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187B1 -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187B1
KR101971187B1 KR1020170035575A KR20170035575A KR101971187B1 KR 101971187 B1 KR101971187 B1 KR 101971187B1 KR 1020170035575 A KR1020170035575 A KR 1020170035575A KR 20170035575 A KR20170035575 A KR 20170035575A KR 101971187 B1 KR101971187 B1 KR 101971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select
gear
shaft
contro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758A (ko
Inventor
황윤식
김재은
권기현
이원호
신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Priority to KR102017003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18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1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characterised by linkages converting movement, e.g. into opposite direction by a pivoting lever linking two shift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 F16H2063/306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using screw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 F16H2063/3066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using worm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시프트 작동과 셀렉트 작동의 간섭을 피하고, 시프트 스트로크와 셀렉트 스트로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는, 변속기의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하여 회전 및 축 방향 이동되고 콘트롤 핑거를 구비하는 콘트롤 샤프트, 상기 콘트롤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시프트 기구부, 및 상기 콘트롤 샤프트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셀렉트 기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프트 기구부는 회전하는 시프트 모터, 상기 시프트 모터에 연결되는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 상기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에 기어 결합되는 시프트 스크류 너트, 및 상기 시프트 스크류 너트에 기어 결합되고 상기 콘트롤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시프트 스크류 너트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콘트롤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시프트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셀렉트 기구부는 회전하는 셀렉트 모터, 상기 셀렉트 모터에 연결되는 셀렉트 샤프트, 상기 셀렉트 샤프트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셀렉트 웜/웜휠 기어, 상기 셀렉트 웜/웜휠 기어의 웜휠 기어와 같은 축에 장착되는 셀렉트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셀렉트 피니언 기어에 기어 결합되고 상기 콘트롤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셀렉트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콘트롤 샤프트와 함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셀렉트 랙 기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Gear Actuator of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변속기 작동 기반으로 자동화 변속기를 구현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 수동변속기(AMT;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는 외접 기어셋트와 기계식 클러치로 구성된 수동변속기의 간단한 구조와 경제적인 연비를 유지하면서 자동변속기의 편리한 조작 구조와 변속 알고리즘을 갖도록 구성된 변속기이다.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수동변속기의 구조에 엔진의 회전수와 변속타이밍에 따라 클러치와 변속레버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는 시프트 작동과 셀렉트 작동으로 변속기에서 변속을 구현하는 데, 시프트 작동과 셀렉트 작동의 간섭을 피하고, 시프트 스트로크와 셀렉트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질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54956호(2008. 06. 19.)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시프트 작동과 셀렉트 작동의 간섭을 피하고, 시프트 스트로크와 셀렉트 스트로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키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는, 변속기의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하여 회전(시프트 작동) 및 축 방향 이동(셀렉트 작동)되고 콘트롤 핑거를 구비하는 콘트롤 샤프트, 상기 콘트롤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시프트 기구부, 및 상기 콘트롤 샤프트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셀렉트 기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프트 기구부는 회전하는 시프트 모터, 상기 시프트 모터에 연결되는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 상기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에 기어 결합되는 시프트 스크류 너트, 및 상기 시프트 스크류 너트에 기어 결합되고 상기 콘트롤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시프트 스크류 