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773B1 -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773B1
KR101039773B1 KR1020110006262A KR20110006262A KR101039773B1 KR 101039773 B1 KR101039773 B1 KR 101039773B1 KR 1020110006262 A KR1020110006262 A KR 1020110006262A KR 20110006262 A KR20110006262 A KR 20110006262A KR 101039773 B1 KR101039773 B1 KR 101039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s
panel
motor
flame
sh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배
김도형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영배
주식회사 코텍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배, 주식회사 코텍이엔지 filed Critical 김영배
Priority to KR102011000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773B1/ko
Priority to PCT/KR2011/009696 priority patent/WO2012099336A2/ko
Priority to CN2012100018294A priority patent/CN102606051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8Sliding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53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side by side in the closing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는,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출입문을 차폐하고,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 판넬과, 상기 다수 판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판넬을 승강하는 탄성발생장치와, 상기 다수 판넬의 하강 상태에서 육성, 충격, 전기적신호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 판넬을 설정높이만큼 상승 후 하강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제공된 힘을 다수 판넬에 전달하여 이송하는 힘전달장치와, 상기 힘전달장치에 의해 이송된 다수 판넬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는 적층장치와, 상기 다수 판넬, 탄성발생장치, 구동장치 및 적층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A Fireproof shutter and Control method of it}
본 발명은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염 또는 가스를 감지하여 다수 판넬을 하강하여 출입구를 차폐하고,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판넬에 가해진 충격, 음성 등을 감지하여 다수 판넬을 일정 높이만큼 승강한 후 다시 하강함으로써 인명구조 기능을 갖도록 한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며, 화재 공간 내의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제한 사용되는 비상구를 구비하고 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 0666510호에는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방화셔터가 개시되어 있으며,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방화셔터(1)는 다수의 셔터부재(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화염 또는 유독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며, 방화셔터의 중앙 하부에는 경첩(3)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비상탈출문(4)이 구비된다.
상기 비상탈출문(4)은 방화공간으로부터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관의 진입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화셔터(1)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화재가 발생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실내가 어두워진 상태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들은 이성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게 되어 비상구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상탈출문(4)이 셔터부재(2) 내부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경첩(3)등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며, 셔터부재(2)를 상승하여 보관시에는 보다 큰 보관공간이 요구된다.
그리고, 경첩(3)의 엉킴이나 파손으로 인해 셔터부재(2)의 승강 및 하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셔터부재(2)가 하강하더라도 경첩(3)이 파손된 상태에서는 비상탈출문(4)이 개방될 수 있도록 규정한 힘(188N)을 초과하게 되므로, 노약자나 어린이가 탈출하고자 할 때에는 비상탈출문(4)이 개방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상탈출문(4)은 셔터부재(3)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며, 방화셔터(1)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염 또는 가스를 감지하여 다수 판넬을 하강하여 출입구를 차폐하고,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판넬에 가해진 충격, 음성 등을 감지하였을 때 다수 판넬을 일정 높이만큼 승강한 후 다시 하강함으로써 인명구조 기능이 향상되도록 한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충전식 보조전원 및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수 회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편의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는,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출입문을 차폐하고,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 판넬과, 상기 다수 판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판넬을 승강하는 탄성발생장치와, 상기 다수 판넬의 하강 상태에서 육성, 충격, 전기적신호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 판넬을 설정높이만큼 상승 후 하강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제공된 힘을 다수 판넬에 전달하여 이송하는 힘전달장치와, 상기 힘전달장치에 의해 이송된 다수 판넬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는 적층장치와, 상기 다수 판넬, 탄성발생장치, 구동장치 및 적층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발생장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다수 판넬의 하중을 초과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판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속기와 모터 사이에는 모터와 감속기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제1단락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축전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힘전달장치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감속기와, 상기 축전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의 입력 여부 또는 다수 판넬의 