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876A - Vehicle Access Preven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Vehicle Access Preven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876A
KR20230163876A KR1020220063737A KR20220063737A KR20230163876A KR 20230163876 A KR20230163876 A KR 20230163876A KR 1020220063737 A KR1020220063737 A KR 1020220063737A KR 20220063737 A KR20220063737 A KR 20220063737A KR 20230163876 A KR20230163876 A KR 20230163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bar
control device
access control
vehicle acces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20063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3876A/en
Publication of KR2023016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876A/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8Gearboxes for accommodating beve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9Gearboxes for accommodating worm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출입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식 주차장, 일반 주차장, 주택, 상가, 시설물, 도로 등 각종 노면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차량이 임의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통제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차단바를 개폐할 수 있는 차량 출입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는 수용홈이 형성된 메인프레임, 상기 수용홈에 내설되었다가 상기 메인프레임 일측과 연결된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기립되는 차단바, 상기 차단바 기립시 상기 메인프레임 타측과 연결된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홈의 상부를 메워주는 발판부, 상기 제1 및 제2 회동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에 형성된 제1 구동부재가 상기 차단바에 형성된 제1 종동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 회동축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동력부 및 차단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2 구동부재가 회전 방향을 변환하는 기어박스의 제2 종동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2 회동축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which is installed at various road entrances and exits such as mechanical parking lots, general parking lots, houses, shopping malls, facilities, roads, etc. to quickly and easily prevent or control arbitrary entry and exit of vehicles. This relates to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barrier bar.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a blocking bar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erected around a first pivot ax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and when the blocking bar is erected. A footrest unit that rotates around a second rotation ax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frame to fill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a power unit that provides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ower unit. A first driving member formed in the power unit provides rotational power to the first rotation shaft through a first driven member formed in the blocking bar, and a second driving member formed in any one of the power unit and the block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rotational power is provid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through a second driven member of the gearbox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rotation.

Description

차량 출입통제장치{Vehicle Access Prevention Apparatus}Vehicle Access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출입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식 주차장, 일반 주차장, 주택, 상가, 시설물, 도로 등 각종 노면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차량이 임의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통제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차단바를 개폐할 수 있는 차량 출입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which is installed at various road entrances and exits such as mechanical parking lots, general parking lots, houses, shopping malls, facilities, roads, etc. to quickly and easily prevent or control arbitrary entry and exit of vehicles. This relates to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barrier bar.

일반적으로 기계식 주차설비는 많은 수의 차량이 출입되어야 하므로 진입로가 복열화될 필요가 있고, 복열화에 따른 도어의 제작 용이성 등에 의하여 기계식 주차설비 출입구에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업도어 방식이 주를 이룬다.In general,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require a large number of vehicles to enter and exit, so the access road needs to be double-rowed. Due to the ease of manufacturing the door due to double-rowing, the up door method that opens and closes vertically to the entrance of the mechanical parking facility is mainly used. .

이러한 기계식 주차설비는, 차량이 진입되어 위치되는 운반기와 운반기를 선택된 주차층으로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계식 주차설비의 운반기측으로 차량이 진입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업다운 방식의 승강기도어가 구비되어 있다.This mechanical parking facility consists of a transporter into which a vehicle enters and is positioned, and an elevating means to raise and lower the transporter to the selected parking floor. An up-down type elevator door is provided on the transporter side of the mechanical parking facility to block or open vehicle entry. there is.

이와 같이 이루어진 기계식 주차설비는 출입구측으로 운반기가 위치되면 승강기도어(door)가 승강되어 운반기측으로 차량을 진입시킨 후 출입구 바깥으로 운전자가 나온 다음 조작버튼을 누르면 승강수단이 작동되어 주차공간내의 빈 공간으로 차량이 입고되도록 하고 있다.In the mechanical parking facility constructed in this way, when the transporter is located at the entrance side, the elevator door is raised and lowered to allow the vehicle to enter the transporter side. Then, when the driver comes out of the entrance and presses the control button, the lifting means is activated and the vehicle moves to the empty space in the parking space. The vehicle is being delivered.

