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106B1 -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 Google Patents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106B1
KR101970106B1 KR1020180106516A KR20180106516A KR101970106B1 KR 101970106 B1 KR101970106 B1 KR 101970106B1 KR 1020180106516 A KR1020180106516 A KR 1020180106516A KR 20180106516 A KR20180106516 A KR 20180106516A KR 101970106 B1 KR101970106 B1 KR 101970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unit
driving
link
link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천
염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0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침사지의 개방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침사지의 하부에 위치한 이물질이 상부로 인양하도록 지지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침사지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비된 주행프레임부;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의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는 구동부;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폐곡선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구동에 의해 무한 궤도로 회절가능하게 복수로 연결된 링크체인으로 이동되어 상기 침사지의 하부에 위치한 기설정된 영역의 이물질을 버켓몸체로 긁어 담아서 상부 방향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구비된 인양부;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의 링크 체인 부분에 함께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장력의 변화량만큼 이동하면서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장력조절부;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장력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양부의 작동을 장력을 조절하면서 구동하고,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제어하여 주행하도록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Travelling Truck Type Sludge Salvaging Device Used of Link-Chain}
본 발명은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 등의 침사지에 설치되어 모래와 자갈의 퇴적영역에 따라 주행하면서 인양을 실시하는 버켓의 구동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여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고장 및 그로 인한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와 하수도에서 오수와 폐수를 처리하는 정화 처리 장치에 유입되는 오염수를 일차적으로 모래와 자갈을 인양에 의해 배출하도록 1차로 물리적인 정화 장치인 침사 인양기가 설치된다.
이런, 침사 인양기는, 통상 사각 탱크 형태로 된 토목 구조물인 침사지 바닥에 쌓인 모래 기타 이물질을 버켓(bucket)으로 긁어내어 침사지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각의 침사지 상방에 설치된 구동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침사지 내에 그 폭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축과 각 축에 장착된 스프라켓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들 스프라켓에 걸려 있는 2열의 무단 체인과 이들 무단 체인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된 플레이트(plate)를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침사지의 바닥에 쌓여 있는 모래 등을 긁어내어 침사지의 한쪽 옆에 구비된 별도의 수집통으로 옮겨 담는다.
상술된 침사지 바닥에 쌓여 있는 모래 기타 이물질은, 특히 하수 처리장의 경우, 단순히 수분만을 함유하는 정도에 그치지 않고, 악취를 동반한 점액질의 오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종래 기술의 침사 인양기는 각각의 침사지의 내부로 복수 위치에 스프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어 버켓이 고정된 체인을 지지하고, 구동모터를 스프라켓에 연결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버켓이 이물질을 퍼 올리도록 이동시키도록 구비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침사 인양기는 모래와 물이 유입되는 침사지의 내부에 복수의 스프라켓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모래와 자갈이 혼입되어 있는 오염수의 유입 시에 스프라켓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끼임에 의해 회전 시 부하가 발생되어 모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스프라켓이 오염수의 접촉에 의해 부식이나 손상이 발생되어 자주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이 지체되고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회전되는 스프라켓과 오염수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단순한 구조로 비용을 절감하면서 교체 주기와 수명을 증대시키는 침사 인양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처리장 등의 침사지에 설치되어 복수의 링크를 회절 가능하도록 체인형태로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모래와 자갈의 퇴적영역을 이동하면서 인양을 실시하고, 침사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인양을 실시할 수 있어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여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고장 및 그로 인한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는 침사지의 개방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침사지의 하부에 위치한 이물질이 상부로 인양하도록 지지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침사지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비된 주행프레임부;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의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는 구동부;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폐곡선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구동에 의해 무한 궤도로 회절가능하게 복수로 연결된 링크체인으로 이동되어 상기 침사지의 하부에 위치한 기설정된 영역의 이물질을 버켓몸체로 긁어 담아서 상부 방향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구비된 인양부; 상기 프레임몸체부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의 링크 체인 부분에 함께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장력의 변화량만큼 이동하면서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장력조절부;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장력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양부의 작동을 장력을 조절하면서 구동하고,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제어하여 주행하도록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행프레임부는, 상기 침사지의 개방된 상부에서 이물질이 퇴적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프레임 형태로 이물질의 수거를 지지하는 프레임몸체; 상기 프레임몸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에서 인양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이물질배출체; 상기 프레임몸체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사지의 개방된 상부에서 주행되는 위치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몸체와 함께 상기 침사지의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대차 형태로 구비된 주행대차; 상기 주행대차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대차가 주행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주행모터; 및 상기 주행대차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행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주행되는 주행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몸체의 하부에 상기 인양부가 이물질을 긁어내는 영역에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의 상기 버켓몸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몸체의 하부에 일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에서 이물질이 긁어내어 상부로 이동하는 일측 끝에 위치하여 상기 버켓몸체에 수납되는 이물질이 걸리면서 내부로 깊이 수납되는 라운드형 받침대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치된 버켓받침체; 및 상기 프레임몸체의 하부 일측에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의 