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620B1 - 스테이터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620B1
KR101966620B1 KR1020140070822A KR20140070822A KR101966620B1 KR 101966620 B1 KR101966620 B1 KR 101966620B1 KR 1020140070822 A KR1020140070822 A KR 1020140070822A KR 20140070822 A KR20140070822 A KR 20140070822A KR 101966620 B1 KR101966620 B1 KR 101966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overlapping portion
grooves
overlapp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767A (ko
Inventor
현우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62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5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outer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8Windings for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2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for windings on salient poles, such as claw-shaped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성이 향상되는 스테이터 코어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분할코어에 적용되는 인슐레이터의 구조를 분리하여 형성하고, 분리형성되는 인슐레이터의 말단을 상호 중첩구조로 결합가능한 결합부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테이터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STATOR AND MO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정성이 향상되는 스테이터 코어와 이를 적용한 모터에 대한 것이다.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의 상호 작용에 의해 구동력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터로는 직류식인 가변전압 전동기와 교류식인 3상 유도 전동기로 구분되기도 한다. 일예로 엘리베이터 또는 차량 등의 장비에 견인력을 구현하는 권상전동기(traction motor), 나아가 자동차의 조향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동식조향장치(Electronic Power Streeing System}가 사용된다.
이들 중 전동식 조향장치(EPS)를 예를 들면, 이는 차속센서, 토크 앵글센서 및 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EPS시스템은 운전자가 조향을 하기 위해 핸들을 조작하는 토크를 모터가 보조하여 줌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조향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모터로는 BLDC모터가 사용된다. BLDC모터(Brushless DC 모터)의 주요부위는 스테이터와 로터로 구성되는데, 고정자에는 코일이 권취되고 회전자는 마그네트가 결합되어 상호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로터가 회전한다. 이러한 스테이터는 단위 코어와 코일로 이루어지는데,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분할 코어를 환형상으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코어와 코일간의 절연을 위해서는 인슐레이터(절연체)가 삽입이 되게 되는데, 이러한 인슐레이터는 스테이터의 형상에 따라 맞춤제작을 하게 되며, 공정의 편의성을 위해 분리제작을 하는 경우 코일의 권선패턴을 고려하여 상부 인슐레이터와 하부 인슐레이터의 형상을 다르게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슐레이터의 분리제작은 제작공정 수를 늘려 공정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상하부의 인슐레이터의 형상을 맞추어야 하는바 결합공정의 어려움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분할코어에 적용되는 인슐레이터의 구조를 분리하여 형성하고, 분리형성되는 인슐레이터의 말단을 상호 중첩구조로 결합가능한 결합부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헤드부에서 돌출되는 투스(tooth)가 마련되는 단위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단위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되는 제1인슐레이터 및 제2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의 각각의 말단부가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가 마련되도록 구현하되, 특히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의 결합부 이외의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도록 하는 구조로 구현하는 스테이터 코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분할코어에 적용되는 인슐레이터의 구조를 분리하여 형성하고, 분리형성되는 인슐레이터의 말단을 상호 중첩구조로 결합가능한 결합부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인슐레이터의 결합부의 구조는 몸체부의 말단에 편방향 배치설계로 인해 상하의 구분이 없이 인슐레이터에 결합시킬 수 있어 공정비용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의 몸체부에 권선가이드 홈을 구현하여 코일의 감김구조에서의 정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테이터 코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구조에서 단위 스테이터코어을 분리하여 인슐레이터와 결합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제1인슐레이터 및 제2인슐레이터의 결합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결합구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 및 제2인슐레이터를 사용한 스테이터 어셈블리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코어가 적용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용(EPS) 모터의 구현예의 단면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테이터 코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구조에서 단위 스테이터코어(110)을 분리하여 인슐레이터와 결합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제1인슐레이터 및 제2인슐레이터의 결합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스테이터 코어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테이터 코어(100)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110; 이하 '단위 스테이터 코어'라 한다.)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해 구성된다. 특히, 각각의 단위 스테이터 코어에는 추후 코일 권선에 따른 절연을 위해 인슐레이터가 결합되게 된다.