그러나, 기계식 주차설비의 운반기가 출입구에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 미숙에 의해 차량을 승강기도어측으로 진입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승강기가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을 진입하면 차량이 그대로 승강기도어를 충돌하여 승강기도어 파손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 즉, 승강기도어측으로 차량이 빠르게 진입될 경우에는 운전자가 미처 차량을 정지시키지 못하게 되어 차량이 그대로 승강기피트 내부로 추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 vehicle enters the elevator door due to inexperience in driving when the transporter of the mechanical parking facility is not located at the entrance. In this way, if the vehicle enters without the elevator located, the vehicle enters the elevator door as it is. Not only can the elevator door be damaged by colliding with it, but in severe cases, that is, when the vehicle enters the elevator door quickly, the driver is unable to stop the vehicle, causing the vehicle to fall into the elevator pit.

더욱이, 차량이 승강기피트 내부로 그대로 추락할 경우 차량의 파손은 물론 차량 탑승자에게 심한 골절부상 등 상해사고를 입힐 수 있으며, 심할 경우에는 차량 탑승자의 목숨을 앗아가는 사망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Moreover, if a vehicle falls straight into the elevator pit, it may cause damage to the vehicle and serious injuries to vehicle occupants, including serious fractures. In severe cases, a fatal accident may occur that takes the life of the vehicle occupants.

이와 같은 차량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기계식 주차설비에는 반드시 출입구에 운반기가 없는 경우에 차량의 추락을 차단하는 장치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vehicle fall accidents,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must be equipped with a device that prevents the vehicle from falling when there is no transporter at the entrance, and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accordingly.

참고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966042호인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가 창출된 바 있다.For reference, a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for mechanical parking facilities, which is Korean Patent No. 10-1966042, has been created.

이는 기계식 주차설비가 적용되는 승강기 도어의 전방 바닥부에 마련되며 상기 바닥부에서 돌출될 때 차량의 바퀴를 구속시켜 승강기 케이지로의 진입을 저지시키는 카 스토퍼, 상기 카 스토퍼를 구동시키는 스토퍼 구동유닛; 상기 승강기도어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기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 컨트롤 센서 및 상기 도어 컨트롤 센서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도록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카 스토퍼의 돌출이 해제되도록 상기 스토퍼 구동유닛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스토퍼 구동유닛은, 상기 바닥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바닥홀(hole)을 통해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며 상단부가 상기 카 스토퍼에 접하는 업/다운 샤프트; 상기 업/다운 샤프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랙 기어, 상기 랙 기어와 기어 맞물림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상기 랙 기어를 직선운동시키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대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승강기 도어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승강기 도어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is includes a car stopper that is provided on the front floor of the elevator door to which the mechanical parking facility is applied and restrains the wheels of the vehicle when protruding from the floor to prevent entry into the elevator cage, and a stopper drive unit that drives the car stopper; A door control sensor is disposed around the elevator door and detects the opening of the elevator door, and controls the elevator door to be opened based on a sensing signal from the door control sensor, and when the elevator door is opened, the car stopper It includes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driving unit so that the protrusion is released, and the stopper driving unit is capable of moving up/down through a bottom hole form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bottom. an up/down shaft whos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car stopper; A rack gear formed on one side of the up/down shaft, a pinion gear that engages with the rack gear and linearly moves the rack gear based on rotation, a motor that rotates the pinion gear, and a motor supporter that supports the motor. It is equipped with a , which prevents vehicles from entering the elevator door even if the elevator door is not opened, thereby reducing human or material damage.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카스토퍼가 첨단부(상대적으로 뽀족한 부분)가 전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차량 바퀴에 밀착될 때 카스토퍼의 선단이 밀착되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가 빠르거나 할 경우 카스토퍼의 선단에 의해 차량바퀴가 찢어지거나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when the car stopp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ehicle wheel with the tip (relatively sharp part) standing in all directions, the tip of the car stopper is in close contact, so when the vehicle speed is high, the tip of the car stopper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ehicle wheels are torn or damaged due to this.

특히, 한국 등록특허 제10-2332754호인 "차량 추락 방지장치"는 지면 위에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복열로 출입구가 설치된 장소 또는 주차 공간이 부족한 도심에 설치하기에 부족한 부분이 많을 뿐만 아니라 길게 뻗어있는 고정지지체로 인하여 회전시 공간이 부족한 장소에서는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Korean Patent No. 10-2332754,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occupies a large space on the ground, so it is not only difficult to install in places where double-row entrances and exits are installed or in urban areas with insufficient parking space, but also has long stretches of space. Due to the fixed suppo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in places where there is insufficient space for rotation.

