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011B1 -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 - Google Patents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011B1
KR101968011B1 KR1020170147029A KR20170147029A KR101968011B1 KR 101968011 B1 KR101968011 B1 KR 101968011B1 KR 1020170147029 A KR1020170147029 A KR 1020170147029A KR 20170147029 A KR20170147029 A KR 20170147029A KR 101968011 B1 KR101968011 B1 KR 101968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point
screen
simulator
impact
b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범
Original Assignee
구자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범 filed Critical 구자범
Priority to KR102017014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4Electric hit-indicating systems; Detecting hits by actuation of electric contacts or switches
    • F41J5/056Switch actuation by hit-generated mechanical vibration of the target body, e.g. using shock or vibration transdu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70Details not provided for in F41B11/50 or F41B11/60
    • F41B11/71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 systems, e.g. for safety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00Targets; Target stands; Target holders
    • F41J1/10Target stands; Target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4Apparatus for signalling hits or scores to the shooter, e.g. manually operated, 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arget and shooter; Apparatus for recording hits or s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제공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발사되는 비비탄을 카운팅하는 모의화기, 및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실시간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원활한 게임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APPARATUS FOR SENSING THE POINT OF IMPACT AND PAPER TARGET TRANSFER SHOOTING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오락용 또는 서바이벌 게임을 위해 다양한 모의화기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모의화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장비를 보유하고 정해진 구역 내에서 적군과 아군을 분리하여 실전과 같은 상황 속에서 행해지는 생존게임 또는 정해진 사로에서 과녁을 향해 비비탄을 발사하는 유회용 사격게임을 즐기는 사용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중에서도 유희를 위한 사격게임은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무탄을 발사하여 진열된 상품을 타격함으로써 해당 상품을 취득하는 데 이용되거나, 스코어가 배열된 과녁을 조준하여 타격함으로써 천공되는 흔적을 통해 스코어를 합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다만, 기존의 사격게임은 과녁에 발사된 발사체인 비비탄의 명중 여부만을 감지하므로,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격을 수행하는 경우 개별 득점의 판단여부가 불분명하다는 단점이 존재하였고, 사용자에게 부여된 비비탄이 모두 소모된 후, 과녁에 표시된 탄착점을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여 스코어를 책정하는 방식이므로, 실시간 발사되는 비비탄의 스코어를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기존의 사격게임은 게임의 흥미를 저조시킨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2926호(2015.08.03. 등록), "비비탄용 모의사격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고 판독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탄착점의 타겟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탄착점 감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사되는 비비탄을 카운팅하는 모의화기, 및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실시간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원활한 게임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제공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에 있어서, 비비탄을 발사하는 상기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후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을 명시하기 위해,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일정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이 투과되는 종이재질의 표적인 것이 특징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투과되는 비비탄에 의해 생성된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에서,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일정 광을 배출하여 탄착점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크린 상의 과녁과 동일한 배치도를 구비하여 상기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이며, 상기 스크린을 투과하는 상기 비비탄의 위치, 강도 및 개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비비탄의 위치, 강도 및 개수를 판독하여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현재 스코어, 최고 스코어, 최저 스코어 및 남은 비비탄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타겟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의화기는 총구에 포토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포토 센서는 상기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발사 여부 및 개수를 감지하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제공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에 있어서, 비비탄을 발사하는 모의화기, 비비탄 사격을 위한 표적을 제공하고, 상기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여 탄착점을 명시하며,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사격에 따른 상기 표적의 이송을 제어하고,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로부터 제공하는 상기 타겟 정보를 컨트롤하는 컨트롤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의화기는 총구에 위치하여 상기 발사되는 비비탄의 발사 여부 및 개수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 및 상기 포토 센서로부터 카운팅되는 상기 비비탄의 개수와, 상기 비비탄의 발사 여부 및 잔여 개수를 제공하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7 Segment LED)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는 비비탄을 발사하는 상기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후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을 명시하기 위해,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일정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제어부는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의 상기 스크린의 이송을 제어하며, 상기 타겟 정보의 초기화, 누적 및 데이터베이스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고 판독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탄착점의 타겟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사되는 비비탄을 카운팅하는 모의화기, 및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실시간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원활한 게임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착점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화기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외에서 진행되는 사격게임 또는 생존게임에 사용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으로, 모의화기와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탄착점에 따른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를 접목한 새로운 정합 및 시스템 기술을 제안한다.
