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833B1 -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및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및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6833B1 KR101966833B1 KR1020187000294A KR20187000294A KR101966833B1 KR 101966833 B1 KR101966833 B1 KR 101966833B1 KR 1020187000294 A KR1020187000294 A KR 1020187000294A KR 20187000294 A KR20187000294 A KR 20187000294A KR 101966833 B1 KR101966833 B1 KR 1019668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metal
- middle frame
- side plate
- nonmet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78 mo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3 base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및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기술 분야에 속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은 제1 비금속 측판, 제2 비금속 측판 및 금속 배플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금속 측판의 하나의 긴 변은 상기 금속 배플판의 제1 긴 변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비금속 측판의 하나의 긴 변은 상기 금속 배플판의 제2 긴 변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비금속 측판과 상기 제2 비금속 측판은 상기 금속 배플판의 동일측에 위치하며, 각각 상기 금속 배플판과 수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이 제1 비금속 측판과 제2 비금속 측판을 포함하므로,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 신호를 수집할 경우, 상기 제1 비금속 측판과 제2 비금속 측판은 상기 터치 신호에 대한 차단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용이하게 해당 터치 신호를 수집할 수 있게 되여,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1610282788.9이며, 출원일이 2016년4월29일자인 중국특허출원을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해당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단말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및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 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사이즈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대형 스크린은 사용자에게 보다 넓은 조작 공간 및 스크린 시야를 줄 수 있지만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한손 조작성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하여 사이드 터치가 점차 사람들의 시야에 들어오고 있다. 하지만 사이드 터치에 필요한 터치 신호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센서의 검측에 의해 획득되며, 터치 신호의 강약은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과 관계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유닛과 배터리를 격리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리키며, 여기서 터치 센서는 터치 유닛에 포함되어 있다.
관련 기술에서는 배터리 측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전류가 터치 유닛에 진입하여 터치유닛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으로써 금속 미들 프레임을 사용한다. 도1을 참조하면,상기 금속 미들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금속 측판과 하나의 금속 배플판(baffle boar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금속 측판(A)의 하나의 긴 변(A1)은 금속 배플판(C)의 제1 긴 변(C1)과 연결되고,제2 금속 측판(B)의 하나의 긴 변(B1)은 금속 배플판(C)의 제2 긴 변(C2)과 연결되며,제1 금속 측판(A)과 제2 금속 측판(B)은 상기 금속 배플판(C)의 동일 측에 위치하며,각각 상기 금속 배플판에 수직된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및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제1 비금속 측판, 제2 비금속 측판 및 금속 배플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금속 측판의 하나의 긴 변은 상기 금속 배플판의 제1 긴 변과 연결되고, 제2 비금속 측판의 하나의 긴 변은 상기 금속 배플판의 제2 긴 변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비금속 측판과 상기 제2 비금속 측판은 상기 금속 배플판의 동일 측에 위치하며, 각각 상기 금속 배플판에 수직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의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제1 측판, 제2 측판 및 금속 배플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판은 제1 금속 부분과 제1 비금속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판은 제2 금속 부분과 제2 비금속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부분의 하나의 긴 변은 상기 금속 배플판의 제1 긴 변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금속 부분 중 상기 제1 금속 부분의 상기 긴 변과 상대하는 측에는 상기 제1 비금속 부분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금속 부분의 하나의 긴 변은 상기 금속 배플판의 제2 긴 변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금속 부분 중 상기 제2 금속 부분의 상기 긴 변과 상대하는 측에는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이 설치 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을 제공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부분과 상기 제1 비금속 부분은 모두 장방체 측판이다.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제3 양태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부분과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은 모두 장방체 측판이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3 양태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는 상기 제1 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에 삽입된다.
제3 양태 내지 제3 양태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한 가능한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제3 양태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는 상기 제2 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에 삽입된다.
