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476B1 -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476B1
KR102149476B1 KR1020200030655A KR20200030655A KR102149476B1 KR 102149476 B1 KR102149476 B1 KR 102149476B1 KR 1020200030655 A KR1020200030655 A KR 1020200030655A KR 20200030655 A KR20200030655 A KR 20200030655A KR 102149476 B1 KR102149476 B1 KR 102149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drone
firearm
oper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순
Original Assignee
임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순 filed Critical 임형순
Priority to KR102020003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7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data related to game devices or game servers, e.g. configuration data,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7Driving on land or water; Fl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보다 상사하게는, 본 발명은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를 타겟으로 지정하여 일인 내지 복수의 인원이 공중 비행하는 타켓을 격추하는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총기장치를 구현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 및 드론과 연계하여 총기장치에 내장된 센서에 의해 드론을 피격하여 스코어를 획득하는 체감형 클레이 슈팅 게임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HOOTING GAME CONTENTS USING DRONE}
본 발명은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를 타겟으로 지정하여 일인 내지 복수의 인원이 공중 비행하는 타켓을 격추하는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슈팅 게임이란 점수가 책정된 타겟에 총과 같은 발사수단을 이용하여 발사체를 발사하여 타겟을 명중시켜 점수를 획득하는 게임을 가리키는 것으로, 다트 등의 게임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위치가 고정된 타겟뿐만 아니라, 이러한, 종래의 슈팅수단을 사용하는 슈팅게임 중에는 일방향으로 날아가거나 이동하는 물체를 사격하는 클레이 사격이 인기를 얻고 있고 있다.
이러한 클레이 사격은 실제 탄환을 사용하거나 원반형태의 비행물체를 일 방향으로 비행시켜야 됨으로써, 요구되는 공간이 상당하고 피탄의 우려가 있으므로 넓은 야외 또는 사격되는 방향에 민간인들이 통제된 야산 등에서만 제한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일반사람들이 간편하게 접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한편, 최근 국내에서 기능성 게임의 개발은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고 게임과 사회 각 분야의 접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여 초보적인 단계인 반면, 가상현실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가상현실은, 체감형 인터페이스를 적용하며 화상 카메라를 통한 영상 처리와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행위를 분석하고 적절한 반응을 사용자에게 피드백 시키게 된다.
이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벗어나 영상과 센서 융합에 의해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이 기능성 게임의 개발 분야에서 체감형 게임은 직접적인 신체감각의 접촉 및 신체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실제적인 동작을 모방하여 실재감과 현실감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와 정보통신 기기 간 정보교환의 새로운 방식으로써 더 큰 재미와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만,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새로운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기술력도 같이 성장하고 있으며, 성장과 더불어 게임 애플리케이션도 다양화 되고 있으나, 고전게임, 그 중에서도 센서를 기반으로 오프라인에서 실제로 권총을 들고 게임을 하는 권총형 슈팅 게임 분야의 개발이 가장 빈약하다. 대부분의 오락실 또는 아케이드에서도 80년대에 개발된 기계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유선형으로 기계와 권총이 연결되어야 하므로 그 활동반경이 넓지 않다. 이에, 오프라인에서 권총을 이용한 슈팅 게임의 무선 플랫폼화 및 흥미요소를 추가한 콘텐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085호(공고일자: 2006.01.24.)
본 발명은 전술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총기장치를 구현 및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장소의 제약을 극복하여 드론을 타겟으로 하여 실외에서 클레이 사격과 유사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oT 총기장치 및 드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총기장치로는 제공하기 어려운 탄환충전이나, 스코어 확인 및 총기변경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여 보다 확장된 슈팅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은, 트리거의 조작에 따라 일방향으로 서로 다른 식별코드를 갖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총기장치, 상기 총기장치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수광하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피격신호를 출력하는 피격부를 탑재하고, 설정한 경로에 따라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 및 기설정된 코스에 따라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여 슈팅 게임 콘텐츠를 진행하고, 상기 피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통해 총기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총기장치의 사용자를 판단하여 사용자별 명중 스코어를 카운터하는 게임 운영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론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임 운영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드론 통신부, 현재 드론이 비행하는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 부, 비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총기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는 피격모듈, 상기 피격모듈이 레이저를 수광하면, 상기 레이저에 포함되는 식별코드를 추출하여 피격신호를 생성하는 피격신호 생성부 및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전송하는 비행경로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비행을 수행하고, 생성한 피격신호를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운영 서버는,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과 더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게임 운영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슈팅 게임 콘텐츠의 플레이어로 등록 요청하는 사용자 등록부, 플레이어로 등록된 사용자가 소지한 총기장치를 등록하고, 사용자로부터 게임 실행 중 총기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총기 설정부, 사용자 등록 및 총기장치에 할당되는 탄환에 대한 요금 결제절차를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 요청하는 결제 요청부 및 사용자의 회원정보, 결제수단 정보 및 게임 진행에 따른 스코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게임 진행 중 사용자가 게임 내에서 보유한 잔탄정보 및 상기 게임에 참여중인 각 사용자들이 현재까지 취득한 스코어 정보를 제공하는 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운영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총기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총기 통신부, 상기 총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총기장치의 격발을 허가 및 격발된 총기장치를 감지하는 총기 식별부,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드론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드론 