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896B1 -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896B1
KR101968896B1 KR1020160169131A KR20160169131A KR101968896B1 KR 101968896 B1 KR101968896 B1 KR 101968896B1 KR 1020160169131 A KR1020160169131 A KR 1020160169131A KR 20160169131 A KR20160169131 A KR 20160169131A KR 101968896 B1 KR101968896 B1 KR 10196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shooting
laser
control unit
f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801A (ko
Inventor
강종진
Original Assignee
강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진 filed Critical 강종진
Priority to KR1020160169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896B1/ko
Priority to PCT/KR2017/007425 priority patent/WO2018110788A1/ko
Priority to CN201780077171.6A priority patent/CN110114631A/zh
Priority to US16/469,121 priority patent/US20200018571A1/en
Publication of KR2018006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55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in which the light beam is sent from the weapon to the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4Acoustical simulation of gun fire, e.g. by pyrotech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6Recoil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8Infrared hit-indic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24Targets producing a particular effect when hit, e.g. detonation of pyrotechnic charge, bell ring, photograp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08Airborne targets, e.g. drones, kites, ballo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16Clay-pigeon targets; Clay-disc targets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0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sports or gaming, e.g. drone r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클레이 사격에서 사용되던 산탄총과 피전(pigeon) 대신에 레이저건과 레이저광을 수신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 드론을 이용하되, 레이저건은 격발반동부와 발사음향부를 포함하고 드론의 이착륙 및 비행궤도를 지상에서 제어하여, 클레이 사격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산탄총의 사용에 따른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파손된 피전의 처리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Shooting system and method using drones}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클레이 사격에서 사용되던 산탄총과 피전(pigeon) 대신에 레이저건과 레이저광 을 수신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 드론을 이용하되, 레이저건은 격발반동부와 발사음향부를 포함하고 드론의 이착륙 및 비행궤도를 지상에서 제어하여, 클레이 사격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산탄총의 사용에 따른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파손된 피전의 처리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레이 사격은 석회와 피치(pitch)를 혼합하여 만든 클레이 피전(clay pigeon)표적을 방출기로 날린 후, 산탄총으로 이를 사격하고 명중하여 깨뜨린 수에 의하여 승패를 겨루는 레저 스포츠 경기이다. 이와 같은 클레이 사격을 하기 위해서는, 납이 함유된 산탄을 이용하는 총기를 사용하므로 살상의 위험이 상시 존재하고, 사격장에는 파손된 피전 잔류물이 산적하여 환경 오염이 문제되고 있다. 또한, 클레이 사격은 상기와 같은 위험 및 오염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대상 연령층이 14세 이상으로 제한되어 있고, 지정 사격장에서만 진행될 수 있는 등 조건이 극히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는 바, 레저 스포츠로 확대 보급되기에는 무리가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8360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 오염이 심각한 클레이 피전 표적을 이착륙이 가능한 드론으로 대체하고, 환경 오염과 살상의 위협이 상존하는 납 산탄총을 레이저건으로 대체함으로써, 안전하게 사격을 즐길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정된 사격장에 한정되고, 공공기관에 보관해야 하는 실탄을 사용하는 총기를 이용한 클레이 사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이저건과 레이저광을 수신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은 레이저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건, 상기 레이저건에서 발사되는 레이저광을 수신하는 광센서를 구비한 드론 및 상기 드론의 이착륙 및 비행궤도를 제어하되, 상기 광센서가 상기 레이저광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드론이 격추되도록 비행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건은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레이저포인터부, 상기 레이저광이 발사될 때 상기 레이저건의 일부가 후퇴하여 사격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키는 격발진동부 및 상기 레이저광이 발사될 때 음향을 생성시키는 발사음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관제부와의 송수신을 통해, 상기 드론이 레이저광을 수신한 경우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격추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은 종래 클레이 사격에서 산탄총과 피전을 레이저건과 드론으로 대체함으로써, 클레이사격의 특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은 석회 피치를 재료로 하는 종래의 피전을 드론으로 대체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산탄총을 레이저건으로 대체함으로써, 안전한 레저 스포츠로 사격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레이저건의 격발진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드론이 본체의 외측면에 복수의 회전날개가 결합된 멀티콥터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에서 적용하고 있는 기술적 사상은 형태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무인 비행체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 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레이저건의 격발진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은 미리 프로그램되어 비행하는 드론(100), 사용자(201)의 조작에 의해 레이저광이 발사되는 레이저건(200) 및 상기 드론(100)이 상기 레이저광을 감지했는지 여부에 따라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관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론(100)은 본체부(10), 연결암(30), 회전날개부(40), 지지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단면이 대략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통형상인 본체하우징(20),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상부에 나사, 볼트/너트, 리벳 등으로 결합되는 덮개(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측면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연결암(30) 및 상기 연결암(30) 각각의 단부에 결합된 회전날개부(4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는 상기 드론(100)이 지상에 착륙하는 경우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50)가 배치된다.