이송속도에 따라 상기 모터로부터 물리적으로 단락하여 판넬의 하강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제어기 내부 일측에는, 상기 모터와 속도제어기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제2단락수단과, 상기 제2단락수단과 모터를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제3단락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제어기 내부 일측에는, 전원 인가시에 제2단락수단과 모터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신축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단부 일측에는, 체인과 결합되어 체인 이동시 판넬에 힘이 전달되도록 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판넬의 구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롤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 판넬이 동일 직선상에 직립된 경우, 상기 결합편 중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결합편의 이격 거리는 상기 판넬 1개의 높이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의 제어방법은, 화염 또는 가스를 감지하는 화염감지단계와, 화염 또는 가스 감지하여 자동방화셔터의 일 구성인 적층장치에 적층된 다수 판넬을 하강하여 출입구를 차폐하는 화염차폐단계와, 육성, 충격, 전기적신호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생체감지장치로 생체 신호 여부를 감지하는 생체감지단계와, 상기 생체 신호 감지가 감지될 때 상기 판넬을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는 인명구호단계와, 상기 판넬을 하강하여 화염 및 가스를 차단하는 복귀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명구호단계는, 상기 다수 판넬의 상승 높이가 설정 높이일 때 상기 다수 판넬의 동작을 담당하는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염차폐단계와 복귀단계는, 상기 다수 판넬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화염 또는 가스를 감지하여 다수 판넬을 하강하여 출입구를 차폐하고,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판넬에 가해진 충격, 음성 등을 감지시에 다수 판넬을 일정 높이만큼 승강한 후 다시 하강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들을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개방되므로 인명 구조 효과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재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충전식 보조전원 및 탄성력을 이용하여 다수 회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편의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방화셔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의 일 구성인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에서 판넬의 보관 구조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의 요부 구성인 구동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에서 탄성발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의 구성을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자동방화셔터는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하여 출입문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출입문 좌/우측에는 가이드(10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102)는 가로 긴 판상의 다수 판넬(110) 좌/우측 단부를 수용하여 다수 판넬(110)의 상/하 방향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방화셔터 일측에는 감지장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장치는 다수 판넬(110)이 하방향으로 직립되어 도 2와 같은 상태일 때, 자동방화셔터 내부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을 감지하여 인명을 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는 판넬(110)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고함소리, 또는 구명대상자가 누른 버튼의 신호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다수 판넬(110)은 상측에 구비된 케이스(104) 내부에 적층 보관된다. 즉, 상기 케이스(104)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판넬(110)의 보관이 가능하며, 상기 판넬(110)은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적층 하듯이 보관된다.
상기 다수 판넬(110) 중 어느 하나에는 초기진압용홀(106)이 구비된다. 상기 초기진압용홀(106)은 화재발생시 상기 판넬(110)이 도 2와 같이 하측으로 내려온 상태에서 판넬(110)을 상승시키지 않고 소방호스를 삽입하여 초기에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다수 판넬(110)이 하강한 상태에서 화재진압을 위해 판넬(110)을 상승시키게 되면,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어 화염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초기진압용홀(106)은 평상시에는 닫혀있다가 화재진압을 위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초기진압용홀(106)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108)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초기진압용홀(106)은 차폐부(108)에 의해 평소 차폐되어 있다가 소방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초기진압용홀(106)에는 차폐부(108)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부(108)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즉, 도 3의 <a>와 같이 판넬(110)에 일부분을 제외하고 동그랗게 슬리팅하여 차폐부(108)를 판넬(110)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필요시에 타격 및 제거하여 초기진압용홀(106)이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차폐부(108)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파지 가능하도록 돌기를 형성하여 슬라이딩시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c>와 같이 상기 차폐부(108)는 별개의 부품으로 구비하고, 상기 초기진압용홀(106)에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화재 발생시 선택적으로 타격하여 제거함으로써 초기진압용홀(106)을 개구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판넬(110)은 좁은 공간에서도 보관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첨부된 도 4을 참조하여 상기 판넬(110)의 보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에서 판넬(110)의 보관 구조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판넬(110)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게 될 구동장치(200)에 구비된 판스프링(도 5의 도면부호 202 참조)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판넬(110)의 단부에는 결합편(204)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편(204)은 체인(206)과 결합되어 체인(206) 이동시 판넬(110)에 힘이 전달 되어진다.