통신부, 기 설정된 게임 콘텐츠의 시퀀스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드론의 비행경로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에 전송하는 비행 제어부,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총기장치의 레이저에 의한 피격신호를 수집하는 피격신호 수집부, 상기 드론의 비행에 따른 게임 콘텐츠를 진행하는 게임 진행부, 상기 게임 콘텐츠의 진행 중, 총기장치에 의한 피격에 따른 스코어를 카운터 및 스코어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는 스코어 카운터부 및 사용자별 스코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운영 서버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게임에 참가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스코어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콘텐츠 진행사항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동기화하는 단말 연동부 및 연동중인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총기의 종류를 변경 또는 탄환을 충전하여 게임 콘텐츠에 반영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방법은, 전술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의한 슈팅 게임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이 게임 운영 서버에 게임 참가자로서 사용자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소지한 총기장치를 등록하고, 스코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단계,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고, 연동된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단계, 게임 콘텐츠의 실행에 따라, 상기 총기장치에 의해 비행 중 드론이 피격되면 상기 총기장치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피격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상기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의 스코어를 카운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상기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의 스코어를 카운터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스코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스코어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상기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의 스코어를 카운터하는 단계 이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 총기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총기의 종류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상기 총기장치에 갱신된 총기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상기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의 스코어를 카운터하는 단계 이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 탄환의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사용자가 소지한 총기장치에 할당된 잔탄을 확인하고, 요청된 개수만큼 탄환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총기장치를 구현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 및 드론과 연계하여 총기장치에 내장된 센서에 의해 드론을 피격하여 스코어를 획득하는 체감형 클레이 슈팅 게임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활용하여 시스템과 연동함으로써, 탄환충전, 총기종류 변경 및 스코어 확인 등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보다 흥미 있는 게임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드론의 내부 및 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게임 운영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의한 슈팅 게임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상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약식 표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은, 트리거의 조작에 따라 일방향으로 서로 다른 식별코드를 갖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총기장치(100), 총기장치(100)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수광하면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피격신호를 출력하는 피격부를 탑재하고, 설정한 경로에 따라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200) 및 기설정된 코스에 따라 드론(200)의 비행을 제어하여 슈팅 게임 콘텐츠를 진행하고, 피격신호를 수신하여 식별코드를 통해 총기장치(100)를 식별하고, 식별된 총기장치(100)의 사용자를 판단하여 사용자별 명중 스코어를 카운터하는 게임 운영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총기장치(100)는 IoT 기반 센서를 적용한 슈팅 게임 콘텐츠에서 이용되는 장치로서, 소정의 레이저 발광 소자를 탑재할 수 있고, IoT 기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게임 운영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트리거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총기장치(100)의 외관은 공지의 권총, 기관총 및 산탄총 등의 외관을 가질 수 있고, 트리거가 장치된 어떠한 구조의 총기 형태의 장치라도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총기장치(10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소정의 펄스로 구현되는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식별코드는 게임에 참여하는 총기장치(100)마다 고유하게 할당됨에 따라, 레이저 광의 수신측에서는 식별코드의 분석을 통해 해당 총기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총기장치(100)가 장착되는 총기집이 더 이용될 수 있고, 이러한 총기집은 IoT 기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탈착센서가 탑재되어 게임 운영 서버(300)와 연동하여 총기장치(100)가 대기 상태인지 또는 사격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드론(200)은 게임 운영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비행경로로 운행할 수 있다. 드론(200)은 본 발명의 IoT 기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게임 운영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몸체에 피격모듈이 탑재되어 전술한 총기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수광하여 피격신호를 생성 및 게임 운영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슈팅 게임의 타겟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드론(200)은 게임 콘텐츠의 룰에 따라 지정된 경로로 비행할 수 있고, 이동 궤적 및 속도는 게임의 난이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게임 운영 서버(300)는 IoT 기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총기장치(100) 및 드론(2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슈팅 게임 콘텐츠를 진행 및 관리할 수 있다. 