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042B1 - Car dropping prevent apparatus for a car elevator - Google Patents

Car dropping prevent apparatus for a ca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042B1
KR101966042B1 KR1020180016631A KR20180016631A KR101966042B1 KR 101966042 B1 KR101966042 B1 KR 101966042B1 KR 1020180016631 A KR1020180016631 A KR 1020180016631A KR 20180016631 A KR20180016631 A KR 20180016631A KR 101966042 B1 KR101966042 B1 KR 101966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ar stopper
elevator door
ca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섭
Original Assignee
김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섭 filed Critical 김동섭
Priority to KR1020180016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0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0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alling preventing apparatus for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The vehicle falling preventing apparatus for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stopper provided on a front floor part of an elevator door to which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is applied and blocking entrance into an elevator cage by restraining a wheel of the vehicle when colliding with the floor part; and a stopper driving unit driving the car stopper.

Description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Car dropping prevent apparatus for a car elevator}Car dropping prevent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본 발명은,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기 도어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승강기 도어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effectively prevent the vehicle from entering the elevator door even when the elevator door is not opened, thereby preventing human or physical damage. A vehicle fall arrest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that can be reduced.

도 1은 일반적인 기계식 주차설비에 적용되는 승강기 케이지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승강기 케이지에 적용되는 바퀴 안내 돌출판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levator cage applied to a general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 guide protrusion plate applied to the elevator cage of FIG. 1.

한편, 도심으로 갈수록 주차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기계식 주차설비를 적용한 건물이 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parking space is narrower toward the city center, more and more buildings have recently been applied with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이와 같은 기계식 주차설비에는 도 1과 같은 구조의 승강기 케이지(10)가 마련된다.Such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is provided with a lift cage 10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승강기 케이지(10)는 케이지 벽체(52), 그 상부의 케이지 천장(54), 그리고 차량(C)이 출입되는 케이지 바닥(56)으로 구성된다.The elevator cage 10 consists of a cage wall 52, a cage ceiling 54 thereon, and a cage bottom 56 through which the vehicle C enters and exits.

케이지 바닥(56)의 중앙에는 케이지 바닥(56)의 중앙으로 차량(C)이 유도될 수 있게끔 차량(C)의 바퀴(T)를 안내하는 바퀴 안내 돌출판(20)이 마련된다.The center of the cage bottom 56 is provided with a wheel guide protrusion 20 for guiding the wheels T of the vehicle C to guide the vehicle C to the center of the cage bottom 56.

바퀴 안내 돌출판(20)은 한 쌍의 경사 안내면(22a)을 갖는 돌출판 바디(22)와, 경사 안내면(22a)과 평탄하게 이어져 케이지 바닥(56)에 용접 또는 볼트의 고정수단으로 설치되는 플랜지(24)를 포함한다.The wheel guide protrusion 2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late body 22 having a pair of inclined guide surfaces 22a, and is flat with the inclined guide surfaces 22a, and installed on the cage bottom 56 as a welding or bolt fixing means. A flange 24.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기계식 주차설비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using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기계식 주차설비가 적용된 차량용 승강기를 이용하기 위해 승강기 입구에 대기 중인 상태에서 승강기 도어가 열리면 차량(C)이 승강기 케이지(10) 내로 진입된다.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while waiting for the elevator inlet to use the vehicle elevator to which the mechanical parking facility is applied, the vehicle C enters into the elevator cage 10.

이처럼 차량(C)이 승강기 케이지(10) 내로 진입하면 바퀴 안내 돌출판(20)에 차량(C)의 바퀴(T)가 안내되기 때문에 차량(C)이 케이지 바닥(56)의 중앙으로 유도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vehicle C enters the elevator cage 10, the wheel C of the vehicle C is guided to the wheel guide protrusion 20 so that the vehicle C may be guided to the center of the cage bottom 56. Can be.

따라서 차량(C)이 케이지 벽체(52)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C)이 승강기 케이지(10) 내에서 한 쪽으로 쏠려 배치됨으로써 승강기 케이지(10)의 무게중심이 틀어져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hicle C from hitting the cage wall 52, as well as the vehicle C is placed in one side in the elevator cage 10,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levator cage 10 is twisted and the safety accident is prevente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한편, 도 1과 같은 경우는 평상 시 정상적으로 주차를 한 경우에 해당된다. 하지만, 예기치 못한 비정상 상황에서 차량용 승강기를 이용하기 위해 승강기 입구에 대기 중인 운전자가 승강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착각해서 자신의 차량(C)을 진행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ase shown in FIG. 1 corresponds to a case where parking is performed normally. However, a driver waiting for the elevator entrance to use the vehicle elevator in an unexpected abnormal situation may sometimes mistake the elevator door to be opened to advance his vehicle C.

