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843B1 - Scissors type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 Google Patents
Scissors type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9843B1 KR101969843B1 KR1020180018334A KR20180018334A KR101969843B1 KR 101969843 B1 KR101969843 B1 KR 101969843B1 KR 1020180018334 A KR1020180018334 A KR 1020180018334A KR 20180018334 A KR20180018334 A KR 20180018334A KR 101969843 B1 KR101969843 B1 KR 101969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mode
- control unit
- unit
- lin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1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 B60S9/2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with fluid-pressure li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반모드와 헤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를 구비하고, 헤비모드에서는 보다 큰 초기 구동력을 확보를 위해 구동실린더가 지면과 형성하는 초기 경사각이 일반모드에서 보다 더 커지도록 제어하여 리프트가 상승시킬 수 있는 중량 한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다양한 센서를 통해 리프트의 승강 과정에서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 각각에 2개의 링크가 중앙힌지축을 기준으로 X자형으로 상호 교차되게 설치된 승강링크와, 동력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승강링크를 접철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링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링크의 절철에 따라 승강되는 차량탑재대와,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링크의 X자형으로 교차된 2개의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의 하단부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차량탑재대의 정해진 초기 높이를 기준으로 바닥과 일정 초기 경사각을 형성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링크의 중앙 부근에 타단이 힌지 연결되며, 동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반모드와 헤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선택부에서 헤비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구동실린더의 초기 경사각이 일반모드의 초기 경사각 보다 커지도록 상기 구동실린더의 길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a cage type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device for a cage type vehicle, which includes a mode selector for selecting a normal mode and a heavy mode by user's oper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eight limit for raising the lift by controlling the initial inclination angle of the cylinder with respect to the ground to be larger than that in the normal mode and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vehicle is rolled over during various lif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a crucible type vehicle.
A lift apparatus for a cruciform typ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bottom frames, a lift link provided in each of the pair of bottom frames so that two links cross each other in an X-shape with respect to a center hinge axi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unit. Wherein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is hingedly connected to a lower end of any one of two links intersecting with the X-shaped cross-section of the lifting link, The other e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other link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initial inclination angle is formed, Comprising: a driving cylinder, select mode for selecting the normal mode and a heavy mode by the user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ngth of the driving cylinder such that the initial inclination angle of the driving cylinder is greater than the initial inclination angle of the normal mode when the heavy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on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반모드와 헤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를 구비하고, 헤비모드에서는 보다 큰 초기 구동력을 확보를 위해 구동실린더가 지면과 형성하는 초기 경사각이 일반모드에서 보다 더 커지도록 제어하여 리프트가 상승시킬 수 있는 중량 한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다양한 센서를 통해 리프트의 승강 과정에서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 각각에 2개의 링크가 중앙힌지축을 기준으로 X자형으로 상호 교차되게 설치된 승강링크와, 동력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승강링크를 접철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링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링크의 절철에 따라 승강되는 차량탑재대와,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Generally, a lifting device for a cruise-type vehicle is operated by a pair of bottom frames, a lift link provided in each of the pair of bottom frames so that two links cross each other in an X-shape with respect to a central hinge axi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unit. The elevation driving unit includes an elevation driving unit that folds the elevation link, a vehicle loading unit that is installed on the elevation link and is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and descent of the elevation link,
상기 승강링크는 2개의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 하부 하단은 바닥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링크 하단은 롤러 등이 설치되어 바닥프레임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구성되어 접철되는 구조이다.The lift link is a structure in which one of the two links is hinged to the bottom of the link, and the other link is hinged to the bottom frame by a roller or the like.
종래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2199호(2004.11.03. 공개)에는 X자형의 승강링크를 사용한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가 게재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the " Automobile Fixing < / RTI > Lift " using an X-shaped lifting link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4-0092199 (published on November 3, 2004).
하지만 종래기술과 같은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차량의 진입시 높이인 초기 지상고가 일반 승용차에 맞춰 정해져 있고, 이와 같은 초기 지상고에서는 구동실린더가 지면과 형성하는 초기 경사각 또한 작아 구동실린더의 초기 구동력이 약해 리프트가 상승시킬 수 있는 중량이 실린더의 용량에 비해 지나치게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initial ground clearance, which is the height at the time of vehicle entry, is set in accordance with a general passenger car, and the initial tilting angle formed by the driving cylinder with the ground is also small, the initial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cylind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ight that can be raised by the weak lift is too low as compared with the capacity of the cylinder.