양측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인양부에 양측에서 이물질을 긁어내는 방향으로 수집되도록 구비된 외부수집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몸체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이물질배출체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양부의 작동에 의해 투입되는 이물질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인양부에 이물질이 잔존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사세척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위치에서 회전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 일측에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체인이 전후면이 접촉되는 위치로 삽입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되어 다각 형태로 각각의 변마다 회절되는 하나의 상기 링크체인이 위치하여 회전 시 이동되도록 구비된 구동스프라켓; 및 상기 구동스프라켓의 다각형태의 각 모서리 위치에 서로 떨어진 간격을 연결하는 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링크체인의 회절되는 위치에 걸림되어 회전 시에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구동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양부는,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구동부와 상기 장력조절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자중에 의해 상기 침사지의 이물질이 긁어 담는 영역을 통과하도록 상기 주행프레임부에 가이드되도록 구비되며, 복수로 회절 가능하게 배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장력조절부에서 장력이 조절되면서 이동되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의 링크 형태로 구비된 링크체인; 복수의 상기 링크체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링크체인이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장력조절부에 삽입 걸림되도록 면적이 축소되는 링크연결체; 한쌍의 상기 링크체인의 기설정된 간격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링크체인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침사지의 하부 위치 시에 이물질을 긁어 담고,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주행프레임부로 담겨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설치된 버켓몸체; 및 상기 버켓몸체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크체인과 고정되어 상기 버켓몸체와 함께 이동되고, 돌출된 양측의 하부가 상기 주행프레임부에 가이드되는 버켓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와 떨어진 타측으로 상기 인양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위치에 구비된 회전지지몸체; 상기 회전지지몸체의 일측에 축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지지축; 상기 주행프레임부와 상기 회전지지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장력 조절 시에 상기 회전지지몸체와 상기 회전지지축을 조절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몸체; 상기 슬라이딩몸체의 일측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몸체의 이동되는 방향으로 작동되는 작동력을 제공하는 조절실린더;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 타측에 상기 회전지지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체인이 전후면이 접촉되는 위치로 삽입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되어 다각 형태로 각각의 변마다 회절되는 하나의 상기 링크체인이 위치하여 장력이 조절되면서 이동되도록 구비된 조절스프라켓; 및 상기 조절스프라켓의 다각형태의 각 모서리 위치에 서로 떨어진 간격을 연결하는 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링크체인의 회절되는 위치에 걸림되어 회전 시에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조절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인양부를 인양하는 회전력 발생 시에 상기 인양부의 이물질의 인양되는 적재량의 증대로 인한 장력의 변화량을 상기 구동부의 회전 부하 증대로 측정하는 부하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측정센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부하측정센서에서 측정된 회전력 부하값을 장력 변화량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부하감지부; 상기 부하감지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부하감지부에서 감지된 장력 변화량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장력 변화량이 기설정된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작동하여 주행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와 상기 장력조절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측정된 장력값에 따라 상기 장력조절부가 이동되는 이동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장력조절부를 제어하는 장력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프레임부에서 상기 인양부가 이물질을 긁어 올리는 하부에서 상기 구동부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위치에 서로 다른 각도로 복수로 설치되어 상기 인양부에서 인양되는 적재량 증대로 인한 장력의 변화량을 상기 인양부의 각도 변화로 측정하는 각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도센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인양부의 각도 변화값을 장력 변화량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각도감지부; 상기 각도감지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장력 변화량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장력 변화량이 기설정된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작동하여 주행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와 상기 장력조절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측정된 장력값에 따라 상기 장력조절부가 이동되는 이동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장력조절부를 제어하는 장력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는 하수처리장 등의 침사지에 설치되어 복수의 링크를 회절 가능하도록 체인형태로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모래와 자갈의 퇴적영역을 이동면서 인양을 실시하고, 침사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인양을 실시할 수 있어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여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고장 및 그로 인한 지연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는 복수의 바 형태의 링크가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인양 영역에 위치함에 따라 구동되는 부분과 장력을 조절하는 부분만 스프라켓을 설치하여 구동함에 따라 스프라켓 설치 수량을 축소하여 제작 비용이 감소되고, 스프라켓과 같은 회전 부분이 오염수와 이물질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교체 주기와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는 체인형태의 링크가 인양되는 부하에 따른 장력을 측정하여 측정값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도록 유지함에 따라 장력 변화에 따른 파손이나 작동 중지를 최소화하여 작동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의 제어부를 통해서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의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의 제어부를 통해서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100)는 각종 정화시설에 일차적으로 유입되는 대략 사각의 지중에 매립된 관로 형태의 침사지에서 물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와 자갈을 버켓을 이용하여 긁어 올려 제거함에 있어, 침사지의 길이방향으로 주행 대차를 통해서 이동하면서 효율적으로 모래와 자갈을 인양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런,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100)는 침사지의 개방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프레임 형태로 설치된 주행프레임부(110), 구동부(120), 인양부(130), 장력조절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주행프레임부(110)는 침사지의 개방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침사지의 하부에 위치한 이물질이 상부로 인양하도록 지지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고, 침사지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주행프레임부(110)는 프레임몸체(111), 이물질배출체(112), 분사세척체(112a), 주행대차(113), 주행모터(114), 주행바퀴(115), 가이드돌기(116), 버켓받침체(117), 외부수집돌기(118), 및 각도센서(119)를 포함한다.