게임 운영 서버(300)는 게임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등록하고, 게임에서 이용되는 가상의 탄환을 할당하여 게임 내에서 사용자에게 불출된 총기장치(100)에 의한 사격이 가능하도록 하고, 게임 콘텐츠의 진행에 따라 드론(200)의 비행을 제어함과 아울러 총기장치(100)에 의해 피격된 횟수를 카운터하여 사용자별 스코어 정보에 반영함으로써 클레이 사격 형태의 게임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게임 운영 서버(300)는 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의 요청 및 드론(200) 제어에 오류 및 지연이 최소화되도록 고성능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대용량의 메모리 및 저장소를 탑재한 워크스테이션 급의 서버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운영 서버(300)가 각 장치들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IoT 기반 네트워크를 상세히 설명하면, 적용되는 IoT 통신프로토콜은 IETF 표준화 기구에서 개발된 표준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서, 자원 제약적 디바이스로 구성된 저전력 손실 네트워크를 로컬 사물인터넷 환경으로 가정하고 자원-제약적 디바이스(Constrained Node)에 인터넷 연결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IETF는, 자원-제약적 노드로 구성된 LLN(Low power and Lossy Network)을 사물인터넷 접속 네트워크 환경으로 이용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인프라 (Infrastructure) 기반 네트워크로 구성된 접속 네트워크 환경에서 비-인프라(Infrastructure-less) 기반 IoT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네트워킹 방법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운영 서버(300)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 스스로 효율적 데이터 전달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SON(Self-Organization Networking) 기법을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메쉬형태로 배열된 노드와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노드 중 제어노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어노드는 그 주변의 노드를 그룹원으로 하는 그룹장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두 개의 도메인은 실제 노드가 위치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물리적 도메인과 제어노드로 구성된 제어 도메인으로 구분되는데, 제어 도메인은 네트워크 구성 시 필요한 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형태의 도메인이다. 특히, 제어노드는 자신이 속한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 노드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룹 내에 속한 노드와 제어 메시지를 제어노드에 대신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인프라 기반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를 제어노드와 연결하는 SON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하는 노드로 지정하고 비-인프라 기반 IoT 네트워크의 최상위 권한을 가진 노드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SON 코디네이터는 비-인프라 기반 IoT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며 IoT 네트워크 구성 시 생성되는 링크 생성의 최종적 결정을 수행한다. 또한 비-인프라 기반 IoT 네트워크에서 이웃노드 탐색 과정인 ND(Neighbor Discovery)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렇게 대표가 선출되어 제어노드가 되면, 이웃노드를 탐색하여 그룹핑을 해야 한다. 이때, ND 수행 시 아웃노드 중 6LoWPAN Router(6LR) 노드를 선정하고 6LR 노드를 통해 6LoWPAN Border Routers(6LBR)로 Duplicate Address Request/Duplicate Address Confirmation(DAR /DAC) 메시지를 주고받아 ND 과정을 수행하는 IPv6 ND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6LBR이 수행하던 게이트웨이까지 DAR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 대신, 자신을 관리하는 제어노드까지 DAR/DAC 메시지를 주고받아 네트워크 내에 ND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어 메시지 수를 줄이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렇게 네트워크가 형성되면, 노드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해 경로 설정 및 탐색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계층 기반 경로 설정 및 탐색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계층 영역은 제어노드가 관리하는 영역이고, 경로탐색에 필요한 제어메시지는 제어노드로 구성된 제어 도메인 내에서만 전달된다. 따라서, 물리 도메인에 있는 각 노드는 제어노드에 의해서 탐색된 경로를 통해 물리 도메인 내에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게임 운영 서버(300)의 IoT 노드나 센서를 이용하여 인프라를 구축하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은, 현재 진행중인 게임 상황 및 스코어 정보 등을 게임센터 내 모니터가 아닌, 각 사용자들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40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장치로서, 시스템에서 배포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IoT 기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게임 운영 서버(300)와 연동하여 게임 진행에 따른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로부터 게임 진행에 필요한 사항을 입력받아 게임 운영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400)로는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은 클레이 사격과 유사한 방식의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타겟으로서 실제 클레이(clay)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네트워크를 통해 드론을 타겟으로 하여 클레이 사격과 유사한 슈팅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한 드론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드론의 내부 및 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임 운영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드론 통신부(210), 드론(200)이 비행하는 위치를 감지하여 게임 운영 서버에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부(220), 비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30), 총기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는 피격모듈(240), 피격모듈(240)이 레이저를 수광하면, 레이저에 포함되는 식별코드를 추출하여 피격신호를 생성하는 피격신호 생성부(250) 및 게임 운영 서버가 전송하는 비행경로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비행을 수행하고, 생성한 피격신호를 게임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260) 및 구동을 위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각 구성부들은 드론의 외관을 이루는 몸체(201)내에 탑재되는 회로기판 상에 구현될 수 있으나, 피격모듈(240)의 경우 몸체(201)의 하부에 외부로 과녁(245)이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드론 통신부(210)는 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운영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론 통신부(210)는 게임 운영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60)에 전달하고, 피격모듈(240)을 통해 레이저를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는 피격신호를 게임 운영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GPS부(220)는 현재 비행중인 드론(200)의 위치좌표를 GPS 신호를 통해 산출하고, 이를 게임 운영 서버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좌표는 게임 운영 서버가 게임 진행 중 드론(2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구동부(23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소정의 모터 및 프로펠러를 포함할 수 있고, 그 회전력을 통해 드론을 추진시킬 수 있다. 프로펠러는 드론(200)의 종류에 따라 둘 이상이 탑재될 수 있고,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드론(200)을 전진, 후진, 상승, 하강 및 선회 구동하여 경로에 따른 비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피격모듈(240)은 게임 진행에 따라, 사용자들이 소지한 총기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수광 할 수 있다. 피격모듈(240)은 복수의 수광 소자가 배열되는 과녁(245)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과녁(245)은 중심부에 위치하는 수광 소자와 외곽부에 위치하는 수광 소자의 배점 및 각 수광 소자의 수광 범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레이저 수광시 수광한 레이저의 펄스를 후술하는 피격신호 생성부(250)에 전달할 수 있다.