또한, 종래기술은 구동실린더로 에어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 차량이 탑재된 상태에서 상승된 리프트를 하강하는 과정에서 아침에 초기 구동시 등과 같이 에어탱크의 압력이 낮은 경우 좌우 2개의 리프트 중 어느 한 쪽의 리프트는 하강되나 다른 한 쪽의 리프트는 락이 걸려 높이 부조화에 따른 차량의 전복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prior art, when an air cylinder is used as a driving cylinder, when the pressure of the air tank is low during initial driving in the morning in the process of descending the elevated lift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mounted, The lift of the lift is lowered, but the lift of the other lift is locked, resulting in a rollover of the vehicle due to height discrepanc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리프트가 상승시킬 수 있는 중량 한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리프트의 승강 과정에서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weight limit that a lift can raise according to a user's mode selection, There is provided a lift apparatus for a gas-phase type vehicle which can prevent an overturning accid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한 쌍의 바닥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 각각에 2개의 링크가 중앙힌지축을 기준으로 X자형으로 상호 교차되게 설치된 승강링크와, 동력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승강링크를 접철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링크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링크의 절철에 따라 승강되는 차량탑재대와,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링크의 X자형으로 교차된 2개의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의 하단부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차량탑재대의 정해진 초기 높이를 기준으로 바닥과 일정 초기 경사각을 형성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링크의 중앙 부근에 타단이 힌지 연결되며, 동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반모드와 헤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선택부에서 헤비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구동실린더의 초기 경사각이 일반모드의 초기 경사각 보다 커지도록 상기 구동실린더의 길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fting device for a cruciform type vehicle, comprising: a pair of bottom frames; and two links on each of the pair of bottom frames intersecting each other in an X- A vehicle loading tabl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link and being lift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turning of the elevating link,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driving unit Wherein the elevation driving unit is hingedly connected at one end to the lower end of any one of the two links intersecting with the X-shaped cross-section of the elevating link, In the state where the base and the initial initial inclination angle a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determined initial height, the other end is provided near the center of the other link Is not connected, comprising: a driving cylinder which length is adjusted by the power, the selection mode for selecting the normal mode and a heavy mode by the user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ngth of the driving cylinder such that the initial inclination angle of the driving cylinder is greater than the initial inclination angle of the normal mode when the heavy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상기 차량탑재대의 전단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되 펼쳐지는 경우 상기 차량탑재대의 하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보조다리와, 상기 보조다리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다리를 접철시킬 수 있는 보조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조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선택부에서 헤비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차량탑재대가 일정 높이로 상승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를 제어하고, 상기 보조다리가 펼쳐지도록 상기 보조실린더를 제어하며, 상기 펼쳐진 보조다리의 하단부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 상기 차량탑재대가 하강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device for a vertical type vehicle, comprising: a supplementary leg which is fold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front end of the vehicle loading platform and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loading platform when it is deployed; An auxiliary leg comprising an auxiliary cylinder capable of folding the leg;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cylinder so that the vehicle loading bar is eleva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heavy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ng unit and controls the auxiliary cylinder so that the auxiliary leg is unfolded, And the drive cylinder is controlled to be lowered until the lower end of the leg reaches the ground.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구동실린더가 에어실린더로 구성되고,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에어실린더로 공급하는 에어탱크와,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에어탱크로 공급하는 콤프레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탱크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탱크압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압력센서에 설정된 압력 이하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elevation driving unit includes an air tank in which the driving cylinder is constituted by an air cylinder and supplies the stored compressed air to the air cylinder, and a compressor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and supplying the compressed air to the air tank, A sensor unit configured to include a tank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air pressure of the air tank; Wherein the control unit cuts off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rive uni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when a pressure equal to or lower than a pressure set in the tank pressure sensor is sensed.
여기서, 상기 에어실린더는 한 쌍의 승강링크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한 쌍의 에어실린더 각각의 작동 압력을 감지하는 실린더압력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압력센서 각각에 감지된 작동 압력이 상호 일정 범위 이상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ir cylinder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air of lift links, and the sensor unit further comprises a cylinder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n operating pressure of each of the pair of air cylinders,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is stopped when the operating pressure sensed by each of the cylinder pressure sensors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 pressure sensors is different by more than a certain range.
