin System:Kk 生鮮食料品等を搬送する折り畳み可能な流通用容器
DE102006025198A1 (de) 2006-05-29 2007-12-06 "Deutsche See" Gmbh Systemkiste insbesondere für den Transport von frischem Fisch
KR100826901B1 (ko) * 2006-09-12 2008-05-06 정회립 활 패류와 갑각류 전용 포장상자
KR20160031838A (ko) 2014-09-15 2016-03-23 유옥수 조립식 농수산물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0934A1 (en) * 2014-05-27 2015-12-03 Rotogal, S.L. Isothermal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999A (ko) 201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6113B2 (en) Storage system with improved pole securement system
US4785957A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CA1162863A (en) Shipping pallet and a package formed therefrom
US5344021A (en) Molded crate with interlocking rim appliances
US20060237341A1 (en) Stacking container
US20110132801A1 (en) Container
CA2537563C (en) Article accommodating case
US6349656B1 (en) Nestable containment tray for a hazardous material spill pallet
EP2655203B1 (en) Hybrid shipping container
US10723503B2 (en) Shipping container
US20220250783A1 (en) Nestable bottle crate
KR20210113267A (ko) 펠릿 모듈 모음, 및 펠릿 모듈로 형성되는 펠릿 조립체
US20020096450A1 (en) Tapered stackable can
KR101971990B1 (ko) 교차 적재가 가능한 어상자 어셈블리
US20120285951A1 (en) Collapsible crate
JP2000085773A (ja) 運搬用容器
EP3366602B1 (en) System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perishable products
JP2005206246A (ja) 発泡合成樹脂容器
KR200149468Y1 (ko) 적층패널을 사용한 과일상자
KR200328902Y1 (ko) 식품 보관용기
JPH11130069A (ja) 断熱容器
CN213893418U (zh) 一种水产品物流运输周转箱
KR200460812Y1 (ko) 파레트를 이용한 패키징 컨테이너
KR200237429Y1 (ko) 포장용 상자
KR200262370Y1 (ko) 물류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