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367B1 -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가방 - Google Patents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367B1
KR101966367B1 KR1020160139048A KR20160139048A KR101966367B1 KR 101966367 B1 KR101966367 B1 KR 101966367B1 KR 1020160139048 A KR1020160139048 A KR 1020160139048A KR 20160139048 A KR20160139048 A KR 20160139048A KR 101966367 B1 KR101966367 B1 KR 10196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eather
hot melt
roller
vegetable l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204A (ko
Inventor
오수영
Original Assignee
오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영 filed Critical 오수영
Priority to KR102016013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3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01Flexible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06C15/02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between co-operating press or calender rol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08Natural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 B32B2439/06Bags, sacks, sa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라미네이팅 방법은 원단(3)과 핫멜트(7)를 가 접합하는 제 1단계(S100)와; 가 접합된 원단(3)을 가죽(5)의 뒷면이 상부로 향한 상태에서 적층하여 롤러(R)로 공급하는 제 2단계(S110)와; 그리고 롤러(R)가 저온상태로 원단(3) 및 가죽(5)을 열압착하는 제 3단계(S1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가방{Method for laminating fabric on the fashion leather and bag}
본 발명은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션용 가죽의 표면에 원단을 핫멜트 방식으로 접착하여 일체로 제조하는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핸드백, 지갑 등의 패션용품에 적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죽은 동물의 몸을 감싸고 있는 질긴 껍질로 가죽에서 털을 제거하고, 무두질한 것을 유피라 하고, 이것들을 총칭해서 피혁(皮革)이라 한다.
이러한 가죽을 그대로 방치해 두면 곧 부패해 버리지만 적당한 유제로 처리해서 유피로 만들면 부패하지 않고, 또한 건조시켜도 딱딱해지지 않음으로 가죽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가죽 제품은 주로 우피, 양피, 돈피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죽은 단백질 등 부패 부패하는 재질을 제거하고 콜라겐 등을 강화하여 자연스러운 가죽을 얻어내기 위하여 크게 크롬으로 무두질된 저급 가죽과 식물성 탄닌으로 무두질된 고급 가죽으로 구분된다.
크롬 가죽은 동물성인 원피에서 탄닌제로 3가 크롬을 사용하여 처리한 가죽이다.
식물성 가죽은 식물성 탄닌제(Vegetable tanning agent)인 미모사(Mimosa), 체스트 넛(Chestnut), 타라(Tara) 등에 의하여 처리한 가죽이다.
이러한 천연가죽은 소파, 자동차 시트(seat), 핸드백, 지갑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천연가죽은 내측면은 거칠고 그 거친면이 타물질과 접촉에 의해 부스러기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표면에 원단 등을 덧대어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핸드백이나 지갑의 경우 가죽의 내측면에 원단을 봉재 등에 의하여 내피를 덧대어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죽의 내측면에 원단을 덧대는 경우, 원단과 가죽의 테두리만이 봉재된 상태이므로 그 외 원단 부분은 가죽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원단이 펄럭이거나 주름이 잡히는 문제가 있는 바, 명품 핸드백이나 지갑의 내피로 사용될 경우, 펄럭이거나 주름 잡힌 원단이 시각적으로 보이게 되어 미적인 가치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죽의 표면에 원단을 직접 접착하는 방안이 개발되었는 바, 특허출원 제10-2015-23호(차량용 가죽시트 커버)에 그 일예가 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차량용 가죽시트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가죽 원단층(130)의 표면에 탄성부재(110)로서 부직포를 부착하되, 접착제로서 핫멜트를 이용하여 부직포를 가죽 원단층에 부착하는 방식이다.
이때, 핫멜트는 열압착 방식에 의하여 용융되는 바 약 9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용융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종래기술은 차량용 커버에 사용되는 기술로서, 차량용 커버의 경우 패션적인 면 보다는 실용적인 면이 중요한 제품으로서, 비록 원단이 핫멜트에 의하여 가죽의 내측에 부착되는 방식이지만, 이때 원단은 가죽의 형태안정 즉 늘어짐이나 주름 등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며, 명품 핸드백이나 지갑과 같이 외부에서도 보임으로써 패션적인 미감을 충족하기 위한 제품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핸드백이나 지갑 등에 적용하는 것에는 디자인 및 패션적인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커버에 사용되는 가죽은 크롬으로 무드질한 크롬 가죽으로서, 원단을 가죽에 부착하는 경우, 핫멜트의 용융 온도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약 90 내지 120℃의 온도범위이다.