또한, 종래 차량 주차금지 또는 차단을 목적으로 노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장치들은 노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통행하는 데 매우 불편하고 받쳐 위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conventionally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for the purpose of prohibiting or blocking vehicle parking, such devices have the problem of being very inconvenient and dangerous for people to pass by because they are exposed to the road surface.

한국 등록특허 제10-1966042호, 발명의 명칭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등록일자 2019.03.30.)Korean Patent No. 10-1966042, title of invention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for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registration date 2019.03.30.) 한국 등록특허 제10-2332754호, 발명의 명칭 "차량 추락 방지장치" (등록일자 2021.11.25.)Korean Patent No. 10-2332754, title of invention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registration date 2021.11.2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기계식 주차장, 일반 주차장, 주택, 상가, 시설물, 도로 등 각종 노면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차량이 임의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통제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차단바를 개폐하기 위한 차량 출입통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and needs described above, and is installed at various road entrances and exits such as mechanical parking lots, general parking lots, houses, shopping malls, facilities, and roads to quickly and easily prevent or control vehicles from entering and exiting arbitrari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locking ba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는 수용홈이 형성된 메인프레임, 상기 수용홈에 내설되었다가 상기 메인프레임 일측과 연결된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기립되는 차단바, 상기 차단바 기립시 상기 메인프레임 타측과 연결된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홈의 상부를 메워주는 발판부, 상기 제1 및 제2 회동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에 형성된 제1 구동부재가 상기 차단바에 형성된 제1 종동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 회동축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동력부 및 차단바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2 구동부재가 회전 방향을 변환하는 기어박스의 제2 종동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2 회동축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a main frame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n erected around a first rotating ax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A blocking bar, a footrest portion that rotates around a second rotating shaf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frame when the blocking bar stands up to fill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a power unit that provides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shafts,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ower unit, wherein a first driving member formed in the power unit provides rotational power to the first rotation shaft through a first driven member formed in the blocking bar, and one of the power unit and the blocking bar A second driving member formed in one of the gearboxes provides rotational power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through a second driven member of the gearbox that changes the rotation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식 주차장의 승강기 도어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승강기 도어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vehicles from entering the elevator door of a mechanical parking lot even if the elevator door is not opened, thereby reducing human or material damage.

또한, 차량 통제를 통하여 차량이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차량이 진입되어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차단바(120)를 인지하여 차량이 무리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rough vehicle control, it is possible to block vehicle entry or prevent safety accidents in which a vehicle enters and falls, and visually recognizes the blocking bar 120 to prevent the vehicle from entering forcibly.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차량이 무리하게 진입하더라도 차단바(120)에 닿아 차량의 진입을 막아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vehicle enters forcefu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stability can be maintained by blocking vehicle entry by touching the blocking bar 120.

또한, 제어부(150)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력부(140)를 제어하여 차단바(120) 및 발판부(130)의 개폐(開閉)를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wer unit 14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set program of the control unit 15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ocking bar 120 and the footrest unit 130, using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t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control.