이처럼 승강기 도어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C)을 진행시키면 차량(C)이 승강기 도어에 충돌되어 파손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차량(C)이 승강기 도어를 뚫고 진입하여 승강기 피트 내로 추락하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와 같은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신개념의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Even if the elevator door is not opened in this manner, if the vehicle C is advanced, the vehicle C may collide with the elevator door and be damaged. In severe cases, the vehicle C may enter the elevator door and fall into the elevator pit. Considering that it can lead to a new concept, there is a need for a new concept of a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to prevent such an accident from occurring.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60943호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00-0060943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028795호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07-0028795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5-0014153호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1995-0014153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2-0013662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20-2002-0013662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도어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승강기 도어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prevent a vehicle from entering into an elevator door even when the elevator door is not opened, thereby providing a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that can reduce human or physical damage.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에 의하면, 기계식 주차설비가 적용되는 승강기 도어의 전방 바닥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닥부에서 돌출될 때 차량의 바퀴를 구속시켜 승강기 케이지로의 진입을 저지시키는 카 스토퍼(car stopper); 상기 카 스토퍼를 구동시키는 스토퍼 구동유닛; 상기 승강기 도어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 컨트롤 센서; 상기 도어 컨트롤 센서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컨트롤하되,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카 스토퍼의 돌출이 해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승강기 도어가 차폐되면 상기 카 스토퍼가 돌출되도록 상기 스토퍼 구동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카 스토퍼의 일측에는 상기 카 스토퍼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힌지핀이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의 주변에는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카 스토퍼가 배치되는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카 스토퍼의 자리 배치를 위한 자리 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자리 배치홈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카 스토퍼의 동작 시 상기 바닥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강부재가 덧대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구동유닛은, 상기 바닥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바닥홀(hole)을 통해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며, 상단부가 상기 카 스토퍼에 접하는 업/다운 샤프트; 상기 업/다운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기어 맞물림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랙 기어를 직선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에 의하면, 기계식 주차설비가 적용되는 승강기 도어의 전방 바닥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닥부에서 돌출될 때 차량의 바퀴를 구속시켜 승강기 케이지로의 진입을 저지시키는 카 스토퍼(car stopper); 상기 카 스토퍼를 구동시키는 스토퍼 구동유닛; 상기 승강기 도어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 컨트롤 센서; 및 상기 도어 컨트롤 센서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카 스토퍼의 돌출이 해제되도록 상기 스토퍼 구동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 구동유닛은, 상기 바닥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바닥홀(hole)을 통해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며, 상단부가 상기 카 스토퍼에 접하는 업/다운 샤프트; 상기 업/다운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기어 맞물림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랙 기어를 직선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카 스토퍼의 돌출이 해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승강기 도어가 차폐되면 상기 카 스토퍼가 돌출되도록 상기 스토퍼 구동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고, 상기 카 스토퍼의 일측에는 상기 카 스토퍼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힌지핀이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의 주변에는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카 스토퍼가 배치되는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카 스토퍼의 자리 배치를 위한 자리 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자리 배치홈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카 스토퍼의 동작 시 상기 바닥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강부재가 덧대어 결합되되, 상기 보강부재는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provided in the front bottom of the elevator door to which the mechanical parking facility is applied, the wheel of the vehicle when protruding from the bottom A car stopper for restraining entry into the elevator cage; A stopper drive unit for driving the car stopper; A door control sensor disposed around the elevator door and detecting an opening of the elevator door; The elevator door is controlled to be opened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door control sensor, and 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the protrusion of the car stopper is released, and when the elevator door is shielded, the stopper is driven to protr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It includes, but one side of the car stopper is coupled to the hinge pin to form the axis of rotation of the car stopper, the bearing is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hinge pin, the seat of the car stopper on the bottom of the stopper is disposed A seat arrangement groove is formed for placement, and a reinforcing member may be padded to one side end of the seat arrangement groove so that the bottom portion is not damaged when the car stopper is operated.
The stopper drive unit may include an up / down shaft movable up / down through a bottom hole formed in a central area of the bottom portion, and an upper end thereof contacting the car stopper; A rack gear formed on one side of the up / down shaft;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and linearly moving the rack gear based on a rotational movement; And a motor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It may includ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The vehicle cage is provided at a front bottom of an elevator door to which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is applied, and restrains the wheels of the vehicle when protruding from the bottom. Car stopper to prevent entry into the furnace; A stopper drive unit for driving the car stopper; A door control sensor disposed around the elevator door and detecting an opening of the elevator do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elevator door to be opened based on a sensing signal of the door control sensor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drive unit to release the stop of the car stopper 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Including, The stopper drive unit, Up / down (up / down) is movable through a bottom hole (hole) formed in the center area of the bottom portion, the upper end up / down shaft in contact with the car stopper; A rack gear formed on one side of the up / down shaft;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and linearly moving the rack gear based on a rotational movement; A motor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And a motor support for supporting the motor.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drive unit to protrude the car stopper 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and protrude the car stopper when the elevator door is shielded, and one side of the car stopper. Hinge pins are formed to form a rotation axis of the car stopper, a bearing is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hinge pin, a seating groove for seating the car stopper is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where the car stopper is disposed; A reinforcing member may be padded to one side end of the seating recess so that the bottom portion is not damaged when the car stopper is operated.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made of an aluminum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 도어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승강기 도어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elevator door is not open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vehicle from entering the elevator door, thereby reducing the human or physical damage.