다만, 상기 연결암(30) 및 지지대(50)는 선택적으로 부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드론(100)의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 하우징(20)의 측면에서 상기 회전날개부(40)를 제외한 지역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이저광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광센서(70)가 설치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센서(70)는 본체 하우징(2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일예로 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덮개(21) 또는 상기 회전날개부(40) 등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부(40)는 전기 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1), 상기 구동모터(4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드론(100)에 비행력을 제공하는 회전날개(42) 및 상기 모터(41)와 회전날개(42)가 고정 장착되는 회전날개 장착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41)는 필요에 따라 위치 이동이나 드론의 자세 제어 등을 위하여 해당 회전날개의 회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전력 제어가 가능한 모터 (일예로서, BLDC 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100)은 비행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부(60)는 관제부(300)와의 통신을 통하여 이착륙 및 비행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광센서(70)에 사용자(201)가 레이저건(200)을 조작하여 발사된 레이저광이 감지되는 경우,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드론(100)이 격추(착륙)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드론(100)의 이착륙 및 비행궤도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광을 수신하는 광센서(70)의 위치 또는 상기 드론(100)의 고도 등에 따라 복수의 일반비행궤도가 입력됨으로써, 사격의 난이도와 스테이지(stage)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100)이 격추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격추효과발생부(140)를 제어하여 음향, 불빛 또는 연기 등 다양한 격추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종래 피전의 단순 파괴와 달리 사용자의 기호 또는 선호도에 부합하는 실감도 높은 사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제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사격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10), 상기 제어모듈(310)의 명령에 따라 상기 드론(10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관제부(3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상기 드론(60)의 제어부(60)는 제2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제1통신부(32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드론(10)의 비행, 레이저광의 감지 및 격추 등 제반 사항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관제부(300)는 상기 제어부(60)의 메모리부(120)에 미리 내장된 프로그램과 항법광센서(130)를 통해, 드론(100)의 비행 속도, 비행 고도 및 비행 경로를 달리하여, 개별 드론이 다양한 방식의 비행을 하거나 복수의 드론이 집합 또는 산개하여 편대 비행을 할 수 있도록 비행 모드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레이저건(200)은 사용자가 방아쇠(210)를 당겨 사격이 시작되면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레이저포인터(220), 상기 레이저광이 발사됨과 동시에 총렬의 일부가 후퇴되어 격발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격발진동부(230) 및 상기 격발과 함께 다양한 격발음을 발생시키는 발사음발생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건(200)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총기의 제작 비용이 현저히 감소하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진 총기를 제작할 수 있는 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총기의 선택 사양을 다양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격발진동부(230) 및 발사음발생부(240)는 모듈로 제작하여 상기 레이저건(200)의 본체에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탈부착과 수리가 용이하게 구비될수도 있다.
상기 레이저포인터(220)은 약 2km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는 고성능 레이저포인터로 구비되어, 상기 드론(100)의 비행 거리나 고도에 따라 단거리 및 장거리 사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사격 모드를 체험할 수 있다.
상기 격발진동부(230)는 상기 레이저건(200)의 본체 후방 상부에 슬라이딩 형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레이저광의 발사와 함께 스프링의 탄성력 또는 공압 등 공지의 방식을 이용하여 후퇴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사음발생부(240)는 상기 레이저광이 발사됨과 동시에 산탄총의 발사음은 물론 다양한 총기의 발사음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고, 발사음의 크기나 발생 간격 등을 조절하여 실제 사격과 유사한 음향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레이저건(200)은 레이저광을 생성 발사할 뿐만 아니라 코드화 된 각종 형태의 신호, 또는 가시광선, 불가시광선, 전파 등 상기 레이저건(200)의 발사와 상기 드론(100)의 격추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격발진동부(230) 및 발사음발생부(240)를 통해, 사용자는 실제 총기를 사용할 때와 유사한 격발에 의한 반동과 발사음을 체험할 수 있는 바, 실감도가 높은 사격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레이저건에 고유 코드를 입력하고, 상기 관제부(300)의 제어모듈(310)과 스마트폰 앱을 연결하여, 난이도 및 스테이지에 따라 사용자의 사격점수 및 랭킹을 인터넷 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격 장소 및 사용자가 다른 경우에도 사격 시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은, 준비단계(S1), 비행단계(S2), 발사단계(S3), 격추단계(S4)를 포함한다.