이에 도 2를 참조하여, 단위스테이터 코어와 인슐레이터의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코어의 요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위 스테이터 코어는 코어몸체(111)를 포함한다. 코어몸체(111)에는 헤드부(113)와, 헤드부(113)에서 돌출되는 투스(tooth;112)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위 스테이터 코어(110)와 상기 단위 스테이터 코어(110)에 결합되는 제1인슐레이터(210) 및 제2인슐레이터(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상기 제1인슐레이터(210)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220)의 각각의 말단부가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212, 222)가 마련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호 중첩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212, 222)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의 결합부 이외의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인슐레이터(210)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220)의 몸체부(211, 221)의 말단은 몸체부의 두께와 비교하여 더 얇게 가공하도록 하여 결합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제1인슐레이터(210)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220)에서 상호 대응하는 부분이 대칭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공정성을 증진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210)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220)가 상술한 단위스테이터 코어(11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끼움 결합을 하게 되더라고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는 구조인바, 상기 제1인슐레이터(210)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220)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형상을 제작하여 상하부에 적용할 수 있게 되어 공정성을 증진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인슐레이터(210)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220)는 상기 단위 스테이터 코어(110)에 결합되도는 구조로 구현되는 한 쌍의 몸체부(211, 221)가 마련된다. 이 중 제1인슐레이터(21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인슐레이터(210)는 내측에 상기 투스(112)를 수용하는 공간부(S)가 마련되는 한 쌍의 몸체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213)이 마련된다.
특히, 상기 한쌍의 몸체(211)의 말단부에는 상기 몸체(211)의 두께보다 얇게 가공되어 마련되는 결합부(212)가 구현되게 된다. 이 결합부(212)는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인슐레이터(220)의 몸체부(221)의 말단부에도 동일한 구조로 구현이 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제1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의 각각의 결합부(212, 222)는 상호 중첩되도록 결합하게 된다.
도 3은 상술한 도 2에서의 제1인슐레이터 및 제2인슐레이터의 결합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인슐레이터(210)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220)의 결합부(212, 222)는 상기 한 쌍의 몸체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편방향에 배치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편방향'이란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도시된 상기 제1인슐레이터(210)의 몸체부(211)의 중심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X)를 중심으로 결합부(212)는 모두 좌측방향(X1)에 편방향 배치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인슐레이터(220)의 몸체부(221)의 중심부를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Y)를 기분으로, 결합부(222)는 모두 우측방항(Y1)에 편방향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편방향 배치구조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인슐레이터(210)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220)의 형상을 동일하게 제작하는 경우, 상술한 스테이터 코어의 상부와 하부의 방향에서 상호 끼움결합하는 경우라도 별도의 구조 변경없이 상호 원활한 결합이 구현될 수 있는바, 제조공정은 물론 결합공정의 효율성을 크게 증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 상호 간에 각각 결합하는 결합부는 상호 대칭구조로 중첩 결합하는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인슐레이터 및 제2인슐레이터의 중첩결합되는 부분(각각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부분)의 두께의 합이 각각의 상기 몸체부의 두께와 실질적을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 및 제2인슐레이터의 외표면은 결합 이후에도 별도의 결합 단차없이 매끄러운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추후 코일의 권선시에도 이러한 구조는 권선 정렬의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도 4는 도 2의 결합구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인슐레이터(210)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220)는 도 3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효율적인 결합부의 설계구조를 통해 상하부 방향에 구분없이 바로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인슐레이터(210) 및 상기 제2인슐레이터(220)는 추후 코일의 권선정렬을 위해 상기 제1인슐레이터 및 제2인슐레이터의 몸체부에 다수의 권선가이드홈(G)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인슐레이터 및 제2인슐레이터의 연결부 부분에는 권선가이드홈을 형성하지 않도록 해, 연결부를 지나는 부분에서 코일의 권선방향의 오차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권선의 정렬성을 좋게 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몸체부에 권선되는 코일의 정렬성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해서는 권선가이드홈의 말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소정의 일부분가지는 연장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코어는 도 1의 구조와 같이 단위 스테이터 코어 각각에 제1 및 제2인슐레이터커 결합하고, 코일이 권선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구조물이 다수 개가 결합되는 구조로 모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모터 하우징을 구비하는 구조물에 도 1에서 상술한 기본 구조의 스테이터를 마련하고, 그 중앙에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로터가 배치되며, 상기 로터를 관통하는 구조의 샤프트(회전축)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테이터는 상술한 것과 같이, 헤드부에서 돌출되는 투스(tooth)를 가지는 단위 스테이터 코어를 다수 개 포함하는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하며, 각각의 단위 스테이터 코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 및 제2 인슐레이터 및 코일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이렇게 구현되는 스테이터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형성된 통공과 마그네트 모듈을 포함하는 로터가 베치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제1 및 제2인슐레이터를 사용한 스테이터 어셈블리를 예시한 것이다. 