이 때,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이 적용되는 실내외 사격게임 또는 생존게임의 배치, 구성, 구조, 개수 등은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테마, 시스템, 시뮬레이션에 의해 적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모의화기는 M16, M60, K1, K2, K3 등의 실제 사용되는 화기와 유사하도록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게는 방아쇠의 동작을 감지하여 격발신호를 생성하는 격발감지부, 격발신호에 따라 비비탄 총알(총탄)을 발사하는 발사부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모의화기의 길이, 종류, 형태 및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모의화기를 통해 발사되는 발사체가 비비탄인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페인트탄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무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탄착점 감지 장치 내 스크린을 통과하여 압력 센서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발사체인 경우 충분히 변형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화기 및 탄착점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의 세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은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100)은 모의화기(300) 및 탄착점 감지 장치(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100)이 실내의 사격게임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며, 게임용 모의화기(300)가 거치하는 거치대를 통해 장착된 사격부스와,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측 전방에 복수의 타겟이 설치된 탄착점 감지 장치(200)와, 사격부스에 마련되어 게임용 모의화기와 연결되는 발사체(또는 비비탄 총알, 총탄)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의화기(300)는 비비탄을 발사하는 총기이며, M16, M60, K1, K2, K3 등의 실제 사용되는 화기와 유사하도록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모의화기(300)의 총구부분은 탄착점 감지 장치(200)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탄착점 감지 장치(200) 내 타겟을 조준하도록 일정각도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모의화기(300)는 총구에 위치하여 발사되는 비비탄의 발사 여부 및 개수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미도시) 및 포토 센서로부터 카운팅되는 비비탄의 개수와, 비비탄의 발사 여부 및 잔여 개수를 제공하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7 Segment LED)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의화기(300)의 총구에 부착된 상기 포토 센서는 모의화기(300)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을 감지하고, 감지된 비비탄의 발사 여부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비비탄의 잔여 발사체 개수 또는 사용 발사체 개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탄착점 감지 장치(200)는 비비탄 사격을 위한 표적(또는 과녁)을 제공하고, 모의화기(300)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여 탄착점을 명시하며,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타겟 정보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탄착점 감지 장치(200)는 모의화기(3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모의화기(300)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충격을 흡수하고, 과녁을 제공하는 스크린, 스크린의 후면부에 배치되어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부, 비비탄의 탄착점을 명시하기 위해, 탄착점 감지 장치(2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일정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미도시) 및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스크린은 종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모의화기(300)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은 스크린을 통과하여 스크린 상에 탄착점의 홀(hole)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스크린 상의 탄착점에 의해 비비탄의 명중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탄착점 감지 장치(200)는 스크린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감지부를 포함하며, 압력 센서인 감지부를 통해 스크린을 통과한 비비탄의 압력을 감지하여 비비탄의 위치, 강도 및 개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탄착점 감지 장치(200)는 감지된 비비탄의 위치, 강도 및 개수에 따른 스코어를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100)은 컨트롤 제어부(110)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 제어부(110)는 사격에 따른 표적의 이송을 제어하고, 탄착점 감지 장치(200)로부터 제공하는 타겟 정보를 컨트롤한다. 즉, 컨트롤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100) 내 모의화기(300) 및 탄착점 감지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 제어부(110)는 탄착점 감지 장치(200)의 스크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제어부(110)는 탄착점 감지 장치(200) 내 감지부 및 제어부, 또는 모의화기(300) 내 포토 센서로부터 비비탄의 발사 여부, 잔여 발사체 개수 및 사용 발사체 개수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지정된 비비탄을 모두 소모하는 경우, 게임이 종료되었음을 판단하여 최종 스코어 및 랭킹 순위 등을 탄착점 감지 장치(200) 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제어부(110)는 게임 종료에 기초하여, 이송 도르래(271)를 제어하여 탄착점 감지 장치(200) 내 스크린을 사용자에게 이송시킬 수 있다. 이후, 스크린은 새로이 교체되어 이송 도르래(271)에 의해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탄착점 감지 장치(200)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 제어부(110)는 모의화기(300)에 포함된 포토 센서 및 FND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모의화기(300)와 연결되는 발사체(또는 비비탄 총알, 총탄) 공급 장치의 비비탄 주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제어부(110)는 상기 포토 센서로부터 비비탄의 발사 여부, 잔여 발사체 개수 및 사용 발사체 개수 등을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정보를 FND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컨트롤 제어부(110)는 탄착점 감지 장치(200) 및 모의화기(300)를 통해 수집되는 비비탄의 발사 여부, 잔여 발사체 개수 및 사용 발사체 개수와 게임 종료에 따른 최종 스코어 및 랭킹 순위 등의 타겟 정보를 초기화, 누적 또는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여 유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100)이 적용된 실내외 게임 공간에서, 컨트롤 제어부(110)는 사격게임 중 실제와 같은 박진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내외부에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하는 게임레벨과 가산된 스코어, 잔여 발사체 개수, 사용 발사체 개수 그리고 사용자에게 주어진 게임시간 등을 출력 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100)이 적용된 실내외 게임 공간은 다양한 효과음이나, 명중 또는 빗맞았을 경우 음향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음향 설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착점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착점 감지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착점 감지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착점 감지 장치(200)는 비비탄을 발사하는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크린(210) 및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한다.