피격신호 생성부(250)는 피격모듈(240)의 레이저 수광시, 그 레이저 수광 신호를 피격모듈(240)로부터 전달받아 레이저 신호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피격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수광된 레이저에는 각 총기장치의 식별코드에 대한 펄스가 포함되어 있고, 피격신호 생성부(250)는 그 펄스를 해석하여 식별코드를 도출하여 드론(200)이 피격되었음을 알리는 피격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2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드론(2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60)는 드론 통신부(210)가 수신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부(230)를 제어하여 설정된 경로로 드론(200)을 경로에 따라 비행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60)는 드론의 운행 중, 피격모듈(240)에서 총기장치에 의한 피격 발생시, 레이저 신호를 피격신호 생성부(250)에 전달하여 피격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생성된 피격신호를 드론 통신부(210)를 통해 게임 운영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전원부(270)는 드론(20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270)로는 반복충전이 가능한 공지의 2차 전지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의 게임 운영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게임 운영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의 게임 운영 서버(300)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총기장치(100)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총기 통신부(310), 총기 통신부(310)를 통해 연결된 총기장치(100)의 격발을 허가 및 격발된 총기장치(100)를 감지하는 총기 식별부(320), 무선통신망을 통해 드론(200)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드론 통신부(330), 기 설정된 게임 콘텐츠의 시퀀스에 따라 결정되는 드론(200)의 비행경로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드론(200)에 전송하는 비행 제어부(340), 드론(200)으로부터 총기장치(100)의 레이저에 의한 피격신호를 수집하는 피격신호 수집부(350), 드론(200)의 비행에 따른 게임 콘텐츠를 진행하는 게임 진행부(360), 게임 콘텐츠의 진행 중, 총기장치(100)에 의한 피격에 따른 스코어를 카운터 및 스코어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는 스코어 카운터부(370), 사용자별 스코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380), 무선통신망을 통해 게임에 참가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400)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스코어 정보를 게임 콘텐츠 진행사항을 사용자 단말(400)과 동기화하는 단말 연동부(390) 및 연동중인 사용자 단말(40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총기의 종류를 변경 또는 탄환을 충전하여 게임 콘텐츠에 반영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395)를 포함할 수 있다.
총기 통신부(310)는 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불출된 하나 이상의 총기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총기 통신부(310)는 게임 운영 서버(300)의 사격 승인에 따라 총기장치(100)에 구동 개시 허가를 알릴 수 있고, 게임 중 사용자에 의한 격발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총기 식별부(320)는 각 사용자별로 불출된 총기장치(100)를 식별할 수 있다. 총기장치(100)를 장치별 식별코드가 부여될 수 있고, 사용자 등록시 사용자별로 총기장치(100)가 불출 및 등록됨에 따라, 총기장치의 식별코드를 통해 격발된 총기장치(100) 및 그 사용자를 판단할 수 있다.
드론 통신부(330)는 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드론(200)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게임 콘텐츠 실행시, 드론 통신부(330)는 비행 제어부(34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드론(200)에 전송하여 드론(200)을 운행할 수 있고, 아울러 게임 중, 드론(200)이 피격되는 경우, 그에 따른 피격신호를 수신하여 피격신호 수집부(350)에 전달할 수 있다. 기타, 드론 통신부(330)는 드론(200)으로부터 현재 비행에 따른 위치좌표 등을 수신하여 비행 제어부(340)에 전달함으로써 게임 중 원할한 비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비행 제어부(340)는 게임 콘텐츠의 실행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드론(200)에 전송함으로써 게임 내용에 맞추어 드론(200)을 비행 제어할 수 있다. 드론(200)은 게임 콘텐츠에 설정된 룰에 따라 비행경로가 설정되어 운행되며, 비행 제어부(340)는 게임 진행부(360)의 게임 진행에 따라 드론(200)의 방향, 속도, 고도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드론(200)을 제어할 수 있다.
피격신호 수집부(350)는 게임 진행 중, 드론(200)이 총기장치(100)에 의해 피격됨에 따라 드론(200)으로부터 전송되는 피격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드론(200)은 게임 중, 복수의 서로 다른 총기장치(100)에 의해 피격될 수 있고, 피격시 드론(200)이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피격신호를 수집하게 된다.