너트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콘트롤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시프트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셀렉트 기구부는 회전하는 셀렉트 모터, 상기 셀렉트 모터에 연결되는 셀렉트 샤프트, 상기 셀렉트 샤프트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셀렉트 웜/웜휠 기어, 상기 셀렉트 웜/웜휠 기어의 웜휠 기어와 같은 축에 장착되는 셀렉트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셀렉트 피니언 기어에 기어 결합되고 상기 콘트롤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셀렉트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콘트롤 샤프트와 함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셀렉트 랙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시프트 핑거와 상기 셀렉트 랙 기어는 상기 콘트롤 샤프트 상에서 회전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각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D)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시프트 스크류 너트는 치형이 변형된 제1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핑거는 치형이 변형되어 상기 제1기어부에 마주하여 조립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기어 결합되는 상기 시프트 스크류 너트의 길이 및 상기 시프트 핑거의 호 길이 중 최소값은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시프트 스트로크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셀렉트 랙 기어의 길이는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셀렉트 스트로크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프트 기구부에 서로 기어 결합되는 시프트 스크류 너트와 시프트 핑거를 구비하고, 셀렉트 기구부에 셀렉트 웜/웜휠 기어, 셀렉트 피니언 기어 및 셀렉트 랙 기어를 구비하므로, 콘트롤 샤프트 및 콘트롤 핑거의 시프트 작동(회전)과 셀렉트 작동(축 방향 이동)의 간섭을 피하고, 시프트 스트로크와 셀렉트 스트로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프트 스크류 너트와 시프트 핑거에 서로 결합되도록 치형이 변형된 제1, 제2기어부를 구비하여 일치시키므로 조립의 편의성을 확보하고, 셀렉트 웜/웜휠 기어를 구비하여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보다 셀렉트 샤프트를 더 짧게 형성하므로 컴팩트한 구성으로 차량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시프트 기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시프트 기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하방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후방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는 시프트 기구부(1)와 셀렉트 기구부(2), 및 콘트롤 샤프트(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프트 기구부(1)와 셀렉트 기구부(2)는 콘트롤 샤프트(3)를 회전 및 축 방향 이동으로 작동하여, 시프트 작동 및 셀렉트 작동시킬 수 있는 기구적인 구조물이다.
즉 셀렉트 기구부(2)의 셀렉트 작동에 따라 콘트롤 샤프트(3)가 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어, 콘트롤 샤프트(3)에 구비되어 있는 콘트롤 핑거(31)는 각 변속단을 선택하는 복수의 시프트 러그들(미도시)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시프트 기구부(1)의 시프트 작동에 따라 콘트롤 샤프트(3)가 회전하여, 콘트롤 샤프트(3)에 구비되어 있는 콘트롤 핑거(31)는 선택된 시프트 러그(미도시)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선택된 변속단의 변속을 구현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콘트롤 핑거(31)에 의하여 선택된 시프트 러그가 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선택된 시프트 러그에 결합된 시프트 레일이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시프트 레일에 구비되어 있는 시프트 포크가 싱크로나이저 슬리브를 축 방향으로 움직여서, 선택된 변속단의 변속을 완성한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시프트 기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시프트 기구부(1)는 시프트 모터(11), 시프트 감속기어(12),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13), 시프트 스크류 너트(14) 및 시프트 핑거(15)를 포함한다. 일례로써, 시프트 모터(11)는 BLDC(Brushless DC)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13)는 시프트 감속기어(12)를 통하여 시프트 모터(11)의 회전력으로 회전한다. 시프트 스크류 너트(14)는 내주면으로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13)에 기어 결합된다. 시프트 스크류 너트(14)는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13)의 회전에 따라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13) 상에서 축 방향(x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를 위하여, 시프트 스크류 너트(14)는 일측에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13)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공(141)을 구비하고, 장공(14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142)를 구비한다. 시프트 스크류 너트(14)는 장공(141)으로 지지부재(142)에 지지되면서 축 방향(x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시프트 핑거(15)는 시프트 스크류 너트(14)에 마주하여 콘트롤 샤프트(3)에 고정 장착되고, 시프트 스크류 너트(14)에 기어 결합된다. 따라서 시프트 스크류 너트(14)의 x축 방향 직선 이동은 시프트 핑거(15)를 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콘트롤 샤프트(3)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콘트롤 샤프트(3)는 콘트롤 핑거(31)를 회전시킨다.
