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819A - 이동성 사격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성 사격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9819A KR20190139819A KR1020190164442A KR20190164442A KR20190139819A KR 20190139819 A KR20190139819 A KR 20190139819A KR 1020190164442 A KR1020190164442 A KR 1020190164442A KR 20190164442 A KR20190164442 A KR 20190164442A KR 20190139819 A KR20190139819 A KR 201901398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rget
- target device
- module
- lane
- mo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9/00—Moving targets, i.e. moving when fired at
- F41J9/02—Land-based targets, e.g. inflatable targets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4—Apparatus for signalling hits or scores to the shooter, e.g. manually operated, 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arget and shooter; Apparatus for recording hits or sco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24—Targets producing a particular effect when hit, e.g. detonation of pyrotechnic charge, bell ring, photograp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7/00—Movable targets which are stationary when fired at
- F41J7/04—Movable targets which are stationary when fired at disappearing or moving when h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성 사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조준 목표물로, 좌우 유동성을 갖는 유동표적장치, 레인(lane)에 따라 분류된 구간의 각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표적장치를 피탄하는 탄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탄알이 발사된 위치 및 구간을 판별하는 구간 감지부 및 상기 유동표적장치가 이동하는 이동레일(rail) 부근에 위치하며, 레이저 감지로 인한 상기 유동표적장치의 타겟 여부를 감지하는 타겟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성 사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유동성을 갖는 유동표적장치의 타겟 여부를 감지하고, 탄알의 위치 및 구간을 판별하여 사격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오락용 또는 서바이벌 게임을 위해 다양한 모의화기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모의화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장비를 보유하고 정해진 구역 내에서 적군과 아군을 분리하여 실전과 같은 상황 속에서 행해지는 생존게임 또는 정해진 사로에서 과녁을 향해 탄알을 발사하는 유희용 사격게임을 즐기는 사용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중에서도 유희를 위한 사격게임은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무탄을 발사하여 진열된 상품을 타격함으로써 해당 상품을 취득하는 데 이용되거나, 스코어가 배열된 과녁을 조준하여 타격함으로써 천공되는 흔적을 통해 스코어를 합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스코어가 배열된 과녁을 조준하여 타격함으로써 천공되는 흔적을 통해 스코어를 합산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기존 기술은 고정된 과녁을 타격하거나, 이동하는 과녁을 타격하는 게임으로 분류된다.
이동하는 과녁을 타격하는 기존의 사격게임은 표적이 움직일 때, 표적을 이동시키는 레일(rail)이 같이 움직이므로, 고장 발생률이 높고, 레일의 마모가 심해져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이동하는 과녁을 타격하는 기존의 사격게임은 복수의 사용자에게 동일한 표적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제1 레인에 위치하는 제1 사용자가 아닌 제2 사용자 또는 제3 사용자가 제1 과녁을 타겟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기존의 사격게임은 게임의 흥미를 저조시킨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좌우 유동성을 갖는 유동표적장치의 타겟 여부와 탄알이 발사된 위치 및 구간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 유동성을 갖는 유동표적장치를 피탄하여 넘어간 표적모듈을 각 레인별로 위치하는 가동 지지대에 의해 반동으로 재구동시킴으로써, 유동표적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은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조준 목표물로, 좌우 유동성을 갖는 유동표적장치, 레인(lane)에 따라 분류된 구간의 각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표적장치를 피탄하는 탄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탄알이 발사된 위치 및 구간을 판별하는 구간 감지부 및 상기 유동표적장치가 이동하는 이동레일(rail) 부근에 위치하며, 레이저 감지로 인한 상기 유동표적장치의 타겟 여부를 감지하는 타겟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표적장치는 상기 이동레일에 접촉되어 좌우 유동성을 제공하는 이동모듈, 상기 이동모듈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탄알로 인해 피탄되는 조준 목표물로 구성되는 표적모듈 및 상기 이동모듈과 상기 표적모듈을 연결하는 고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적모듈은 탄알로 인해 피탄된 경우, 레인(lane)에 따라 분류된 상기 구간의 각 지점에 위치하는 경사진 형태의 가동 지지대에 의한 반동으로 재구동되어 각 레인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표적이 될 수 있다.