도 1은 일반적인 기계식 주차설비에 적용되는 승강기 케이지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기 케이지에 적용되는 바퀴 안내 돌출판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의 사용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의 카 스토퍼의 다운(down) 동작 상태도이다.
도 9는 카 스토퍼의 업(up) 동작 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3의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의 카 스토퍼의 다운(down) 동작 상태도이다.
도 12는 카 스토퍼의 업(up) 동작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의 카 스토퍼의 다운(down) 동작 상태도이다.
도 14는 카 스토퍼의 업(up) 동작 상태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levator cage applied to a general mechanical parking facility.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 guide protrusion plate applied to the elevator cage of FIG. 1. FIG.
3 to 7 are diagrams showing a step-by-step process of using the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down operation of the car stopper of the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9 is an up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car stopper.
FIG. 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of FIG. 3.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own operation state of the car stopper of the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up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car stopper.
FIG. 13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down operation of the car stopper of the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up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car stopper.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since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i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 known technique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ctionary meaning, it will be understood as follow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refer to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parts thereof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Generally, the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used are to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nd in some cases, the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의 사용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의 카 스토퍼의 다운(down) 동작 상태도, 도 9는 카 스토퍼의 업(up) 동작 상태도, 그리고 도 10은 도 3의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3 to 7 are diagrams showing a step-by-step process of using the vehicle parking prevention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FIG. 9 is a down operation state diagram, FIG. 9 is an up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car stopper, and FIG. 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the mechanical parking facility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는 승강기 도어(101)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C)이 승강기 도어(101)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카 스토퍼(110, car stopper)와, 카 스토퍼(110)를 구동시키는 스토퍼 구동유닛(1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for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vehicle (C) from entering the elevator door 101 even though the elevator door 101 is not open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human or physical damage, and includes a car stopper 110 and a stopper driving unit 120 for driving the car stopper 110.

카 스토퍼(110)는 기계식 주차설비가 적용되는 승강기 도어(101)의 전방 바닥부(105)에 마련되며, 도 4, 도 5 및 도 9처럼 바닥부(105)에서 돌출될 때 차량(C)의 바퀴(W)를 구속시켜 승강기 케이지(103)로의 진입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ar stopper 110 is provided on the front bottom portion 105 of the elevator door 101 to which the mechanical parking facility is applied, and the vehicle C when protruding from the bottom portion 105 as shown in FIGS. 4, 5 and 9. By restraining the wheel (W) of serves to prevent entry into the elevator cage (103).

도 4, 도 5 및 도 9처럼 카 스토퍼(110)가 평상 시 상부로 돌출된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차량(C)의 바퀴(W)가 걸린다. 따라서 차량(C)의 전방 이동이 저지된다.4, 5 and 9, the wheel stopper 110 of the vehicle C is caught because the stopper 110 normally takes a form protruding upward. Therefore, forward movement of the vehicle C is prevented.