또한, 설치공간의 축소로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다양한 장소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area can be minimized b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to various pla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가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가 열린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 내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 투시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 내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 투시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sed state of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ortion of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comprises.” Or “to have.” Terms such as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combinations of these is not excluded in advanc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unit”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 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 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 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are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to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maint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also be included in separate embodiments. Even if the description is omitted, it is natural that a plurality of embodiments may be re-implemented as a single integrated embodime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related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o identical or related elem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종래 지면 위에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주차 공간이 부족한 도심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 기계식 주차장의 승강기 도어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진입하여 추락하는 문제점, 노면에 노출되어 있어 사람들이 통행하는 데 매우 불편하고 위험할 수 있는 문제점 등을 해결하고, 기계식 주차장 등 각종 노면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차량 추락사고를 방지하거나 통제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차단바를 개폐할 수 있는 차량 출입통제장치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occupies a large space on the ground, so it is difficult to install in urban areas with insufficient parking space; problems of entering and falling even when the elevator door of a mechanical parking lot is not opened; and preventing people from passing by because it is exposed to the road surface. We propose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that solves problems that can be very inconvenient and dangerous, and can be installed at various road entrances and exits such as mechanical parking lots to quickly and easily open and close the barrier bar while preventing or controlling vehicle crashes.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가 닫힌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가 열린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exemplarily showing a closed state of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of an open state of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 내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 투시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 내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측면 투시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plan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xemplary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from one side, and FIGS.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ortion of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100)는 수용홈(110a)이 형성된 메인프레임(110), 상기 수용홈(110a)에 내설되었다가 상기 메인프레임(110) 일측과 연결된 제1 회동축(120h)을 중심으로 기립되는 차단바(120), 상기 차단바(120) 기립시 상기 메인프레임(110) 타측과 연결된 제2 회동축(130h)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홈(110a)의 상부를 메워주는 발판부(130), 상기 제1 및 제2 회동축(120h, 130h)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140), 및 상기 동력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above drawings, the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rame 110 in which a receiving groove 110a is formed, and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and then installed in the main frame ( 110) A blocking bar 120 is erected around a first rotating axis 120h connected to one side, and when the blocking bar 120 is erected, it is centered around a second rotating axis 130h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frame 110. A footrest unit 130 that rotates to fill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a power unit 140 that provides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120h and 130h, and the power unit 140.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50 that controls.

또한, 상기 동력부(140)에 형성된 제1 구동부재(161-1)가 상기 차단바(120)에 형성된 제1 종동부재(165-1)를 통하여 상기 제1 회동축(120h)에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member 161-1 formed in the power unit 140 provides rotational power to the first rotating shaft 120h through the first driven member 165-1 formed in the blocking bar 120.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차단바(120) 및 동력부(14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2 구동부재(161-2)가 회전 방향을 변환하는 기어박스(170)의 제2 종동부재(165-2)를 통하여 상기 제2 회동축(130h)에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member 161-2 formed on any one of the blocking bar 120 and the power unit 140 operates the second driven member 165-2 of the gearbox 170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Through this, rotational power can be provid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30h).

또한, 상기 제1 구동부재(161-1)와 제1 종동부재(165-1)는 기어(gear),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구동부재(161-2)와 제2 종동부재(165-2)는 기어(gear),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member 161-1 and the first driven member 165-1 are any one of a gear, a pulley, and a sprocket,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61-1 2) and the second driven member 165-2 may be any one of a gear, a pulley, and a sprocket.

또한, 상기 제1 구동부재(161-1)와 제1 종동부재(165-1)는 V-벨트 또는 체인(chain)으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제2 구동부재(161-2)와 제2 종동부재(165-2)는 V-벨트 또는 체인(chain) 으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member 161-1 and the first driven member 165-1 are connected by a V-belt or chain to transmit power,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61-2 and The second driven member 165-2 may be connected to a V-belt or chain to transmit power.

또한, 상기 기어박스(170)는 베벨기어 또는 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종동부재(165-2)로 상기 제2 회동축(130h)에 회동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earbox 170 includes a bevel gear or a worm gear and can transmit rotational power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30h through the second driven member 165-2.

또한, 상기 차단바(120) 하강시 상기 메인프레임(110)과 접하는 제1 접촉부(115-1)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1 탄성부재(116-1)와 상기 발판부(130) 상승시 상기 메인프레임(110)과 접하는 제2 접촉부(115-2)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2 탄성부재(1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locking bar 120 is lowered, the first elastic member 116-1 relieves the impact on the first contact part 115-1 in contact with the main frame 110, and when the footrest 130 is raised, the first elastic member 116-1 is provide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5-2 in contact with the main frame 1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116-2 to relieve impact.

또한, 상기 차단바(120) 상승시 상기 차단바(120)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1 센서(181)와 상기 차단바 하강시 상기 차단바(120)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2 센서(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sensor 181 that senses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bar 120 when the blocking bar 120 rises and a second sensor 182 that senses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bar 120 when the blocking bar 120 falls.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181, 182)를 통하여 신호를 받고 상기 동력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바(120) 및 발판부(130)를 회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can receive signal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81 and 182 and control the power unit 140 to rotate the blocking bar 120 and the footrest unit 130. there is.