상기 유동표적장치는 일정 간격에 따라 계층적 또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이동레일(rail)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레일 각각에 단일 또는 복수 개로 위치하여 서로 다른 속도 및 위치의 좌우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동표적장치는 계층적 또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이동레일에서 서로 다른 속도 및 위치와 실내외 게임 공간에 따라 효과음을 제공하고, 상기 표적모듈에 명중 또는 빗맞았을 경우에 따른 음향효과를 제공하는 출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간 감지부는 각 레인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포토센서(또는 광센서)이며, 레인의 기준선을 침범하는 탄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구간 감지부는 복수의 레인 중 해당 레인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로부터 발사된 탄알인지, 다른 레인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에 의해 발사된 탄알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탄알이 발사된 위치 및 구간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타겟 감지부는 상기 유동표적장치가 이동하는 이동레일 뒷편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레일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IR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타겟 감지부는 탄알로 인해 피탄된 상기 유동표적장치에 의해 상기 수광부에서 감지되는 레이저로부터 타겟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은 상기 유동표적장치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타겟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구간 감지부 및 상기 타겟 감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좌우 유동성을 갖는 유동표적장치의 타겟 여부와 탄알이 발사된 위치 및 구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우 유동성을 갖는 유동표적장치를 피탄하여 넘어간 표적모듈을 각 레인별로 위치하는 가동 지지대에 의해 반동으로 재구동시킴으로써, 유동표적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레일의 배치 및 구조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표적장치의 세부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모듈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레일의 배치 및 구조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표적장치의 세부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모듈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시청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야외필드 게임장이나 군대 또는 민간에서 사격 연습, 훈련, 게임 등에 사용되는 이동성 사격 시스템으로, 모의화기와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탄알의 위치 및 구간을 판별하고, 좌우로 움직이는 유동표적장치의 타겟 여부를 감지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이동성 사격 시스템은 군대 또는 민간 사업 장에서 사격 연습, 훈련, 게임 등에 적용될 수 있고, 사격 외에 양궁, 다트, 건샵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므로, 실내외 사격게임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표적(또는 과녁)을 조준 및 타겟하는 형태의 시스템이면 무관하다.
이동성 사격 시스템이 적용되는 실내외 사격게임의 배치, 구성, 구조, 개수 등은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테마, 시스템, 시뮬레이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모의화기는 M16, M60, K1, K2, K3 등의 실제 사용되는 화기와 유사하도록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모의화기의 길이, 종류, 형태 및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모의화기를 통해 발사되는 탄알은 비비탄, 페인트탄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무탄일 수 있으며, 유동표적장치의 조준 목표물인 표적모듈이 피탄되어 일정 각도로 접힐 수 있는 강도의 발사체인 경우 충분히 변형 사용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사격뿐만 아니라, 양궁, 다트, 건샵 등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모의화기가 아닌 양궁 활, 컴파운드 등일 수 있으며, 탄알이 아닌 양궁 화살, 다트 화살 등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은 실내 사격게임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며, 사용자(10)가 사용하는 게임용 모의화기가 거치하는 거치대를 통해 장착된 사격부스와,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측 