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005B1 -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005B1
KR101970005B1 KR1020180025909A KR20180025909A KR101970005B1 KR 101970005 B1 KR101970005 B1 KR 101970005B1 KR 1020180025909 A KR1020180025909 A KR 1020180025909A KR 20180025909 A KR20180025909 A KR 20180025909A KR 101970005 B1 KR101970005 B1 KR 101970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belt
frame
storage tank
coa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동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65G65/4809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은 석탄이 저장되며, 석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석탄저장조; 상기 석탄저장조의 바닥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석탄저장조의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회전배출장치;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밀폐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 {Coil storage system using sealing belt and traveling rotary discharge machine}
본 발명은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벨트를 사용하여 석탄저장조에 저장되어 있는 석탄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며, 밀폐롤러와 오픈롤러를 통해 회전배출장치가 주행하는 부분에서만 석탄을 배출할 수 있는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석탄화력발전소는 옥외에서 저탄하는 방식과 옥내에서 저탄하는 방식이 있다. 현재 석탄화력발전소는 발주자의 기호, 기후, 환경, 법적 환경기준 및 주변여건 등의 이유로 옥외에 저탄하는 방식에서, 석탄저장고(Coal Shed), 원형저탄고(Coal Dome), 하부 호퍼형 석탄저장조(Hopper Bottom Coal Silo), 하부평면형 석탄저장조(Flat Bottom Coal Silo) 등의 옥내에서 저탄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옥내에서 저탄하는 방식 중 하부 호퍼형 석탄저장조 방식은 석탄저장조를 주행하는 주행식 회전배출설비를 적용한다. 주행식 회전배출설비는 석탄저장조 하부의 선형 주행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석탄 더미를 회전하는 배출날개로 석탄을 긁어 내어 회전배출설비 아래에 위치한 컨베이어 벨트로 석탄을 배출하게 된다. 이 설비는 배출용량이 크고, 배출 정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행식 회전배출설비를 사용하는 석탄저장조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주행식 회전배출설비는 석탄저장조 하부의 선형 주행로를 이동하게 되는데, 선형 주행로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구조적 특징 때문에 하부 밀폐가 어렵게 되고, 이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서 석탄과 공기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석탄으로 유입된 공기 속에 산소는 석탄과 산화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산화 반응에 의해 석탄의 품질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석탄의 자연발화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석탄의 자연발화는 석탄의 저장 중에 석탄이 산화하고, 이로 인해 발생한 열이 발산되지 않고 축적되어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이 상승된 온도가 다시 산화 작용을 촉진하는 악순환을 반복하면서 착화 온도에 도달하여 흰 연기를 내며 연소하는 상태에 이르는 현상이다. 이러한 석탄의 자연발화는 석탄의 탄화도, 휘발분, 수분, 유화 철광 및 불순물에 의한 산화와 산소 흡수량 등 여러 요인이 복합되어 발생하는데 근본적으로 석탄과 공기가 직접 접촉됨에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석탄의 자연발화를 예방하기 위해 저탄 절차를 준수하고, IR Camera, RTD Sensor, 광센서 선형 감지기 등의 다양한 계측기와 피어싱로드(piercing rod), 고정 소화설비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석탄 자연발화의 근본적인 원인인 공기를 차단하거나 접촉을 최소화하는 장치가 마련되지 않음에 따라 근본적으로 석탄의 자연발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벨트를 사용하여 석탄저장조에 저장되어 있는 석탄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며, 밀폐롤러와 오픈롤러를 통해 회전배출장치가 주행하는 부분에서만 석탄을 배출할 수 있는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은 석탄이 저장되며, 석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석탄저장조; 상기 석탄저장조의 바닥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석탄저장조의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회전배출장치;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밀폐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의 상기 회전배출장치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서부터 돌출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날개; 상기 본체부에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상기 밀폐벨트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벨트를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 접촉할 수 있도록 눌러줄 수 있는 밀폐롤러;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상기 밀폐벨트의 하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벨트를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올려줄 수 있는 오픈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의 상기 밀폐롤러와 상기 오픈롤러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 중심에서부터 상기 오픈롤러까지의 이격거리는, 상기 본체부 중심에서부터 상기 밀폐롤러까지의 이격거리 보다 가깝게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의 상기 오픈롤러는, 상기 밀폐롤러보다 상기 석탄저장조의 바닥에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상기 오픈롤러 사이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날개가 형성하는 회전반경의 거리의 2배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의 상기 밀폐벨트는,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서 평평하게 연장되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에서부터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의 상기 벨트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는 힘을 가하였을 때 접힐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의 복수 개의 상기 배출구, 상기 프레임, 상기 레일, 상기 회전배출장치, 상기 밀폐벨트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밀폐벨트를 사용하여 석탄저장조에 저장되어 있는 석탄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밀폐롤러와 오픈롤러를 통해 회전배출장치가 주행하는 부분에서만 석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밀폐벨트를 들어올릴 수 있고, 회전배출장치가 주행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밀폐벨트를 통해 덮음으로써 석탄과 공기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하부 호퍼형 석탄저장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석탄 저장 시스템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석탄 저장 시스템을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석탄 저장 시스템에서 프레임과 석탄저장조를 제거하고, 회전배출장치와 밀폐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배출장치와 밀폐벨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배출장치와 