먼저, 준비단계(S1)가 마련된다. 상기 준비단계(S1)는 드론(100)과 레이저건(20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드론(100)은 내부에 형성되는 제어부(60)에서 이착륙 및 비행궤도가 설정되며, 하기 레이저광을 수신하기 위한 광센서(70)가 마련된다. 상기 레이저건(200)은 레이저포인터부(220), 격발진동부(230), 발사음향부(24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비행단계(S2)가 마련된다. 상기 비행단계(S2)는 상기 드론(100)을 비행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드론(100)은 설정된 일반비행궤도로 비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발사단계(S3)가 마련된다. 상기 발사단계(S3)는 비행하는 상기 드론(100)을 향하여 상기 레이저건(200)으로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단계이다. 상기 레이저건(200)은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동시에 상기 발사음향부(240)에서 발사음이 발생되고, 발사 후에는 상기 격발진동부(230)에서 진동이 발생된다. 상기 진동은 상기 레이저건(200)이 후퇴 전진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발사음 및 진동은 상기 레이저건(200)이 실제 총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격추단계(S4)가 마련된다. 상기 격추단계(S4)는 상기 드론(100)이 상기 레이저광을 수신하는 경우 격추되는 것이다. 즉, 상기 드론(100)은 상기 광센서(70)에서 상기 레이저광의 수신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레이저광이 수신되는 경우 격추 판단을 하게 된다. 상기 드론(100)이 격추되지 않는 경우, 격추되지 않는 경우로 설정된 미격추비행궤도로 비행되거나,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격추단계(S4)에서 상기 드론(100)이 격추되면, 상기 드론(100)은 격추된 경우에 따로 설정된 격추비행궤도로 비행될 수 있고, 격추에 따른 점수 등이 추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은 종래 클레이 사격에서 산탄총과 피전을 레이저건과 드론으로 대체함으로써, 클레이 사격의 특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은 석회 피치를 재료로 하는 종래의 피전을 드론으로 대체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산탄총을 레이저건으로 대체함으로써, 안전한 레저 스포츠로 사격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은 레이저건의 격발에 따라 음향 및 격발 진동을 발생시키고, 드론의 비행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레이저광의 감지에 따라 드론이 격추되면서 실제와 유사한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실감도 높은 사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은 레이저건을 3D 프린터를 이용해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맞춤형 총기를 구현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본체부 20: 본체 하우징
40: 회전날개부 41: 구동모터
60: 제어부 70: 광센서
100: 드론 110: 제2통신부
120: 메모리부 130: 항법광센서
140: 격추효과발생부 200: 레이저건
220: 레이저포인터 230: 격발진동부
240: 발사음발생부 300: 관제부
S1: 준비단계 S2: 비행단계
S3: 발사단계 S4: 격추단계

Claims (5)

  1. 이착륙 및 비행궤도가 설정된 드론과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레이저건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상기 드론을 비행시키는 비행단계;
    비행하는 상기 드론을 향하여 상기 레이저건으로 레이저광을 발사하는 발사단계;
    상기 드론이 상기 레이저건이 발사하는 레이저광을 수신하여 격추되는 격추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준비단계에서 상기 드론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서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암; 상기 연결암 각각의 단부에 결합된 회전날개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상기 드론이 지상에 착륙할 때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 및 관제부와의 통신을 통하여 이착륙 및 비행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날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단면이 통 형상인 본체하우징; 및 상기 본체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하우징의 측면에서 상기 회전날개부를 제외한 지역에는 레이저광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광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날개부는, 전기 동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드론에 비행력을 제공하는 회전날개; 및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날개가 고정 장착되는 회전날개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전력 제어가 가능한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발사단계에서 상기 레이저건은, 레이저광이 발사되는 동시에 발사음이 발생되고, 발사 후에는 진동이 발생되고,
    상기 레이저건은,
    레이저광을 생성하여 발사하는 레이저포인터부;
    레이저광이 발사될 때 상기 레이저건의 일부가 후퇴하여 사격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키는 격발진동부;
    레이저광이 발사될 때 음향을 생성시키는 발사음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발진동부는, 상기 레이저건의 본체 후방 상부에 슬라이딩 형식으로 결합되어, 레이저광의 발사와 함께 가압되어 후퇴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발사음발생부는 모듈로 제작되어 상기 레이저건의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행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관제부와 상기 광센서를 이용하여, 비행하는 드론의 개수, 드론의 비행 속도, 비행 고도 및 비행 경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변화된 복수 개의 일반비행궤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일반비행궤도로 상기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사격의 난이도 및 스테이지를 변경할 수 있고,