제3 양태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3 양태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제3 양태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 중 각 요홈 구조의 개구 위치는 모바일 단말기가 포함하는 터치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며, 상기 제2 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 중 각 요홈 구조의 개구 위치는 모바일 단말기가 포함하는 터치 센서의 위치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양태 내지 제2 양태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한 가능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의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제공된 기술 방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기술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이 제1 비금속 측판과 제2 비금속 측판을 포함하기에,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 신호 수집을 진행할 경우, 상기 제1 비금속 측판과 제2 비금속 측판은 상기 터치 신호를 차단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용이하게 해당 터치 신호를 수집할 수 있게 되어,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상기 일반적인 서술 및 하기 세부적인 서술은 단지 예시적인 설명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표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미들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측판의 측면도이다.
도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2 측판의 측면도이다.
도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금속 부분과 터치 센서의 위치 관계도이다.
도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2 금속 부분과 터치 센서의 위치 관계도이다.
도1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미들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4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측판의 측면도이다.
도5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2 측판의 측면도이다.
도6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금속 부분과 터치 센서의 위치 관계도이다.
도7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2 금속 부분과 터치 센서의 위치 관계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를 도면에 표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방식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방식들은 다만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부합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한 해석과 설명을 하기 전에,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에 대하여 소개한다. 현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사이즈가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의 대형 스크린은 사용자에게 보다 넓은 조작 공간 및 스크린 시야를 안겨주는 동시에,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한손 조작성을 저하시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기에는 사이드 터치 기능이 점차 추가되고 있다. 여기서, 사이드 터치에 필요한 터치 신호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유닛에 들어 있는 터치 센서의 검측에 의해 획득되며, 동시에 배터리 측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전류가 터치 유닛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으로써 금속 미들 프레임을 사용한다. 그러나, 금속 미들 프레임은 터치 신호를 어느 정도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금속 미들 프레임은 정전기 전류가 터치 유닛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 중에서, 일부분의 터치 신호를 차단하여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효율과 정확도를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효율과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을 제공한다.
도2는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은 제1 비금속 측판(1), 제2 비금속 측판(2) 및 금속 배플판(3)을 포함하고,
제1 비금속 측판(1)의 하나의 긴 변(11)은 금속 배플판(3)의 제1 긴 변(31)과 연결되고, 제2 비금속 측판(2)의 하나의 긴 변(21)은 금속 배플판(3)의 제2 긴 변(32)과 연결되며, 제1 비금속 측판(1)과 제2 비금속 측판(2)은 금속 배플판(3)의 동일측에 위치하며, 각각 금속 배플판(3)에 수직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이 제1 비금속 측판(1)과 제2 비금속 측판(2)을 포함하기에, 즉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의 두 측판이 비금속 측판이기에,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 신호를 수집할 경우, 상기 제1 비금속 측판(1)과 제2 비금속 측판(2)은 상기 터치 신호에 대한 차단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용이하게 해당 터치 신호를 수집할 수 있게 되어,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제1 비금속 측판(1)은 사출 성형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이 외에 예를 들어 세라믹, 유리 등 기타 비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비금속 측판(2)도 사출 성형 재료 또는 기타 비금속 재료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금속 측판(1)과 제2 비금속 측판(2)은 상기 금속 배플판(3)에 각각 수직되지만, 수직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은 제1 비금속 측판과 제2 비금속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비금속 측판과 제2 비금속 측판은 비금속 재료로 구성되므로, 상기 제1 비금속 측판과 제2 비금속 측판은 터치 신호에 대한 차단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 신호를 수집할 경우, 용이하게 해당 터치 신호를 수집할 수 있게 되어,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터치 센서 및 기타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용이하게 터치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용이하게 터치 신호를 수집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3은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이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은 제1 금속 부분(41)과 제1 비금속 부분(42)을 포함하는 제1 측판(4), 제2 금속 부분(51)과 제2 비금속 부분(52)을 포함하는 제2 측판(5) 및 금속 배플판(3)을 포함하며,
제1 금속 부분(41)의 하나의 긴 변(411)은 금속 배플판(3)의 제1 긴 변(31)과 연결되고, 제1 금속 부분(41) 중의 제1 금속 부분(41)의 긴 변(411)과 상대하는 측에는 제1 비금속 부분(42)이 설치 되어 있으며,
제2금속 부분(51)의 하나의 긴 변(511)은 금속 배플판(3)의 제2 긴 변(32)과 연결되고, 제2 금속 부분(51) 중의 제2 금속 부분(51)의 긴 변(511)과 상대하는 측에는 제2 비금속 부분(52)이 설치 되어 있다.