시프트 스크류 너트(14)는 시프트 핑거(15)를 향하여 평면 랙 기어로 형성되고, 시프트 핑거(15)는 평면 랙 기어에 결합되는 부분 원호형 스퍼어 기어로 형성된다. 시프트 스크류 너트(14)와 시프트 핑거(15)의 기어는 콘트롤 샤프트(3)의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시프트 핑거(15)의 x축 방향 이동과 콘트롤 샤프트(3)의 z축을 중심으로 회전은 셀렉트 기구부(2)에 의하여 방해 받지 않게 된다. 즉, 시프트 스크류 너트(14)와 시프트 핑거(15)의 기어는 셀렉트 기구부(2)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시프트 스크류 너트(14)의 길이 및 시프트 핑거(15)의 호 길이 중 최소값은 시프트 스트로크(S1, 도 4 참조)를 설정한다. 이때, 셀렉트 기구부(2)에서 콘트롤 샤프트(3)에 의하여 회전하는 셀렉트 랙 기어(25)는 셀렉트 피니언 기어(2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시프트 스트로크(S1)를 제한하지 않는다. 셀렉트 랙 기어(25)는 셀렉트 피니언 기어(24)와 결합될 수 있도록 z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으로 시프트 스트로크(S1)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시프트 기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시프트 스크류 너트(14)는 치형이 변형된 제1기어부(144)를 구비하고, 시프트 핑거(15)는 치형이 변형된 제2기어부(155)를 구비한다.
제1기어부(144)는 시프트 스크류 너트(14)에서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13) 축 방향(x축 방향)의 중간에 치형이 변형되어 형성된다. 제2기어부(155)는 시프트 핑거(15)에서 원주 방향(z축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 중간에 치형이 변형되어 형성된다. 제2기어부(155)는 제1기어부(144)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제1, 제2기어부(144, 155)는 시프트 스크류 너트(14)와 시프트 핑거(15)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콘트롤 샤프트(3)의 원점 정열이 용이해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셀렉트 기구부(2)는 셀렉트 모터(21), 셀렉트 샤프트(22), 셀렉트 웜/웜휠 기어(23; 213/232), 셀렉트 피니언 기어(24) 및 셀렉트 랙 기어(25)를 포함한다. 일례로써, 셀렉트 모터(21)는 BLDC(Brushless DC)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셀렉트 샤프트(22)는 셀렉트 모터(21)의 회전력으로 회전한다. 직각으로 교차하여 설치되는 셀렉트 웜/웜휠 기어(23; 231/232)는 셀렉트 샤프트(22)의 회전에 따라 직각으로 방향 전환되어 셀렉트 피니언 기어(24)를 회전시킨다. 셀렉트 피니언 기어(24)는 웜휠 기어(232)와 같은 축(233)에 장착된다. 축(233)과 셀렉트 샤프트(22)는 직각으로 교차한다.
셀렉트 피니언 기어(24)는 외주면으로 셀렉트 랙 기어(25)에 기어 결합된다. 셀렉트 피니언 기어(24)는 셀렉트 샤프트(22)의 회전에 따라 셀렉트 웜/웜휠 기어(23; 231/232)를 통하여 회전한다.
셀렉트 랙 기어(25)는 셀렉트 피니언 기어(24)에 마주하여 콘트롤 샤프트(3)에 고정 장착되고, 셀렉트 피니언 기어(24)에 기어 결합된다. 따라서 셀렉트 피니언 기어(24)의 회전은 셀렉트 랙 기어(25)를 축 방향(z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콘트롤 샤프트(3)가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콘트롤 샤프트(3)는 콘트롤 핑거(31)를 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셀렉트 피니언 기어(24)는 셀렉트 랙 기어(25)를 향하여 스퍼어 기어로 형성되고, 셀렉트 랙 기어(25)는 셀렉트 피니언 기어(24)에 결합되는 부분 원호형 스퍼어 기어로 형성된다. 셀렉트 피니언 기어(24)와 셀렉트 랙 기어(25)는 콘트롤 샤프트(3)의 축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직선 및 z축 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로 형성된다.
