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378B1 - 소화기 보관함 - Google Patents

소화기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378B1
KR102159378B1 KR1020190031995A KR20190031995A KR102159378B1 KR 102159378 B1 KR102159378 B1 KR 102159378B1 KR 1020190031995 A KR1020190031995 A KR 1020190031995A KR 20190031995 A KR20190031995 A KR 20190031995A KR 102159378 B1 KR102159378 B1 KR 102159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case
driving roller
door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옥
Original Assignee
김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옥 filed Critical 김중옥
Priority to KR102019003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 중인 소화기를 주기적으로 흔들어 주어 분말 소화약제가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가 열리면 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소화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화기 보관함은 소화기가 내부에 보관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기가 눕혀진 상태에서 양방향으로 교대로 굴려 소화약제가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롤링수단과, 롤링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소화기 보관함{keeping box for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 중인 소화기를 주기적으로 흔들어 주어 분말 소화약제가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가 열리면 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소화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 보관함은 빨간색의 박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또는 벽면 등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소화기 보관함에 수납되어 있는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을 화재가 발생하였거나, 또는 이를 점검하는 경우 외에는 거의 꺼내는 일이 없다. 따라서 화재 또는 점검시가 아닌 경우 소화기 보관함의 도어가 열리면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소화기 보관함이 도어가 무단으로 열리더라도 관리자가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시중에서 사용되는 소화기는 대부분 분말소화기가 사용된다. 소화기 내부에 저장된 분말 소화약제의 경우 소화기 자체가 장시간 움직이지 않을 경우, 분말끼리 서로 뭉쳐져서 굳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소화기 보관함에 보관중이 소화기의 소화약제가 굳게 되면 소화약제가 분사되지 않으므로 안전 및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사람이 소화기를 직접 흔들어주거나 뒤집어주는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1118호에는 분말 소화기의 소화약제 경화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소화기를 흔드는 효과가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1118호: 분말 소화기의 소화약제 경화방지장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화기 보관함은 보관 중인 소화기를 주기적으로 흔들어 주어 분말 소화약제가 굳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가 열리면 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는 소화기 보관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화기 보관함은 소화기가 내부에 보관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기가 눕혀진 상태에서 양방향으로 교대로 굴려 소화약제가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롤링수단과; 상기 롤링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롤링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기와 접촉하여 상기 소화기를 굴리는 구동롤러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다.
상기 롤링수단은 상기 구동롤러와 접촉하는 상기 소화기가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구동롤러와 나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의 양측에서 상기 소화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 1 및 제 2보조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소화기가 구를 때 상기 소화기와 접촉되는 상기 제 1 및 제 2보조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보조롤러를 지지하는 보조롤러지지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감지센서와, 상기 도어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발전모듈과, 상기 소화기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감지센서를 더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관 중인 소화기를 일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흔들어 줄 수 있으므로 소화기 내부에 수용된 분말 소화약제가 굳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기 보관함의 도어가 열리면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소방서나 관리자에게 감지신호를 송출함으로써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소화기 보관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소화기 보관함의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소화기 보관함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적용된 소화기 보관함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적용된 소화기 보관함의 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소화기 보관함은 소화기(1)가 내부에 보관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케이스(10)를 개폐시키는 도어(11,12,13)와,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소화기(1)가 눕혀진 상태에서 양방향으로 교대로 굴려 소화약제가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롤링수단(20)과, 롤링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90)를 구비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통 구조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의 내부는 하나의 이상의 격벽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도시된 모양과 달리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스(10)의 전면에는 케이스(10)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1,12,13)가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케이스(10)의 전면에 1개의 메인도어(13)와 2개의 서브도어(11,12)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와 달리 도어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각 도어는 일측이 케이스(10)에 힌지결합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각 도어에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롤링수단(20)은 눕혀진 상태로 케이스(10) 내부에 보관되는 소화기(1)를 주기적으로 흔들어 소화기(1) 내부에 수용된 소화약제가 굳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적용된 롤링수단(20)은 눕혀진 소화기(1)를 굴리는 방식으로 소화기(1)를 흔든다.