    상기 관제부는,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의 명령에 따라 상기 드론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부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상기 드론의 제어부는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 레이저광의 감지 및 격추를 제어하고,
    상기 격추단계에서는,
    광센서가 레이저광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드론이 격추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드론이 격추되면,
    상기 제어부는 격추된 경우에 따로 설정된 격추비행궤도로 상기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격추효과발생부를 제어하여 음향, 불빛 또는 연기 효과를 발생시켜 실감도 높은 사격 격추 시스템을 구현하며,
    격추에 따른 점수가 상기 관제부를 통해 추가되어 상기 관제부에 의해 사용자의 사격점수 및 랭킹이 상기 관제부와 연결된 스마트폰 앱에 출력되고,
    상기 스마트폰 앱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레이저건의 고유 코드를 입력하고, 상기 관제부의 상기 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사격 장소나 사용자가 다른 경우에도 사격 시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드론이 격추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격추되지 않는 경우로 설정된 미격추비행궤도로 상기 드론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사격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69131A 2016-12-13 2016-12-13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 KR101968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31A KR101968896B1 (ko) 2016-12-13 2016-12-13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7/007425 WO2018110788A1 (ko) 2016-12-13 2017-07-12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
CN201780077171.6A CN110114631A (zh) 2016-12-13 2017-07-12 利用无人机的射击系统及方法
US16/469,121 US20200018571A1 (en) 2016-12-13 2017-07-12 Shooting system and method using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31A KR101968896B1 (ko) 2016-12-13 2016-12-13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801A KR20180067801A (ko) 2018-06-21
KR101968896B1 true KR101968896B1 (ko) 2019-04-15

Family

ID=62558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131A KR101968896B1 (ko) 2016-12-13 2016-12-13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018571A1 (ko)
KR (1) KR101968896B1 (ko)
CN (1) CN110114631A (ko)
WO (1) WO201811078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909A (ko) 2022-03-04 2023-09-12 우순 탄좌표 추정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사격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1378A (ko) 2022-03-04 2023-09-13 우순 탄두회수 기능을 겸비한 드론타겟 엄폐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사격 훈련 시스템
KR20230131379A (ko) 2022-03-04 2023-09-13 우순 이동체 타겟을 갖는 사격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사격훈련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341B1 (ko) * 2018-10-18 2019-03-20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드론 기반 사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2312181B1 (ko) 2020-02-04 2021-10-13 황정민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KR102149476B1 (ko) * 2020-03-12 2020-08-28 임형순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765802A (zh) * 2020-07-03 2020-10-13 麦腾物联网技术有限公司 射击模拟训练系统及方法
KR102271762B1 (ko) 2020-11-26 2021-07-01 주식회사 온프월드 슈팅 게임 시스템
IT202100008498A1 (it) 2021-04-06 2021-07-06 Filippo Scaglione Sistema integrato programmabile per tiro a segno con raggi infrarossi codificati, utilizzante un drone come bersaglio, che spara anch’esso per fare punti
US11987355B2 (en) 2021-06-09 2024-05-21 Raytheon Company Method and flexible apparatus permitting advanced radar signal processing, tracking, and classification/identification design and evaluation using single unmanned air surveillance (UAS) device
CN117699087B (zh) * 2024-02-05 2024-04-30 南京辰茂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射击移动靶的固定翼无人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10415U (zh) * 2011-04-18 2011-10-19 济南众邦电子有限公司 电子激光飞碟装置