프레임몸체(111)는 침사지의 개방된 상부에서 이물질이 퇴적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프레임 형태로 이물질의 수거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프레임몸체는 침사지의 외부 상부에 위치하는 구동부(120)와 장력조절부(140)를 지지하면서 인양부(130)가 상부에서 하부를 거쳐서 모래와 자갈의 인양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물질배출체(112)는 프레임몸체(11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인양부(130)에서 인양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물질배출체(112)는 구동부(120)와 장력조절부(14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력조절부(140)로 장력이 조절된 구동부(120)에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인양부(130)가 긁어 모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분사세척체(112a)는 프레임몸체(111)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물질배출체(112)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어 인양부의 작동에 의해 투입되는 이물질에 공기를 분사하여 인양부(130)에 이물질이 잔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분사세척체는 공기를 분사한다고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즉, 분사세척체(112a)는 이물질의 잔존을 제거하기 위해서 공기와 함께 세척액을 함께 분사하거나, 세척액만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주행대차(113)는 프레임몸체(111)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침사지의 개방된 상부에서 주행되는 위치로 돌출되어 프레임몸체(111)와 함께 침사지의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대차 형태로 구비된다.
주행모터(114)는 주행대차(113)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주행대차(113)가 주행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주행바퀴(115)는 주행대차(113)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주행모터(114)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주행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돌기(116)는 프레임몸체(111)의 하부에 인양부(130)가 이물질을 긁어내는 영역에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인양부(130)의 버켓몸체(133)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돌기(116)는 인양부(130)의 버켓몸체(133)에 지지부분의 하부를 지지하여 이물질이 긁어내는 과정 중에서 하부를 지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버켓받침체(117)는 프레임몸체(111)의 하부에 일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인양부(130)에서 이물질이 긁어내어 상부로 이동하는 일측 끝에 위치하여 버켓몸체(133)에 수납되는 이물질이 걸리면서 내부로 깊이 수납되는 라운드형 받침대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치된다. 버켓받침체(117)는 인양부(130)의 버켓몸체(133)가 긁어서 올려지는 일측 끝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들어 올릴 때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하기 위해서 개방된 일측방향을 일시적으로 받쳐서 이물질이 버켓몸체(133)에 수납되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외부수집돌기(118)는 프레임몸체(111)의 하부 일측에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인양부(130)의 양측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 돌출되어 인양부(130)에 양측에서 이물질을 긁어내는 방향으로 수집되도록 구비된다. 외부수집돌기(118)는 프레임몸체(111)의 하부 양측으로 버켓몸체(133)로 긁어올릴 때 양측으로 이동되는 모래와 자갈을 중앙으로 모으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주행 시에 이물질 모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각도센서(119)는 프레임몸체(111)에서 인양부(130)가 이물질을 긁어 올리는 하부에서 구동부(12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위치에 서로 다른 각도로 복수로 설치되어 인양부(130)에서 인양되는 적재량 증대로 인한 장력의 변화량을 인양부의 각도 변화로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각도센서(119)는 구동부(120)의 작동으로 이물질을 인양부(130)로 인양 시 적재량의 변화에 따라 장력이 변화되면 구동부(120)까지의 인양부(130) 각도가 변화됨에 따라 각도 변화를 측정하면 장력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음에 따라 각도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제어부(150)로 송부하도록 구비한다.
구동부(120)는 프레임몸체(111)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의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구동부(120)는 구동모터(121), 구동축(122), 부하측정센서(123), 구동스프라켓(124), 및 구동지지체(125)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21)는 프레임몸체(111)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인양부(130)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위치에서 회전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구동축(122)은 구동모터(1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인양부(130)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부하측정센서(123)는 구동모터(121)에서 인양부(130)를 인양하는 회전력 발생 시에 인양부(130)의 이물질의 인양되는 적재량의 증대로 인한 장력의 변화량을 구동모터(121)의 회전 부하 증대로 측정하여 제어부(150)에 송신하도록 구비된다.