반면에, 핸드백이나 지갑의 경우, 최근 증가하고 있는 친환경에 대한 관심으로 인하여, 식물성 탄닌으로 무드질한 식물성 가죽을 사용하는 바, 이러한 식물성 가죽을 핫멜트 방식에 의하여 원단을 부착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90도 이상의 열이 전달되는 경우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을 핸드백이나 지갑에 적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가죽에 원단을 일체로 부착함으로써 디자인적으로 미려한 외관을 갖고, 또한 친환경적인 핸드백이나 지갑 등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단을 식물성 가죽에 용이하게 부착하는 가공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단(3)과 핫멜트(7)를 가 접합하는 제 1단계(S100)와;
가 접합된 원단(3)을 가죽(5)의 뒷면(6)이 상부로 향한 상태에서 적층하여 롤러(R)로 공급하는 제 2단계(S110)와; 그리고
롤러(R)가 저온상태로 원단(3) 및 가죽(5)을 열압착하는 제 3단계(S120)를 포함함으로써 상부에서부터 원단(3), 핫멜트(7), 가죽(5)의 순서로 배치되며,
제 1단계(S100)에서는, 원단의 전면(全面;4)에 핫멜트(7)를 접착제에 의하여 점 접합시키거나, 핫멜트(7)의 소정 위치를 용융시켜서 원단의 전면(4)에 점 접합형태로 가접합하고,
제 3단계(S120)에서는, 롤러(R)의 온도가 70-90도 범위이고, 회전수를 9.5 내지 15 rpm으로 함으로써 가죽(5)이 열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가죽(5)과, 가죽(5)의 뒷면에 부착되는 원단(3)과, 원단(3)을 가죽(5)에 부착시키는 핫멜트(7)를 포함하는 가방으로서,
원단(3)과 핫멜트(7)를 가 접합하되, 원단의 전면(全面;4)에 핫멜트(7)를 접착제에 의하여 점 접합시키거나, 핫멜트(7)의 소정 위치를 용융시켜서 원단의 전면(4)에 가접합하고,
가 접합된 원단(3)을 가죽(5)의 뒷면(6)이 상부로 향한 상태에서 적층하여 롤러(R)로 공급하여 열압착함으로써 상부에서부터 원단(3), 핫멜트(7), 가죽(5)의 순서로 배치하되,
롤러(R)의 온도가 70-90도 범위이고, 회전수를 9.5 내지 15 rpm으로 함으로써 가죽(5)이 열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원단이 가죽에 라미네이팅 되어 제조되는 가방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핸드백이나 지갑과 같은 패션제품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가죽을 식물성 가죽으로 적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색을 낼 수 있고 또한 가죽의 표면에 패션 원단을 핫멜트에 의하여 일체로 접합함으로써 원단 표면이 주름이 없이 매끈하고, 가죽과 일체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패션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디자인적인 미감을 높혀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
둘째, 식물성 가죽은 고온의 열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바, 롤러에 의하여 열압착을 하는 경우, 온도를 상대적으로 저온인 90℃도 이하로 하고, 또한 롤러의 회전수를 높임으로써 가죽이 열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가죽의 열접합 전에 원단과 핫멜트을 가 접합함으로써 원단과 핫멜트가 열압착 도중에 위치가 서로 어긋남으로써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디자인적인 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롤러의 하부에 배치되어 가죽 및 원단이 적치되는 받침대에 있어서, 받침대의 상면에 탄력성이 있은 매트를 배치함으로써 열압착시 가죽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열압착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단이 일체로 라미네이팅된 패션용 가죽으로 제조된 핸드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션용 가죽의 원단 및 식물성 가죽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션용 가죽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하여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용 가죽을 가공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패션용 가죽(5)은 내측에 원단(3)이 일체로 부착된 구조로서 핸드백이나 지갑과 같은 패션 제품(F)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패션용 가죽(5)의 표면에 원단(3)을 일체로 부착함으로써 원단(3)이 주름지거나 펄럭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가죽(5)과 일체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핸드백을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 원단(3)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패션용 원단(3)을 사용함으로써 패션감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패션용 가죽(5)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식물성 가죽(이하, 가죽5)과; 가죽(5)의 이면에 부착되는 원단(3)과; 원단(3)을 가죽(5)에 부착시키는 핫멜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패션용 가죽에 있어서, 상기 가죽(5)은 크롬 가죽에 비하여 친환경적인 특성을 갖는바, 핸드백이나 지갑 등에 사용시 인체에 해로움이 최소화될 수 있다.