승강기 케이지(103)는 도 3 내지 도 7처럼 해당 위치에서 업/다운(up/down) 구동되는 것으로서 차량(C)이 주차되는 장소를 이룬다. 승강기 케이지(103)의 바닥에는 차량(C)의 전방 이동을 구속하는 케이스 스토퍼(104)가 마련된다.The elevator cage 103 is driven up / down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s shown in FIGS. 3 to 7 to form a place where the vehicle C is parked. The bottom of the elevator cage 103 is provided with a case stopper 104 for restraining forward movement of the vehicle C.

스토퍼 구동유닛(120)은 도 8 및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스토퍼(110)와 연결되어 카 스토퍼(11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detail in FIGS. 8 and 9, the stopper driving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car stopper 110 to serve to drive the car stopper 110.

이러한 스토퍼 구동유닛(120)은 바닥부(105)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바닥홀(H, hole)을 통해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며, 상단부가 카 스토퍼(110)에 접하는 업/다운 샤프트(121)와, 업/다운 샤프트(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122)와, 랙 기어(122)와 기어 맞물림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랙 기어(122)를 직선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123)와, 피니언 기어(123)를 회전시키는 모터(124)를 포함한다. 모터(124)는 모터 지지대(125) 상에 탑재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stopper drive unit 120 may move up / down through a bottom hole (H, hole)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bottom portion 105,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driving unit 1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car stopper 110. The gear shaft meshes with the rack gear 122 formed on one side of the up / down shaft 121, the up / down shaft 121, and the rack gear 122, and linearly moves the rack gear 122 based on the rotational movement. Pinion gear 123 and a motor 124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123. The motor 124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motor support 125.

이에, 모터(124)의 일 방향 동작에 의해 피니언 기어(123)가 회전되면 이의 작용으로 랙 기어(122)가 하향운동되고, 이로 인해 도 8처럼 업/다운 샤프트(121)가 다운(down) 동작되면서 카 스토퍼(110) 역시 다운(down) 동작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는 차량(C)이 전진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inion gear 123 is rotated by the one-way operation of the motor 124, the rack gear 122 is downwardly moved by its action, and as a result, the up / down shaft 121 is down as shown in FIG. 8. In operation, the stopper 110 is also operated to be down. In this state, the vehicle C can be advanced.

반대로, 모터(124)의 타 방향 동작에 의해 피니언 기어(123)가 회전되면 이의 작용으로 랙 기어(122)가 상향운동되고, 이로 인해 도 9처럼 업/다운 샤프트(121)가 업(up) 동작되면서 카 스토퍼(110) 역시 업(up) 동작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는 차량(C)의 전진이 구속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pinion gear 123 is rotated by the other direction operation of the motor 124, the rack gear 122 is upwardly moved by its action, and thus the up / down shaft 121 is up (up) as shown in FIG. While operating, the car stopper 110 is also up (up). In this state, the forward movement of the vehicle C is restrained.

스토퍼 구동유닛(120)의 작용으로 카 스토퍼(110)가 업/다운(up/down) 구동 즉, 비스듬하게 회전되면서 업/다운(up/down) 구동될 수 있도록 카 스토퍼(110)의 일측에는 카 스토퍼(110)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힌지핀(111)이 결합된다.On one side of the car stopper 110 so that the car stopper 110 can be driven up / down, i.e., rotated at an angle, by the action of the stopper drive unit 120. Hinge pins 111 that form the axis of rotation of the car stopper 110 are coupled.

힌지핀(111)의 주변에는 베어링(112)이 결합된다. 베어링(112)으로 인해 카 스토퍼(110)의 업/다운(up/down) 동작이 원활해질 수 있다.The bearing 112 is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hinge pin 111. The bearing 112 may facilitate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car stopper 110.

이와 같은 카 스토퍼(110)가 배치되는 바닥부(105)에는 카 스토퍼(110)의 자리 배치를 위한 자리 배치홈(1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자리 배치홈(131)의 일측 단부에는 카 스토퍼(110)의 동작 시 바닥부(105)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강부재(132)가 덧대어 결합된다. 보강부재(132)로 인해 카 스토퍼(110)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더라도 바닥부(105)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보강부재(132)는 알루미늄판일 수 있다.The bottom portion 105 in which the car stopper 110 is disposed is formed with a seat arrangement groove 131 for seat placement of the car stopper 110. The reinforcing member 132 is padded to one side end of the seat arranging groove 131 so that the bottom portion 105 is not damaged when the car stopper 110 is operated.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car stopper 110 is repeatedly performed by the reinforcing member 132, the bottom portion 105 is not damaged. The reinforcing member 132 may be an aluminum plat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에는 도어 컨트롤 센서(140)와, 컨트롤러(150)가 더 갖춰진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door control sensor 140, the controller 150.