상기 체인(206)은 각각의 판넬(110)에 구비된 결합편(204) 모두와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판넬(110)이 도 2와 같이 겹쳐진 경우, 상기 판넬(110)은 상/하단부에 형성된 끼움돌기(112)와 끼움홈(114)가 서로 끼움 결합되어 직립되는데, 이때 상기 판넬(110)들의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체인(206)은 판넬(11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마다 결합편(204)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판넬(110)이 경사레일(212)에 적층되면 상기 체인(206)은 도 4과 같이 하측으로 늘어진 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상기 판넬(110) 단부 일측에는 롤러(208)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롤러(208)는 케이스(104)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레일(212)을 따라 구름 운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경사레일(212)이 우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판넬(110)은 구동장치(200)에 의해 끌어 올려진 후 우측 방향으로 미끄러져 첨부된 도 4과 같이 두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체인(206)의 우측에는 직립가이드(214)가 구비된다. 상기 직립가이드(214)는 경사레일(212)과 함께 적층장치(210)의 일 구성으로서, 상기 다수 판넬(110)이 수직으로 늘어뜨려졌을 때 구부러지지 않고 직립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다수 판넬(110)이 상방향으로 견인될 때에도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롤러(208)는 경사레일(212)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 판넬(110)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판넬(110)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구동장치(200)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의 요부 구성인 구동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200)는 감지장치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 판넬(110)을 설정높이만큼 상승 후 하강하기 위한 장치로서, 판스프링(202)이 내장되어 탄성력을 발생함으로써 판넬(110)을 승강하는 탄성발생장치와 선택적으로 연동하며, 전술한 체인(206) 및 결합편(204)을 포함하는 힘전달장치(201)를 통해 판넬(110)을 승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200)는 힘전달장치(201)를 통해 판넬(110)을 승강시킨 후에는 전술한 경사레일(212)을 포함하는 적층장치(210)에 의해 판넬(110)이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장치(2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의 요부 구성인 구동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구동장치(200)는 축전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220)와, 상기 모터(22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힘전달장치(201)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감속기(230)와, 상기 축전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의 입력 여부 또는 다수 판넬(110)의 이송속도에 따라 상기 모터(220)로부터 물리적으로 단락하여 판넬(110)의 하강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220)는 화재 발생시 건물 내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축전장치로부터 직류전원을 제공받아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구성으로, 좌측방향으로는 제1회전축(221)이 구비되고, 우측 방향으로는 제2회전축(222)이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축(221)과 제2회전축(222)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221)은 제1단락수단(250)에 의해 상기 감속기(230)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단락수단(250)은 감속기(230)와 모터(220) 사이에 위치하고, 모터(220)와 감속기(230) 사이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단락시켜 모터(220)의 회전동력이 감속기(230)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내부에는 감속기(230)의 감속축(232)에 축결합되고 제1마찰부재(253)가 부착된 제1마찰재(252)와, 상기 제1마찰재(252)에 좌측 방향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256)가 구비된다.
상기 제1마찰재(252)는 감속축(232)과 축결합되어 연동하며, 상기 제1회전축(221)은 제1마찰재(252)의 중앙에 삽입되되 연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부재(256)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밀려진 제1마찰재(252)는 감속기(230)와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221)과 감속축(232)은 서로 치합되어 있되, 상기 제1회전축(221)이 회전시에는 선택적으로 결합이 해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락수단 좌측에는 감속기(230)가 구비된다. 상기 감속기(230)는 제1회전축(221)과 감속축(232)의 회전속도비를 달리하여 감속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 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상기 감속기(230) 좌측에는 판스프링(202)이 구비된다. 상기 판스프링(202)은 첨부된 도 6와 같이 감속축(232)의 외주면 일측과 내측 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감속축(232) 외주면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어질 경우 탄성복원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202)의 외측 단부는 다수 판넬(110) 중 최 상측에 위치한 판넬(1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 판넬(110)이 도 2와 같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202)은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판넬(110)을 들어올릴 수 있게 되며, 모터(220)의 구동 없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202)의 좌측(도 5 참조)에는 기어(209)가 구비된다. 상기 기어(209)는 상기 체인(206)과 결합되어 감속축(232) 회전시에 체인(206)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모터(220)의 우측에는 속도제어기(240)가 구비된다. 상기 속도제어기(240)는 판넬(110)의 하강 속도에 따라 상기 모터(220)로부터 물리적으로 단락하여 판넬(110)의 하강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속도제어기(240) 내부에는 상기 모터(220)와 속도제어기(240)를 선택적으로 단락하기 위한 제2단락수단(260)과, 상기 제2단락수단(260)과 모터(220)를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락하기 위한 제3단락수단(280)이 구비된다.