전방에 조준 목표물로 좌우 유동성을 갖는 유동표적장치(200)와, 사격부스에 마련되어 게임용 모의화기와 연결되는 탄알(또는 비비탄 총알, 총탄, 발사체 등)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의화기는 사용자에 의해 탄알을 발사하는 총기이며, M16, M60, K1, K2, K3 등의 실제 사용되는 화기와 유사하도록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모의화기의 총구부분은 유동표적장치(200)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유동표적장치(200) 내 표적모듈을 조준하도록 일정각도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모의화기는 총구에 위치하여 발사되는 탄알의 발사 여부 및 개수를 감지하는 포토센서(미도시) 및 포토센서로부터 카운팅되는 탄알의 개수와 탄알의 발사 여부 및 잔여 개수를 제공하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7 Segment LED)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의화기의 총구에 부착된 포토센서는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탄알을 감지하고, 감지된 탄알의 발사 여부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탄알의 잔여 발사체 개수 또는 사용 발사체 개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은 사용자(10)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조준 목표물로, 좌우 유동성을 갖는 유동표적장치(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은 레인(lane, 140)에 따라 분류된 구간(160)의 각 지점에 위치하며, 유동표적장치(200)를 피탄하는 탄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탄알이 발사된 위치와 구간을 판별하는 구간 감지부(120) 및 유동표적장치(200)가 이동하는 이동레일(rail, 110) 부근에 위치하며, 레이저 감지로 인한 유동표적장치(200)의 타겟 여부를 감지하는 타겟 감지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이 적용된 실내외 사격게임은 레인의 기준선(150)에 따라 분류된 구간(160)에 의한 복수의 레인(140)을 포함하며, 복수의 레인(140) 각각에는 복수의 사용자(10)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인(141)에 위치하는 제1 사용자(11)는 레인의 기준선(150)에 따라 정면에 위치하는 제1 유동표적장치(201)를 조준하고, 제2 레인(142)에 위치하는 제2 사용자(12)는 레인의 기준선(150)에 따라 정면에 위치하는 제2 유동표적장치(202)를 조준하며, 제3 레인(143)에 위치하는 제3 사용자(13)는 레인의 기준선(150)에 따라 정면에 위치하는 제3 유동표적장치(203)를 조준하고, 제4 레인(144)에 위치하는 제4 사용자(14)는 레인의 기준선(150)에 따라 정면에 위치하는 제4 유동표적장치(204)를 조준한다.
이 때, 유동표적장치(200)는 이동레일(110)의 길이에 따라 좌우 유동성을 가지며, 이동레일(110) 상에 단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유동표적장치(200)는 제1 사용자(11)의 조준 목표물일 수 있으나, 이동레일(110)의 길이에 따라 이동하므로, 제2 사용자(12), 제3 사용자(13) 및 제4 사용자(14)의 조준 목표물일 수도 있다. 즉, 유동표적장치(200)는 하나의 이동레일(100)에 단수 개로 구성될 경우, 위치하는 해당 레인(140)에 따른 해당 사용자(10)의 조준 목표물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의 구간 감지부(120)는 레인(140)의 각 지점 즉, 레인의 기준선(150) 각각에 위치하며, 레인의 기준선(150)을 침범하는 탄알을 감지하는 포토센서(또는 광센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간 감지부(120)는 카메라 또는 카메라 센서일 수도 있다.
구간 감지부(120)는 레인의 기준선(150)을 향해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탄알이 발사된 위치 및 구간(또는 레인(140))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레인(141)의 경우, 제1 레인(141)의 좌측에 제1 구간 감지부(121)와 제1 레인(141)의 우측에 제2 구간 감지부(122)가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1 구간 감지부(121) 및 제2 구간 감지부(122)는 제1 유동표적장치를 피탄하는 탄알이 제1 레인(141) 상에 위치하는 제1 사용자(11)로부터 발사된 탄알인지, 제2 레인(142) 상에 위치하는 제2 사용자(120)로부터 발사된 탄알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구간 감지부(120)는 제1 구간 감지부(121) 및 제2 구간 감지부(122) 뿐만 아니라, 제3 구간 감지부(123), 제4 구간 감지부(124) 및 제5 구간 감지부(1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3 레인(143) 및 제4 레인(144)에 위치하는 제3 사용자(13) 및 제4 사용자(14)에 의해 발사된 탄알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의 타겟 감지부(130)는 유동표적장치(200)가 이동하는 이동레일(110) 뒷편에 위치하며, 이동레일(110)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발광부(131) 및 수광부(132)를 포함하는 IR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타겟 감지부(130)는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일 수도 있다.