구동스프라켓(124)은 프레임몸체(111)의 상부 일측에 구동축(122)과 연결되어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인양부(130)의 링크체인(131)이 전후면이 접촉되는 위치로 삽입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되어 다각 형태로 각각의 변마다 회절되는 하나의 링크체인(131)이 위치하여 회전 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구동스프라켓(124)은 버켓몸체(133)에 고정된 한쌍의 링크체인(131)이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2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 무한궤도 형태의 링크체인(131)이 구동되는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구동스프라켓(124)은 도면에서 5각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구동스프라켓(124)은 4각 이상의 복수의 각도의 다각형상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구동지지체(125)는 구동스프라켓(124)의 다각형태의 각 모서리 위치에 서로 떨어진 간격을 연결하는 바 형태로 구비되어 링크체인(131)의 회절되는 위치에 걸림되어 회전 시에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인양부(130)는 프레임몸체(111)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폐곡선 형태로 설치되어 구동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무한 궤도로 회절 가능하게 복수로 연결된 링크체인(131)으로 이동되어 침사지의 하부에 위치한 기설정된 영역의 이물질을 버켓몸체(133)로 긁어 담아서 상부 방향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인양부(130)는 링크체인(131), 링크연결체(132), 버켓몸체(133), 및 버켓지지체(134)를 포함한다.
링크체인(131)은 프레임몸체(11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구동스프라켓(124)과 장력조절부(140)에 결합되고, 하부가 자중에 의해 침전지의 이물질이 긁어 담는 영역을 가이드돌기(116)의 상부에서 가이드되면서 통과하도록 구비되며, 복수로 회절 가능하게 배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구동모터(121)의 작동에 의해 장력조절부(140)에서 장력이 조절되면서 이동되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의 링크 형태로 구비된다.
링크연결체(132)는 복수의 링크체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링크체인(131)이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구동지지체(125)와 장력조절부(140)에 삽입 걸림되도록 면적이 축소되도록 구비된다. 링크연결체(132)는 복수의 링크체인(131)을 연결한 상태에서 회절되는 중심이 되도록 구비되고, 구동지지체(125)와 장력조절부(140)가 걸림되는 공간을 확보하여 장력이 조절되면서 구동에 의해 버켓몸체(133)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버켓몸체(133)는 한쌍의 링크체인(131)의 기설정된 간격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121)의 작동으로 링크체인(131)과 함께 이동하면서 침사지의 하부 위치 시에 이물질을 긁어 담고, 상부로 이동되면 이물질배출체(112)로 담겨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설치된다. 버켓몸체(133)는 이동되는 방향이 개방되어 하부에서는 외부수집돌기(118)에 의해 중앙으로 모여진 이물질을 개방된 일측으로 긁어 담고, 일측끝에 도달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위치가 되면 버켓받침체(117)가 개방된 일측에 위치하면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개방된 상부를 받침하여 이물질이 버켓몸체(133)에 가득 수납된 상태로 이동된다. 버켓몸체(133)가 상부로 이동하게되며 중앙 위치하게 되면 버켓몸체(133)의 개방된 일측이 하부를 향하면서 이물질이 이물질배출체(112)로 배출하게 된다.
버켓지지체(134)는 버켓몸체(133)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링크체인(131)과 고정되어 버켓몸체(133)와 함께 이동되고, 돌출된 양측의 하부가 가이드돌기(116)에 가이드되도록 구비된다. 버켓지지체(134)는 버켓몸체(133)에 고정되어 링크체인과 결합시키면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하부가 가이드돌기로 가이드되도록 구비되어 버켓몸체(133)를 보호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장력조절부(140)는 프레임몸체(111)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링크체인(131)이 함께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장력의 변화량만큼 이동하면서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장력조절부(140)는 회전지지몸체(141), 회전지지축(142), 슬라이딩몸체(143), 조절실린더(145), 조절스프라켓(146), 및 조절지지체(147)를 포함한다.
회전지지몸체(141)는 프레임몸체(111)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스프라켓(124)과 떨어진 타측으로 링크체인(131)의 장력을 조절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회전지지축(142)은 회전지지몸체(141)의 일측에 축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회전지지몸체(1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슬라이딩몸체(143)는 프레임몸체(111)와 회전지지몸체(14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부(150)의 작동에 따라 장력 조절 시에 회전지지몸체(141)와 회전지지축(142)을 조절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레일(144)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된다.
조절실린더(145)는 슬라이딩몸체(143)의 일측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제어부(150)의 신호에 따라 슬라이딩몸체(143)의 이동되는 방향으로 작동되는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조절스프라켓(146)은 프레임몸체(111)의 상부 타측에 상기 회전지지축(142)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링크체인(131)이 전후면이 접촉되는 위치로 삽입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되어 다각 형태로 각각의 변마다 회절되는 하나의 링크체인(131)이 위치하여 장력이 조절되면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조절스프라켓(146)은 도면에서 5각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조절스프라켓(146)은 4각 이상의 복수의 각도의 다각형상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조절지지체(147)는 조절스프라켓(146)의 다각형태의 각 모서리 위치에 서로 떨어진 간격을 연결하는 바 형태로 구비되어 링크체인(131)의 회절되는 위치에 걸림되어 회전 시에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즉, 장력 조절을 위해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조절실린더(145)를 작동시키면 슬라이딩몸체(143)가 슬라이딩레일(144) 상에서 이동된다. 슬라이딩몸체(143)가 이동되면 회전지지몸체(141)와 회전지지축(142)이 함께 이동되고, 회전지지축(142)에 축결합된 조절스프라켓(146)과 조절지지체(147)가 함께 장력이 조절되는 위치로 함께 이동된다.