따라서 셀렉트 피니언 기어(24)의 회전과 셀렉트 랙 기어(25)의 z축 방향 이동은 시프트 기구부(1)에 의하여 방해 받지 않게 된다. 즉 셀렉트 피니언 기어(24)와 셀렉트 랙 기어(25)는 시프트 기구부(1)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셀렉트 랙 기어(25)의 길이는 셀렉트 스트로크(S2, 도 6 참조)를 설정한다. 이때, 시프트 기어부(1)에서 콘트롤 샤프트(3)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프트 핑거(15)는 시프트 스크류 너트(1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셀렉트 스트로크(S2)를 제한하지 않는다. 즉 시프트 핑거(15)는 시프트 스크류 너트(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z축 방향으로 셀렉트 스트로크(S2)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도 5는 도 1의 하방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프트 핑거(15)와 셀렉트 랙 기어(25)는 콘트롤 샤프트(3) 상에서 회전 방향(z축 방향을 중심으로 함)으로 설정된 각도(θ, 예를 들면, 90도) 방향으로 배치되고, 콘트롤 샤프트(3)의 축 방향(z축 방향)에서 설정된 거리(D)로 서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즉 시프트 핑거(15)에서 호의 중심선(L15)와 셀렉트 랙 기어(25)에서 호의 중심선(L25)는 콘트롤 샤프트(3)를 중심으로 하여 각도(θ, 90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셀렉트 랙 기어(25)는 x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13)와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y, x축 방향으로 교차하는 웜/웜휠 기어(23, 231/232)와 x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셀렉트 샤프트(22)로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그리고 셀렉트 샤프트(22)는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13)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는 컴팩트한 구성을 이루어 차량에서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후방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셀렉트 웜/웜휠 기어(23; 213/232) 및 셀렉트 피니언 기어(24)는 시프트 작동 및 셀렉트 작동에 대한 간섭을 회피시키고, 시프트 스크류 너트(14)와 시프트 핑거(15)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프트 스트로크(S1)를 대변위로 유지하면서, 셀렉트 피니언 기어(24)와 셀렉트 랙 기어(25)에 의하여 설정되는 셀렉트 스트로크(S2)를 대변위로 확보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는 다양한 변속기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변속기의 특정 단을 선택하기 위하여, 셀렉트 기구부(2)와 시프트 기구부(1)의 작동과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구동신호를 받은 셀렉트 모터(21)가 구동하면서 회전하는 셀렉트 샤프트(22)에 연결되는 웜/웜휠 기어(23; 231/232)가 회전한다. 윔휠 기어(232)와 동일 축(233)에 장착되는 셀렉트 피니언 기어(24)가 회전하여, 이에 기어 결합되는 셀렉트 랙 기어(25)가 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콘트롤 샤프트(3)에 구비된 콘트롤 핑거(31)가 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변속단에 대응하는 시프트 러그를 선택한다.
이어서, 시프트 기구부(1)의 시프트 모터(11)가 구동하면, 회전하는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13) 상의 시프트 스크류 너트(14)가 직선 이동하고, 이에 기어 결합된 시프트 핑거(15)가 회전한다. 시프트 핑거(15)가 장착된 콘트롤 샤프트(3)는 회전한다(z축을 회전 중심으로 함). 따라서 콘트롤 샤프트(3)에 구비된 콘트롤 핑거(31)가 회전하면서 선택된 시프트 러그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시프트 러그에 연결된 시프트 레일이 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시프트 포크가 싱크로나이저 슬리브를 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선택된 변속단의 변속이 구현된다. 이로써 변속기의 변속단이 변경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시프트 기구부 2: 셀렉트 기구부
3: 콘트롤 샤프트 11: 시프트 모터
12: 시프트 감속기어 13: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
14: 시프트 스크류 너트 15: 시프트 핑거
21: 셀렉트 모터 22: 셀렉트 샤프트
23; 213/232: 셀렉트 웜/웜휠 기어 24: 셀렉트 피니언 기어
25: 셀렉트 랙 기어 31: 콘트롤 핑거
141: 장공 142: 지지부재
144: 제1기어부 155: 제2기어부
D: 거리 θ: 각도(90도)

Claims (5)

  1. 변속기의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하여 회전 및 축 방향 이동되고 콘트롤 핑거를 구비하는 1개의 콘트롤 샤프트;
    상기 콘트롤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1개의 시프트 기구부; 및
    상기 콘트롤 샤프트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셀렉트 기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시프트 기구부는
    회전하는 시프트 모터,
    상기 시프트 모터에 연결되는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
    상기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에 기어 결합되는 시프트 스크류 너트, 및
    상기 시프트 스크류 너트에 기어 결합되고 상기 콘트롤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시프트 스크류 너트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콘트롤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시프트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셀렉트 기구부는
    회전하는 셀렉트 모터,
    상기 셀렉트 모터에 연결되는 셀렉트 샤프트,
    상기 셀렉트 샤프트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셀렉트 웜/웜휠 기어,
    상기 셀렉트 웜/웜휠 기어의 웜휠 기어와 같은 축에 장착되는 셀렉트 피니언 기어, 및
