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839B1 -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 Google Patents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839B1
KR101966839B1 KR1020170160486A KR20170160486A KR101966839B1 KR 101966839 B1 KR101966839 B1 KR 101966839B1 KR 1020170160486 A KR1020170160486 A KR 1020170160486A KR 20170160486 A KR20170160486 A KR 20170160486A KR 101966839 B1 KR101966839 B1 KR 101966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haft
roll
electrical steel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김영원
박재근
한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6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21D9/563Rolls; Drums; Roll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8Temporary coatings or embedding materials applied before or during heat treatment
    • C21D1/70Temporary coatings or embedding materials applied before or during heat treatment while heating or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7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C21D8/0284Application of a separating or insulating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강판과 실롤의 밀착성을 개선하여 세척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 강판 제조 설비의 코팅 정정 라인에 배치되어 전기 강판이 진입하는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강판에 접하는 브러쉬롤과 강판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입구 내측에 배치되고 강판에 밀착되어 세척수 유출을 차단하는 실롤을 포함하고, 상기 실롤은 강판 폭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축방향을 따라 분리 적층 설치되고 샤프트에 대해 개별적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강판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분리롤을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HEAT FLATTENING COATING LINE}
전기강판 제조 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에 대한 개선된 구조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강판은 여러 공정을 거쳐 필요한 제품으로 제조된다. 전기 강판 제조를 위한 공정은 예를 들어, DNL 공정, COF 공정, HCL 공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DNL(Decarburization & Nitriding Line) 공정에서는, 탈탄 소둔을 수행하며 강판의 특성을 결정한다. COF(Continuous Open Frame Furnace) 공정은 고온 소둔을 수행한다. HCL(Heat Flattening & Coating Line) 공정은 고객사가 원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최종 공정으로, 코팅 및 정정 작업을 위한 코팅 정정 공정이다.
코팅 정정 설비 내부에는 브러쉬롤과, 강판에 코팅된 MgO를 세척하고 브러쉬롤을 냉각하기 위해 강판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구비된다. 그리고, 강판이 진입하는 입측에는 강판으로 분사된 담수가 라인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실롤이 강판에 접하여 설치된다.
실롤이 강판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는 경우, 강판과의 틈새를 통해 세척수가 라인 밖으로 유출되면서 심각한 설비 오염이 발생된다. 설비 밖으로 유출된 세척수는 설비 고장, 화재와 같은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강판을 타고 흘러나간 세척수는 디플렉트롤(deflect roll)까지 오염시키고, 롤 하부에 MgO가 고착되어 쌓이면서 강판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강판과 실롤의 밀착성을 개선하여 세척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를 제공한다.
강판의 형상에 관계없이 실롤을 강판에 밀착시켜 틈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를 제공한다.
본 구현예의 코팅 정정 설비는, 전기 강판 제조 설비의 코팅 정정 라인에 배치되어 전기 강판이 진입하는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강판에 접하는 브러쉬롤과 강판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입구 내측에 배치되고 강판에 밀착되어 세척수 유출을 차단하는 실롤을 포함하고, 상기 실롤은 강판 폭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축방향을 따라 분리 적층 설치되고 샤프트에 대해 개별적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강판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분리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롤은 샤프트와 유격을 갖는 홀을 통해 샤프트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의 내부링, 상기 내부링 외주면에 베어링 블록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링, 상기 샤프트와 내부링 사이에 탄력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은 강판 표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길게 연장된 상기 홀의 양 선단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분리롤은 강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롤은 분리롤 외측면에 설치되어 각 분리롤을 감싸며 분리롤의 유동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어 강판에 밀착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링 또는 상기 슬리브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링은 외측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강판의 반곡 등 굽어진 형태에 관계없이 실롤이 강판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강판과 실롤 사이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세척수가 강판과 실롤 사이 틈새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전기강판 코팅 정정 라인에서 세척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세척수에 의한 설비 오염이나 손상을 최소화하고, 세척수가 롤에 고착되어 제품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제품의 표면 품질을 높이고 라인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의 실롤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의 실롤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코팅 정정 설비는 전기 강판 제조 설비의 코팅 정정 라인에 배치되어 전기 강판(p)이 진입하는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강판(p)에 접하는 브러쉬롤(20)과 강판(p)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0)이 배치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입구 내측에 배치되고 강판(p)에 밀착되어 세척수 유출을 차단하는 실롤(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강판(p)이 진행하도록 설비 라인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강판(p)을 외부와 차단한다. 하우징(10)의 양 선단에는 강판(p)이 진입되는 입구와 강판이 배출되는 출구가 구비된다. 하우징(10)은 내부의 입구쪽 선단에는 강판(p)에 밀착되는 실롤(40)이 설치된다. 강판(p)의 진행방향을 따라 실롤(40)에서 이격되어 분사노즐(30)과 브러쉬롤(20)이 차례로 배치된다.