타겟 감지부(130)는 탄알로 인해 피탄되는 유동표적장치(200)에 의해 수광부(132)에서 감지되는 레이저로부터 타겟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동표적장치(200)의 표적모듈이 탄알에 의해 피탄된 경우(총알이 맞았을 경우), 일정한 각도로 접혀 넘어질 수 있다. 이 때, 유동표적장치(200)는 마이너스() 공통 단자이고, 유동표적장치(200)의 표적모듈이 넘어지면, 타겟 감지부(130)의 플러스(+) 단자와 접촉되며, 타겟 감지부(130)는 마이너스 단자 및 플러스 단자의 접촉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유동표적장치(200)의 타겟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감지부(130) 즉, 발광부(131) 및 수광부(132)는 이동레일(110)을 기준으로 양쪽에 하나씩 배치된 형태를 나타내나, 발광부(131) 및 수광부(132)는 구간 감지부(120)와 동일한 위치 예를 들면, 레인의 기준선(150)에 따른 레인별(141, 142, 143, 144)로 왼쪽 및 오른쪽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피탄되어 일정한 각도로 접힌 예를 들어, 탄알에 의해 넘어진 표적모듈에 의해 타겟 감지부(130)는 레이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발광부(131) 및 수광부(132)는 슬립모드(Sleep Mode)를 유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유동표적장치(200)의 표적모듈이 탄알로 인해 피탄되어 일정한 각도로 접혀 넘어지는 경우, 발광부(131)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는 수광부(132)에 따라 타겟 감지부(130)는 유동표적장치(200)의 타겟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은 탄알에 의해 넘어진 표적모듈로 인해 레이저를 감지하여 타겟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저전력의 효율적으로 유동표적장치(200)의 피탄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유동표적장치(200), 구간 감지부(120) 및 타겟 감지부(130)와 사용자(10)의 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레일의 배치 및 구조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동레일의 배치 및 구조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동레일의 배치 및 구조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은 사용자(10)의 정면에 계층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동레일(1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의 이동레일(110)은 최상단부터 최하단까지 계층적으로 배치된 제1 이동레일(111), 제2 이동레일(112), 제3 이동레일(113) 및 제4 이동레일(1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이동레일(111)은 제1 유동표적장치(201)의 좌우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이동레일(112)은 제2 유동표적장치(202)의 좌우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3 이동레일은(113)은 제3 유동표적장치(203)의 좌우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고, 제4 이동레일은(114)은 제4 유동표적장치(204)의 좌우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이 적용된 실내외 사격게임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용자(10)는 정면에 계층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동레일(110) 중 해당 레인(140)에 위치하는 유동표적장치(200)를 조준하여 탄알을 발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사용자(11)는 제1 레인(141) 내에서 제1 이동레일(111), 제2 이동레일(112), 제3 이동레일(113) 및 제4 이동레일(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이동레일에 위치하는 유동표적장치(200)을 조준하여 맞출 수 있다. 이 때, 제1 레인(141) 내에 위치하는 유동표적장치(200)는 제1 유동표적장치(201), 제2 유동표적장치(202), 제3 유동표적장치(203) 및 제4 유동표적장치(2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11)는 동일 시각에 제1 레인(141) 안에서, 위,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유동표적장치(201) 및 제3 유동표적장치(203)를 조준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11)는 계층적으로 배치된 제1 이동레일(111), 제2 이동레일(112), 제3 이동레일(113) 및 제4 이동레일(114) 중 제1 레인(141)에 위치하는 임의의 유동표적장치(200)를 조준하여 사격게임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은 사용자(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의 간격마다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동레일(1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의 이동레일(110)은 