원단(3)은 가죽(5)에 일체로 부착되며,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명품 핸드백이나 지갑에 사용되는 경우, 패션감을 높이기 위하여 디자인적으로 고급스러운 원단(3)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원단(3)으로는, 직물, 편직물, 부직포 등 어느 것이나 가능하고, 그 재질에 있어서도, 가방의 경우 오염방지 및 비가 올 경우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방수 처리된 원단, 항균효과가 탁월한 닥섬유 원단, 회사 로고가 들어가 있는 원단 등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핫멜트는 웹 형태(Web)의 핫멜트와, 필름 형태의 핫멜트로 구분된다.
웹 형태의 핫멜트(7)는 고분자 수지의 방사에 의하여 형성된 미세한 섬유의 부직포로서, 섬유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공극, 즉 웹 구조에 의하여 접착력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통기성을 확보한다.
또한, 필름 형태의 핫멜트(7)는 판상으로 되어있어 접착 후 통기성에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핫멜트(7)는 열 압착 공정에서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용융됨으로써 원단(3)을 가죽(5)의 이면에 부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가죽(5)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저온, 즉 55~ 80도의 온도에서 핫멜트(7)를 용융시킴으로써 가죽(5)이 용융과정에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가죽(5)에 원단(3)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원단(3)과 핫멜트(7)를 가접합하는 제 1단계(S100)와; 가접합된 원단(3)을 가죽(5)의 뒷면(6)이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하여 롤러(R)로 공급하는 제 2단계(S110)와; 롤러(R)를 70~90℃로 가열한 상태로 원단(3) 및 가죽(5)을 열압착하는 제 3단계(S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순서로 진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단계(S100)에서는 예비공정으로서 원단(3)에 핫멜트(7)를 가접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핸드백이나 지갑과 같이 디자인적인 미감이 중요한 제품에 관한 것이므로, 원단(3)이 가죽(5)의 표면에 주름 없이 매끈하게 부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원단(3)을 가죽(5)에 부착시킬 때 핫멜트(7)와 원단(3)의 위치, 혹은 열압착시 얇은 핫멜트(7)이 주름 없이 펴진 상태가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종래의 가죽과 원단의 부착공정에서는 원단의 표면에 핫멜트를 겹친 상태에서 롤러를 통과시키게 되면 원단과 핫멜트가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롤러(R)로 인입될 때 원단과 핫멜트가 서로 어긋나거나 원단 혹은 핫멜트에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어긋나거나 주름이 발생한 상태에서 열압착이 되면 원단이 가죽의 표면에 주름상태로 부착됨으로써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원단(3)에 핫멜트(7)를 가접합한 후 롤러(R)에 공급하게 된다.
이때 원단(3)과 핫멜트(7)를 가접합하는 방식은 다양하며, 예를 들면 원단(4)의 전면(4)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핫멜트(7)를 부착하는 방식이다.
혹은 핫멜트(7)의 소정 위치를 미리 용융시켜서 원단(3)의 해당 위치에 접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원단(3)과 핫멜트(7)를 미리 접착함으로써 후 공정인 열압착 공정에서는 원단(3)과 핫멜트(7)가 서로 어긋남이 없이 정위치에서 용융될 수 있어서 원단(3)이 가죽(5)의 표면에 편평하고 매끈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단계(S100)가 완료된 후, 제 2단계(S110)가 진행된다.