도어 컨트롤 센서(140)는 승강기 도어(101)의 주변에 배치되며, 승강기 도어(101)의 열림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door control sensor 140 is disposed around the elevator door 101 and detects the opening of the elevator door 101.

도 3 내지 도 7에는 도어 컨트롤 센서(140)가 승강기 도어(101)의 벽체(102)에 노출되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하나의 예일 뿐이다. 즉 도어 컨트롤 센서(140)는 벽체(102)에 노출되게 설치될 필요는 없고, 다른 위치에 은닉되어도 무방하다.3 to 7, the door control sensor 140 is shown to be exposed to the wall 102 of the elevator door 101,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for explanation. That is, the door control sensor 140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wall 102, and may be hidden in another position.

컨트롤러(150)는 도어 컨트롤 센서(140)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승강기 도어(101)가 개방되도록 컨트롤하는 한편 승강기 도어(101)가 개방될 때 카 스토퍼(110)의 돌출이 해제되도록 즉 도 8처럼 다운(down) 동작되도록 스토퍼 구동유닛(12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elevator door 101 to be open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door control sensor 140 while the protrusion of the car stopper 110 is released when the elevator door 101 is opened. Like this (dow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drive unit 120 to operate.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50)는 승강기 도어(101)가 개방되면 카 스토퍼(110)의 돌출이 해제되도록(도 8 참조) 하는 한편 승강기 도어(101)가 차폐되면 카 스토퍼(110)가 돌출되도록(도 9 참조) 스토퍼 구동유닛(12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150 releases the protrusion of the car stopper 110 when the elevator door 101 is opened (see FIG. 8) while the car stopper 110 is blocked when the elevator door 101 is shielded. 9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drive unit 120 so as to protrude.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50)는 중앙처리장치(151, CPU), 메모리(15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performing this role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151 (CPU), a memory 152 (MEMORY), and a support circuit 153 (SUPPORT CIRCUIT).

중앙처리장치(151)는 본 실시예에서 도어 컨트롤 센서(140)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승강기 도어(101)가 개방되도록 컨트롤하는 한편 승강기 도어(101)가 개방될 때 카 스토퍼(110)의 돌출이 해제되도록 즉 도 8처럼 다운(down) 동작되도록 스토퍼 구동유닛(12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The central processing unit 151 controls the elevator door 101 to be open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door control sensor 140 in the present embodiment while protruding the stopper 110 when the elevator door 101 is opened. This may be one of various computer processors that can be industrially appli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drive unit 120 to be released, that is, to be operated down as shown in FIG. 8.

메모리(15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51)와 연결된다. 메모리(15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mory 152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51. The memory 152 may be installed locally or remotely a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be readily available, such as,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or any digital storage form. It may be at least one memory.

서포트 회로(15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5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5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circuit 153, SUPPORT CIRCUIT, is coupled with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51 to support typical operation of the processor. Such support circuit 153 may include a cache, a power supply, a clock circuit, an input / output circuit, a subsystem,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50)는 도어 컨트롤 센서(140)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승강기 도어(101)가 개방되도록 컨트롤하는 한편 승강기 도어(101)가 개방될 때 카 스토퍼(110)의 돌출이 해제되도록 즉 도 8처럼 다운(down) 동작되도록 스토퍼 구동유닛(12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elevator door 101 to be opened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door control sensor 140 while the protrusion of the car stopper 110 is released when the elevator door 101 is opened. That is, the motion of the stopper drive unit 120 is controlled to be down (operated) as shown in FIG. 8.

이때, 컨트롤러(150)가 승강기 도어(101)가 개방되면 카 스토퍼(110)의 돌출이 해제되도록(도 8 참조) 하는 한편 승강기 도어(101)가 차폐되면 카 스토퍼(110)가 돌출되도록(도 9 참조) 스토퍼 구동유닛(12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5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5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elevator door 101 is opened, the controller 150 releases the protrusion of the car stopper 110 (see FIG. 8) while the car stopper 110 protrudes when the elevator door 101 is shielded (FIG. 8). 9) A series of process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drive unit 12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52. Typically software routines may be stored in memory 152. Software routines may also be stored or executed by other central processing units (not shown).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executed by software routines, at least some of the processes of the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hardware. As such, the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running on a computer system, in hardware such as integrated circuits, or by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 도어(101)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C)이 승강기 도어(101)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elevator door 101 is not open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vehicle C from entering the elevator door 101, thereby causing human or Physical damage can be reduced.