여기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구동실린더가 유압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차량탑재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에서 배출되는 하강 유량을 줄일 수 있는 오리피스가 구비된 충격감소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includes an impact reducing valve having an orifice capable of reducing a downflow amount discharged from the hydraulic cylinder when the driving cylinder is constituted by a hydraulic cylinder and the vehicle loading bar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less from the ground .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반모드와 헤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를 구비하고, 헤비모드에서는 보다 큰 초기 구동력을 확보를 위해 구동실린더가 지면과 형성하는 초기 경사각이 일반모드에서 보다 더 커지도록 제어하여 리프트가 상승시킬 수 있는 중량 한계를 상승시킬 수 있고, 다양한 센서를 통해 리프트의 승강 과정에서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lifting device for a crucible typ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de selection unit that can select a normal mode and a heavy mode by a user's operation. In the heavy mod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weight limit for raising the lift by controlling the initial inclination angle of the cylinder with respect to the ground to be larger than that in the normal mode and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vehicle is rolled over during various lifts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의 제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소밸브의 회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device for a crucible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a lifting device for a cruciform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lifting device for a cruciform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fting device for a crucible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of an impact reduction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lifting device for a crucible typ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의 사용상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fting device for a crucible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lifting device for a cruciform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fting device for a crucible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바닥프레임(10)과, 승강링크(20)와, 승강구동부(30)와, 차량탑재대(40)와, 보조다리부(50)와, 모드선택부(60)와, 센서부(70)와, 제어부(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a lifting device for a crucible typ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바닥프레임(10)은 한 쌍이 차량의 바퀴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상기 승강링크(20)는 상기 한 쌍의 바닥프레임(10) 각각에 2개의 링크(21, 22)가 중앙힌지축(23)을 기준으로 X자형으로 상호 교차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상기 승강링크(20)의 X자형으로 교차된 2개의 링크(21, 22) 중 어느 하나의 링크(21)는 하단부가 상기 바닥프레임(10)에 힌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링크(22)의 하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10)에 전후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One of the two
상기 승강구동부(30)는 동력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승강링크(20)를 접철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승강링크(20)의 X자형으로 교차된 2개의 링크(21, 22) 중 어느 하나의 링크(21)의 하단부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차량탑재대(40)의 정해진 초기 높이(H1, H2)를 기준으로 바닥과 일정 초기 경사각(θ1, θ2)을 형성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링크(22)의 중앙 부근에 타단이 힌지 연결되며, 동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구동실린더(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fting and lower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구동부(30)는 상기 구동실린더(31)로서의 에어실린더(31a)와,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에어실린더(31a)로 공급하는 에어탱크(32a)와,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에어탱크(32a)로 공급하는 콤프레셔(3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차량탑재대(40)는 상기 승강링크(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링크(20)의 절철에 따라 승강되는 구성으로, 전단에는 차량의 진입을 위한 경사로를 형성하는 진입유도판(41)이 설치되고, 후단에는 차량이 더 이상 진입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정지유도판(42)이 설치된다.The vehicle mounting table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보조다리부(50)는 헤비모드에서 상기 차량탑재대(40)의 지지력을 보강하고, 헤비모드에서의 초기 높이(H2)를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탑재대(40)의 전단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고, 펼쳐지는 경우 상기 차량탑재대(40)의 하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보조다리(51)와, 상기 보조다리(51)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다리(51)를 접철시킬 수 있는 보조실린더(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모드선택부(6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반모드와 헤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mode selection unit 60 can select a normal mode and a heavy mode by a user's operation.
일반모드는 일반적인 승용차는 물론 5t 이하의 화물차에 사용하는 모드이고, 헤비모드는 5t 이상 8t 정도의 화물차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를 예로 들 수 있다.The normal mode is used for a passenger car of 5 tons or less as well as a general passenger car, and the heavy mode is a mode for allowing a vehicle of 5 tons or more and 8 tons or so to be used.