도시된 롤링수단(20)은 케이스(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7)과, 회전축(27)에 설치되어 소화기(1)와 접촉하여 소화기(1)를 굴리는 구동롤러(29)와,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모터(30)와, 모터(30)의 동력을 회전축(27)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는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1)과,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크(23)와, 모터(30)와 래크(23)를 연결시켜 모터(30)의 구동에 의해 래크(23)를 왕복이동시키는 링크부와, 회전축(27)에 결합되어 래크(23)와 치합하는 피니언(25)을 구비한다.
가이드레일(21)은 케이스(10)의 내측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21)에는 래크(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이 마련된다.
래크(23)는 가이드레일(21)의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21)에 결합된 래크(23)는 피니언(25)과 치합한다.
모터(30)는 케이스(10) 내측 하부에 설치된다. 모터(30)는 제어부(9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제어부(90)는 모터(30)를 1 내지 4주에 1 내지 2회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회 작동시 모터의 작동시간은 1 내지 5분일 수 있다. 또한, 모터(30)는 관리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링크부는 모터(30)와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래크(23)를 이동시킨다.
링크부는 모터(3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모터(3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플레이트(31)와, 일측이 회전플레이트(31)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래크(23)에 힌지결합되는 왕복플레이트(33)를 구비한다.
이러한 링크부는 모터(30)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래크(23)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피니언(25)은 래크(23)와 치합하도록 설치된다. 피니언(25)은 케이스(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27)에 결합된다. 회전축(27)의 양단은 케이스(10)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래크(23)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 피니언(25)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축(27)이 회전한다.
구동롤러(29)는 회전축(27)에 설치되어 소화기(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롤러(29)는 눕혀진 소화기(1)의 측면과 접촉되어 소화기(1)를 회전시킨다. 구동롤러(29)와 소화기(1)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구동롤러(29)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모터(30)가 구동하면 구동롤러(29)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구동롤러(29)와 접촉되는 소화기(1)가 회전한다.
구동롤러(29)의 회전시 소화기(1)가 구동롤러(29)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된다.
이탈방지부는 구동롤러(29)와 나란하도록 설치되어 구동롤러(29)의 양측에서 소화기(1)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 1 및 제 2보조롤러(45)(46)와, 구동롤러(29)의 회전에 의해 소화기(1)가 구를 때 소화기(1)와 접촉되는 제 1 및 제 2보조롤러(45)(46)가 회전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보조롤러(45)(46)를 지지하는 보조롤러지지유닛을 구비한다.
그리고 보조롤러지지유닛은 회전축(27)의 하방에 설치되어 구동롤러(29)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지지봉(40)과, 지지봉(40)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고정암(41)과, 지지봉(4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회전축(27)을 사이에 두고 점진적으로 간격이 벌어지는 이동암(42)과, 고정암(41)에 형성되어 제 1보조롤러(45)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1고정축(43)과, 이동암(42)에 형성되어 제 2보조롤러(46)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고정축(44)과, 고정암(41)과 이동암(42)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암(42)을 고정암(41) 방향으로 당기기 위한 텐션부재(47)를 구비한다.