다시 말해, 승강기 도어(101)가 열리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C)의 바퀴(W)가 도 9처럼 카 스토퍼(110)에 걸려 진입할 수 없다.In other words, when the elevator door 101 is not opened, the wheels W of the vehicle C cannot be caught by the car stopper 110 as shown in FIG. 9.

따라서 주차 중 착각이나 착오, 혹은 승강기 도어(101)의 오작동에 의한 차량(C)의 전방 추돌 및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ont crash and fall accident of the vehicle (C) due to misunderstanding or error, or malfunction of the elevator door 101 during parking, thereby reducing human or physical damage.

(제2 실시예)(2nd Example)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의 카 스토퍼의 다운(down) 동작 상태도이고, 도 12는 카 스토퍼의 업(up) 동작 상태도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own operation state of the car stopper of the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up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car stopper.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 역시, 카 스토퍼(210, car stopper)와, 카 스토퍼(210)를 구동시키는 스토퍼 구동유닛(1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car stopper 210 and a stopper drive unit 120 for driving the car stopper 210.

그리고 스토퍼 구동유닛(120)은 바닥부(105)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바닥홀(H, hole)을 통해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며, 상단부가 카 스토퍼(210)에 접하는 업/다운 샤프트(121)와, 업/다운 샤프트(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122)와, 랙 기어(122)와 기어 맞물림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랙 기어(122)를 직선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123)와, 피니언 기어(123)를 회전시키는 모터(12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driving unit 120 may move up / down through a bottom hole H form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bottom portion 105,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topper driving unit 120 may contact the car stopper 210. The gear shaft meshes with the rack gear 122 formed on one side of the up / down shaft 121, the up / down shaft 121, and the rack gear 122, and linearly moves the rack gear 122 based on the rotational movement. It may include a pinion gear 123 and a motor 124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123.

한편, 본 실시예에서 카 스토퍼(210)의 단부에는 넓은 표면적을 이루는 광폭 플랜지(211)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e flange 211 forming a wide surface are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ar stopper 210.

광폭 플랜지(211)가 형성되면 도 12처럼 바퀴(W)에 넓은 표면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서 차량(C)을 정지시키는 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평상 시 광폭 플랜지(211)가 자리 배치될 수 있도록 바닥부(105)의 자리 배치홈(131)에는 광폭 플랜지(211)가 배치되는 그루브(207)가 더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wide flange 211 is formed, as shown in Figure 12 can be supported on a large surface area on the wheel (W) it may be more advantageous to stop the vehicle (C). The groove 207 in which the wide flange 211 is disposed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131 of the bottom portion 105 so that the wide flange 211 may be disposed.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승강기 도어(101)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C)이 승강기 도어(101)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Even i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even though the elevator door 101 is not open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vehicle C from entering the elevator door 101, thereby reducing human or physical damage.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의 카 스토퍼의 다운(down) 동작 상태도이고, 도 14는 카 스토퍼의 업(up) 동작 상태도이다.FIG. 13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down operation of the car stopper of the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 operation state of the car stopper.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 역시, 카 스토퍼(310, car stopper)와, 카 스토퍼(310)를 구동시키는 스토퍼 구동유닛(1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a car stopper 310 and a stopper drive unit 120 for driving the car stopper 310.

그리고 스토퍼 구동유닛(120)은 바닥부(305)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바닥홀(H, hole)을 통해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며, 상단부가 카 스토퍼(310)에 접하는 업/다운 샤프트(121)와, 업/다운 샤프트(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122)와, 랙 기어(122)와 기어 맞물림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랙 기어(122)를 직선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123)와, 피니언 기어(123)를 회전시키는 모터(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drive unit 120 may move up / down through a bottom hole H formed in the center area of the bottom part 305, and the upper part may contact the car stopper 310. The gear shaft meshes with the rack gear 122 formed on one side of the up / down shaft 121, the up / down shaft 121, and the rack gear 122, and linearly moves the rack gear 122 based on the rotational movement. It may include a pinion gear 123 and a motor 124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123.