상기 센서부(70)은 리프트의 승강 과정에서 차량의 전복을 유발하는 방지할 수 있는 요소들을 감지하여 감지된 요소를 제어부(8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탱크압력센서(71)와, 실린더압력센서(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탱크압력센서(71)은 상기 에어탱크(33a)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구성이고, 상기 실린더압력센서(72)는 상기 한 쌍의 에어실린더(31a) 각각의 작동 압력을 감지하는 구성이다.The tank pressure sensor 71 senses the air pressure of the
상기 제어부(80)은 상기 승강구동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The
도 3의 (a)는 상기 모드선택부(60)에서 일반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d)는 상기 모드선택부(60)에서 헤비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3 (a) shows an initial state when the normal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on unit 60, and FIG. 3 (d) shows an initial state when the heavy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on unit 60 Fig.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80)은 상기 모드선택부(60)에서 헤비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구동실린더(31)의 초기 경사각(θ2)이 일반모드의 초기 경사각(θ1) 보다 커지도록 상기 구동실린더(31)의 길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2, when the heavy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on unit 60, the
즉, 일반모드에서는 통상의 리프트에서와 같은 상기 차량탑재대(40)의 지상고(H1)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실린더(31)의 초기 경사각(θ1)과, 상기 진입유도판의 진입 경사각(α1)이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형성된다.That is, in the normal mode, the initial inclination angle [theta] 1 of the
하지만, 상기 구동실린더(31)의 초기 경사각(θ1)이 작아 상기 구동실린더(31)의 초기 구동력이 약해 리프트가 상승시킬 수 있는 중량이 상기 구동실린더(31)의 용량에 비해 지나치게 낮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initial inclination angle? 1 of the driving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80)은 상기 모드선택부(60)에서 헤비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구동실린더(31)의 초기 경사각(θ2)을 보다 크게 하여 상기 구동실린더(31)의 초기 구동력을 일반모드일 경우보다 크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vy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on unit 60,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3의 (a)의 일반모드 초기 상태에서 상기 모드선택부(60)에서 헤비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차량탑재대(40)가 도 3의 (b) 상태와 같이 일정 높이(H2의 높이보다는 높게) 상승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31)를 제어하고, 도 3의 (c) 상태와 같이 상기 보조다리(51)가 펼쳐지도록 상기 보조실린더(52)를 제어하며, 도 3의 (d) 상태와 같이 상기 펼쳐진 보조다리(51)의 하단부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 상기 차량탑재대(40)가 하강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31)를 제어한다. 3, when the heavy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on unit 60 in the normal mode initial state of FIG. 3A, the
물론, 헤비모드에서는 상기 차량탑재대(40)의 지상고(H2)가 보다 높아짐으로써 상기 진입유도판의 진입 경사각(α2)이 보다 커져 차량의 진입이 더 힘들 수는 있으나, 통상 헤비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대형차로서 차량의 차고가 높아지므로 큰 문제는 없다고 할 것이다.Of course, in the heavy mode, the height H2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의 제어 구성도를 도시하였다.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system of a cage type vehicl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어부(80)은 상기 탱크압력센서(71)에 설정된 압력 이하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승강구동부(30)의 작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The
즉, 상기 에어실린더(31a)를 사용하는 경우 차량이 탑재된 상태에서 상승된 리프트를 하강하는 과정에서 아침에 초기 구동시 등과 같이 상기 에어탱크(32a)의 압력이 낮은 경우 좌우 2개의 리프트 중 어느 한 쪽의 리프트는 하강되나 다른 한 쪽의 리프트는 락이 걸려 높이 부조화에 따른 차량의 전복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에어탱크(32a)의 압력이 낮은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구동을 차단함으로써 전복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e
또한, 상기 제어부(80)은 상기 한 쌍의 실린더압력센서(72) 각각에 감지된 작동 압력이 상호 일정 범위 이상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승강구동부(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즉, 상기 한 쌍의 실린더압력센서(72) 각각에 감지된 작동 압력이 상호 일정 범위 이상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란 좌우 2개의 리프트 중 어느 하나는 승강 작동되고 있으나 다른 하나는 고장 등의 이유로 멈춰 있는 경우를 의미하는데 이 경우 상기 승강구동부(3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의 전복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operating pressure sensed by each of the pair of cylinder pressure sensors 72 is different by more than a certain range, either one of the left and right lifts is operated to be lifted up and the other is stopped due to a failure or the like In this case,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구동부(30)는 상기 구동실린더(31)가 유압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차량탑재대(4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에서 배출되는 하강 유량을 줄일 수 있는 오리피스(325)가 구비된 충격감소밸브(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소밸브(32)의 회로도를 도시하였는데, 상기 차량탑재대(40)가 하강되는 경우 제1, 2 밸브(321, 322)로 유압이 나오다가, 일정 높이 이하 즉, 바닥지점 부근에서는 오리피스(325)가 있는 제3, 4밸브(323, 324)로 유압이 나와 상기 차량탑재대(40)가 바닥지점 부근까지 내려올 때 하강 유량이 줄어듬으로써 하강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5 shows a circuit diagram of th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lifting device for a crucible type vehicle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embodiments improv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vious to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바닥프레임