제1 측판(4)이 제1 비금속 부분(42)을 포함하고, 제2 측판(5)이 제2 비금속 부분(5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비금속 부분(42)은 제1 금속 부분(41)의 긴 변(411)과 상대하는 측에 위치하고, 제2 비금속 부분(52)은 제2 금속 부분(51)의 긴 변(511)과 상대하는 측에 위치하기에, 즉 상기 제1 비금속 부분(42)은 제1 측판(4) 중 금속 배플판(3)과 멀리 떨어진 부분이고, 제2 비금속 부분(52)은 제2 측판(5) 중 금속 배플판(3)과 멀리 떨어진 부분이기에,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 신호를 수집할 경우, 상기 제1 측판(4)과 제2 측판(5)은 상기 터치 신호에 대한 차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모바일 단말기가 용이하게 상기 터치 신호를 수집할 수 있게 되어,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제1 측판(4)은 제1 금속 부분(4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판(5)은 제2 금속 부분(51)을 포함하기에, 상기 제1 측판(4)과 제2 측판(5)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구조의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고, 동시에 배터리 측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전류가 터치 유닛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비금속 부분(42)이 제1 금속 부분(41)의 긴 변(411)과 상대하는 측에 위치하고, 제2 비금속 부분(52)이 제2 금속 부분(51)의 긴 변(511)과 상대하는 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금속 부분(41)은 제1 비금속 부분(42)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금속 부분(51)은 제2 비금속 부분(52)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 비금속 부분(42)은 사출 성형 재료, 세라믹, 유리 등의 비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비금속 부분(52)도 마찬가지로 사출 성형 재료, 세라믹, 유리 등의 비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3을 참조하면, 제1 금속 부분(41)과 제1 비금속 부분(42)은 모두 장방체 측판이며, 마찬가지로, 제2 금속 부분(51)과 제2 비금속 부분(52)도 모두 장방체 측판이다.
상기 제1 금속 부분(41)과 제1 비금속 부분(42)이 모두 장방체 측판이고, 제2 금속 부분(51)과 제2 비금속 부분(52)도 모두 장방체 측판일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의 장착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의 미관을 어느 정도 보증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금속 부분(41)과 상기 제1 비금속 부분(42)의 측면은 장방체 뿐만 아니라 기타 형상의 측판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금속 부분(51)과 제2 비금속 부분(52)의 측면도 장방체 뿐만 아니라 기타 형상의 측판일 수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측판(4)의 측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제1 금속 부분(41)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를 포함하고, 제1 비금속 부분(42)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를 포함하며, 제1 비금속 부분(42)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는 제1 금속 부분(41)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비금속 부분(42)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가 제1 금속 부분(41)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에 삽입될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의 구조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견고하며,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에 들어있는 부품을 보다 안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는 장방형 뿐만 아니라 기타 형상의 요홈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지그재그 형, 파형 등일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도 장방형 뿐만 아니라 기타 형상의 돌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지그재그 형, 파형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2 측판(5)의 측면도이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금속 부분(51)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를 포함하고, 제2 비금속 부분(52)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를 포함하며, 제2 비금속 부분(52)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는 제2 금속 부분(51)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비금속 부분(52)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가 제2 금속 부분(51)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에 삽입될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의 구조는 비교적 안정적이고 견고하며,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에 들어있는 부품을 보다 안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는 장방형 뿐만 아니라 기타 형상의 요홈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지그재그 형, 파형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도 마찬가지로 장방형 뿐만 아니라 기타 형상의 돌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지그재그 형, 파형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비금속 부분(42)과 제1 금속 부분(41)의 형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터치 