전체적인 스테이터 하우징에 다수의 단위 스테이터코어가 환형을 이루며 배치디며, 각 단위 스테이터 코어에는 상술한 제1 및 제2인슐레이터(200)이 결합한 구조이며, 제1 및 제2인슐레이터(200)의 외면에는 권선 코일(C)이 형성된 구조를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스테이터 어셈블리는 권상전동기(traction motor)나, 전동 파워 스티어링용 모터(EPS motor) 등 다양한 모터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용 스테이터 코어가 적용된 전동 파워 스티어링용(EPS) 모터의 구현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코어는 이외에도 엘리베이터 또는 차량 등의 장비에 견인력을 구현하는 권상전동기(traction motor)등 다양한 모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터 하우징(H) 및 상기 하우징(H)과 결합된 브라켓(30)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H)은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중앙부에 지지관(11)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0)은 상기 하우징(H)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관(11)에는 제1 베어링(31)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30)에는 제2 베어링(32)이 설치된다. 상기 제1 베어링(31) 및 제2 베어링(32)에는 회전축(400;샤프트)이 접촉 지지되는데, 상기 회전축(400)의 상부는 상기 제2 베어링(3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회전축(400)의 하부는 상기 제1 베어링(3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회전축(400)의 상단부는 상기 브라켓(3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고, 조향축(미도시)과 연결되는 기구물(60)과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H) 내부에는 스테이터와 로터가 설치된다. 상기 로터는 상기 회전축(400)과 결합되는 로터 코어(320)와, 상기 로터 코어(3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3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가 로터코어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구조를 예로 들었으나, 이와는 달리 로터코어 내부에 마그네트가 삽입되는 구조로 구현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마그네트(310)와 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된 스테이터 코어(200)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200)에 권선된 코일(230)을 포함한다.
싱기 스테이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코어와 절연체의 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조물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서 상기 스테이터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기 로터에서 발생되는 전기장이 서로 작용하여 상기 회전축(400)이 회전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400)에는 센싱 플레이트(190)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400)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센싱 플레이트(190)에는 센싱 마그네트(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0)에는 회로기판(10)이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10)에는 상기 센싱 마그네트(50)를 대향하는 센싱 소자(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소자(20)는 상기 센싱 마그네트(50)가 회전된 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센싱 마그네트(50)가 결합된상기 센싱 플레이트(190) 및 상기 회전축(400)의 회전된 정도를 감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스테이터
110: 단위 스테이터 코어
111: 코어몸체
112: 투스(tooth)
113: 헤드부
210: 제1인슐레이터
211: 몸체부
212: 결합부
213: 연결부
220: 제2인슐레이터
221: 몸체부
222: 결합부
223: 연결부

Claims (1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된 로터; 및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결합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된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제1 인슐레이터 및 제2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상기 투스 상에 배치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인슐레이터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중첩부 및 제2 중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슐레이터는 상기 투스 상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중첩부와 중첩되는 제3 중첩부 및 상기 제2 중첩부와 중첩되는 제4 중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첩부는 상기 제1 바디의 복수 개의 홈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중첩부에는 상기 제1 바디의 복수 개의 홈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3 중첩부에는 상기 제2 바디의 복수 개의 홈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4 중첩부에는 상기 제2 바디의 복수 개의 홈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2 인슐레이터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1 중첩부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2 중첩부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3 중첩부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4 중첩부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중첩부의 상기 복수 개의 홈은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복수 개의 홈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중첩부의 상기 복수 개의 홈은 상기 제3 중첩부와 상기 샤프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상기 투스의 상면에 배치된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1 바디를 기준으로 기울어진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기울어진 제2 영역은 상기 제1 바디의 복수 개의 홈과 연결되는 홈이 형성되는 모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첩부 및 상기 제2 중첩부는 상기 제1 바디보다 두께가 작고,
    상기 제3 중첩부 및 상기 제4 중첩부는 상기 제2 바디보다 두께가 작은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2 중첩부는 상기 제2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4 중첩부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3 중첩부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1 중첩부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중첩부의 내면은 상기 제3 중첩부의 외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2 중첩부의 외면은 상기 제4 중첩부의 내면과 접촉하는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첩부의 외면은 상기 제1 바디의 외면보다 상기 샤프트와 직선거리로 더 가까운 위치에 있는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1 중첩부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홈 각각과 상기 제2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홈 각각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복수 개의 홈, 상기 제1 중첩부의 상기 복수 개의 홈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복수 개의 홈은 상기 코일의 권선을 가이드하는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첩부의 상기 복수 개의 홈은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복수 개의 홈과 연결되는 모터.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슐레이터는 상기 투스의 하면에 배치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상기 투스와 중첩되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상기 제1 바디의 복수 개의 홈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 영역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모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첩부는 상기 제3 중첩부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1 중첩부의 상기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는 외면과, 상기 제1 중첩부의 상기 외면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제3 중첩부의 외면과 면접촉하는 내면을 포함하는 모터.