지지봉(40)은 케이스(1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지지봉(40)은 회전축(27)의 하부에서 회전축(27)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고정암(41)은 지지봉(40)에 고정된다. 이동암(42)은 지지봉(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링(49)에 결합된다. 고정암(41)과 이동암(42)은 상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고정암(41)과 이동암(42)의 상단은 구동롤러(29)보다 더 높게 위치한다. 고정암(41)과 이동암(42)은 회전축(27)을 사이에 두고 벌어진다. 고정암(41)과 이동암(42)은 상부로 갈수록 간격이 점차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고정암(41)과 이동암(42) 각각에 형성된 제 1 및 제 2고정축(43)(44)에는 제 1 및 제 2보조롤러(45)(46)가 설치된다. 제 1보조롤러(45)는 제 1고정축(4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보조롤러(46)는 제 2고정축(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및 제 2보조롤러(45)(46)는 고무나 실리콘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텐션부재(47)는 고정암(41)과 이동암(42) 사이에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텐션부재(47)로 용수철이 적용된다. 이러한 텐션부재(47)는 일측이 고정암(41)에 고정되고, 타측이 이동암(42)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동암(42)이 고정암(41)으로부터 많이 벌어지면 텐션부재(47)에 의해 이동암(42)은 고정암(41)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상술한 이탈방지부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2개의 보조롤러(45)(46)는 구동롤러(29)의 양측에서 구동롤러(29)보다 더 높게 위치한다. 따라서 2개의 보조롤러(45)(46)에 의해 소화기(1)는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2개의 보조롤러(45)(46)에 의해 소화기(1)의 측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롤러(29)가 회전하면 소화기(1)가 회전한다. 소화기(1)가 회전하면 소화기(1)와 접촉된 2개의 보조롤러(45)(46) 역시 회전하면서 소화기를 지지한다.
모터(30)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면 래크(23)가 상하로 왕복이동하고, 이에 따라 구동롤러(29)도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한다. 따라서 소화기(1)는 양방향으로 반복하면서 교대로 구르게 된다.
제어부(9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어부(90)는 마이크로 프로세스와, 각종 구동회로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롤링수단 역시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어부(90)는 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여 주기적으로 구동롤러(29)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관 중인 소화기를 일정 주기마다 자동으로 흔들어 줄 수 있으므로 소화기 내부에 수용된 분말 소화약제가 굳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를 굴리는 방법으로 흔들기 때문에 소음과 충격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감지센서(91)와, 도어감지센서(91)를 통해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부(95)와,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발전모듈(80)과, 소화기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감지센서와,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9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어감지센서(91)는 케이스(11) 또는 메인도어(13)에 설치되어 메인도어(13)의 개방을 감지한다. 도어감지센서(91)로 다양한 공지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도어감지센서(91)로 마이크로스위치를 이용하거나, 광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도어감지센서(91)를 통해 메인도어(13)의 개방이 감지되면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소방서나 관리자에게 감지신호를 송출함으로써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통신부(95)를 구비한다.
통신부(95)는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95)는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네트워크로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네트워크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부(95)를 통해 관리자의 스마트폰(100)이나 소방서의 단말기로 신호가 수신된다.
이와 같이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 소화기 보관함의 도어가 열리면 유무선 통신을 통해 소방서나 관리자에게 감지신호를 자동 송출함으로써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평상시에 관리자가 점검을 위해 소화기 보관함의 도어를 여는 경우 감지신호가 자동 송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관리자의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자동송출을 일시 중단시킬 수 있다.
전원부(93)로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는 태양광발전모듈(80)로부터 발생된 전기를 저장한다. 태양광발전모듈(80)은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이 도서산간 지역에 설치된 경우 태양광발전모듈(80)은 전원공급원으로서 유용하다.
무게감지센서는 소화기의 무게를 감지한다.
소화기 내부에는 소화약제와 함께 불연성가스(질소, 이산화탄소)를 압축시켜두었다가 그 압력에 의하여 약제를 방출시킨다. 소화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압력이 감소되어 소화약제의 방출력을 잃고, 소화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다. 따라서 관리자는 소화기의 충전 압력상태를 점검, 적정압력 이하로 떨어졌을 경우 재충전하는 방법 등으로 소화기가 기능을 잃지 않도록 대비하여야 한다.
소화기에는 압력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리자는 압력계를 수시로 관찰하여 압력 저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는 압력계를 수시로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무게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소화기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가스의 압력 저하를 판별하고, 가스의 압력 저하시 제어부가 관리자에게 이를 알려준다.