사용자(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최장거리부터 최단거리까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이동레일(111), 제2 이동레일(112), 제3 이동레일(113) 및 제4 이동레일(114)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이 적용된 실내외 사격게임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용자(10)는 정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동레일(110) 중 해당 레인(140)에 위치하는 유동표적장치(200)를 조준하여 탄알을 발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사용자(11)는 제1 레인(141) 내에서 제1 이동레일(111), 제2 이동레일(112), 제3 이동레일(113) 및 제4 이동레일(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이동레일에 위치하는 유동표적장치(200)을 조준하여 맞출 수 있다. 이 때, 제1 레인(141) 내에 위치하는 유동표적장치(200)는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11)는 동일 시각에 제1 레인(141) 안에서,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하는 제1 유동표적장치(201) 및 제3 유동표적장치(203)를 조준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11)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이동레일(111), 제2 이동레일(112), 제3 이동레일(113) 및 제4 이동레일(114) 중 제1 레인(141) 상에 위치하는 임의의 유동표적장치(200)를 조준하여 사격게임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표적장치(200)는 이동레일(110)의 길이에 따라 좌우 유동성을 갖는다. 이 때, 유동표적장치(200)는 이동레일(110)의 이송 라인(116)에 접촉된 형태로, 이송 라인(116)을 이동시키는 이송 도르래(115)에 의해 좌우 유동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표적장치(200)는 계층적 또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동레일에서 서로 다른 속도 및 위치와 실내외 게임 공간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음을 제공하고, 표적모듈에 명중 또는 빗맞았을 경우에 따른 음향효과를 제공하는 출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출력모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이 적용된 사격게임 장 내부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표적장치의 세부 구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유동표적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유동표적장치의 피탄된 구조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표적장치(200)는 이동레일(110)의 이송 라인(116)에 접촉되어 좌우 유동성을 제공하는 이동모듈(210), 이동모듈(210)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탄알로 인해 피탄되는 조준 목표물로 구성되는 표적모듈(220) 및 이동모듈(210)과 표적모듈(220)을 연결하는 고정모듈(230)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모듈(210)의 임의의 자리에 홀(Hole)이 위치하며, 홀을 관통하는 이송 라인(116)으로 인해 유동표적장치(200)가 좌우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표적모듈(220)은 모의화기로부터 발사되는 탄알이 피탄되는 표적일 수 있으며, 과녁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모듈(230)은 이동모듈(210)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탄알에 의해 피탄되어 표적모듈(220)이 일정한 각도로 접혀 넘어지는 경우, 가동 지지대(510)에 의해 재구동되는 경우, 보다 효율적인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표적장치(200)의 표적모듈(220)은 탄알로 인해 피탄되어 일정한 각도로 접혀 넘어지는 경우, 레인의 기준선에 따라 분류된 구간의 각 지점에 위치하는 경사진 형태의 가동 지지대(510)에 의해 반동되어 재구동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동 지지대(510)는 유동표적장치(200)가 이동하는 이동레일(110) 뒤편에서, 레인의 기준선(150)에 따라 분류된 구간(160)마다 위치할 수 있다. 즉, 가동 지지대(510)는 레인의 기준선(150) 상에서 이동레일(110) 뒷편에 복수 개로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알로 인해 피탄되어 일정한 각도로 접혀 넘어진 표적모듈(220)은 삼각뿔 모양의 가동 지지대(510)의 경사진 면에 따라 반동되어 재구동되며, 이동레일(110)에 의해 이동하는 방향에서 직면하는 레인(140) 상의 사용자(10)에게 표적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가동 지지대(510)는 삼각뿔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정한 각도로 접혀 넘어진 표적모듈(220)을 빠른 시간 내에 에너지 소비 없이 재구동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무관하다.