한편,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자리 배치홈(131)이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카 스토퍼(310)는 바닥부(305) 상의 피봇 지지대(306)에 결합되는 형태를 취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기존 설비에 본 실시예에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때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seating groove 131 is formed,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r stopper 310 takes the form of being coupled to the pivot support 306 on the bottom 305. Such a structure may be usefully used when additionally installing the vehicle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n existing facility.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승강기 도어(101)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C)이 승강기 도어(101)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Even i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even though the elevator door 101 is not open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vehicle C from entering the elevator door 101, thereby reducing human or physical damag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 승강기 도어 103 : 승강기 케이지
104 : 케이스 스토퍼 105 : 바닥부
110 : 카 스토퍼 111 : 힌지핀
112 : 베어링 120 : 스토퍼 구동유닛
121 : 업/다운 샤프트 122 : 랙 기어
123 : 피니언 기어 124 : 모터
125 : 모터 지지대 131 : 자리 배치홈
132 : 보강부재 140 : 도어 컨트롤 센서
150 : 컨트롤러
101: elevator door 103: elevator cage
104: case stopper 105: bottom
110: car stopper 111: hinge pin
112: bearing 120: stopper drive unit
121: up / down shaft 122: rack gear
123: pinion gear 124: motor
125: motor support 131: seating groove
132: reinforcing member 140: door control sensor
150: controller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기계식 주차설비가 적용되는 승강기 도어의 전방 바닥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닥부에서 돌출될 때 차량의 바퀴를 구속시켜 승강기 케이지로의 진입을 저지시키는 카 스토퍼(car stopper);
상기 카 스토퍼를 구동시키는 스토퍼 구동유닛;
상기 승강기 도어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 컨트롤 센서; 및
상기 도어 컨트롤 센서의 센싱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카 스토퍼의 돌출이 해제되도록 상기 스토퍼 구동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되, 승강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카 스토퍼가 다운 동작되도록 스토퍼 구동유닛을 컨트롤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되,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면 카 스토퍼의 돌출이 해제되도록 하는 한편 승강기 도어가 차폐되면 카 스토퍼가 돌출되도록 스토퍼 구동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프로세스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서포트 회로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 구동유닛은,
상기 바닥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바닥홀(hole)을 통해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며, 상단부가 상기 카 스토퍼에 접하는 업/다운 샤프트;
상기 업/다운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기어 맞물림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랙 기어를 직선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일 방향 동작에 의해 피니언 기어가 회전되면 랙 기어가 하향운동되고, 상기 업/다운 샤프트가 다운 동작되면서 카 스토퍼가 다운 동작되어 차량이 전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의 타 방향 동작에 의해 피니언 기어가 회전되면 랙 기어가 상향운동되고, 상기 업/다운 샤프트가 업 동작되면서 카 스토퍼가 업 동작되어 차량의 전진이 구속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카 스토퍼의 돌출이 해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승강기 도어가 차폐되면 상기 카 스토퍼가 돌출되도록 상기 스토퍼 구동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고,
상기 카 스토퍼의 일측에는 상기 카 스토퍼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힌지핀이 결합되되, 상기 힌지핀에 의해 상기 스토퍼 구동유닛의 작용으로 카 스토퍼가 비스듬하게 회전되면서 업/다운 구동되며,
상기 힌지핀의 주변에는 베어링이 결합되고,
상기 카 스토퍼가 배치되는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카 스토퍼의 자리 배치를 위한 자리 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자리 배치홈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카 스토퍼의 동작 시 상기 바닥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강부재가 덧대어 결합되되, 상기 보강부재는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
A car stopper provided at a front bottom of an elevator door to which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is applied and restraining the wheels of the vehicle when protruding from the bottom to prevent entry into the elevator cage;
A stopper drive unit for driving the car stopper;
A door control sensor disposed around the elevator door and detecting an opening of the elevator door; And
While controlling the elevator door to open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door control sensor while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drive unit to release the protrusion of the car stopper 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stopper drive unit to operate the car stopper down, and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car stopper is released 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and the car stopper protrudes when the elevator door is shielded. A controller including a memory in which a proces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drive unit is stored, and a support circuit;
Including,
The stopper drive unit,
An up / down shaft that is movable up / down through a bottom hole formed in a central area of the bottom portion, and an upper end thereof contacts the car stopper;
A rack gear formed on one side of the up / down shaft;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and linearly moving the rack gear based on a rotational movement;
A motor for rotating the pinion gear; And
A motor support for supporting the motor;
Includes, when the pinion gear is rotated by the one-way operation of the motor, the rack gear is downwardly moved, the up / down shaft is operated down and the car stopper is down to move the vehicle forward, the other of the motor When the pinion gear is rotated by the directional motion, the rack gear is upwardly moved, the up / down shaft is up, and the car stopper is up, thereby restrain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drive unit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car stopper is released 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and the car stopper is protruded when the elevator door is shielded.
One side of the car stopper is coupled to a hinge pin to form a rotation axis of the car stopper, the stopper is driven by the stopper drive unit by the hinge pin is rotated obliquely by the car stopper is driven up / down,
A bearing is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hinge pin,
The bottom portion where the car stopper is disposed is formed with a seat arrangement groove for seat placement of the car stopper,
One side end of the seating groove is coupled to the reinforcement member padded so that the bottom portion is not damaged when the car stopper is operated, the reinforcement member is a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for a mechanical parking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luminum plates.
KR1020180016631A 2018-02-12 2018-02-12 Car dropping prevent apparatus for a car elevator KR1019660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631A KR101966042B1 (en) 2018-02-12 2018-02-12 Car dropping prevent apparatus for a ca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631A KR101966042B1 (en) 2018-02-12 2018-02-12 Car dropping prevent apparatus for a car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042B1 true KR101966042B1 (en) 2019-08-27