무게감지센서로 통상적인 로드셀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무게감지센서는 구동롤러에 설치되거나, 구동롤러와 함께 제 1 및 제 2보조롤러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스 20: 롤링수단
21: 가이드레일 23: 래크
25: 피니언 27: 회전축
29: 구동롤러 30: 모터
45: 제 1보조롤러 46: 제 2보조롤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소화기가 내부에 보관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개폐시키는 도어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소화기가 눕혀진 상태에서 양방향으로 교대로 굴려 소화약제가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롤링수단과;
    상기 롤링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롤링수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기와 접촉하여 상기 소화기를 굴리는 구동롤러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구동롤러와 접촉하는 상기 소화기가 상기 구동롤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구동롤러와 나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의 양측에서 상기 소화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 1 및 제 2보조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소화기가 구를 때 상기 소화기와 접촉되는 상기 제 1 및 제 2보조롤러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보조롤러를 지지하는 보조롤러지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보관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감지센서와, 상기 도어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발전모듈과, 상기 소화기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보관함.

KR1020190031995A 2019-03-20 2019-03-20 소화기 보관함 KR102159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995A KR102159378B1 (ko) 2019-03-20 2019-03-20 소화기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1995A KR102159378B1 (ko) 2019-03-20 2019-03-20 소화기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378B1 true KR102159378B1 (ko) 2020-09-23

Family

ID=7270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1995A KR102159378B1 (ko) 2019-03-20 2019-03-20 소화기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379A (ko) 2021-09-17 2023-03-2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용기를 사용한 축압식 분말소화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642Y1 (ko) * 1999-04-01 2000-12-01 지학선 소화기함의 소화기 회전장치
KR100905234B1 (ko) * 2009-03-25 2009-07-01 김용화 소방안전기구와 인명구조기구가 비치된 보관함
JP2011104032A (ja) * 2009-11-16 2011-06-02 Hochiki Corp 消火栓装置監視システム
KR200464461Y1 (ko) * 2010-07-28 2013-01-02 주식회사 케이에스 이동식 채혈관 롤러믹서
KR101681118B1 (ko) 2015-12-28 2016-12-01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분말 소화기의 소화약제 경화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642Y1 (ko) * 1999-04-01 2000-12-01 지학선 소화기함의 소화기 회전장치
KR100905234B1 (ko) * 2009-03-25 2009-07-01 김용화 소방안전기구와 인명구조기구가 비치된 보관함
JP2011104032A (ja) * 2009-11-16 2011-06-02 Hochiki Corp 消火栓装置監視システム
KR200464461Y1 (ko) * 2010-07-28 2013-01-02 주식회사 케이에스 이동식 채혈관 롤러믹서
KR101681118B1 (ko) 2015-12-28 2016-12-01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분말 소화기의 소화약제 경화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379A (ko) 2021-09-17 2023-03-2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용기를 사용한 축압식 분말소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2976B2 (en) Door with an intelligent door leaf, which has an electrically self-sufficient door leaf means, and method therefor
US61553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door
KR102159378B1 (ko) 소화기 보관함
CA2875065C (en) Drive and control system for lifting gates
CN102943609A (zh) 高楼自救逃生窗
CN106246085B (zh) 一种多功能防护窗
WO2009014544A1 (en) Barrier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including vapor and/or fire barrier systems
CN110671035B (zh) 一种控制滑落速度并能随时停止下落的防火卷帘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CA3046865C (en) Device for detecting the fall of a door leaf, system for detecting the fall of a door leaf,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fall of a door leaf
US20190360266A1 (en) Gate With An Emergency Opening Device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101039773B1 (ko)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
CN214494406U (zh) 一种用于储存危险废物的智能安全货架
CN203008698U (zh) 高楼自救逃生窗
CN116425062B (zh) 一种塔式起重机过倾预警装置
KR100706196B1 (ko) 전동 도어 수동 조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동 도어
US11193314B2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a building
KR200412960Y1 (ko) 도어 개폐구동 장치
KR20170089692A (ko)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KR101766530B1 (ko) 작업자 긴급탈출장치
KR102208603B1 (ko) 자료 수집 가능한 비상용 승강기 및 피난 데이터 수집 시스템
CN110577134A (zh) 新型工业用安全货梯
JP2016049223A (ja) 緊急ユニット及び緊急ユニット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CN215916272U (zh) 一种高度可调节的活动式挡烟垂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