기존의 사격게임은 탄알에 의해 피탄되어 일정한 각도로 접혀 넘어진 표적을 일으키기 위한 추가 전선 및 추가 구동 모듈이 필요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은 물리적인 가동 지지대(510)를 이용하여 표적모듈(220)을 재구동시킴으로써, 추가 전선 및 추가 구동 모듈 등의 기계적, 전기적 구성요소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유동표적장치(200)의 좌우 유동성에 제약이 없고, 시스템의 복잡성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모듈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모듈(220)은 과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탄알에 의한 탄착점(221)이 발생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모듈(220)은 과녁을 포함하는 새 모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이 적용되는 실내외 사격게임의 테마, 시스템 및 시뮬레이션에 따라 표적모듈(220)은 동물, 사물, 사람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 모양의 표적모듈(220)이 탄알에 의해 피탄되어 접혀 넘어지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표적장치는 출력모듈을 통해 새의 울음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적모듈(220)은 탄착점(221)의 위치에 따른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2)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 7 Segment LED)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표적모듈(220) 상의 탄착점(221)의 위치에 따라 가산 또는 감산된 스코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22)는 현재 스코어, 최종 스코어, 랭킹 순위, 잔여 발사체 개수, 사용 발사체 개수 및 사용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은 좌우 유동성을 갖는 유동표적장치의 타겟 여부를 감지하고, 탄알의 위치 및 구간을 판별하여 사격게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은 유동표적장치(200), 구간 감지부(120) 및 타겟 감지부(130)를 포함한다.
유동표적장치(200)는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조준 목표물로, 좌우 유동성을 갖는다.
유동표적장치(200)는 이동레일에 접촉되어 좌우 이동성을 제공하는 이동모듈, 이동모듈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탄알로 인해 피탄되는 조준 목표물로 구성되는 표적모듈, 및 이동모듈과 표적모듈을 연결하는 고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동표적장치(200)는 계층적 또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동레일에서 서로 다른 속도 및 위치와 실내외 게임 공간에 따라 효과음을 제공하고, 표적모듈에 명중 또는 빗맞았을 경우에 따른 음향효과를 제공하는 출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표적모듈은 탄알로 인해 피탄된 경우, 레인(lane)에 따라 분류된 구간의 각 지점에 위치하는 경사진 형태의 가동 지지대에 의한 반동으로 재구동되어 각 레인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표적이 될 수 있다.
유동표적장치(200)는 일정 간격에 따라 계층적 또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이동레일(rail)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이동레일 각각에 단일 또는 복수 개로 위치하여 서로 다른 속도 및 위치의 좌우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구간 감지부(120)는 레인(lane)에 따라 분류된 구간의 각 지점에 위치하며, 유동표적장치(200)를 피탄하는 탄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탄알이 발사된 위치 및 구간을 판별한다.
구간 감지부(120)는 각 레인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포토센서(또는 광센서)이며, 레인의 기준선을 침범하는 탄알을 감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레인 중 해당 레인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로부터 발사된 탄알인지, 다른 레인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에 의해 발사된 탄알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탄알이 발사된 위치 및 구간을 판별할 수 있다.
타겟 감지부(130)는 유동표적장치(200)가 이동하는 이동레일(rail) 부근에 위치하며, 레이저 감지로 인한 유동표적장치(200)의 타겟 여부를 감지한다.