제 2단계(S110)에서는 핫멜트(7)가 가 접합된 원단(3)을 가죽(5)의 상부에 배치하고 롤러(R)로 공급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가죽(5)의 뒷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배치한다. 즉, 열롤러(R)가 상부에 배치되어 아래방향으로 압착하게 되므로, 원단(3)이 부착되는 가죽(5)의 뒷면이 상부로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하부에는 가죽(5)이 배치되고, 그 위에는 핫멜트(7)가 배치되며, 최상부에는 원단(3)이 배치되는 구조로 롤러(R)로 공급된다.
이때, 가죽(5) 및 원단(3)은 이송 컨베이터 혹은 수작업에 의하여 열롤러(R)로 공급된다.
제 2단계(S110)가 완료된 후 롤러(R)에 의한 열압착이 진행되는 제 3단계(S120)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먼저, 가죽(5)의 상부에 핫멜트(7) 및 원단(3)이 적층된 상태에서 롤러(R)와 베이스의 틈새로 공급된다.
가죽(5)의 선단이 틈새에 도달하면 롤러(R)의 표면과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이 작용하여 원단(3)과 핫멜트(7)가 밀리게 되어 어긋날 수 있으나, 제 1단계(S100)에서 원단(3)과 핫멜트(7)를 가접합한 상태이므로 어긋남이 없이 롤과 베이스의 틈새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열롤러(R)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70~90℃의 온도로 가열된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가죽(5)을 사용하므로 열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열 압착 공정에서 상대적으로 저온의 열로 압착할 필요가 있어서 약 9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핫멜트(7)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70~90℃의 열롤러(R)를 통과하게 되므로 그보다 저온에서 용융되어야 하므로 Mp가 50~70℃이고, 중량은 15~40g/m2으로 15g/m2 미만은 접착력이 약해 바람직하지 않고, 40g/m2을 초과하면 가죽이 뻣뻣해지거나 과용융될 경우 원단밖으로 핫멜트가 새어나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또한, 가죽(5) 및 원단(3)이 롤러(R)를 통과할 때, 저온상태이지만 핫멜트(7)를 충분히 용융시킬 수 있는 정도이므로, 용융 이외의 잉여 열에너지가 가죽(5)에 전달되어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바,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롤러(R)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약 9.5 rpm 이상의 회전수(9.5 내지 15 rpm)로 회전시킴으로써 종래의 8rpm에 비교하여 약 20% 정도로 회전수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롤러(R)의 온도를 저온상태로 하고, 회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가죽(5)이 열압착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단이 일체로 라미네이팅된 패션용 가죽으로 제조된 핸드백으로서, 트리코트원단에 Mp 60℃이고 중량 20g/m2(JCC KOREA제 상품번호 W70) 폴리우레탄제 핫멜트를 가접합한 후 80℃의 열롤러(R)로 가죽과 열압착하여 가방을 제조한 것이다.
물론, 상기 원단 및 핫멜트는 일 예이며, 가방의 용도 등에 따라 변경가능하며, 예를 들면, 원단은 트리코트 원단을 포함한 직물, 편직물, 부직포 등이 적용가능하고, 폴리 우레탄제 핫멜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핫멜트도 적용가능하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션용 가죽(5)의 원단(3) 라미네이팅 시스템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원단(3)과 핫멜트(7)를 가접합하는 가접합부(9)와; 가접합된 원단(3)과 핫멜트(7)를 가죽(5)의 상부에 적층한 상태로 롤러(R)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1)와; 이송된 가죽(5) 및 핫멜트가 가 접합된 원단(3)을 저온상태에서 열압착시키는 롤러(R) 및 받침대(1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접합부(9)는 핫멜트(7)를 원단(3)에 예비적으로 접합시킴으로써 원단(3)과 핫멜트(7)가 어긋남이 없이 열압착시에도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접합부(9)는 원단(3)의 전면(4)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핫멜트(7)를 접착하는 방식이다.