강판(p)은 디플렉트롤(12)을 거쳐 하우징(10)의 선단 입구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진행한다. 분사노즐(30)은 강판(p)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강판(p)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세척수로 담수가 사용될 수 있다. 분사노즐(30)을 통해 강판(p) 표면에 40℃ 내지 70℃의 세척수가 20 내지 50N㎥/h의 유량으로 분사된다. 분사노즐(3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강판(p) 표면에 코팅된 MgO를 세척하고 브러쉬롤(20)을 냉각하게 된다.
강판(p)을 따라 흐르는 세척수는 강판(p)에 밀착되어 있는 실롤(40)에 의해 차단되어 하우징(10)의 입구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실롤(40)은 강판(p)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태가 변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강판(p)의 형상에 관계없이 강판(p) 전체에 계속 고르게 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롤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실롤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강판의 폭방향이라 함은 강판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 즉, 도면의 z축 방향을 의미하며, 강판에 수직인 방향 또는 상하방향은 도면의 y축 방향을 의미하고, 상, 상부라 함은 y축 방향으로 위쪽을 지칭하고, 하, 하부라 함은 y축 방향으로 아래쪽을 지칭한다.
본 실시예의 실롤(40)은 강판 폭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42), 샤프트(42)에 축방향을 따라 분리 적층 설치되고 샤프트(42)에 대해 개별적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강판(p)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분리롤(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분리롤(50)이 각각의 위치에서 상하로 유동되어 강판(p)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강판(p)이 굽어져 평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실롤(40)과 강판(p) 사이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샤프트(42)에 결합되는 각각의 분리롤(50)은 서로 촘촘히 밀착되어 설치되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분리롤(50)의 두께나 샤프트(42)에 대한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샤프트(42)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분리롤(50)은 모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실롤(40)은 분리롤(50) 외측면에 설치되어 각 분리롤(50)을 감싸며 분리롤(50)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어 강판(p)에 밀착되는 슬리브(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리롤(50)은 샤프트(42)와 유격을 갖는 홀(56)을 통해 샤프트(42)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의 내부링(51), 내부링(51) 외주면에 베어링 블록(52)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링(53), 샤프트(42)와 내부링(51) 사이에 탄력 설치되는 탄성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42)는 강판(p)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내부링(51)과의 사이에 회전 방지를 위한 다각형태나 타원형태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4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샤프트(42)에 끼워진 내부링(51)이 샤프트(4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링(5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에는 샤프트(42)가 관통되는 홀(56)이 형성된다. 홀(56)은 샤프트(42)와의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샤프트(42)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이에, 내부링(51)은 샤프트(4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샤프트(42)에 대해 유격 공간만큼 유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홀(56)은 강판(p) 표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샤프트(42)와 홀(56)의 상하단 사이에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내부링(51)은 샤프트(4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분리롤(50)은 강판(p)의 상하면에서 강판(p)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강판(p)의 표면 형상에 따라 강판(p)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하여 강판(p)에 계속 밀착될 수 있다.