센서(6)가 상기 제1 비금속 부분(42)에 근접하지만 제1 금속 부분(41)과는 멀리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비금속 부분(52)과 제2 금속 부분(51)의 형상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터치 센서(6)가 상기 제2 비금속 부분(52)에 근접하지만 제2 금속 부분(51)과는 멀리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금속 부분(41)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 중 각 요홈 구조(412)의 개구 위치는 모바일 단말기가 포함하는 터치 센서(6)의 위치에 대응되며, 도7을 참조하면, 제2 금속 부분(51)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 중 각 요홈 구조의 개구 위치는 모바일 단말기가 포함하는 터치 센서(6)의 위치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1 금속 부분(41)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 중 각 요홈 구조의 개구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2 금속 부분(51)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 중 각 요홈 구조의 개구 위치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1 비금속 부분(42)에 대응되어 터치 센서(6)가 배치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비금속 부분(52)에 대응되어 터치 센서(6)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터치 센서(6)가 제1 금속 부분의 각 요홈 구조의 개구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터치 센서(6)의 위치는 제1 비금속 부분(42)과 대응되고, 또한 상기 터치 센서의 위치가 상기 제1 금속 부분(41)과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상기 제1 금속 부분의 해당 터치 신호에 대한 차단을 감소시켰다. 마찬가지로, 상기 터치 센서(6)가 제2 금속 부분의 각 요홈 구조의 개구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터치 센서(6)의 위치는 제2 비금속 부분과 대응되고, 또한 상기 터치 센서(6)의 위치는 상기 제2 금속 부분과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상기 제2 금속 부분의 해당 터치 신호에 대한 차단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효율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측판이 제1 비금속 부분을 포함하고, 제2 측판이 제2 비금속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비금속 부분은 제1 금속 부분의 긴 변에 상대하는 측에 위치하고, 제2 비금속 부분은 제2 금속 부분의 긴 변에 상대하는 측에 위치하기에, 즉 상기 제1 비금속 부분은 제1 측판 중의 금속 배플판과 멀리 떨어진 부분이고, 제2 비금속 부분은 제2 측판 중의 금속 배플판과 멀리 떨어진 부분이기에, 모바일 단말기가 터치 신호를 수집할 경우,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은 상기 터치 신호에 대한 차단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용이하게 상기 터치 신호를 수집할 수 있게 되어,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효율을 향상시켰다. 또한 상기 제1 측판은 제1 금속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판은 제2 금속 부분을 포함하기에, 상기 제1 측판과 제2 측판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구조의 견고성을 보증할 수 있고, 동시에 배터리측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전류가 터치 유닛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실시예의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과 터치 센서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기타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 안테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용이하게 터치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용이하게 터치 신호를 수집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터치 신호를 수집하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당해 출원의 취지는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인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고, 당해 출원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기술 또는 통상의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다음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서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특정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상황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A:제1 금속 측판, B:제2 금속 측판, C:금속 배플판;
A1:제1 금속 측판의 하나의 긴 변, B1:제2 금속 측판의 하나의 긴 변, C1:금속 배플판의 제1 긴 변, C2:금속 배플판의 제2 긴 변;
1:제1 비금속 측판, 2:제2 비금속 측판, 3:금속 배플판;
11:제1 비금속 측판의 하나의 긴 변, 21:제2 비금속 측판의 하나의 긴 변;
31:금속 배플판의 제1 긴 변, 32:금속 배플판의 제2 긴 변;
4:제1 측판, 5:제2 측판, 6:터치 센서;
41:제1 금속 부분, 42:제1 비금속 부분, 51:제2 금속 부분, 52:제2 비금속 부분;
411:제1 금속 부분의 하나의 긴 변, 511:제2 금속 부분의 하나의 긴 변.
A1:제1 금속 측판의 하나의 긴 변, B1:제2 금속 측판의 하나의 긴 변, C1:금속 배플판의 제1 긴 변, C2:금속 배플판의 제2 긴 변;
1:제1 비금속 측판, 2:제2 비금속 측판, 3:금속 배플판;
11:제1 비금속 측판의 하나의 긴 변, 21:제2 비금속 측판의 하나의 긴 변;
31:금속 배플판의 제1 긴 변, 32:금속 배플판의 제2 긴 변;
4:제1 측판, 5:제2 측판, 6:터치 센서;
41:제1 금속 부분, 42:제1 비금속 부분, 51:제2 금속 부분, 52:제2 비금속 부분;
411:제1 금속 부분의 하나의 긴 변, 511:제2 금속 부분의 하나의 긴 변.