밀폐벨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배출장치와 밀폐벨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밀폐벨트를 사용하여 석탄저장조에 저장되어 있는 석탄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며, 밀폐롤러와 오픈롤러를 통해 회전배출장치가 주행하는 부분에서만 석탄을 배출할 수 있는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석탄 저장 시스템은 하부 호퍼형 석탄저장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석탄저장조(110) 하부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배출구(111)의 양측면에 호퍼형 경사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석탄저장조(110)에 저장되어 있는 석탄은 호퍼형 경사를 통해 배출구(111)에 모일 수 있게 되고, 배출구(111)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는 회전배출장치(140)를 통해 하부 컨베이어 벨트(114)로 석탄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석탄저장조(110)의 배출구(111) 상부에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프레임(120), 레일(130), 회전배출장치(140)가 마련될 수 있으며, 회전배출장치(140)가 배출구(111)의 상부에서 배출구(11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석탄을 컨베이터 벨트(114)로 배출하게 된다. 석탄저장조(110) 내부에는 복수 개의 배출구(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회전배출장치(140)를 통해 석탄을 복수 개의 지점에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은 석탄저장조(110), 프레임(120), 레일(130), 회전배출장치(140), 밀폐벨트(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석탄저장조(110)는 석탄이 저장될 수 있는 것으로, 석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구(111)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도 2에서는 상기 석탄저장조(110)에 석탄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내부공간(112)에는 석탄이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석탄저장조(110)에 저장되어 있는 석탄은 상기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1)는 상기 석탄저장조(110) 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내부 바닥(113)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구(111)는 외부와 연통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상기 바닥(113)을 가로 지르면서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상기 바닥(113)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상기 배출구(111)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구(111)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20)은 후술할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프레임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과 상기 프레임(120)이 이격된 공간 사이로 후술할 상기 회전배출장치(140)의 회전날개(143)가 돌출되면서 상기 석탄저장조(110) 내부의 석탄을 긁어내면서 상기 배출구(111)로 석탄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과 이격되면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프레임(120)의 특정 지점은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가령, 상기 배출구(111)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프레임(120)의 양끝단은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2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120)을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측면과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20)을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외부에서 고정 시킬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2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레일(130)은 상기 프레임(1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레일(130)은 상기 배출구(111)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레일(130)은 후술할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를 상기 배출구(11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밀폐벨트(150)는 상기 배출구(11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구(111)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과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에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20)과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상기 회전배출장치(140)의 상기 회전날개(143)가 석탄을 긁게 된다. 이 때, 상기 프레임(120)과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 사이의 이격 공간을 덮기 위해 상기 밀폐벨트(15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0)과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 사이의 이격 공간을 덮지 않으면, 상기 석탄저장조(110)에 저장되어 있는 석탄과 공기가 접촉하게 되어 자연발화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상기 밀폐벨트(15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밀폐벨트(150)는 상기 배출구(111)의 양측에서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즉, 하나의 상기 밀폐벨트(150)는 상기 배출구(111)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밀폐벨트(150)는 상기 배출구(111)의 타측에서 상기 프레임(120)의 타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프레임(120)과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 사이의 이격공간을 덮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프레임(120)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프레임(12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밀폐벨트(150)는 상기 배출구(111)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결합 프레임(121)까지 연장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 프레임(121)을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프레임(120)에 상기 밀폐벨트(150)를 직접 결합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20)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결합 프레임(121)을 통해 상기 밀폐벨트(1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 밀폐벨트(150)를 상기 프레임(120)으로 연장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프레임(120)과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덮을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으로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전면과 후면으로 반복해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프레임(120)과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회전날개(143)를 회전시켜 석탄을 긁어 낼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는 본체부(141), 회전축(142), 회전날개(143), 지지대(144), 밀폐롤러(145), 오픈롤러(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41)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41)에는 