이 때, 스크린(210)은 종이 재질로,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이 투과되는 재질일 수 있다.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은 스크린(210)을 통과하여 스크린(210) 상에 탄착점(211)의 홀(hole)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탄착점 감지 장치(200) 내 공간에서 상기 생성된 탄착점(211)의 홀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는 일정 광에 의한 비비탄의 명중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크린(210)은 모의화기를 통해 발사되는 발사체가 비비탄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페인트탄 또는 고무탄에 의해 탄착점(211)의 홀이 생성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종이 재질, 종류 및 두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7 Segment LED)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스크린(210) 상의 탄착점 위치에 따라 가산 또는 감산된 스코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50)는 현재 스코어, 최종 스코어, 랭킹 순위, 잔여 발사체 개수, 사용 발사체 개수 및 사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착점 감지 장치(200)는 단일 행의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복수의 행, 열 또는 다양한 형태, 크기, 위치 및 개수의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착점 감지 장치(200)는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크린(210), 스크린(210)의 후면부에 배치되어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부(220), 비비탄의 탄착점을 명시하기 위해,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일정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230) 및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스크린(210) 및 감지부(220)는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스크린(210) 및 감지부(220)를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각각은 밀폐되어 내부 공간(26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광원부(230)는 스크린(210) 및 감지부(220)를 연결하는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260)으로 일정한 광을 조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스크린(210)은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이 투과되는 종이 재질의 표적일 수 있으며, 과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20)는 스크린(210) 상의 과녁과 동일한 배치도를 구비하여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된 비비탄은 스크린(210)의 임의의 영역을 통과하여 탄착점의 홀(hole)을 생성하고, 통과된 비비탄은 스크린(210)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감지부(220)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감지부(220)는 스크린(210)을 통과한 비비탄의 접촉 압력에 따라 비비탄의 위치, 강도 및 개수를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비비탄에 의해 스크린(210) 상에 탄착점의 홀(hole)이 생성되는 경우, 탄착점 감지 장치(200)의 광원부(230)로부터 내부 공간(260)에 조사되는 일정 광이 탄착점의 홀을 통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이에, 탄착점 감지 장치(200)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용자는 탄착점의 홀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통해 스크린(210) 상의 명중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광원부(230)는 스크린(210) 및 감지부(220)를 연결하는 상부에 위치하여 하단으로 일정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스크린(210)의 후면부에서 광을 조사하는 기존 기술에 비해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광원부(230)에서 조사되는 일정 광은 제어부(2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240)는 내부 공간(260)으로 조사되는 일정 광의 강도, 색온도 및 색상과, 전원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감지부(220)를 통해 감지된 비비탄의 위치, 강도, 잔여 발사체 개수 및 사용 발사체 개수를 판독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현재 스코어, 최고 스코어, 최저 스코어, 잔여 발사체 개수, 사용 발사체 개수 및 사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타겟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25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착점 감지 장치(200)의 스크린(210)은 이송 라인(273)에 연결되며, 이송 도르래(271) 및 연결 도르래(272)를 통해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이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착점 감지 장치(200)의 제어부(240)는 감지부(220)를 통해 비비탄의 발사 여부, 잔여 발사체 개수 및 사용 발사체 개수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지정된 비비탄이 모두 소모된 경우, 게임이 종료되었음을 판단하여 최종 스코어 및 랭킹 순위 등을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40)는 이송 도르래(271)를 제어하여 스크린(210)을 사용자에게 이송시키며, 사용자는 스크린(210) 상의 과녁에 표시된 탄착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210)은 새로이 교체되어 이송 도르래(271)에 의해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탄착점 감지 장치(200)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결 도르래(272) 없이, 이송 도르래(271) 및 이송 라인(273)만을 이용하여 스크린(210)을 이송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100)의 컨트롤 제어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이송 도르래(27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화기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화기의 총구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화기의 발사체(또는 비비탄 총알, 총탄) 공급 장치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의화기(300)는 총구(310)에 포토 센서(312) 및 FND(Flexible Numeric Display, 7 Segment LED) 디스플레이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의화기(300)는 총대(301) 끝부분인 총구(310)에 