타겟 감지부(130)는 유동표적장치(200)가 이동하는 이동레일 뒷편에 위치하며, 이동레일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IR 레이저 센서일 수 있으며, 탄알로 인해 피탄된 유동표적장치(200)에 의해 수광부에서 감지되는 레이저로부터 타겟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의 유동표적장치(200), 구간 감지부(120) 및 타겟 감지부(130)는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모의화기(700)는 탄알을 발사하는 총기이며, M16, M60, K1, K2, K3 등의 실제 사용되는 화기와 유사하도록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모의화기(700)의 총구부분은 유동표적장치(200)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유동표적장치(200) 내 표적모듈을 조준하도록 일정각도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모의화기(700)는 총구에 포토센서 및 FND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의화기(700)는 총대 끝부분인 총구에 고정부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고정부는 원통형 또는 사각형으로 총구에 탈부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내부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포토센서를 포함하며, 총대의 상단에 FND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 형태일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부 내의 포토센서는 모의화기(700)로부터 탄알이 발사되는 경우, 투과되는 탄알을 감지할 수 있으며, FND 디스플레이부는 탄알의 발사 여부에 따른 잔여 발사체 개수 또는 사용 발사체 개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용자의 시점에서 모의화기(700)를 통해 유동표적장치(200)를 바라보는 경우, 모의화기(700)의 총구에 고정부가 위치하며, 사용자는 총대의 표면과 고정부의 단면 사이에 위치하는 FND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잔여 발사체 개수 또는 사용 발사체 개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의화기(700)는 발사체 장전관에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사체 장전관은 모의화기(700)의 약실, 탄창 또는 탄알집과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복수의 탄알을 포함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에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저장부에 저장된 탄알은 발사체 장전관을 통해 모의화기(700)로 주입될 수 있으므로, 무작위 방식으로 지속적인 탄알의 공급이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의 제어부(170)는 유동표적장치(200)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타겟 정보를 산출하고, 구간 감지부(120) 및 타겟 감지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유동표적장치(200)가 연결된 이송 도르래 및 이송 라인을 제어하여 유동표적장치(2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구간 감지부(120) 및 타겟 감지부(130), 또는 모의화기(700) 내 포토센서로부터 탄알의 발사 여부, 잔여 발사체 개수 및 사용 발사체 개수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지정된 탄알이 모두 소모되는 경우, 게임 종료를 판단하여 최종 스코어 및 랭킹 순위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유동표적장치(200) 및 모의화기(700)를 통해 수집되는 탄알의 발사 여부, 잔여 발사체 개수 및 사용 발사체 개수와 게임 종료에 따른 최종 스코어 및 랭킹 순위 등의 타겟 정보를 초기화, 누적 또는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사격 시스템(100)이 적용된 실내외 게임 공간에서, 제어부(170)는 사격게임 중 실제와 같은 박진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내외부에 다양한 영상 및 효과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하는 게임레벨과 가산된 스코어, 잔여 발사체 개수, 사용 발사체 개수 그리고 사용자에게 주어진 게임시간 등을 출력모듈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출력모듈은 유동표적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유동표적장치(200)의 계층적 또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사용자
100: 이동성 사격 시스템
110: 이동레일
115: 이송 도르래
116: 이송 라인
120: 구간 감지부
130: 타겟 감지부
140: 레인(lane)
150: 레인의 기준선
160: 구간
200: 유동표적장치
210: 이동모듈
220: 표적모듈
230: 고정모듈
100: 이동성 사격 시스템
110: 이동레일
115: 이송 도르래
116: 이송 라인
120: 구간 감지부
130: 타겟 감지부
140: 레인(lane)
150: 레인의 기준선
160: 구간
200: 유동표적장치
210: 이동모듈
220: 표적모듈
230: 고정모듈
Claims (10)
-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조준 목표물로, 좌우 유동성을 갖는 유동표적장치;
레인(lane)에 따라 분류된 구간의 각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유동표적장치를 피탄하는 탄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탄알이 발사된 위치 및 구간을 판별하는 구간 감지부; 및
상기 유동표적장치가 이동하는 이동레일(rail) 부근에 위치하며, 레이저 감지로 인한 상기 유동표적장치의 타겟 여부를 감지하는 타겟 감지부
를 포함하는 이동성 사격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표적장치는
상기 이동레일에 접촉되어 좌우 유동성을 제공하는 이동모듈;
상기 이동모듈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탄알로 인해 피탄되는 조준 목표물로 구성되는 표적모듈; 및
상기 이동모듈과 상기 표적모듈을 연결하는 고정모듈
을 포함하는 이동성 사격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모듈은
탄알로 인해 피탄된 경우, 레인(lane)에 따라 분류된 상기 구간의 각 지점에 위치하는 경사진 형태의 가동 지지대에 의한 반동으로 재구동되어 각 레인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표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사격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표적장치는