제어부(150)는 주행모터(114), 구동모터(121), 및 조절실린더(145)에 연결되어 링크체인(131)의 작동을 장력을 조절하면서 구동하고, 주행모터(114)를 제어하여 주행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제어부(150)는 부하감지부(151), 각도감지부(152), 메인제어부(153), 및 장력제어부(154)를 포함한다.
부하감지부(151)는 부하측정센서(123)와 연결되어 있으며, 부하측정센서(123)에서 측정된 회전력 부하값을 장력 변화량으로 변환하여 메인제어부(153)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각도감지부(152)는 각도센서(119)와 연결되어 있으며, 각도센서(119)에서 측정된 링크체인(131)의 각도 변화값을 장력 변화량으로 변환하여 메인제어부(153)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메인제어부(153)는 부하감지부(151), 각도감지부(152), 구동모터(121), 및 주행모터(114)와 연결되어 있으며, 부하감지부(151)와 각도감지부(152) 중에서 선택적으로 감지된 장력 변화량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장력 변화량이 기설정된 이하로 감지되면 주행모터(114)를 작동하여 주행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장력제어부(154)는 메인제어부(153)와 조절실린더(145)를 연결하고 있으며, 메인제어부(153)에서 측정된 장력값에 따라 조절실린더가 이동되는 이동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조절실린더(145)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즉, 침사지에서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주행모터를 작동시켜 침사지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침사지의 인양위치로 위치한다. 침사지 인양위치에서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21)를 작동시키면 구동축(122)으로 연결된 구동스프라켓(124)을 회전시킨다. 구동스프라켓(124)이 회전되면 구동지지체(125)에 걸림 결합되어 있는 링크체인(131)이 회전 방향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 무한궤도 형태로 지속적으로 이동한다. 링크체인(131)이 이동하게 되면 버켓지지체(134)로 지지된 버켓몸체(133)가 이동되면서 하부에 도달하면 가이드돌기(116)로 측면이 하부가 지지된 상태로 개방된 일측으로 모래와 자갈이 수납되도록 이동한다. 이때, 프레임몸체(111)의 양측으로 돌출된 외부수집돌기(118)로부터 중앙으로 모아진 이물질을 버켓몸체(133)로 수납함에 따라 수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렇게, 버켓몸체(133)가 이동되면서 이물질이 수납되면서 하부 일측 끝에 도달하면 버켓받침체(117)에서 개방된 일측이 접촉되면서 버켓몸체(133)의 내부로 이물질을 밀어 넣음에 따라 흘림을 방지하면서 수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버켓몸체(133)가 이물질을 긁어 담을 때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위치한 링크체인(131)이 당겨지면서 장력이 변화하게 된다. 이런 장력변화는 자중에 의해 설치된 링크체인(131)의 하부에 위치한 버켓몸체(133)에서 구동스프라켓(124) 구간의 각도가 변경되면서 구동모터(121)의 부하가 증대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링크체인(131)의 장력변화를 각도센서와 각도감지부(152)를 통해서 각도에 의해 측정하거나, 구동모터(121)에 설치된 부하측정센서(123)와 부하감지부(151)를 통해서 구동모터(121)에 걸리는 부하를 측정하여 메인제어부(153)에서 장력제어부(154)를 통해서 조절실린더를 작동시킨다. 조절실린더(145)는 장력변화량에 따라 슬라이딩몸체(143)가 슬라이딩레일(14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고, 링크체인(131)이 걸려있는 조절스프라켓(146)이 함께 이동되면서 장력을 유지하도록 작동된다.
이렇게, 장력이 조절되면서 버켓몸체(133)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구동스프라켓(124)을 지나서 전복되면서 이물질배출체(112)로 배출된다. 이때, 이물질배출체(112)의 일측으로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세척체(112a)가 구비되어 버켓몸체(133)의 내부에 이물질의 잔존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100)는 주행프레임부(110), 구동부(120), 인양부(130), 장력조절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주행프레임부(110), 구동부(120), 인양부(130), 및 제어부(150)의 구성과 장력조절부의 일부 구성이 동일함에 따라 차이가 있는 장력조절부(14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한, 차이가 있는 장력조절부(140)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장력조절부(140)에서 일부 구성이 추가된 것으로, 추가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프레임몸체(111)의 중앙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스프라켓(124)와 침사지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여 링크체인(131)의 안쪽면에 복수의 위치에 각각 롤러 형태로 접촉되어 링크체인(131)의 작동에 의한 장력 변화량에 따라 회전하면서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링크장력조절부(148)를 더 포함한다.