  12.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된 로터; 및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코어, 상기 코어와 결합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와 결합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제1 인슐레이터 및 제2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상기 투스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제1 중첩부 및 제2 중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슐레이터는 상기 투스의 측면과 접촉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중첩부와 중첩되는 제3 중첩부 및 상기 제2 중첩부와 중첩되는 제4 중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중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바디의 복수 개의 홈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중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바디의 복수 개의 홈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3 중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 바디의 복수 개의 홈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4 중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 바디의 복수 개의 홈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어의 상면과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첩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제1 바디의 복수 개의 홈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2 인슐레이터는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1 중첩부는 상기 코어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2 중첩부는 상기 코어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3 중첩부는 상기 코어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인슐레이터의 상기 제4 중첩부는 상기 코어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중첩부의 상기 복수 개의 홈은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복수 개의 홈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상기 투스의 상면에 배치된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으로 중첩되고 곡률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일부에는 상기 제1 바디의 복수 개의 홈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모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첩부의 상기 복수 개의 홈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중첩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복수 개의 홈, 상기 제1 중첩부의 상기 복수 개의 홈, 상기 제4 중첩부의 복수개의 홈, 상기 제2 바디의 상기 복수 개의 홈 및 상기 제2 영역의 복수개의 홈은 상기 코일의 권선을 가이드하는 모터.
  14. 삭제
KR1020140070822A 2014-06-11 2014-06-11 스테이터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1966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822A KR101966620B1 (ko) 2014-06-11 2014-06-11 스테이터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822A KR101966620B1 (ko) 2014-06-11 2014-06-11 스테이터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67A KR20150142767A (ko) 2015-12-23
KR101966620B1 true KR101966620B1 (ko) 2019-04-09

Family

ID=5508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822A KR101966620B1 (ko) 2014-06-11 2014-06-11 스테이터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381B1 (ko) 2016-07-07 2023-1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테이터 유닛,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566024B1 (ko) * 2018-05-23 2023-08-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구동모터의 보빈
KR102317047B1 (ko) 2019-07-25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321183B1 (ko) * 2020-03-16 2021-11-03 주식회사 씨앤엠 에어컴프레서용 고정자 인슐레이션 구조
KR20210138403A (ko) 2020-05-12 2021-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테이터 및 이를 구비한 팬모터
CN112671123B (zh) * 2021-01-22 2023-0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定子铁芯、定子及电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3466A (ja) * 2012-02-29 2013-09-12 Nifco Inc ステーター用インシュレ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882B1 (ko) * 2010-10-20 2012-05-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브러쉬리스 모터
JP5166566B2 (ja) * 2011-03-31 2013-03-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インシュレ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テータ、モ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3466A (ja) * 2012-02-29 2013-09-12 Nifco Inc ステーター用インシュレ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67A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620B1 (ko) 스테이터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945277B2 (ja) ステータおよびこれを含むモータ
US9800100B2 (en) Permanent magnet motor and driving apparatus-integrated permanent magnet motor
JP5223259B2 (ja) モータ
JP6267907B2 (ja) バスバーユニットおよびブラシレスモータ
JP6249417B2 (ja) 回転電機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388705B2 (ja) 回転電機の回転子、及びモータ
US7741745B2 (en) Attaching structure of resolver, dynamo-electric machine and attaching method of resolver
EP2439832A2 (en) Divided stator core of an electric power steering motor
JP2007325481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0220288A (ja) コアブロック及び該コアブロックを用いたモータ用の磁極コア
CN109643915A (zh) 定子和包括定子的马达
JP7091042B2 (ja) 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及びこれを備える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EP2445088A2 (en) Brushless mo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CN109428407B (zh) 定子芯
US8791610B2 (en) Anti-separating structure of sensing magnet for EPS motor
CN108370188B (zh) 绝缘体和包括该绝缘体的马达
JP7383711B2 (ja) モータ
US20130134824A1 (en) Stator core
KR102355645B1 (ko) 모터
JP3889305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を搭載し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30127328A (ko) 모터용 회전자
WO2020036042A1 (ja) 固定子、回転電機、自動車用電動補機装置
JP6065436B2 (ja) 電動モータ
CN112910147A (zh) 定子、马达及定子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