고정부(311)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고정부(311)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으로 총구(310)에 탈부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311)는 내부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포토 센서(312)를 포함하며, 총대(301)의 상단에 FND 디스플레이부(313)를 포함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고정부(311)의 형태 및 크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정부(311) 내의 포토 센서(312)는 모의화기(300)로부터 비비탄(10)이 발사되는 경우, 투과되는 비비탄(10)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포토 센서(312)에 의해 비비탄(10)의 발사 여부가 감지되며, FND 디스플레이부(313)를 통해 잔여 발사체 개수 또는 사용 발사체 개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시점에서 모의화기(300)를 통해 탄착점 감지 장치(200)를 바라보는 경우, 모의화기(300)의 총구(310)에 고정부(311)가 위치하며, 사용자는 총대(301)의 표면과 고정부(311)의 단면 사이에 위치하는 FND 디스플레이부(313)를 통해 잔여 발사체 개수 또는 사용 발사체 개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모의화기(300)의 총구(310)에 위치하는 포토 센서(312)를 통해 비비탄(10)의 발사 여부를 감지하므로, 소음 센서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발사 여부를 판단하는 기존 기술에 비해 발사 유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존 기술에서 발생하는 오발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때, 비비탄(10)은 BB탄 외에 페인트탄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무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100)의 컨트롤 제어부(110)는 모의화기(300) 내 포토 센서(312)로부터 감지된 비비탄(10)의 발사 여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잔여 발사체 개수 또는 사용 발사체 개수를 판단하여 FND 디스플레이부(313)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의화기(300)는 발사체 장전관(321)에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사체 장전관(321)은 모의화기(300)의 총열의 약실과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복수의 발사체(예를 들면, 비비탄, 페인트탄 또는 고무탄 등, 10)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저장부(320)에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저장부(320)에 저장된 발사체(10)는 발사체 장전관(321)을 통해 모의화기(300)로 주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발사체(10)는 압력차에 의해 발사체 장전관(321)을 통해 모의화기(300)로 주입될 수 있으며, 저장부(320) 내 신축 가능한 코일스트링 구조를 통해 순차적으로 주입될 수도 있고, 컨트롤 제어부(110)의 제어 커맨드에 의해 주입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발사체(10)는 일렬로 모의화기(300)에 공급되며, 무작위 방식으로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발사체(또는 비비탄)
100: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
200: 탄착점 감지 장치
210: 스크린
220: 감지부
230: 광원부
250: 디스플레이부
260: 내부 공간
271: 이송 도르래
272: 연결 도르래
273: 이송 라인
300: 모의화기
301: 총대
310: 총구
311: 고정부
312: 포토 센서
313: FND 디스플레이부
320: 저장부
321: 발사체 장전관

Claims (10)

  1.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제공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에 있어서,
    비비탄을 발사하는 상기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후면부에 배치되어 상기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스크린과 상기 감지부 사이 간격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 광을 조사하여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을 명시하는 광원부; 및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은
    투과되는 비비탄에 의해 생성된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에서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일정 광을 배출하여 탄착점의 위치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에 연결된 이송 도르래를 제어하여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이 명시된 스크린을 사용자에게 이송시키며, 교체되는 새로운 스크린을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의 전면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이 투과되는 종이재질의 표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스크린 상의 과녁과 동일한 배치도를 구비하여 상기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이며, 상기 스크린을 투과하는 상기 비비탄의 위치, 강도 및 개수를 감지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비비탄의 위치, 강도 및 개수를 판독하여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현재 스코어, 최고 스코어, 최저 스코어 및 남은 비비탄의 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타겟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화기는
    총구에 포토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포토 센서는
    상기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발사 여부 및 개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
  7.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제공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에 있어서,
    비비탄을 발사하는 모의화기;
    비비탄 사격을 위한 표적을 제공하고, 상기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여 탄착점을 명시하며,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사격에 따른 상기 표적의 이송을 제어하고,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로부터 제공하는 상기 타겟 정보를 컨트롤하는 컨트롤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는
    비비탄을 발사하는 상기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비비탄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후면부에 배치되어 비비탄의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스크린과 상기 감지부 사이 간격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 광을 조사하여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을 명시하는 광원부; 및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타겟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투과되는 비비탄에 의해 생성된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에서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일정 광을 배출하여 탄착점의 위치를 제공하며,