또한, 피격신호 수집부(350)는 피격신호에 포함된 총기장치(100)에 대한 식별코드를 추출할 수 있고, 총기 식별부(320)가 제공하는 사용자별 등록된 총기장치(100)의 식별번호에 따라 해당 피격신호가 어느 사용자에 의한 피격신호인지 판별하여 게임 진행부(360)에 알려줄 수 있다.
게임 진행부(360)는 기 정의된 룰에 따라 게임 콘텐츠를 진행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게임 운영 서버(300)에는 드론을 이용한 게임 콘텐츠 룰이 미리 정의되어 있고, 게임 진행부(360)는 이러한 룰에 따라 사용자를 등록하고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게임 진행부(360)는 복수의 사용자 및 총기장치(100)를 등록하고, 총기장치(100)의 사격여부를 인식 및 잔탄량을 갱신하며, 게임센터 내 제한된 시간동안 일정한 경로를 비행하는 드론(200)을 제어하여 총기장치에 의해 피격된 횟수를 카운터하고, 이를 누적 계산하여 고득점을 획득한 사용자가 승리하는 내용의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임 진행부(360)는 비행 제어부(340)에 요청하여 드론(200)을 비행운행하며, 사용자를 등록하고 불출된 총기장치(100)에 의해 드론(200)이 피격되면, 총기 식별부(320) 및 피격신호 수집부(350)로부터 각각 판별된 총기 및 사용자를 인식하고, 후술하는 스코어 카운터부(370)를 통해 스코어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스코어 카운터부(370)는 게임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드론에 대한 피격횟수를 카운터하여 사용자의 스코어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스코어 정보는 등록된 사용자별로 생성되며, 게임 진행부(360)에 의해 드론을 명중시킨 사용자를 알려주면 피격횟수를 카운터하고 해당 사용자의 스코어 정보에 반영하게 된다.
데이터 베이스(380)는 게임에 이용되는 총기장치(100), 게임에 등록된 사용자 및 사용자별 등록된 총기장치(100)에 대한 정보 및 진행중인 게임별 각 사용자의 스코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타, 데이터 베이스(380)는 게임 운영 서버(300)의 운영을 위한 설정값 및 게임 콘텐츠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운영 서버(300)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게임을 진행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유용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 운영 서버(300)는 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를 등록하고, 각 총기장치(100)가 누구에게 불출되었는지 등록한 후, 게임 진행에 따라 해당 사용자 및 총기장치(100)를 식별하여 게임 콘텐츠를 진행하게 되며, 드론(200)의 피격에 따른 스코어를 카운터하여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게임센터에 대화면의 모니터 장치가 설치된 경우 각 사용자별 획득한 스코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센터의 모니터가 아닌 각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400)과 연동하여 게임 진행 내용을 사용자 단말(400)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한 구성으로서, 단말 연동부(390)는 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각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 연동부(390)는 사용자 단말(400)에 설치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 등록 요청, 스코어 정보 동기화 등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부(395)는 연동중인 사용자 단말(4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총기의 종류를 변경 또는 탄환을 충전하여 게임 콘텐츠에 반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게임 중, 게임 내에서 이용하는 총기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또는 탄환을 소진한 경우,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게임 운영 서버(300)에 총기 변경 또는 탄환 충전 등을 요청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제공부(395)는 사용자 단말(400)에 총기 변경 또는 탄환 충전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요청사항을 수신하여 게임 진행부(360)에 전송함으로써 게임 내 전술한 기능이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게임 진행부(360)는 요청에 따라 게임 내 총기 특성을 변경하거나, 사용자에게 할당된 탄환을 증가시키고 게임 콘텐츠를 계속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400)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는 공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사용자 단말(40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40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운영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410),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슈팅 게임 콘텐츠의 플레이어로 등록 요청하는 사용자 등록부(420), 플레이어로 등록된 사용자가 소지한 총기장치를 등록하고, 사용자로부터 게임 실행 중 총기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총기 설정부(430), 사용자 등록 및 총기장치에 할당되는 탄환에 대한 요금 결제절차를 게임 운영 서버에 요청하는 결제 요청부(440) 및 사용자의 회원정보, 결제수단 정보 및 게임 진행에 따른 스코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450) 및 게임 진행 중 사용자가 게임 내에서 보유한 잔탄정보 및 상기 게임에 참여중인 각 사용자들이 현재까지 취득한 스코어 정보를 제공하는 현황 관리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410)는 IoT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운영 서버와 연결되어 게임 진행과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410)는 WiFi, BLE4.0, WiMAX, LTE 등 다양한 프로토콜로 게임 운영 서버와 연결될 수 있고, 게임 진행에 따른 스코어 정보 등이 동기화될 수 있다.