바퀴(1411)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바퀴(1411)가 상기 레일(130) 위에 올려지면서 상기 본체부(141)는 상기 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본체부(14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부(141)가 상기 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축(142)은 상기 본체부(141)의 하부에서부터 돌출되는 것이며, 상기 회전날개(143)는 상기 회전축(142)에 결합되면서 상기 회전축(14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본체부(141)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회전축(142)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날개(143)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회전날개(143)를 통해 석탄을 긁어내면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날개(143)는 상기 프레임(120)과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회전하면서 석탄을 긁어 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20)과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덮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밀폐벨트(150)에 의해 상기 회전날개(143)가 회전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상기 밀폐벨트(150)는 상기 프레임(120)과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덮고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날개(143)가 회전할 때 상기 밀폐벨트(150)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는 지지대(144), 밀폐롤러(145), 오픈롤러(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144)는 상기 본체부(141)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밀폐롤러(145)와 상기 오픈롤러(146)를 지정된 위치에 놓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144)는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밀폐롤러(145)와 상기 오픈롤러(146)는 상기 지지대(14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밀폐롤러(145)는 상기 밀폐벨트(150)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벨트(150)를 상기 배출구(111)의 양측에 접촉할 수 있도록 눌러줄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오픈롤러(146)는 상기 밀폐벨트(150)의 하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벨트(150)를 상기 배출구(111)의 양측에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올려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를 도시하기 위해 상기 석탄저장조(110)와 상기 프레임(120)을 생략하여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밀폐롤러(145)와 상기 오픈롤러(146)는 상기 본체부(141)의 양측에서 마련되는 것이며, 상기 본체부(141) 중심에서부터 양측의 상기 오픈롤러(146)까지의 이격거리는, 상기 본체부(141) 중심에서부터 양측의 상기 밀폐롤러(145)까지의 이격거리 보다 가깝게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밀폐롤러(145)-상기 오픈롤러(146)-상기 본체부(141)-상기 오픈롤러(146)-상기 밀폐롤러(145)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본체부(141)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오픈롤러(146) 사이에서 상기 밀폐벨트(150)가 올려지게 된다. (여기서, 도 5는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상기 오픈롤러(146) 사이에서 상기 밀폐벨트(150)가 올라가게 되면, 상기 회전날개(143)는 상기 밀폐벨트(150)에 걸리지 않으면서 석탄을 긁어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배출장치(140)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밀폐롤러(145)는 들어올려진 상기 밀폐벨트(150)를 덮는 기능을 하게 되며, 상기 오픈롤러(146)는 상기 밀폐벨트(150)를 들어 올리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4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상기 오픈롤러(146) 사이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14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날개(143)가 형성하는 회전반경의 거리의 2배 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7은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를 밑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상기 본체부(141)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오픈롤러(146) 사이가 상기 밀폐벨트(150)가 열려있는 부분이 되는데, 상기 밀폐벨트(150)가 열려있는 부분이 상기 회전날개(143)가 형성하는 회전반경의 거리의 2배보다 작게 되면, 상기 회전날개(143)가 상기 밀폐벨트(150)에 여전히 걸릴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서 해칭이 변경되는 부분이 상기 밀폐벨트(150)가 열려있는 부분이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4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상기 오픈롤러(146) 사이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14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날개(143)가 형성하는 회전반경의 거리의 2배 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밀폐롤러(145)는 상기 밀폐벨트(150)의 상면에서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141)와 함께 이동하는 것이 좋으며(상기 밀폐롤러(145)가 상기 밀폐벨트(150)의 상면에서 접촉해야 상기 밀폐벨트(150)를 덮으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오픈롤러(146)는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으로부터 이격 되면서 상기 밀폐벨트(150)의 하면에서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141)와 함께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픈롤러(146)가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에서부터 이격 되면서, 상기 밀폐벨트(150)의 하면에 접촉되어야 상기 밀폐벨트(150)를 올리면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오픈롤러(146)는 상기 밀폐롤러(145)보다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에서부터 멀리 이격되면서 상기 밀폐벨트(150)를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밀폐롤러(145)는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에서 상기 밀폐벨트(150)를 눌러 주면서 덮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밀폐벨트(150)는 상기 배출구(111)의 양측에서 평평하게 연장되는 벨트부(151)와 상기 벨트부(151)에서부터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덮개부(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벨트부(151)는 평평하게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구(111)의 양측에서 상기 배출구(111)를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벨트부(151)는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구(111)의 양측을 덮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트부(151)는 상기 밀폐롤러(145)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밀폐롤러(145)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부분이며, 상기 벨트부(151)는 상기 오픈롤러(146)에 직접 접촉되어 상기 오픈롤러(146)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는 부분이 된다.