20 승강링크
21, 22 링크
23 중앙힌지축
30 승강구동부
31 구동실린더
31a 에어실린더
32a 에어탱크
33a 콤프레셔
32 충격감소밸브
40 차량탑재대
41 진입유도판
42 정지유도판
50 보조다리부
51 보조다리
52 보조실린더
60 모드선택부
70 센서부
71 탱크압력센서
72 실린더압력센서
80 제어부10 floor frame
20 lift link
21, 22 link
23 Center Hinge Axis
30 Elevation East
31 drive cylinder
31a air cylinder
32a air tank
33a compressor
32 shock reduction valve
40 vehicle mounts
41 entry induction plate
42 Stop guide plate
50 auxiliary leg part
51 auxiliary bridge
52 Auxiliary cylinder
60 mode selection unit
70 sensor unit
71 Tank pressure sensor
72 Cylinder pressure sensor
80 control unit
Claims (5)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링크의 X자형으로 교차된 2개의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의 하단부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차량탑재대의 정해진 초기 높이를 기준으로 바닥과 일정 초기 경사각을 형성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링크의 중앙 부근에 타단이 힌지 연결되며, 동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반모드와 헤비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선택부에서 헤비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구동실린더의 초기 경사각이 일반모드의 초기 경사각 보다 커지도록 상기 구동실린더의 길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A lifting and lowering link which is driven by power and folds up the lifting link, and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member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unit,
Wherein the elevation driving unit is hinged to one end of a link of any one of the two links intersecting with the X-shaped crossing of the elevating link, and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initial inclination angle with the floor is formed on the basis of a predetermined initial height of the on- And a drive cylinder whose other end is hingedly connected to a center of the other link and whose length is adjusted by the power,
A mode selection unit capable of selecting a normal mode and a heavy mode by an operation of a user;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ngth of the driving cylinder so that the initial inclination angle of the driving cylinder becomes larger than the initial inclination angle of the normal mode when the heavy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on unit.
상기 차량탑재대의 전단 하부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되 펼쳐지는 경우 상기 차량탑재대의 하부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보조다리와, 상기 보조다리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다리를 접철시킬 수 있는 보조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보조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선택부에서 헤비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차량탑재대가 일정 높이로 상승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를 제어하고, 상기 보조다리가 펼쳐지도록 상기 보조실린더를 제어하며, 상기 펼쳐진 보조다리의 하단부가 지면에 닿을 때까지 상기 차량탑재대가 하강되도록 상기 구동실린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uxiliary cylinder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vehicle mount so as to be foldable and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mount when the vehicle is unfolded and an auxiliary cylinder connected to the auxiliary leg, Legs;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cylinder so that the vehicle loading bar is lif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heavy mode is selected in the mode selecting unit and controls the auxiliary cylinder so that the auxiliary leg is unfold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cylinder so that the vehicle mount is lowered until it reaches the ground.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구동실린더가 에어실린더로 구성되고,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에어실린더로 공급하는 에어탱크와,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에어탱크로 공급하는 콤프레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탱크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탱크압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센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탱크압력센서에 설정된 압력 이하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ion driving unit includes an air tank in which the driving cylinder is constituted by an air cylinder and supplies the stored compressed air to the air cylinder, and a compressor which generates compressed air and supplies the compressed air to the air tank,
And a tank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air pressure of the air tank;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control unit cuts off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uni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when a pressure equal to or lower than the pressure set in the tank pressure sensor is sensed.