혹은, 핫멜트(7)를 원단(3)의 상부에 겹치도록 배치한 후, 인두와 같이 열을 발생하는 공구를 이용하여 핫멜트(7)의 일정 위치를 용융시킨다.
이때, 핫멜트(7)의 테두리를 따라 여러 지점을 용융시키거나, 내측부의 여러 지점을 용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두는 작업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핫멜트(7)를 용융시킬 수도 있고, 또한 실린더와 같이 자동화된 툴(tool)에 장착되어 승하강함으로써 용융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롤러(R) 및 받침대(13)는 가죽(5)의 상부에 적층된 원단(3) 및 핫멜트(7)가 열에 의하여 압착함으로써 일체로 접합하게 된다.
즉, 받침대(13)는 롤러(R)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송된 가죽(5) 및 원단(3)을 지지한다.
그리고 받침대(13)의 표면에는 섬유 재질의 매트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매트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므로 상부에 안착된 가죽(5)이 아래로 눌려서 열압착될 때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서 원단(3)이 가죽(5)에 효과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롤러(R)는 받침대(13)의 일정 거리 상부, 바람직하게는 가죽(5) 및 원단(3)이 통과될 수 있는 정도의 틈새를 유지하여 배치되며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R)의 내측에는 발열부재가 장착됨으로써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소정의 온도로 발열하게 된다. 이때, 발열부재에는 온도의 조절이 가능한 컨트롤러(R)가 연결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 컨트롤러(R)를 제어함으로써 롤러(R)의 표면온도를 목표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원단(3)과 핫멜트(7)를 가 접합하는 제 1단계(S100)와;
    가 접합된 원단(3)을 식물성 가죽(5)의 뒷면(6)이 상부로 향한 상태에서 적층하여 롤러(R)로 공급하는 제 2단계(S110)와; 그리고
    롤러(R)가 저온상태로 원단(3) 및 식물성 가죽(5)을 열압착하는 제 3단계(S120)를 포함함으로써 상부에서부터 원단(3), 핫멜트(7), 식물성 가죽(5)의 순서로 배치되며,
    제 1단계(S100)에서는, 원단의 전면(全面;4)에 핫멜트(7)를 접착제에 의하여 점 접합시키거나, 핫멜트(7)의 소정 위치를 용융시켜서 원단의 전면(4)에 점 접합형태로 가접합하고,
    제 3단계(S120)에서는, 롤러(R)의 온도가 70-90℃이고, 회전수를 9.5 내지 15 rpm으로 함으로써 식물성 가죽(5)이 열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단계(S100)에서는, 핫멜트(7)는 녹는점(Mp)이 50~70℃이고, 중량은 15~40g/m2인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식물성 가죽(5)과, 식물성 가죽(5)의 뒷면(6)에 부착되는 원단(3)과, 원단(3)을 식물성 가죽(5)에 부착시키는 핫멜트(7)를 포함하는 가방으로서,
    원단(3)과 핫멜트(7)를 가 접합하되, 원단의 전면(全面;4)에 핫멜트(7)를 접착제에 의하여 점 접합시키거나, 핫멜트(7)의 소정 위치를 용융시켜서 원단의 전면(4)에 가접합하고,
    가 접합된 원단(3)을 식물성 가죽(5)의 뒷면(6)이 상부로 향한 상태에서 적층하여 롤러(R)로 공급하여 열압착함으로써 상부에서부터 원단(3), 핫멜트(7), 식물성 가죽(5)의 순서로 배치하되,
    롤러(R)의 온도가 70-90℃이고, 회전수를 9.5 내지 15 rpm으로 함으로써 식물성 가죽(5)이 열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원단이 식물성 가죽에 라미네이팅 되어 제조되는 가방.