상기 제2단락수단(260)은 제2회전축(222)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속도제어기(240)가 모터(220)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2회전축(222)에 축결합된 제2마찰재(262)와 좌/우 방향 움직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마차재의 우측면에는 제2마찰부재(26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마찰부재(264)의 우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한 라이닝(266)이 구비되며, 상기 라이닝(266)은 신축유닛(270)에 의해 움직임이 강제된다.
상기 신축유닛(270)은 전원 인가시에 제2단락수단(260)과 모터(220)를 선택적으로 단락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원이 인가될 때 길이가 축소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의 중앙에는 우측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발생하는 인장스프링(272)은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신축유닛(270)이 우측 방향으로 강제하는 힘보다 약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신축유닛(270)이 동작시에는 라이닝(266)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 있도록 돕게 된다.
한편, 상기 라이닝(266) 내부에는 제3단락수단(280)이 구비된다. 상기 제3단락수단(280)은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라이닝(266)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원심력이 설정된 원심력 이상으로 커질 때 외측으로 밀려나 라이닝(266)을 자유롭게 해지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방화셔터의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방화셔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자동방화셔터는 화염 또는 가스를 감지하는 화염감지단계(S100)와, 화염 또는 가스 감지시에 자동방화셔터의 일 구성인 적층장치(210)에 적층된 다수 판넬(110)을 하강하여 출입구를 차폐하는 화염차폐단계(S200)와, 육성, 충격, 전기적신호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생체감지장치로 생체 신호 여부를 감지하는 생체감지단계(S300)와, 상기 생체 신호 감지시에 상기 판넬(110)을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는 인명구호단계(S400)와, 상기 판넬(110)을 하강하여 화염 및 가스를 차단하는 복귀단계(S500)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제어된다.
상기 화염감지단계(S100)는 건물 내부에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화염감지센서나 가스감지센서를 통해 화염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화염감지단계(S100) 이후에는 화염차폐단계(S200)가 실시된다. 상기 화염차폐단계(S200)는 상기한 센서가 화염 또는 가스를 감지시에 보내온 신호와 연동하여 상기 다수 판넬(110)을 하강하는 과정이다.
상기 다수 판넬(110)이 하강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다수 판넬(110)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판넬(110)은 도 4과 같이 상기 경사레일(212) 상면에 안착되지 않고 체인(206)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1마찰재(252)와 제3마찰재는 상대부품과 접촉한 상태이고 제2마찰재(262)는 라이닝(266)과 이격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화염차폐단계(S200)가 실시되면 제1마찰재(252)와 제2마찰재(262) 및 제3마찰재는 상대물과 모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최하측의 판넬(110)의 하중에 의해 체인(206)이 회전하여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 판넬(110) 중 하나가 하강함에 따라 체인(206)에 의해 각각의 결합편(204)이 연결되어 있는 판넬(110)들은 도 4과 같은 자세를 유지하면서 좌측 상방향으로 이동하다가 하측으로 떨어져 끼움돌기(112)와 끼움홈(114)이 결합된다.