링크장력조절부(148)는 회전 이동되는 조절스프라켓(146)의 반대편인 일측에 위치하여 버켓몸체(133)로 이물질을 긁어내는 침사지 하부에서 구동스프라켓(124) 방향으로 이동되는 링크체인(131)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즉, 링크체인(131)의 작동으로 침사지에서 이물질을 긁어 담아 중량이 증대된 버켓몸체(133)가 지지된 링크체인의 구동스프라켓(124)으로 이동되는 이동 영역에 링크장력조절부(148)가 설치되어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링크체인(131)의 이탈이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링크장력조절부(148)는 장력조절링크(148a), 장력조절롤러(148b), 장력조절회전축(148c), 및 링크조절실린더(148d)를 포함한다.
장력조절링크(148a)는 주행프레임부(110)의 중앙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구동스프라켓(124)과 침사지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여 링크체인(131)과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복수 위치에서 각각 링크체인(131) 방향으로 돌출되어 링크체인(131)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장력조절링크(148a)는 도면 상에서 중앙과 상부, 하부의 3개 위치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장력조절링크(148a)는 하나 이상으로 링크체인 지지하도록 돌출되면 되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서 3개 위치에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조절롤러(148b)는 장력조절링크(148a)의 복수의 돌출된 끝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링크체인(131)과 구름 접촉한 상태로 지지하는 롤러 형태로 구비된다. 장력조절롤러(148b)는 링크체인(131)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 형태로 구비되어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접촉 시에 회전되면서 링크체인(131)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구비된다.
장력조절회전축(148c)은 장력조절링크(148a)의 복수로 돌출되는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력조절링크(148a)가 링크체인(131)의 장력 변화에 따라 구름 접촉된 장력조절롤러(148b)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장력조절링크(148a)를 회전시키는 축 형태로 구비된다. 장력조절회전축(148c)은 장력조절링크(148a)가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링크체인(131)의 장력 변화에 따라 장력조절링크(148a)의 회전에 의해 장력조절롤러(148b)의 위치를 변화하여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링크조절실린더(148d)는 프레임몸체(11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장력조절회전축(148c)의 지지부분에 고정되어 장력조절링크(148a)와 함께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일측과 타측을 이동하면서 장력 조절 범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링크조절실린더(148d)는 장력조절회전축(148c)과 장력조절링크(148a)가 일측과 타측을 이동하는 실린더 형태로 구비되어 버켓몸체(133)에서 모아진 이물질의 중량에 의해 링크체인의 장력 변화량이 증대되면 장력조절회전축(148c)과 장력조절링크(148a)를 이동시켜 장력의 조절되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침사인양기 110 : 주행프레임부
111 : 프레임몸체 112 : 이물질배출체
112a : 분사세척체 113 : 주행대차
114 : 주행모터 115 : 주행바퀴
116 : 가이드돌기 117 : 버켓받침체
118 : 외부수집돌기 119 : 각도센서
120 : 구동부 121 : 구동모터
122 : 구동축 123 : 부하측정센서
124 : 구동스프라켓 125 : 구동지지체
130 : 인양부 131 : 링크체인
132 : 링크연결체 133 : 버켓몸체
134 : 버켓지지체 140 : 장력조절부
141 : 회전지지몸체 142 : 회전지지축
143 : 슬라이딩몸체 144 : 슬라이딩레일
145 : 조절실린더 146 : 조절스프라켓
147 : 조절지지체 148 : 링크장력조절부
148a : 장력조절링크 148b : 장력조절롤러
148c : 장력조절회전축 148d : 링크조절실린더
150 : 제어부 151 : 부하감지부
152 : 각도감지부 153 : 메인제어부
154 : 장력제어부

Claims (12)

  1. 침사지의 개방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침사지의 하부에 위치한 이물질이 상부로 인양하도록 지지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침사지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도록 구비된 주행프레임부;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의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는 구동부;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폐곡선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구동에 의해 무한 궤도로 회절가능하게 복수로 연결된 링크체인으로 이동되어 상기 침사지의 하부에 위치한 기설정된 영역의 이물질을 버켓몸체로 긁어 담아서 상부 방향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도록 구비된 인양부;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의 링크 체인 부분에 함께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장력의 변화량만큼 이동하면서 장력을 유지하도록 구비된 장력조절부;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중앙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침사지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링크체인의 안쪽면에 복수의 위치에 각각 롤러 형태로 접촉되어 상기 링크체인의 작동에 의한 장력 변화량에 따라 회전하면서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링크장력조절부;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 상기 구동부, 상기 장력조절부, 및 상기 링크장력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양부의 작동을 장력을 조절하면서 구동하고,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제어하여 주행하도록 구비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장력조절부는,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중앙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침사지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링크체인과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복수 위치에서 각각 상기 링크체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크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지지하는 장력조절링크;
    상기 장력조절링크의 복수의 돌출된 끝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체인과 구름 접촉한 상태로 지지하는 롤러 형태로 구비된 장력조절롤러;