    상기 셀렉트 피니언 기어에 기어 결합되고 상기 콘트롤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셀렉트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콘트롤 샤프트와 함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셀렉트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스크류 너트는
    일측에 상기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장공을 구비하고,
    상기 장공은
    지지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셀렉트 샤프트는
    상기 시프트 샤프트 스크류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핑거와 상기 셀렉트 랙 기어는
    상기 콘트롤 샤프트 상에서 회전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각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D)로 이격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스크류 너트는
    치형이 변형된 제1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핑거는
    치형이 변형되어 상기 제1기어부에 마주하여 조립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서로 기어 결합되는 상기 시프트 스크류 너트의 길이 및 상기 시프트 핑거의 호 길이 중 최소값은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시프트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랙 기어의 길이는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셀렉트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KR1020170035575A 2017-03-21 2017-03-21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KR101971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575A KR101971187B1 (ko) 2017-03-21 2017-03-21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575A KR101971187B1 (ko) 2017-03-21 2017-03-21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758A KR20180106758A (ko) 2018-10-01
KR101971187B1 true KR101971187B1 (ko) 2019-04-22

Family

ID=6387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575A KR101971187B1 (ko) 2017-03-21 2017-03-21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853B1 (ko) * 2019-11-05 2021-04-2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변속기 액추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8791A (zh) * 2019-09-29 2019-12-17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用于变速器的自动换挡机构
CN112901722A (zh) * 2020-08-10 2021-06-04 丰疆智能软件科技(南京)有限公司 换挡执行装置和换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8775A (ja) * 2006-12-01 2008-06-19 Bosch Corp 変速機操作装置
KR101699629B1 (ko) * 2015-11-25 2017-01-24 현대다이모스(주)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373B1 (ko) 2006-12-14 2008-08-08 에이디텍스(주) 수동 변속기용 자동 변속 조작 장치
KR101185813B1 (ko) * 2010-01-06 2012-10-02 동환산업 주식회사 수동변속기 장착용 자동변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8775A (ja) * 2006-12-01 2008-06-19 Bosch Corp 変速機操作装置
KR101699629B1 (ko) * 2015-11-25 2017-01-24 현대다이모스(주)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853B1 (ko) * 2019-11-05 2021-04-2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변속기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758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9155B2 (ja) 自動車伝動機構装置のギヤ段をセレクト及びシフトする、スライダ機構を備えるシングルモータ型伝動機構アクチュエータ
KR101971187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구동장치
KR101699629B1 (ko) 더블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장치
US8505403B2 (en) Gear shifting actuator and method of shifting gear ratios
JP7085557B2 (ja) 歯車シフトアクチュエータ用の運動伝達装置
US8079283B2 (en) Device for activating gearshift forks
JP6351709B2 (ja) 自動車伝動装置用の伝動装置アクチュエータ及び伝動装置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法
CN108071790B (zh) 线控换挡式自动变速器的促动器
RU2559665C2 (ru) Система с поводковым элементом механизма переключения передач
KR100933768B1 (ko) 리드스크류 축을 이용한 듀얼 클러치 변속기용 작동기
KR101603795B1 (ko) 듀얼클러치 변속기의 변속장치
US8381606B2 (en) Transmission with reverse idler gear synchronization system
KR101090984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용 작동기
KR101628104B1 (ko) 차량용 변속조작기구
KR20090040074A (ko)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변속액츄에이터
US20110138958A1 (en) Shift fork with two shift jaws for a gearbox
KR101645709B1 (ko) 듀얼클러치 변속장치
KR20150049132A (ko) 수동변속기 오조작 방지 장치
KR101637513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구동장치
KR101592643B1 (ko) 기어 시프트 유닛
KR20170003174A (ko) 기어 변속장치
KR102634822B1 (ko) 수동변속기 컨트롤장치
JP2004308678A (ja) 自動変速装置
KR20170071695A (ko) 차량용 기어 변속기구
JP2007270946A (ja) レンジ式変速機のシフ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