상기 덮개부(152)는 상기 벨트부(151)에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프레임(120)과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 사이의 이격공간을 덮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부(152)는 힘을 가하였을 때 접힐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152)는 도 4와 같이 주름이 생기면서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폐벨트(150)가 상기 오픈롤러(146)를 통해 들어 올려질 때, 상기 벨트부(151)는 상기 오픈롤러(146)에 의해 직접적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으나, 상기 덮개부(152)는 상기 벨트부(151)에 의해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152)가 도 4와 같이 주름이 생기면서 접혀야만, 상기 오픈롤러(146)에 의해 상기 회전날개(143)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부(152)가 접히지 않게 되면, 상기 덮개부(152)가 상기 오픈롤러(146) 사이의 공간에 남아 있을 수 있게 되고, 상기 회전날개(143)가 상기 덮개부(152) 걸릴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상기 벨트부(151)와 상기 덮개부(152)가 상기 오픈롤러(146) 사이에서 들어 올려진 것을 다른 해칭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상기 벨트부(151)와 상기 덮개부(152)는 각각 하나의 고무 재질과 하나의 직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는 상기 오픈롤러(146)를 통해 도 5와 같이 상기 본체부(141) 양측의 상기 오픈롤러(146)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밀폐벨트(150)를 들어 올려져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동시에 상기 밀폐롤러(145)를 통해 상기 오픈롤러(146) 사이의 바깥 공간은 상기 밀폐벨트(150)가 눌러져 있는 상태로 있게 한다. 즉, 상기 오픈롤러(146)-상기 본체부(141)-상기 오픈롤러(146) 사이의 공간은 상기 밀폐벨트(150)가 올려져 있는 상태로 있게 되고, 상기 오픈롤러(146)-상기 밀폐롤러(145) 사이에서 상기 밀폐벨트(150)가 덮혀지기 시작하면서, 상기 밀폐롤러(145) 이외의 바깥 공간은 상기 밀폐벨트(150)가 덮혀져서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석탄과 공기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폐롤러(145)와 상기 오픈롤러(146)는 상기 지지대(144)를 통해 결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대(144)에서부터 연장되는 제1지지대(1441)에 상기 밀폐롤러(145)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지지대(144)에서부터 연장되는 제2지지대(1442)에 상기 오픈롤러(146)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대(1441)는 상기 밀폐롤러(145)를 상기 밀폐벨트(150)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지지대(144)에서부터 연장된 것이며, 상기 제2지지대(1442)는 상기 오픈롤러(146)를 상기 밀폐벨트(150)의 하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에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지지대(144)에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배출장치(140)는 상기 레일(130)을 통해 상기 프레임(120) 내부를 전면 및 후면 방향에서 반복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밀폐롤러(145)와 상기 오픈롤러(146)도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벨트(150)가 들어 올려져 있는 부분을 변경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배출장치(140)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상기 회전배출장치(14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전면)에서부터는 상기 오픈롤러(146)가 상기 밀폐벨트(150)를 인양하면서 들어올리면서 공간을 열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밀폐벨트(150)의 상기 덮개부(152)는 주름이 생기면서 접히게 된다.
상기 회전배출장치(14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반대 방향(후면)에서는 상기 밀폐롤러(145)가 상기 밀폐벨트(150)를 덮으면서 석탄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밀폐벨트(150)의 상기 덮개부(152)는 주름이 펴지면서 상기 프레임(120)과 상기 석탄저장조(110)의 바닥(113)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게 된다.