    상기 장력조절링크의 복수로 돌출되는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조절링크가 상기 링크체인의 장력 변화에 따라 구름 접촉된 상기 장력조절롤러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상기 장력조절링크를 회전시키는 축 형태로 구비된 장력조절회전축;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력조절회전축의 지지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장력조절링크와 함께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일측과 타측을 이동하면서 장력 조절 범위를 조절하는 링크조절실린더;를 포함하는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프레임부는,
    상기 침사지의 개방된 상부에서 이물질이 퇴적된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프레임 형태로 이물질의 수거를 지지하는 프레임몸체;
    상기 프레임몸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에서 인양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이물질배출체;
    상기 프레임몸체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사지의 개방된 상부에서 주행되는 위치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몸체와 함께 상기 침사지의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대차 형태로 구비된 주행대차;
    상기 주행대차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주행대차가 주행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주행모터; 및
    상기 주행대차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행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주행되는 주행바퀴;를 포함하는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의 하부에 상기 인양부가 이물질을 긁어내는 영역에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의 상기 버켓몸체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의 하부에 일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에서 이물질이 긁어내어 상부로 이동하는 일측 끝에 위치하여 상기 버켓몸체에 수납되는 이물질이 걸리면서 내부로 깊이 수납되는 라운드형 받침대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치된 버켓받침체; 및
    상기 프레임몸체의 하부 일측에 양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의 양측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인양부에 양측에서 이물질을 긁어내는 방향으로 수집되도록 구비된 외부수집돌기;를 더 포함하는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몸체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이물질배출체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양부의 작동에 의해 투입되는 이물질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인양부에 이물질이 잔존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사세척체;를 더 포함하는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위치에서 회전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인양부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 일측에 상기 구동축과 연결되어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체인이 전후면이 접촉되는 위치로 삽입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되어 다각 형태로 각각의 변마다 회절되는 하나의 상기 링크체인이 위치하여 회전 시 이동되도록 구비된 구동스프라켓; 및
    상기 구동스프라켓의 다각형태의 각 모서리 위치에 서로 떨어진 간격을 연결하는 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링크체인의 회절되는 위치에 걸림되어 회전 시에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구동지지체;를 포함하는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는,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구동부와 상기 장력조절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자중에 의해 상기 침사지의 이물질이 긁어 담는 영역을 통과하도록 상기 주행프레임부에 가이드되도록 구비되며, 복수로 회절 가능하게 배치되어 무한궤도 형태로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장력조절부에서 장력이 조절되면서 이동되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의 링크 형태로 구비된 링크체인;
    복수의 상기 링크체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링크체인이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장력조절부에 삽입 걸림되도록 면적이 축소되는 링크연결체;
    한쌍의 상기 링크체인의 기설정된 간격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링크체인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침사지의 하부 위치 시에 이물질을 긁어 담고,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주행프레임부로 담겨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설치된 버켓몸체; 및
    상기 버켓몸체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 양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크체인과 고정되어 상기 버켓몸체와 함께 이동되고, 돌출된 양측의 하부가 상기 주행프레임부에 가이드되는 버켓지지체;를 포함하는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와 떨어진 타측으로 상기 인양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위치에 구비된 회전지지몸체;
    상기 회전지지몸체의 일측에 축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지지축;
    상기 주행프레임부와 상기 회전지지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작동에 따라 장력 조절 시에 상기 회전지지몸체와 상기 회전지지축을 조절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몸체;
    상기 슬라이딩몸체의 일측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몸체의 이동되는 방향으로 작동되는 작동력을 제공하는 조절실린더;
    상기 주행프레임부의 상부 타측에 상기 회전지지축과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링크체인이 전후면이 접촉되는 위치로 삽입되도록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진 한쌍으로 구비되어 다각 형태로 각각의 변마다 회절되는 하나의 상기 링크체인이 위치하여 장력이 조절되면서 이동되도록 구비된 조절스프라켓; 및