KR1020160139048A 2016-10-25 2016-10-25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가방 KR101966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48A KR101966367B1 (ko) 2016-10-25 2016-10-25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48A KR101966367B1 (ko) 2016-10-25 2016-10-25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204A KR20180045204A (ko) 2018-05-04
KR101966367B1 true KR101966367B1 (ko) 2019-04-08

Family

ID=6219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048A KR101966367B1 (ko) 2016-10-25 2016-10-25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290B1 (ko) * 2018-05-25 2020-05-22 정덕채 고무백 및 고무백 제조 방법
KR102069352B1 (ko) * 2018-10-26 2020-01-22 (주)와이엠테크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구현된 원단 본딩된 피혁
KR102138125B1 (ko) * 2018-10-30 2020-07-27 김경민 핫멜트웹을 이용한 합피방법
KR102528275B1 (ko) * 2022-08-02 2023-05-04 주식회사 엘노이 원단만으로 봉제되는 가방류의 제작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0748A (ja) * 2007-12-28 2009-07-23 Midori Hokuyo Kk 皮革積層体、皮革と樹脂フォームの接着方法および皮革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135457B1 (ko) * 2012-01-18 2012-04-09 (주)아셈스 패드 분리조립식 합지용 금형 및 그를 사용한 핫멜트 합지용 프레스
KR101353506B1 (ko) * 2012-07-24 2014-01-23 (주)진솔인더스트리 주름방지를 위한 차량용 가죽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4112404A1 (ja) 2013-01-17 2014-07-24 協伸株式会社 皮革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29459B1 (ko) 2015-03-24 2015-06-17 주식회사 유엠에스 가열 압착을 이용한 스펀지와 가죽 원단의 저온 라미네이팅 접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0748A (ja) * 2007-12-28 2009-07-23 Midori Hokuyo Kk 皮革積層体、皮革と樹脂フォームの接着方法および皮革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135457B1 (ko) * 2012-01-18 2012-04-09 (주)아셈스 패드 분리조립식 합지용 금형 및 그를 사용한 핫멜트 합지용 프레스
KR101353506B1 (ko) * 2012-07-24 2014-01-23 (주)진솔인더스트리 주름방지를 위한 차량용 가죽시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4112404A1 (ja) 2013-01-17 2014-07-24 協伸株式会社 皮革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29459B1 (ko) 2015-03-24 2015-06-17 주식회사 유엠에스 가열 압착을 이용한 스펀지와 가죽 원단의 저온 라미네이팅 접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204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367B1 (ko)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방법과, 이 방법이 적용된 가방
US20080196136A1 (en) Laminated Fabric Panels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20030186019A1 (en) Flocked transfer and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transfer by thermoplastic polymer film
KR20120081008A (ko) 가죽과 스펀지의 라미네이팅 제조 공정
US7364782B2 (en) Flocked transfer and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the transfer by thermoplastic polymer film
CN103547178A (zh) 从制造碎料形成物件的部分以及其产品
KR101276931B1 (ko) 가죽과 스펀지의 라미네이팅 제조 방법
CN101001546A (zh) 织物裁片组装方法及利用该方法得到的产品
US20070084390A1 (en) Adhesive sea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CN110831755B (zh) 使皮革层压体具有纹理表面的方法
KR101680457B1 (ko) 웹 필름을 접합한 합성수지계 탄성체를 적용한 스펀지와 가죽의 간접 가열식 접합 방법
WO2020173532A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ootwear
KR101107345B1 (ko) 천연가죽과 스펀지의 라미네이팅 제조 방법
US7678220B2 (en) Method of making a bonded hem using an elastic strip with a raised fleece surface
TWI760578B (zh) 薄片成形體的製造方法
US20190381917A1 (en) Seat
WO2013005878A1 (ko) 천연가죽과 스펀지의 라미네이팅 제조 방법
KR20180103292A (ko) 문양 원단의 제조방법
KR101396791B1 (ko) 가열 압착을 이용한 가죽과 폴리에스터 다층 견면의 라미네이팅 접합 방법
Yick et al. Sew-free technologies for intimate apparel
WO2021094966A1 (en) Multilayer laminate
US20220400780A1 (en) Article of cloth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4137588A1 (en) Method of making a leather fabric and leather fabric
JP7317753B2 (ja) 積層体及びクッション体
CN208263641U (zh) 一种压纹复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