Family

ID=6780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631A KR101966042B1 (en) 2018-02-12 2018-02-12 Car dropping prevent apparatus for a ca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04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830B1 (en) * 2020-12-08 2021-08-25 한국교통안전공단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of vehicle of mechanical park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102332754B1 (en) 2021-05-03 2021-12-01 박준원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KR20220141492A (en) * 2021-04-13 2022-10-20 김원주 Vehicle dropping prevent device for a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KR20230163876A (en) 2022-05-24 2023-12-01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 Vehicle Access Prevention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153U (en) 1993-11-15 1995-06-16 김외식 Cow engine helicopter
KR200152299Y1 (en) * 1997-02-28 1999-07-15 김태환 Hinge bearing structure
KR20000060943A (en) 1999-03-22 2000-10-16 금기정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guiding a vehicle to a parking lot
KR20070028795A (en) 2005-09-07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ing paper in error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641851B1 (en) * 2016-03-21 2016-07-29 하종식 A barricade
KR101778035B1 (en) * 2016-09-26 2017-09-14 경인산기(주) The apparatus for stopping a car into the parking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153U (en) 1993-11-15 1995-06-16 김외식 Cow engine helicopter
KR200152299Y1 (en) * 1997-02-28 1999-07-15 김태환 Hinge bearing structure
KR20000060943A (en) 1999-03-22 2000-10-16 금기정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guiding a vehicle to a parking lot
KR20070028795A (en) 2005-09-07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ing paper in error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641851B1 (en) * 2016-03-21 2016-07-29 하종식 A barricade
KR101778035B1 (en) * 2016-09-26 2017-09-14 경인산기(주) The apparatus for stopping a car into the parking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830B1 (en) * 2020-12-08 2021-08-25 한국교통안전공단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of vehicle of mechanical park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20220141492A (en) * 2021-04-13 2022-10-20 김원주 Vehicle dropping prevent device for a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KR102598206B1 (en) * 2021-04-13 2023-11-02 김원주 Vehicle dropping prevent device for a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KR102332754B1 (en) 2021-05-03 2021-12-01 박준원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KR20230163876A (en) 2022-05-24 2023-12-01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 Vehicle Access Preven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042B1 (en) Car dropping prevent apparatus for a car elevator
RU2478556C2 (en) Elevator safety circuit reset circuit
US6223861B1 (en) Elevator hoistway access safety
JP6263552B2 (en) Elevator safety system
JP4885647B2 (en) Platform step device
JP5518388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for building having seismic isolation structure
SG193700A1 (en) Elevator with operation switching system
KR102332754B1 (en)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JP2007153476A (en) Terminal position manual operation device for elevator
KR100913454B1 (en) Elevator operating device
JP6187194B2 (en) Elevator governor
JPH11130355A (en) Controller for elevator
JP2009202996A (en) Cart stopping device of elevator for baggage
JP6082358B2 (en) Earthquake recovery diagnosis operation device
JP2007153499A (en) Elevator door control device
JP2017178483A (en) Elevator
JP2010030725A (en) Elevator system
JP5037330B2 (en) Elevator equipment
JP6456267B2 (en) Elevator door device and elevator confinement rescue method
JP7358268B2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JP6560164B2 (en) Parking equipment
JP2009161332A (en) Safety device of elevator
JPH0748905Y2 (en) Vehicle dive and fall accident prevention device
JPS6113491Y2 (en)
JPS5826784A (en) Method of controlling elev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