내부링(51)의 홀(56) 선단과 샤프트(42) 사이에는 탄성부재(54)가 설치된다. 탄성부재(54)는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54)는 실롤(40)을 강판(p)에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고탄성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54)는 스프링 외에 두 부재 사이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내부링(51)의 홀(56) 선단에는 탄성부재(54)를 고정하기 위한 안착홈(55)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54)는 일단이 상기 안착홈(55)에 삽입되어 내부링(51)에 결합되며, 내부링(51)과 샤프트(42)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54)는 강판(p)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홀(56)의 양 선단 중 강판(p)에 가까운 쪽의 선단에 설치되어 강판(p)쪽으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판(p)의 상부쪽에 배치된 실롤(40)의 경우 샤프트(42)의 하부와 홀(56)의 하단 사이에 탄성부재(54)가 설치되어 분리롤(50)을 강판(p) 상면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반대로 강판(p)의 하부쪽에 배치된 실롤(40)의 경우, 샤프트(42)의 상부와 홀(56)의 상단 사이에 탄성부재(54)가 설치되어 분리롤(50)을 강판(p) 하면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4)는 홀(56)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54)는 샤프트(42)의 상하방향 모두에 배치되어 상하방향 어느쪽으로도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강판(p)의 상부나 하부에 배치되는 실롤(40)의 배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분리롤(50)을 사용하여 실롤(40)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강판(p)의 상하면에 실롤(40)이 가압 밀착되면서 탄성부재(54)가 탄성력을 갖게 되고, 강판(p)의 단면 형상이 변하는 경우, 탄성부재(54)가 눌려지거나 복귀되면서 실롤(40)의 형태가 강판(p)의 단면 형상에 맞춰 가변된다. 실롤(40)은 강판(p) 상하에 각각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한 쌍의 실롤(40)이 모두 그 형상에 맞춰 서로 반대로 움직여 강판(p) 상하면에 대한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내부링(51)의 외주면에 베어링 블록(52)을 매개로 외부링(5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외부링(53)은 원형의 링 구조물로, 샤프트(42)에 대해 회전되지 않은 내부링(51)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전된다. 이에, 내부링(51)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외부링(53)이 자유롭게 회전된다. 따라서, 샤프트(42)에 대해 분리롤(50)의 위치가 이동된 상태에서 마치 분리롤(50)이 회전하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얻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링(53)은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강판(p)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외부링(5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한 원뿔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외부링(53)은 외부링(53) 외측에 위치한 슬리브(57)와 선접촉이 이루어져, 이웃하는 분리롤(50) 사이에서도 슬리브(57)를 강판(p) 표면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트립의 형상 변화에 보다 세밀하게 대응할 수 있다.
슬리브(57)는 고탄성으로 유연성과 마찰력을 높인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57)는 두께가 얇은 고무 재질의 원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슬리브(57)는 복수개의 분리롤(50)을 감싸 실롤(40)의 외피를 이룬다. 슬리브(57)는 분리롤(50)의 유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신축되면서 그 형태가 자유롭게 가변되어 강판(p) 표면에 밀착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강판(p)의 상부에 위치한 실롤(40)을 예시하고 있다. 이하, 강판(p) 상부에 위치한 실롤(40)의 작용을 예로서 설명한다. 강판(p)의 하부에 위치한 실롤(40) 역시 동일한 작용을 통해 강판(p)에 밀착되어 세척수의 유출을 차단한다.
강판(p) 표면에 실롤(40)이 접하여 세척수의 유출을 차단한다. 실롤(40)은 자체적으로 내부링(51)에 베어링블럭을 매개로 외부링(53)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강판(p)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강판(p)의 진행에 따라 회전되어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
강판(p) 폭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분리롤(50)은 강판(p)의 형태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샤프트(42)와 내부링(51)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54)의 탄성력에 의해 분리롤(50)이 탄력적으로 이동되어 강판(p)에 가압된다. 예를 들어, 강판(p)이 위로 굽어진 경우에는 탄성부재(54)가 눌려지면서 분리롤(50)이 위쪽으로 이동되고, 슬리브(57)는 강판(p)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강판(p)이 아래로 굽어진 경우에는 눌려져 있던 탄성부재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분리롤(50)이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슬리브(57)는 강판(p)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분리롤(50)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외측의 외부링(53)이 자유롭게 회전되므로, 슬리브(57)는 강판(p)에 밀착된 상태에서 강판(p)의 이동에 따라 계속 회전된다.