Claims (9)
- 제1 금속 부분과 제1 비금속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측판, 제2 금속 부분과 제2 비금속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측판 및 금속 배플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부분의 하나의 긴 변은 상기 금속 배플판의 제1 긴 변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금속 부분 중 상기 제1 금속 부분의 상기 긴 변과 상대하는 측에 상기 제1 비금속 부분이 설치 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금속 부분의 하나의 긴 변은 상기 금속 배플판의 제2 긴 변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금속 부분 중 상기 제2 금속 부분의 상기 긴 변과 상대하는 측에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이 설치 되어 있고,
상기 제1 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비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는 상기 제1 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 중 각 요홈 구조의 개구 위치는 모바일 단말기가 포함하는 터치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며,
상기 제2 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 중 각 요홈 구조의 개구 위치는 모바일 단말기가 포함하는 터치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부분과 상기 제1 비금속 부분은 모두 장방체 측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부분과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은 모두 장방체 측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부분과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은 모두 장방체 측판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는 상기 제2 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에 삽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는 상기 제2 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에 삽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는 상기 제2 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에 삽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비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구조는 상기 제2 금속 부분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 구조에 삽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610282788.9A CN107340900B (zh) | 2016-04-29 | 2016-04-29 | 一种移动终端中框和移动终端 |
CN201610282788.9 | 2016-04-29 | ||
PCT/CN2016/094342 WO2017185560A1 (zh) | 2016-04-29 | 2016-09-09 | 一种移动终端中框和移动终端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4820A KR20180014820A (ko) | 2018-02-09 |
KR101966833B1 true KR101966833B1 (ko) | 2019-04-08 |
Family
ID=5734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0294A KR101966833B1 (ko) | 2016-04-29 | 2016-09-09 |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및 모바일 단말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129990B2 (ko) |
EP (1) | EP3240373B1 (ko) |
JP (1) | JP6427204B2 (ko) |
KR (1) | KR101966833B1 (ko) |
CN (1) | CN107340900B (ko) |
RU (1) | RU2660662C2 (ko) |
WO (1) | WO201718556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37613B (zh) * | 2018-03-30 | 2020-08-11 | 台州中知英健机械自动化有限公司 | 一种可触屏电子装置保护壳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12171A2 (en) | 2007-07-13 | 2009-01-22 | Apple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a dual layer housing |
US20120133608A1 (en) | 2010-11-29 | 2012-05-31 | Inventec Corporation | Touch display assembly structure |
WO2013048881A1 (en) | 2011-09-27 | 2013-04-04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
CN105188291A (zh) * | 2015-09-14 | 2015-12-23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子设备壳体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24047A (en) * | 1952-09-04 | 1955-11-15 | Garden City Plating & Mfg Co | Fluorescent light fixture |
US7436678B2 (en) * | 2004-10-18 | 2008-10-14 |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Capacitive/resistive devices and printed wiring boards incorporating such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
US9110580B2 (en) * | 2011-08-05 | 2015-08-18 | Nokia Technologies Oy |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US8517172B1 (en) * | 2012-10-01 | 2013-08-27 | Match U International Co., Ltd. | Protective housing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