    상기 조절스프라켓의 다각형태의 각 모서리 위치에 서로 떨어진 간격을 연결하는 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링크체인의 회절되는 위치에 걸림되어 회전 시에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조절지지체;를 포함하는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서 상기 인양부를 인양하는 회전력 발생 시에 상기 인양부의 이물질의 인양되는 적재량의 증대로 인한 장력의 변화량을 상기 구동부의 회전 부하 증대로 측정하는 부하측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하측정센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부하측정센서에서 측정된 회전력 부하값을 장력 변화량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부하감지부;
    상기 부하감지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부하감지부에서 감지된 장력 변화량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장력 변화량이 기설정된 이하로 감지되면 상기 주행프레임부를 작동하여 주행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와 상기 장력조절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측정된 장력값에 따라 상기 장력조절부가 이동되는 이동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장력조절부를 제어하는 장력제어부;를 포함하는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프레임부에서 상기 인양부가 이물질을 긁어 올리는 하부에서 상기 구동부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위치에 서로 다른 각도로 복수로 설치되어 상기 인양부에서 인양되는 적재량 증대로 인한 장력의 변화량을 상기 인양부의 각도 변화로 측정하는 각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도센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인양부의 각도 변화값을 장력 변화량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각도감지부;
    상기 각도감지부,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주행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장력 변화량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장력 변화량이 기설정된 이하로 감지되면 주행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와 상기 장력조절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제어부에서 측정된 장력값에 따라 상기 장력조절부가 이동되는 이동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장력조절부를 제어하는 장력제어부;를 포함하는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KR1020180106516A 2018-09-06 2018-09-06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KR101970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16A KR101970106B1 (ko) 2018-09-06 2018-09-06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16A KR101970106B1 (ko) 2018-09-06 2018-09-06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106B1 true KR101970106B1 (ko) 2019-08-14

Family

ID=6762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516A KR101970106B1 (ko) 2018-09-06 2018-09-06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1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4873A (zh) * 2019-11-19 2020-02-25 长沙矿山研究院有限责任公司 深竖井大规模多点驱动连续提升方法及装置和应用
KR102449215B1 (ko) 2022-07-19 2022-09-30 주식회사 가온텍 밀폐형 장력조절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102A (ko) * 2001-07-30 2003-02-12 주식회사 포스코 탈지용기의 부유 슬러지 제거장치
KR100826575B1 (ko) * 2008-01-31 2008-04-3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하수처리시설의 침사제거장치
KR20100138522A (ko) * 2009-06-25 2010-12-31 이동정 흙막이공사용 토류벽 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675524B1 (ko) * 2014-06-16 2016-11-11 황명회 수직밴드형 스크린용 협잡물 통과 방지구조
KR101807472B1 (ko) * 2017-09-13 2018-01-18 윤팔석 주행대차식 체인버켓 침사인양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102A (ko) * 2001-07-30 2003-02-12 주식회사 포스코 탈지용기의 부유 슬러지 제거장치
KR100826575B1 (ko) * 2008-01-31 2008-04-3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하수처리시설의 침사제거장치
KR20100138522A (ko) * 2009-06-25 2010-12-31 이동정 흙막이공사용 토류벽 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675524B1 (ko) * 2014-06-16 2016-11-11 황명회 수직밴드형 스크린용 협잡물 통과 방지구조
KR101807472B1 (ko) * 2017-09-13 2018-01-18 윤팔석 주행대차식 체인버켓 침사인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4873A (zh) * 2019-11-19 2020-02-25 长沙矿山研究院有限责任公司 深竖井大规模多点驱动连续提升方法及装置和应用
KR102449215B1 (ko) 2022-07-19 2022-09-30 주식회사 가온텍 밀폐형 장력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106B1 (ko) 링크 체인을 이용한 주행대차식 침사인양기
KR101099431B1 (ko) 로타리 제진기
KR101016488B1 (ko)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KR101005327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KR100826575B1 (ko) 하수처리시설의 침사제거장치
KR101390257B1 (ko) 로터리 제진기
KR200471816Y1 (ko) 침전지 이끼제거장치
KR102017160B1 (ko) 슬러지 수집기의 체인 장력 자동 조절 장치
CN2789315Y (zh) 翻转耙齿型往复式清污机
KR100796370B1 (ko)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KR101367303B1 (ko) 스윙 가능한 천일염 이송장치
JP6322742B1 (ja) 無廃水型コンベアベルトの洗浄処理システム
KR100623221B1 (ko)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KR20190091651A (ko) 갯벌용 무한궤도 대차
KR100925500B1 (ko) 포장구간 초기우수 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1061437B1 (ko) 침사조용 침사슬러지 분배이송장치
KR101462660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CN216586456U (zh) 一种拦污集污一体式拦污栅
KR101257759B1 (ko) 수직 개폐형 로터리 제진기
KR200427920Y1 (ko) 라쳇식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CN211395935U (zh) 一种捞渣拦渣装置及安装有该捞渣拦渣装置的分流井
CN210964205U (zh) 环境保护用废水处理装置
KR101012031B1 (ko) 과부하 방지 기능을 갖는 매몰 방지용 침사 인양장치
KR200327273Y1 (ko) 로타리식 제진기의 하부 보조 레이크 및 압축형 로드셀에 의한 장력 조정장치
CN213086744U (zh) 一种水利工程用清污栅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