이와 같이, 강판(p)이 굽어진 경우, 강판(p)의 굽어진 형태에 맞춰 각 분리롤(50)이 개별적으로 상하로 이동되어 실롤(40)의 형태가 가변되면서 강판(p) 전체에 실롤(40)이 고르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실롤(40)의 외피를 이루는 슬리브(57)는 각 분리롤(50)의 위치대로 변형되면서 강판(p)에 밀착된다. 이에, 강판(p)의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실롤(40)이 강판(p) 표면 전체에 밀착되어 강판(p)과 실롤(4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강판(p)의 굽어진 형상에 관계없이 실롤(40)이 강판(p)에 밀착되어 실롤(40)과 강판(p) 사이 틈새를 통해 세척수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하우징 20 : 브러쉬롤
30 : 분사노즐 40 : 실롤
42 : 샤프트 50 : 분리롤
51 : 내부링 52 : 베어링블록
53 : 외부링 54 : 탄성부재
55 : 안착홈 56 : 홀
57 : 슬리브

Claims (7)

  1. 전기 강판 제조 설비의 코팅 정정 라인에 배치되어 전기 강판이 진입하는 입구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강판에 접하는 브러쉬롤과, 강판의 표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배치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입구 내측에 배치되고 강판에 밀착되어 세척수 유출을 차단하는 실롤을 포함하고,
    상기 실롤은 강판 폭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축방향을 따라 분리 적층 설치되고 샤프트에 대해 개별적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강판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분리롤을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롤은 샤프트와 유격을 갖는 홀을 통해 샤프트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의 내부링, 상기 내부링 외주면에 베어링 블록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외부링, 및 상기 샤프트와 내부링 사이에 탄력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강판 표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길게 연장된 상기 홀의 양 선단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분리롤은 강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롤은 분리롤 외측면에 설치되어 각 분리롤을 감싸며 분리롤의 유동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어 강판에 밀착되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링은 외측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된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링 또는 상기 슬리브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KR1020170160486A 2017-11-28 2017-11-28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KR101966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486A KR101966839B1 (ko) 2017-11-28 2017-11-28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486A KR101966839B1 (ko) 2017-11-28 2017-11-28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839B1 true KR101966839B1 (ko) 2019-08-27

Family

ID=6780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486A KR101966839B1 (ko) 2017-11-28 2017-11-28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8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7020A (ja) * 1986-06-06 1987-12-12 Nisshin Steel Co Ltd 連続焼鈍炉,連続塗装設備等の区画出入口のシ−ル装置
JPH08266987A (ja) * 1995-03-31 1996-10-15 Nisshin Steel Co Ltd 雰囲気設備の区画出入口におけるシール装置
KR100196548B1 (ko) * 1995-02-16 1999-06-15 하마다 야스유키(코가 노리스케) 연속 열처리로 및 연속 진공 증착 설비 등의 구획 출입구 밀봉장치
KR20130032440A (ko) * 2011-09-23 2013-04-02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 실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7020A (ja) * 1986-06-06 1987-12-12 Nisshin Steel Co Ltd 連続焼鈍炉,連続塗装設備等の区画出入口のシ−ル装置
KR100196548B1 (ko) * 1995-02-16 1999-06-15 하마다 야스유키(코가 노리스케) 연속 열처리로 및 연속 진공 증착 설비 등의 구획 출입구 밀봉장치
JPH08266987A (ja) * 1995-03-31 1996-10-15 Nisshin Steel Co Ltd 雰囲気設備の区画出入口におけるシール装置
KR20130032440A (ko) * 2011-09-23 2013-04-02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 실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80385A1 (en) Polishing apparatus
KR101966839B1 (ko) 전기강판 제조장치의 코팅 정정 설비
US20190035661A1 (en) Conveyance device and washing device
JP5123798B2 (ja) 線材の表面処理装置
KR100853378B1 (ko) 대면적 기판의 접촉식 세정장치
US20200070223A1 (en) Jig for cleaning a bowl of a spin coater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bowl of a spin coater including the same
CN203512862U (zh) 卷收辊对齐装置
JP2013202613A (ja) 基板のコーティング装置及びコーティング方法
KR101748306B1 (ko) 권취용 맨드릴
DE10201105277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tfernung von Verschmutzungen auf profilierten Oberflächen ineinander greifender Streckwalzen
JP2008515636A (ja) 圧延ロール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US9897142B1 (en) Linear slide with dust protection plate
WO2018082279A1 (en) Grinding apparatus
KR20090055010A (ko) 스트립 실링 게이트
US10486918B2 (en) Guide roller and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US2543657A (en) Scrubbing device with removable brush assembly
US11331705B2 (en) Industrial facility comprising a contactless wiper
KR20090040719A (ko) 산세탱크 외벽체의 산세액 누설 방지장치
KR101007688B1 (ko) 세정액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세정 장치
WO2019163938A1 (ja) 転がり軸受
KR20150104932A (ko) 메탈 필름 제막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880822B1 (ko) 기포발생 방지 장치
TWM582036U (zh) Guide wheel
CN212237969U (zh) 涂布装置
KR101481087B1 (ko) 롤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