US9207800B1 (en) * | 2014-09-23 | 2015-12-08 | Neonode Inc. | Integrated light guide and touch screen frame and multi-touch determination method |
CN203433482U (zh) * | 2013-07-30 | 2014-02-12 | 信利半导体有限公司 | 一种具有触控显示屏的手持移动设备 |
CN107613700B (zh) * | 2013-08-27 | 2020-12-15 | 华为终端有限公司 | 电子终端设备 |
JP2016046601A (ja) * | 2014-08-20 | 2016-04-04 | シャープ株式会社 | 携帯端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
US9894192B2 (en) * | 2014-09-04 | 2018-02-13 | James L. Cox, III |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
CN204168352U (zh) * | 2014-10-28 | 2015-02-18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金属手机壳体及手机 |
RU155093U1 (ru) * | 2014-10-31 | 2015-09-20 | Алексей Николаевич Фролов | Мобильное средство связи |
CN204291096U (zh) * | 2014-12-30 | 2015-04-22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金属中框移动终端 |
CN104853549A (zh) * | 2015-04-22 | 2015-08-19 | 奥捷五金(江苏)有限公司 | 一种移动电子产品金属中框及其加工工艺 |
CN104850183A (zh) * | 2015-05-21 | 2015-08-19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移动终端显示结构及移动终端 |
CN104883841A (zh) * | 2015-05-22 | 2015-09-02 | 奥捷五金(江苏)有限公司 | 一种中框结构的生产工艺及中框结构 |
-
2016
- 2016-04-29 CN CN201610282788.9A patent/CN107340900B/zh active Active
- 2016-09-09 KR KR1020187000294A patent/KR1019668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09 WO PCT/CN2016/094342 patent/WO2017185560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9-09 RU RU2016145112A patent/RU2660662C2/ru active
- 2016-09-09 JP JP2016564264A patent/JP6427204B2/ja active Active
- 2016-11-15 EP EP16198912.4A patent/EP3240373B1/en active Active
-
2017
- 2017-04-24 US US15/494,597 patent/US1012999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12171A2 (en) | 2007-07-13 | 2009-01-22 | Apple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forming a dual layer housing |
US20120133608A1 (en) | 2010-11-29 | 2012-05-31 | Inventec Corporation | Touch display assembly structure |
WO2013048881A1 (en) | 2011-09-27 | 2013-04-04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
CN105188291A (zh) * | 2015-09-14 | 2015-12-23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电子设备壳体及电子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427204B2 (ja) | 2018-11-21 |
CN107340900A (zh) | 2017-11-10 |
US10129990B2 (en) | 2018-11-13 |
CN107340900B (zh) | 2020-09-18 |
RU2016145112A (ru) | 2018-05-17 |
US20170318698A1 (en) | 2017-11-02 |
RU2660662C2 (ru) | 2018-07-09 |
RU2016145112A3 (ko) | 2018-05-17 |
WO2017185560A1 (zh) | 2017-11-02 |
EP3240373B1 (en) | 2019-04-03 |
KR20180014820A (ko) | 2018-02-09 |
JP2018517309A (ja) | 2018-06-28 |
EP3240373A1 (en) | 2017-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643155B (zh) | 具有振动器组件的设备壳体 | |
US10284936B2 (en) | Receiver | |
TWI539832B (zh) | 可攜式電子裝置 | |
CN106412776B (zh) | 移动终端及其扬声器组件 | |
CN205812376U (zh) | 电子设备 | |
JP2017521733A (ja) | 移動端末の表示構造及び移動端末 | |
US9225885B2 (en) | Reduced height camera module for small form factor applications | |
TW201526748A (zh) | 機殼及應用該機殼之可攜式電子裝置 | |
CN106341501B (zh) | 一种盖板玻璃及移动终端 | |
CN106603776A (zh) | 终端 | |
KR20180105502A (ko) | 전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CN105828226A (zh) | 一种麦克风静电防护装置 | |
KR101966833B1 (ko) | 모바일 단말기의 미들 프레임 및 모바일 단말기 | |
CN204119507U (zh) | 一种扬声器侧声孔和一种扬声器结构 | |
US10932056B2 (en) | Speaker | |
CN205510383U (zh) | 扬声器 | |
JP2014022873A (ja) | 携帯端末 | |
CN116710872A (zh) | 扬声器模块结构和包括其的电子装置 | |
CN209057448U (zh) | 一种车载电子设备 | |
JP2017055271A (ja) | 情報処理装置 | |
RU2368110C1 (ru) | Экранированная клавиатура | |
CN201563343U (zh) | 板对板屏蔽模块结构及具有该结构的电子设备 | |
CN108449475A (zh) | 侧键结构和终端 | |
KR101156906B1 (ko) | 이동통신단말기 | |
EP3968137A1 (en) | Infrared touch screen bezel for mounting functional assembly, and display terminal compris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