일정 간격에 따라 계층적 또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상기 이동레일(rail)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레일 각각에 단일 또는 복수 개로 위치하여 서로 다른 속도 및 위치의 좌우 유동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사격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표적장치는
계층적 또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이동레일에서 서로 다른 속도 및 위치와 실내외 게임 공간에 따라 효과음을 제공하고, 상기 표적모듈에 명중 또는 빗맞았을 경우에 따른 음향효과를 제공하는 출력모듈
을 더 포함하는 이동성 사격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감지부는
각 레인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포토센서(또는 광센서)이며, 레인의 기준선을 침범하는 탄알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사격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감지부는
복수의 레인 중 해당 레인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로부터 발사된 탄알인지, 다른 레인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에 의해 발사된 탄알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탄알이 발사된 위치 및 구간을 판별하는 이동성 사격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감지부는
상기 유동표적장치가 이동하는 이동레일 뒷편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레일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IR 레이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사격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감지부는
탄알로 인해 피탄된 상기 유동표적장치에 의해 상기 수광부에서 감지되는 레이저로부터 타겟 여부를 감지하는 이동성 사격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표적장치의 탄착점을 판독하여 타겟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구간 감지부 및 상기 타겟 감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성 사격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4442A KR20190139819A (ko) | 2019-12-11 | 2019-12-11 | 이동성 사격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4442A KR20190139819A (ko) | 2019-12-11 | 2019-12-11 | 이동성 사격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6547A Division KR102057387B1 (ko) | 2018-03-29 | 2018-03-29 | 이동성 사격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9819A true KR20190139819A (ko) | 2019-12-18 |
Family
ID=6905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4442A KR20190139819A (ko) | 2019-12-11 | 2019-12-11 | 이동성 사격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13981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23371A (zh) * | 2022-05-20 | 2022-08-19 | 南京模拟技术研究所 | 单轨自驱运动靶车组及控制方法 |
-
2019
- 2019-12-11 KR KR1020190164442A patent/KR201901398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23371A (zh) * | 2022-05-20 | 2022-08-19 | 南京模拟技术研究所 | 单轨自驱运动靶车组及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007896B1 (en) | Network-linked laser target firearm training system | |
US5641288A (en) | Shooting simulating process and training device using a virtual reality display screen | |
US5281142A (en) | Shooting simulating process and training device | |
US5599187A (en) | Firearm use training device and method | |
US20050153262A1 (en) | Firearm laser train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various targets to simulate training scenarios | |
EP2249117A1 (en) | Shooting training systems using an embedded photo sensing panel | |
US20070254266A1 (en) | Marksmanship training device | |
US8678824B2 (en) | Shooting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n optical recognition system | |
KR101938257B1 (ko) |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 |
US9200870B1 (en) | Virtual environment hunting systems and methods | |
US8777226B1 (en) | Proxy target system | |
KR102057387B1 (ko) | 이동성 사격 시스템 | |
KR102312181B1 (ko) | 드론을 이용한 사격 연습 시스템 | |
KR20190139819A (ko) | 이동성 사격 시스템 | |
US20160209185A1 (en) | Remote control target and method of use | |
CN212843160U (zh) | 一种基于激波定位的实弹ar射击训练系统 | |
KR101695172B1 (ko) | 모의총의 발사모드 조절 시스템 | |
KR101968011B1 (ko) | 탄착점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종이 표적 이송 사격시스템 | |
KR20100136274A (ko) | 공압 감지를 이용한 레이저 발사형 모의 화기 | |
KR101805067B1 (ko) | 스마트 클레이 사격 시스템 | |
KR101115133B1 (ko) | 전자타겟용 led 조명장치 | |
KR101542926B1 (ko) | 비비탄용 모의사격 시스템 | |
KR101592501B1 (ko) | 비비탄용 사격 시스템 | |
US20230226454A1 (en) | Method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target shooting session and system associated therewith | |
KR20140112117A (ko) | 무선 실내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