사용자 등록부(420)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슈팅 게임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게임 운영 서버에 해당 사용자를 플레이어로 등록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총기 설정부(430)는 사용자가 플레이어로 등록시, 총기장치를 불출 받아 사용자에 대하여 총기가 등록되고, 게임 진행시 게임 내 총기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아 그 총기설정을 게임 운영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게임에 반영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결제 요청부(440)는 사용자 등록 및 총기장치에 할당되는 탄환에 대한 요금 결제절차를 게임 운영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결제 요청부(440)는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수단, 일례로서 신용카드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요금에 대한 결제를 게임 운영 서버에 요청할 수 있고, 게임 운영 서버는 정상적으로 결제 절차의 완료시 사용자를 플레이어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요청부(440)는 사용자의 탄환추가 요청에 대한 결제를 게임 운영 서버에 요청할 수 있고, 결제 완료시 사용자의 총기에 탄환이 추가될 수 있다.
저장소(450)는 게임 진행에 따라, 게임 운영 서버가 제공하는 해당 사용자의 잔탄 정보 및 스코어 정보 등을 수신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잔탄 정보 및 스코어 정보는 게임 운영 서버와 동기화되어 드론 명중시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저장소(450)는 결제 절차 요청을 위한 신용카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기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현황 관리부(460)는 현재 진행중인 게임 내에서 사용자가 보유한 탄환에 대한 잔탄 정보와, 사용자 자신을 포함하여 게임에 참여중인 각 사용자들이 현재까지 취득한 스코어 정보를 게임 운영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화면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 중 사용할 수 있는 탄환 갯수 및 함께 게임에 참여한 타 플레이어들과의 스코어 랭킹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의한 슈팅 게임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의한 슈팅 게임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슈팅게임에 참여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방문하여 자신이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400)에 시스템이 배포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고, 게임 참여자로서 사용자 등록을 원격지의 게임 운영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S100).
이때, 사용자는 시스템 운영측으로부터 게임 운영 서버(300)에 등록된 총기장치(100)를 불출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00)은 총기장치(100)의 식별코드를 사용자 등록시 함께 입력받아 사용자 정보와 함께 등록 요청할 수 있다.
이에, 게임 운영 서버(300)는 요청된 사용자를 등록하고, 사용자 단말(4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별로 스코어 정보를 생성 및 사용자 단말(400)과 연동할 수 있다(S110).
다음으로, 사용자들의 등록 및 준비가 완료되면, 게임 운영 서버(300)는 정해진 룰에 따라 게임 콘텐츠를 시작하며(S120), 등록된 드론(200)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비행을 제어할 수 있다(S130). 드론(200)의 비행경로는 게임 콘텐츠의 룰, 난이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드론(200)은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정해진 경로에 따라 비행을 수행하고, 이에 사용자들은 소지한 총기장치(100)를 조작하여 드론(200)을 사격하여 클레이 방식의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S160). 총기장치(100)에는 레이저 광 출력 센서가 탑재되어 있고, 사격에 따라 레이저가 출력되어 드론(200)에 탑재된 피격모듈을 맞춤으로써 스코어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게임 중, 드론(200)의 피격모듈이 레이저에 의해 피격되면, 드론(200)은 피격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170). 총기장치(10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에는 총기장치(100)별로 고유의 식별코드가 펄스 형태로 포함되어 있고, 드론(200)은 피격시 레이저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포함하는 피격정보를 생성하여 게임 운영 서버(300)에 전송하게 된다(S180).
이에 따라, 게임 운영 서버(300)는 수신한 피격정보를 분석하여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총기장치(100)를 식별 및 이를 소지한 사용자를 판단한다(S190). 그리고, 사용자별로 생성된 스코어 정보에 피격에 대한 스코어를 카운터하여 스코어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S200).
다음으로, 게임 운영 서버(300)는 스코어가 갱신된 스코어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한다(S210). 이에 사용자 단말(400)은 현재 사용자의 스코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의 스코어를 확인함과 아울러 타 게임 참가자의 스코어와의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게임 중, 부여된 탄환을 소진하거나, 총기의 종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탄환 보충 또는 총기 변경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기 변경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400)은 총기 장치의 설정 변경을 게임 운영 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고(S220), 이에 게임 운영 서버(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총기로 현재 총기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S230). 여기서, 총기 변경은 총기장치(100) 자체를 다른 장치로 변경하는 것이 아닌, 게임 콘텐츠상에서의 총기 종류를 변경하는 것으로, 총기 종류에 따라, 사격 속도, 단발 사격만 지원, 연발 사격 가능, 에임(Aim) 범위 확장 등의 다양한 총기 종류에 따른 효과가 게임 콘텐츠 상에서 반영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게임 운영 서버(300)는 이러한 총기 설정에 따른 설정 정보를 갱신하고, 게임 콘텐츠에 반영되도록 함과 아울러 총기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총기장치(100)는 장치측에서 요구되는 설정사항, 예를 들면 레이저 조사범위 확대, 레이저 연속 출력 등의 변경사항을 반영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400)은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게임 운영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별로 생성된 스코어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화면(W100)상에는 게임에 참여하는 플레이어가 획득한 피격수와, 할당된 총 탄환수 및 잔탄수를 표시하는 스테이터스 창(W110) 및 사용자 자신과, 그 이외에 현재 게임에 참여하는 타 플레이어들이 획득한 스코어를 표시하는 랭킹창(W120)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테이터스 창(W110)을 통해 자신이 획득한 스코어 및 잔탄수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랭킹창(W120)을 통해 함께 게임을 