US20140100037A1 (en) * 2012-10-05 2014-04-10 Qfo Lab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game play with multiple remote-control flying craf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099U (ja) * 1993-08-18 1995-03-14 椿松 張 半導体レーザ模擬戦闘システムを有する無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模型玩具
CN1296673C (zh) * 2005-06-06 2007-01-24 沈阳凯光新技术有限公司 激光模拟射击系统
KR100983601B1 (ko) 2008-07-23 2010-09-24 송검영 이동표적 발사장치
US8550817B2 (en) * 2010-01-08 2013-10-0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Trajectory simulation system utilizing dynamic target feedback that provides target position and movement data
EP2903705A4 (en) * 2012-10-05 2016-06-22 Qfo Lab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GAMING WITH MULTIPLE FLYWHITE REMOTE CONTROLLED AIRCRAFT
US10234240B2 (en) * 2013-05-09 2019-03-19 Shooting Simulator, Llc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CN205019702U (zh) * 2015-08-26 2016-02-10 赵爽 一种基于微型智能飞行器的人机交互游戏装置
KR101594023B1 (ko) * 2015-09-02 2016-02-15 (주)벤포트 레이저 광 사격 시스템
US10258888B2 (en) * 2015-11-23 2019-04-16 Qfo Labs,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real and virtual game play for multiple remotely-controlled aircraft
US9605926B1 (en) * 2016-01-07 2017-03-28 DuckDrone, LLC Drone-target hunting/shooting system
WO2017156472A2 (en) * 2016-03-11 2017-09-14 Rooftop Group International Pte. Ltd. Reverse propulsion aerial gaming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20180200631A1 (en) * 2017-01-13 2018-07-19 Kenneth C. Miller Target based games played with robotic and moving targe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10415U (zh) * 2011-04-18 2011-10-19 济南众邦电子有限公司 电子激光飞碟装置
US20140100037A1 (en) * 2012-10-05 2014-04-10 Qfo Lab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game play with multiple remote-control flying craf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0909A (ko) 2022-03-04 2023-09-12 우순 탄좌표 추정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사격 훈련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1378A (ko) 2022-03-04 2023-09-13 우순 탄두회수 기능을 겸비한 드론타겟 엄폐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사격 훈련 시스템
KR20230131379A (ko) 2022-03-04 2023-09-13 우순 이동체 타겟을 갖는 사격 훈련 시스템을 이용한 사격훈련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14631A (zh) 2019-08-09
KR20180067801A (ko) 2018-06-21
WO2018110788A1 (ko) 2018-06-21
US20200018571A1 (en)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896B1 (ko)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
CN107054678B (zh) 一种车载反无人机网弹拦截系统
US9605926B1 (en) Drone-target hunting/shooting system
US9816783B1 (en) Drone-target hunting/shooting system
US6609945B2 (en) Radio-controlled toy blimp with infrared beam weapons for staging a gun battle
US7704119B2 (en) Remote control game system with selective component disablement
EP16961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fire simulation
ES2568474T3 (es) Procedimiento de control de una munición o submunición, sistema de ataque, munición y designador que implementa dicho procedimiento
KR101109512B1 (ko) 로터 비행 방식의 미사일 기만기
CN107376359B (zh) 一种可远程控制的游戏系统
AU8934101A (en) Method and device for stimulating detonating projectiles
KR20170104812A (ko)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 및 이를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
CN210822764U (zh) 一种无人机投弹娱乐系统
CN107050843A (zh) 一种无人机游戏方法及相应的无人机及激光枪
KR101839887B1 (ko) 지능자탄 투하 시스템
CN214620888U (zh) 基于直喷管增程发动机的40毫米火箭筒用火箭弹
KR20150088642A (ko) 포발사 시스템
KR102312181B1 (ko)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KR101420299B1 (ko) 관성 모멘트를 이용하여 자세를 안정화하는 미사일 기만기 및 이의 운용 방법
JP2002071300A (ja) 航空機用デコイ弾
US20070245920A1 (en) Impact Cartridge Unit for Military Exercise
GB2489656A (en) An airborne target device
JP2012504745A (ja) 多段式超高速運動エネルギーミサイル
KR101649369B1 (ko) 다수의 지상 표적을 공격하기 위한 방법
JP2007024450A (ja) 同時炸裂弾システム、速度制御装置、及び砲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