상기 화염차폐단계(S200) 중에 판넬(110)의 낙하속도가 빨라지게 되면, 상기 감속축(232)과 제1회전축(221) 및 제2회전축(222)은 서로 연동하는 중이므로 상기 제2회전축(222)은 제3단락수단(280)에 원심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원심력이 커짐에 따라 제3단락수단(280)의 접촉이 떨어지게 되면 상기 판넬(110)의 하강 속도는 느려지게 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화염차폐단계(S200)는 완료되며, 이후 생체감지단계(S300)가 실시된다. 상기 생체감지단계(S300)는 미처 빠져나오지 못한 사람들의 구호 활동을 감지하기 위한 과정으로, 구조를 요청하는 사람이 판넬(110)을 두드릴 때 발생되는 충격이나, 도움을 요청하는 소리(육성), 움직임 등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 외에도 별도의 버튼을 구비함으로써 구조를 요청하는 사람이 눌렀는지 여부를 전기적 신호로부터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생체감지단계(S300) 중 생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인명구호단계(S400)가 실시된다. 상기 인명구호단계(S400)는 판넬(110)을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켜 사람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때 상기 판넬(110)들은 판스프링(20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마찰재(252)와 제2마찰재(262) 및 제3마찰재는 모두 상대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판넬(110)들의 자중보다 판스프링(202)의 권취력이 커지도록 조정함으로써 상기 판넬(110)이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판넬(110)은 상승 높이가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 높이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의 감지 신호에 의해 일정 높이만큼만 상승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명구호단계(S400) 이후에는 복귀단계(S500)가 실시된다. 상기 복귀단계(S500)는 판넬(110)을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켜 인명 구조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 후 방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상기 제1마찰재(252)와 제2마찰재(262) 및 제3마찰재는 모두 상대물과 접촉한 상태로 변환되어 판넬(110)의 낙하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생체감지단계(S300)는 화염이 진화되는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실시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명구호단계(S400)와 복귀단계(S500)는 축전장치로부터 제공된 전원에 의해 신축유닛(270)만 제어됨으로써 다수회 반복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2. 가이드 104. 케이스
106. 초기진압용홀 108. 차폐부
110. 판넬 112. 끼움돌기
114. 끼움홈 200. 구동장치
201. 힘전달장치 202. 판스프링
204. 결합편 206. 체인
208. 롤러 209. 기어
210. 적층장치 212. 경사레일
214. 직립가이드 220. 모터
221. 제1회전축 222. 제2회전축
230. 감속기 232. 감속축
240. 속도제어기 250. 제1단락수단
252. 제1마찰재 253. 제1마찰부재
256. 제1탄성부재 260. 제2단락수단
262. 제2마찰재 264. 제2마찰부재
266. 라이닝 270. 신축유닛
272. 인장스프링 280. 제3단락수단
S100. 화염감지단계 S200. 화염차폐단계
S300. 생체감지단계 S400. 인명구호단계
S500. 복귀단계

Claims (11)

  1. 삭제
  2.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출입문을 차폐하고, 세워진 상태로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는 다수 판넬과, 다수 판넬의 하중을 초과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다수 판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판넬을 승강하는 탄성발생장치와, 상기 다수 판넬의 하강 상태에서 육성, 충격, 전기적신호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 판넬을 설정높이만큼 상승 후 하강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제공된 힘을 다수 판넬에 전달하여 이송하는 힘전달장치와, 상기 힘전달장치에 의해 이송된 다수 판넬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는 적층장치와, 상기 다수 판넬, 탄성발생장치, 구동장치 및 적층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판넬의 단부 일측에는,
    체인과 결합되어 체인 이동시 판넬에 힘이 전달되도록 하는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판넬의 구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롤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화셔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축전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상기 힘전달장치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감속기와,
    상기 축전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의 입력 여부 또는 다수 판넬의 이송속도에 따라 상기 모터로부터 물리적으로 단락하여 판넬의 하강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화셔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와 모터 사이에는 모터와 감속기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제1단락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화셔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기 내부 일측에는,
    상기 모터와 속도제어기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제2단락수단과,
    상기 제2단락수단과 모터를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제3단락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화셔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기 내부 일측에는,
    전원 인가시에 제2단락수단과 모터를 선택적으로 단락하는 신축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화셔터.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판넬이 동일 직선상에 직립된 경우,
    상기 결합편 중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결합편의 이격 거리는 상기 판넬 1개의 높이와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화셔터.