진행하는 플레이어 중 자신의 등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스 창(W110)에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총기장치의 종류를 변경 요청할 수 있는 총기 변경 버튼(W112)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게임 콘텐츠에서는 총기장치 자체의 종류가 변경되는 것은 아니나, 게임상에서 총기의 종류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지는 옵션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총기 종류에 따라, 피격범위가 넓어지거나 연사가 가능한 총기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총기 변경 버튼(W112)을 선택하여 원하는 총기의 특성을 선택 및 변경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총기변경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따른 추가비용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면, 게임 운영 서버는 게임 콘텐츠 내 해당 사용자의 총기의 종류를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터스 창(W110)에는 현재 사용자에게 부여된 탄환의 개수를 추가 요청할 수 있는 탄환 구매 버튼(W116)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게임 콘텐츠는 일정시간 내 사용자에게 할당된 탄환을 모두 소진하면 게임이 종료되는 룰에 따라 진행될 수 있고, 아직 종료시간이 도래하지 않은 시점에서 사용자는 탄환을 보충하여 게임을 지속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탄환 구매 버튼(W116)을 선택하여 탄환의 추가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은 탄환 구매에 따른 추가비용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면, 게임 운영 서버는 게임 콘텐츠 내 해당 사용자의 잔탄개수를 갱신할 수 있고, 그 탄환수는 스테이터스 창(W110)에 실시간으로 반영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총기 장치 200: 드론
201: 드론 몸체 210: 드론 통신부
220: GPS 230: 구동부
240: 피격모듈 245: 과녁
250 : 피격신호 생성부 260: 제어부
300 : 게임 운영 서버 310 : 총기 통신부
320 : 총기 식별부 330 : 드론 통신부
340 : 비행 제어부 350 : 피격신호 수집부
360 : 게임 진행부 370 : 스코어 카운터부
380 : 데이터베이스 390 : 단말 연동부
395 : 인터페이스 제공부 400 : 사용자 단말
410 : 단말 통신부 420 : 사용자 등록부
430 : 총기 설정부 440 : 결제 요청부
450 : 저장소 460 : 현황 관리부

Claims (10)

  1.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트리거의 조작에 따라 일방향으로 서로 다른 식별코드를 갖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총기장치; 상기 총기장치로부터 출력된 레이저를 수광하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피격신호를 출력하는 피격부를 탑재하고, 설정한 경로에 따라 공중을 비행하는 드론;
    기설정된 코스에 따라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여 슈팅 게임 콘텐츠를 진행하고, 상기 피격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통해 총기장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총기장치의 사용자를 판단하여 사용자별 명중 스코어를 카운터하는 게임 운영 서버; 및
    탈착센서가 탑재되고, 상기 게임 운영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총기장치의 장착에 따른 대기상태 또는 사격 가능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총기집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게임 운영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슈팅 게임 콘텐츠의 플레이어로 등록 요청하는 사용자 등록부;
    플레이어로 등록된 사용자가 소지한 총기장치를 등록하고, 사용자로부터 게임 실행 중 총기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는 총기 설정부;
    사용자 등록 및 총기장치에 할당되는 탄환에 대한 요금 결제절차를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 요청하는 결제 요청부; 및
    사용자의 회원정보, 결제수단 정보 및 게임 진행에 따른 스코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운영 서버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게임에 참가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스코어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콘텐츠 진행사항을 상기 사용자 단말과 동기화하는 단말 연동부; 및
    연동중인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총기의 종류를 변경 또는 탄환을 충전하여 게임 콘텐츠에 반영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임 운영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드론 통신부;
    현재 드론이 비행하는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GPS 부;
    비행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총기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는 피격모듈;
    상기 피격모듈이 레이저를 수광하면, 상기 레이저에 포함되는 식별코드를 추출하여 피격신호를 생성하는 피격신호 생성부; 및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전송하는 비행경로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비행을 수행하고, 생성한 피격신호를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게임 진행 중 사용자가 게임 내에서 보유한 잔탄정보 및 상기 게임에 참여중인 각 사용자들이 현재까지 취득한 스코어 정보를 제공하는 현황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운영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총기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총기 통신부;
    상기 총기 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총기장치의 격발을 허가 및 격발된 총기장치를 감지하는 총기 식별부;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드론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드론 통신부;
    기 설정된 게임 콘텐츠의 시퀀스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드론의 비행경로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에 전송하는 비행 제어부;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총기장치의 레이저에 의한 피격신호를 수집하는 피격신호 수집부;
    상기 드론의 비행에 따른 게임 콘텐츠를 진행하는 게임 진행부;
    상기 게임 콘텐츠의 진행 중, 총기장치에 의한 피격에 따른 스코어를 카운터 및 스코어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는 스코어 카운터부; 및