즉, 상기 밀폐롤러(145)와 상기 오픈롤러(146)를 통해 상기 석탄저장조(110)에서 석탄을 배출하려는 부분만 열려있는 공간으로 만들 수 있고, 상기 석탄저장조(110)에서 석탄을 배출하지 않으려는 부분은 상기 밀폐벨트(150)로 덮음으로써 석탄과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은 밀폐벨트(150)를 사용하여 석탄저장조(110)에 저장되어 있는 석탄과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롤러(145)와 오픈롤러(146)를 통해 회전배출장치(140)가 주행하는 부분에서는 밀폐벨트(150)를 들어 올림으로써 석탄을 배출할 수 있으며, 회전배출장치(140)가 주행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석탄과 공기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석탄과 공기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은 밀폐롤러(145), 오픈롤러(146), 밀폐벨트(150)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작이 간단한 장점이 있으며, 금전적인 투자비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 동시에 석탄의 자연발화의 원인인 산소 접촉을 최소화하여 석탄저장의 안전성 높이고, 석탄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석탄저장조(110) 내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배출구(11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탄저장조(110) 내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프레임(120), 상기 레일(130), 상기 회전배출설비(140), 상기 밀폐벨트(15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상기 배출구(111)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120), 상기 레일(130), 상기 회전배출설비(140), 상기 밀폐벨트(150)가 각각 마련되어 상기 석탄저장조(110)에서 석탄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석탄저장조(110) 내부에 복수 개의 상기 배출구(111), 상기 프레임(120), 상기 레일(130), 상기 회전배출설비(140), 상기 밀폐벨트(150)을 마련하면 석탄 배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석탄저장조 111...배출구
112...내부공간 113...석탄저장조의 바닥
114...컨베이어 벨트 120...프레임
121...결합 프레임 130...레일
140...회전배출장치 141...본체부
142...회전축 143...회전날개
144...지지대 145...밀폐롤러
146...오픈롤러 150...밀폐벨트
151...벨트부 152...개폐부

Claims (8)

  1. 석탄이 저장되며, 석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석탄저장조;
    상기 석탄저장조의 바닥과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석탄저장조의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회전배출장치;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배출구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밀폐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배출장치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서부터 돌출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날개;
    상기 본체부에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상기 밀폐벨트의 상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벨트를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 접촉할 수 있도록 눌러줄 수 있는 밀폐롤러;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상기 밀폐벨트의 하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벨트를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올려줄 수 있는 오픈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롤러와 상기 오픈롤러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상기 오픈롤러 사이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날개가 형성하는 회전반경의 거리의 2배 보다 크며,
    상기 밀폐벨트는,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서 평평하게 연장되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에서부터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는 접힐 수 있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중심에서부터 상기 오픈롤러까지의 이격거리는, 상기 본체부 중심에서부터 상기 밀폐롤러까지의 이격거리 보다 가깝게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롤러는, 상기 밀폐롤러보다 상기 석탄저장조의 바닥에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저장조 내부에는,
    복수 개의 상기 배출구, 상기 프레임, 상기 레일, 상기 회전배출장치, 상기 밀폐벨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
KR1020180025909A 2018-03-05 2018-03-05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 KR101970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09A KR101970005B1 (ko) 2018-03-05 2018-03-05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09A KR101970005B1 (ko) 2018-03-05 2018-03-05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005B1 true KR101970005B1 (ko) 2019-04-17

Family

ID=6628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909A KR101970005B1 (ko) 2018-03-05 2018-03-05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0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137A (ja) * 1999-11-12 2001-05-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シールベルト装置
JP2005255325A (ja) * 2004-03-11 2005-09-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シールベルト装置
KR20130069801A (ko) * 2010-11-25 2013-06-26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분립체 저장 사일로용 이동식 반출 장치와 분립체 저장 사일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137A (ja) * 1999-11-12 2001-05-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シールベルト装置
JP2005255325A (ja) * 2004-03-11 2005-09-22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シールベルト装置
KR20130069801A (ko) * 2010-11-25 2013-06-26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분립체 저장 사일로용 이동식 반출 장치와 분립체 저장 사일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5540A (en) Apparatus for storing mercury-containing used products
US5030259B1 (en) Portable vacuum cleaning system
KR101970005B1 (ko) 밀폐벨트와 주행식 회전배출장치를 사용하는 석탄 저장 시스템
KR100689875B1 (ko) 습기와 분진 제거 기능이 부여된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보관 및 혼합장치
US4009081A (en) Dust arresting apparatus for a coke dry quenching station
CN108639632B (zh) 垃圾卸料场
CA1069100A (en) Lamp-moving device
CN108032765A (zh) 一种防水防潮充电桩
JPH0314502B2 (ko)
US4392919A (en) Charging apparatus for coke cooling chambers
KR950002343B1 (ko) 코오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코오크스 장입장치
KR102159378B1 (ko) 소화기 보관함
KR101554786B1 (ko) 인레트 실박스 내부의 이물질 포집장치
US4072239A (en) Arrangement for charging a furnace in a gastight and dust-tight manner
KR950002342B1 (ko) 코우크스 건식소화설비의 코우크스 장입장치
KR102519322B1 (ko) 분체용 열처리 로의 배기연도 구조체
KR101256609B1 (ko) 개공 장치
KR20030022973A (ko) 이동 슈트 집진후드의 게이트 개폐장치
EP2891617A1 (en) Insulating loading bay
SU1760133A1 (ru) Л да рудоспуска
KR101586748B1 (ko) 커버장치
GB1503374A (en) Coke quenching car
KR101968016B1 (ko) 사일로 장치
US4556455A (en) Method of charging dry coke cooling pit using sluice
GB491340A (en) Improv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handling of dusty materials, such as town's ref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