상기 에어실린더는 한 쌍의 승강링크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한 쌍의 에어실린더 각각의 작동 압력을 감지하는 실린더압력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압력센서 각각에 감지된 작동 압력이 상호 일정 범위 이상 차이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cylinder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air of lift links,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cylinder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n operating pressure of each of the pair of air cylinders,
Wherein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elevation driving unit when a difference in operating pressure sensed by each of the pair of cylinder pressure sensors exceeds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구동실린더가 유압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차량탑재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에서 배출되는 하강 유량을 줄일 수 있는 오리피스가 구비된 충격감소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저 타입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includes an impact reducing valve having an orifice capable of reducing a descending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hydraulic cylinder when the driving cylinder is constituted by a hydraulic cylinder and the vehicle loading bar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less from the ground Wherein the lifting device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8334A KR101969843B1 (en) | 2018-02-14 | 2018-02-14 | Scissors type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8334A KR101969843B1 (en) | 2018-02-14 | 2018-02-14 | Scissors type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9843B1 true KR101969843B1 (en) | 2019-04-17 |
Family
ID=6628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8334A KR101969843B1 (en) | 2018-02-14 | 2018-02-14 | Scissors type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984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5135Y1 (en) | 2021-08-19 | 2022-03-14 | 김상기 |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
KR102373663B1 (en) | 2021-08-19 | 2022-03-14 | 임병철 |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
KR102400261B1 (en) | 2021-12-13 | 2022-05-19 | 박용우 |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Having Improved Usability |
KR200495430Y1 (en) | 2021-12-13 | 2022-05-19 | 박용우 |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24930A (en) * | 1985-03-25 | 1988-02-16 | 554072 Ontario Inc. | Hydraulic lift |
JPH04303399A (en) * | 1991-04-01 | 1992-10-27 | Sugiyasu Kogyo Kk | Safety device for two column type lift |
KR101015943B1 (en) * | 2009-03-13 | 2011-02-23 | 헤스본주식회사 | Semi Scissor Vehicle Lifts with Synchronizer |
CN104787698A (en) * | 2015-03-05 | 2015-07-22 | 苏州市汉诺威升降台有限公司 | Lifting platform |
-
2018
- 2018-02-14 KR KR1020180018334A patent/KR10196984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24930A (en) * | 1985-03-25 | 1988-02-16 | 554072 Ontario Inc. | Hydraulic lift |
JPH04303399A (en) * | 1991-04-01 | 1992-10-27 | Sugiyasu Kogyo Kk | Safety device for two column type lift |
KR101015943B1 (en) * | 2009-03-13 | 2011-02-23 | 헤스본주식회사 | Semi Scissor Vehicle Lifts with Synchronizer |
CN104787698A (en) * | 2015-03-05 | 2015-07-22 | 苏州市汉诺威升降台有限公司 | Lifting platform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5135Y1 (en) | 2021-08-19 | 2022-03-14 | 김상기 |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
KR102373663B1 (en) | 2021-08-19 | 2022-03-14 | 임병철 |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
KR102400261B1 (en) | 2021-12-13 | 2022-05-19 | 박용우 |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Having Improved Usability |
KR200495430Y1 (en) | 2021-12-13 | 2022-05-19 | 박용우 |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9843B1 (en) | Scissors type lift apparatus for car maintenance | |
JP5447989B2 (en) | Elevating device for vehicle | |
JP2008156082A (en) | Control method for lifting mechanism and lifting mechanism control device in high-place work vehicle | |
JP4090580B2 (en) | Loading platform lifting device | |
KR102441565B1 (en) | An apparatus for lifting vehicles | |
KR102361590B1 (en) | Big size lift strengthened balance function | |
JP4806984B2 (en) | forklift | |
JP3561615B2 (en) | Platform leveling system | |
JP4080853B2 (en) | Aerial work platform | |
JP2005082331A (en) | Control device for high lift work vehicle | |
JP5173281B2 (en) | elevator | |
JP2550365Y2 (en) | Hydraulic circuit of hydraulic lifting device | |
JP2000072395A (en) | Overload preventing device for high-lift working vehicle | |
JPH09227099A (en) | Safety device for lifting/lowering work device | |
JP4094404B2 (en) | Loading platform lifting device | |
KR200313119Y1 (en) | lifter for forklift | |
JP2567981Y2 (en) | Hydraulic lifting equipment | |
KR200431799Y1 (en) | High place works vehicles | |
JP3279718B2 (en) | Safety equipment for aerial work vehicles | |
JP3336364B2 (en) | Boom-type work vehicle safety device | |
JP4231710B2 (en) | Safety equipment for aerial work platforms | |
JPS6030297Y2 (en) | Lifting device for cargo handling vehicles | |
KR20240080565A (en) | Tilting device for high place work platform | |
JP2004001908A (en) |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high position working vehicle | |
JPH0978844A (en) | Climbing control method of roof structure and climbing controller used for the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