    사용자별 스코어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1에 기재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에 의한 슈팅 게임 제공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이 게임 운영 서버에 게임 참가자로서 사용자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사용자 및 사용자가 소지한 총기장치를 등록하고, 스코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단계;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게임 콘텐츠를 실행하고, 연동된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탈착센서가 탑재된 총기집을 통해 상기 총기장치의 장착에 따른 대기상태 또는 사각 가능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게임 콘텐츠의 실행에 따라 상기 총기장치에 의해 비행 중 드론이 피격되면 상기 총기장치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피격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상기 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의 스코어를 카운터하는 단계;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스코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스코어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 총기 설정의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총기의 종류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상기 총기장치에 갱신된 총기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게임 운영 서버에 탄환의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운영 서버가 사용자가 소지한 총기장치에 할당된 잔탄을 확인하고, 요청된 개수만큼 탄환을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30655A 2020-03-12 2020-03-12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49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655A KR102149476B1 (ko) 2020-03-12 2020-03-12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655A KR102149476B1 (ko) 2020-03-12 2020-03-12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476B1 true KR102149476B1 (ko) 2020-08-28

Family

ID=7229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655A KR102149476B1 (ko) 2020-03-12 2020-03-12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4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762B1 (ko) 2020-11-26 2021-07-01 주식회사 온프월드 슈팅 게임 시스템
IT202100008498A1 (it) * 2021-04-06 2021-07-06 Filippo Scaglione Sistema integrato programmabile per tiro a segno con raggi infrarossi codificati, utilizzante un drone come bersaglio, che spara anch’esso per fare punti
KR102505309B1 (ko) 2022-01-14 2023-03-06 (주)텔미전자 레이더/원격사격 통제장치 일체형 드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4212A (ja) * 1997-10-07 1999-04-27 Snk:Kk 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機
KR200407085Y1 (ko) 2005-11-11 2006-01-24 양유순 오락용 사격 게임 장치
KR101777630B1 (ko) * 2017-02-01 2017-09-12 에스명심 주식회사 사격 모바일 게임 시스템
KR20180067801A (ko) * 2016-12-13 2018-06-21 강종진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
KR101960341B1 (ko) * 2018-10-18 2019-03-20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드론 기반 사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4212A (ja) * 1997-10-07 1999-04-27 Snk:Kk 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機
KR200407085Y1 (ko) 2005-11-11 2006-01-24 양유순 오락용 사격 게임 장치
KR20180067801A (ko) * 2016-12-13 2018-06-21 강종진 드론을 이용한 사격 시스템 및 방법
KR101777630B1 (ko) * 2017-02-01 2017-09-12 에스명심 주식회사 사격 모바일 게임 시스템
KR101960341B1 (ko) * 2018-10-18 2019-03-20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드론 기반 사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762B1 (ko) 2020-11-26 2021-07-01 주식회사 온프월드 슈팅 게임 시스템
IT202100008498A1 (it) * 2021-04-06 2021-07-06 Filippo Scaglione Sistema integrato programmabile per tiro a segno con raggi infrarossi codificati, utilizzante un drone come bersaglio, che spara anch’esso per fare punti
KR102505309B1 (ko) 2022-01-14 2023-03-06 (주)텔미전자 레이더/원격사격 통제장치 일체형 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476B1 (ko) 드론을 이용한 슈팅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816783B1 (en) Drone-target hunting/shooting system
US9605926B1 (en) Drone-target hunting/shooting system
US9675882B2 (en) Augmented reality gaming via geographic messaging
US98618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gaming with real world locations and population centers
JP4790761B2 (ja) オンラインゲーム方法及びオンラインゲームシステム
JP2015516864A (ja) オンライン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の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05997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오프라인 위치 연동 게임 운영 시스템
WO2022143142A1 (zh) 人机交互界面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1111218A (zh) 虚拟无人机的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EP3405269A2 (en) Improved laser game system
CN113893542A (zh) 对象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计算机程序及电子设备
Mora et al. Evolving the cooperative behaviour in Unreal™ bots
TWI488052B (zh) 行動裝置及利用行動裝置執行互動遊戲之方法
US20210187390A1 (en) Virtual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Hall A point-and-shoot weapon design for outdoor multi-player smartphone games
CA3051053C (en) Physical element linked computer gaming methods and systems
CN104548581A (zh) 一种基于互联网的电子飞镖系统及其装置
JP6100958B2 (ja) オンライン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の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US9782667B1 (en) System and method of assigning a target profile for a simulation shooting system
KR101003288B1 (ko) 온라인 게임 방법 및 시스템
JP6220089B2 (ja) オンライン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の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CN117815675A (zh) 一种占点模式的真人cs游戏系统
CN117695673A (zh) 一种爆破模式的真人cs游戏系统
CN117771673A (zh) 虚拟道具的使用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