    상기 컨트롤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에 연결된 이송 도르래를 제어하여 상기 비비탄의 탄착점이 명시된 스크린을 사용자에게 이송시키며, 교체되는 새로운 스크린을 상기 탄착점 감지 장치의 전면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화기는
    총구에 위치하여 상기 발사되는 비비탄의 발사 여부 및 개수를 감지하는 포토 센서; 및
    상기 포토 센서로부터 카운팅되는 상기 비비탄의 개수와, 상기 비비탄의 발사 여부 및 잔여 개수를 제공하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7 Segment LED)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제어부는
    상기 타겟 정보의 초기화, 누적 및 데이터베이스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
KR1020170147029A 2017-11-07 2017-11-07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 KR101968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029A KR101968011B1 (ko) 2017-11-07 2017-11-07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029A KR101968011B1 (ko) 2017-11-07 2017-11-07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011B1 true KR101968011B1 (ko) 2019-04-10

Family

ID=6616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029A KR101968011B1 (ko) 2017-11-07 2017-11-07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0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5235A (zh) * 2019-11-05 2020-01-10 淮安鱼鹰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打靶娱乐系统
KR102148526B1 (ko) * 2019-12-05 2020-08-27 주식회사 건파워 탄환의 분산방지 기능이 구비된 사격 게임용 모니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3336A (en) * 1973-03-05 1975-07-08 Remington Arms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valuating accuracy and pattern density for a shotgun
JP2003265854A (ja) * 2002-02-19 2003-09-24 Lien-Fu Lu 電子銃の標的装置
JP2005156012A (ja) * 2003-11-25 2005-06-1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発射弾数カウンタ
JP2013174425A (ja) * 2012-01-27 2013-09-0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射撃訓練システム
KR101542926B1 (ko) 2014-05-09 2015-08-10 주식회사 건파워 비비탄용 모의사격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3336A (en) * 1973-03-05 1975-07-08 Remington Arms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valuating accuracy and pattern density for a shotgun
JP2003265854A (ja) * 2002-02-19 2003-09-24 Lien-Fu Lu 電子銃の標的装置
JP2005156012A (ja) * 2003-11-25 2005-06-1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発射弾数カウンタ
JP2013174425A (ja) * 2012-01-27 2013-09-05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射撃訓練システム
KR101542926B1 (ko) 2014-05-09 2015-08-10 주식회사 건파워 비비탄용 모의사격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5235A (zh) * 2019-11-05 2020-01-10 淮安鱼鹰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打靶娱乐系统
KR102148526B1 (ko) * 2019-12-05 2020-08-27 주식회사 건파워 탄환의 분산방지 기능이 구비된 사격 게임용 모니터 장치
WO2021112378A1 (ko) * 2019-12-05 2021-06-10 주식회사 건파워 탄환의 분산방지 기능이 구비된 사격 게임용 모니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projectile impact coordinates
US5823779A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weapons range with return fire
US20100273130A1 (en) Shooting training systems using an embedded photo sensing panel
US9200870B1 (en) Virtual environment hunting systems and methods
US20030060288A1 (en) Non-lethal small arms projectile for use with a reader-target for amusement, sports and training
US8678824B2 (en) Shooting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n optical recognition system
US20200096283A1 (en) Simulated hunting devices and methods
US20230065520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tals target
US200701609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projectile impact coordinates
KR101968011B1 (ko)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
WO2017043147A1 (ja) 射撃シミュレートシステム
KR102361694B1 (ko) 드론 기반의 서바이벌 사격 게임 제공 시스템
US20150024815A1 (en) Hit recognition electronic target shooting system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JP2013000232A (ja) ゲーム機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05067B1 (ko) 스마트 클레이 사격 시스템
US20140094231A1 (en) Standard and method for quick draw contest simulation
KR101542926B1 (ko) 비비탄용 모의사격 시스템
US9052162B1 (en) Indoor long range shooting gallery
KR20190139819A (ko) 이동성 사격 시스템
KR101592501B1 (ko) 비비탄용 사격 시스템
KR101151853B1 (ko) 서바이벌 게임용 구조물
KR20170127941A (ko) 미니 양궁 사로 및 미니 양궁 시스템
RU2046272C1 (ru) Способ тренировки стрелка на стенд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057387B1 (ko) 이동성 사격 시스템
US8955502B2 (en) Bottom loading paintball fee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