  9. 화염 또는 가스를 감지하는 화염감지단계와,
    화염 또는 가스 감지시에 자동방화셔터의 일 구성인 적층장치에 적층된 다수 판넬을 하강하여 출입구를 차폐하는 화염차폐단계와,
    육성, 충격, 전기적신호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생체감지장치로 생체 신호 여부를 감지하는 생체감지단계와,
    상기 생체 신호 감지시에 상기 판넬을 상승시키고 상승 높이가 설정 높이일 때 상기 다수 판넬의 동작을 담당하는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종료하는 인명구호단계와,
    상기 판넬을 하강하여 화염 및 가스를 차단하는 복귀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염차폐단계와 복귀단계는,
    상기 다수 판넬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방화셔터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06262A 2011-01-21 2011-01-21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39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262A KR101039773B1 (ko) 2011-01-21 2011-01-21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
PCT/KR2011/009696 WO2012099336A2 (ko) 2011-01-21 2011-12-16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
CN2012100018294A CN102606051A (zh) 2011-01-21 2012-01-05 自动防火卷闸门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262A KR101039773B1 (ko) 2011-01-21 2011-01-21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773B1 true KR101039773B1 (ko) 2011-06-09

Family

ID=4440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262A KR101039773B1 (ko) 2011-01-21 2011-01-21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39773B1 (ko)
CN (1) CN102606051A (ko)
WO (1) WO201209933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693B1 (ko) * 2011-08-09 2014-03-27 (주)서한에프앤씨 자동 소화기의 작동장치
KR102413562B1 (ko) * 2021-03-25 2022-06-27 진종신 공동주택의 방화문 설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7105B (zh) * 2014-02-19 2015-09-30 沈阳理工大学 一种失火自触发防火卷帘门
SG10201403775YA (en) * 2014-07-01 2016-02-26 Gliderol Doors S Pte Ltd Insulated fire panel shutter
CN115263157B (zh) * 2022-06-28 2023-08-29 宁夏普利特新能源开发有限公司 一种安全性高的防火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6180A (ja) * 1995-10-04 1997-04-08 Bunka Shutter Co Ltd 電動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
JP2000087667A (ja) * 1998-09-14 2000-03-28 Bunka Shutter Co Ltd 建物開口部用開閉装置
JP2000145279A (ja) * 1998-11-16 2000-05-26 Bunka Shutter Co Ltd 建物開口部用開閉装置
KR20070014540A (ko) * 2005-07-29 2007-02-01 대 형 이 샷다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9809A (en) * 1990-11-15 1992-05-20 Hunter Douglas Ind Bv A retractable, flexible closure for a door or window opening
JP2004316369A (ja) * 2003-04-21 2004-11-11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用の手動開閉ユニット及び該手動開閉ユニットを用いた開閉装置
US7207370B2 (en) * 2004-03-25 2007-04-24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afety barr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6180A (ja) * 1995-10-04 1997-04-08 Bunka Shutter Co Ltd 電動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
JP2000087667A (ja) * 1998-09-14 2000-03-28 Bunka Shutter Co Ltd 建物開口部用開閉装置
JP2000145279A (ja) * 1998-11-16 2000-05-26 Bunka Shutter Co Ltd 建物開口部用開閉装置
KR20070014540A (ko) * 2005-07-29 2007-02-01 대 형 이 샷다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693B1 (ko) * 2011-08-09 2014-03-27 (주)서한에프앤씨 자동 소화기의 작동장치
KR102413562B1 (ko) * 2021-03-25 2022-06-27 진종신 공동주택의 방화문 설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9336A3 (ko) 2012-10-11
WO2012099336A2 (ko) 2012-07-26
CN102606051A (zh) 2012-07-25
WO2012099336A9 (ko)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773B1 (ko) 자동방화셔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10004264A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KR101934979B1 (ko)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20140120586A (ko) 유무인 택배안전문이 부설된 출입문
KR200450122Y1 (ko) 베란다용 비상탈출 장치
CN102247662B (zh) 紧急逃生用脱险装置
CA2871896C (en) Stairwell lift
KR200334201Y1 (ko) 방화 셔터
KR101771711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939229B1 (ko) 승강용 호이스트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093039B1 (ko) 건축물의 비상대피용 발코니 구조
JP4788337B2 (ja) エレベータ用防火防煙シャッター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KR20180118502A (ko) 긴급상황 대피 또는 화재진압용 리프트장치
JP3854259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KR101898984B1 (ko) 고층건물의 긴급 대피용 엘리베이트장치
JP2007016430A (ja) 防火シャッター用安全装置
CN112863091A (zh) 一种物业管理紧急疏散系统
JP5076648B2 (ja) シャッター装置及びシャッター本体下降停止装置
JP5138971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KR102202735B1 (ko) 창호 일체형 다인 구조 완강기
KR101771710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1771709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