그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량 출입통제장치(100)는 도 1 내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메인프레임(110), 차단바(120), 발판부(130), 동력부(140), 및 제어부(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5, the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1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main frame 110, a blocking bar 120, a footrest 130, a power unit 140,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50, etc.

참고로, 차량 출입통제장치(100)는 차량 출입구 전단 바닥에 설치된 메인프레임(110)에 위치되어 차량 출입 전 차단바(120)가 기립되어 있다가 차량 출입이 허용된 상태가 되면 차단바(120)가 메인프레임(110)에 내설되어 숨겨져 사람의 출입에 방해되지 않는 안전장치 시스템이다.For reference, the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100 is located on the main frame 110 installed on the floor in front of the vehicle entrance, and the blocking bar 120 is erected before entering the vehicle, and when vehicle entry is permitted, the blocking bar 120 ) is a safety device system that is installed and hidden in the main frame 110 and does not interfere with people's entry and exit.

메인프레임(110)는 차량 출입구 전단에 설치되고, 차량의 폭 등을 고려하여 진입로 중앙에 상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frame 11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entrance, and may be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entrance road considering the width of the vehicle, etc.

메인프레임(110)는 수용홈(110a)이 형성되고, 수용홈(110a)은 차단바(12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차단바(120)의 크기에 대응되어 결정된다.The main frame 110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110a, and the receiving groove 110a is a space that accommodates the blocking bar 120, and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blocking bar 120.

메인프레임(110)는 도 4 및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차단바(120) 하강시 메인프레임(110)과 접하는 제1 접촉부(115-1)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1 탄성부재(116-1)와, 발판부(130) 상승시 메인프레임(110)과 접하는 제2 접촉부(115-2)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2 탄성부재(116-2)를 더 포함하므로, 차단바(120) 및 발판부(130)의 회동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감쇄시키거나 흡수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main frame 110 has a square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hen the blocking bar 120 is lowered, the first contact portion 115-1 in contact with the main frame 110 receives an impact. A first elastic member 116-1 to relieve the impact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16-2 to relieve the impact on the second contact part 115-2 in contact with the main frame 110 when the footrest 130 is raised. Since it is further included, vibration and shock transmitted when the blocking bar 120 and the footrest portion 130 are rotated can be attenuated or absorbed.

여기서, 제1 탄성부재(116-1) 및 제2 탄성부재(116-2)는 공지된 다양한 충격흡수수단이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인 고무패드가 사용될 수 있다.Here, various known shock absorbing means may be used as the first elastic member 116-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16-2, and a general rubber pad may be used.

차단바(120)는 도 1 및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가능한 중공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평상적으로 차량 출입시 기립되어 있다가 차량 출입이 가능한 상태가 되었을 때 자동으로 수용홈(110a)에 내설되므로, 종래에 차량 추락 사고 등을 미연에 방자힐 수 있게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locking bar 120 is in the shape of a hollow, square pillar that can be rotated, a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110, so that it normally stands up when entering or leaving the vehicle. Since it is automatically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when access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vehicle crashes in the past.

즉, 차단바(120)는 메인프레임(110) 일측과 연결된 제1 회동축(120h)을 중심으로 기립되어 있다가 차량 출입이 허락된 안전한 상태가 되었을 때 자동으로 하강하여 수용홈(110a)에 내설되고 차량 출입이 자유로워 지게 한다.That is, the blocking bar 120 is erected around the first pivot axis 120h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110, and automatically lowers when it is in a safe state allowing vehicle entry and exit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a. It is built inside and allows for free entry and exit of vehicles.

정리하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단바(120)는 메인프레임(110)에 제1 회동축(120h)으로 연결되어 차량 출입시 먼저 기립되어 있다가 출입허가되어 차량 진입시 수용홈(110a)에 내설되어 차량 진입이 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다.In summary, the blocking bar 12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10 with a first rotation axis 120h, stands first when entering and exiting the vehicle, and is then allowed to enter and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110a when entering the vehicle. This can lead to vehicle entry.

또한, 차단바(120)는 하강시 메인프레임(110)의 제1 접촉부(115-1)에 충격을 완화 또는 흡수시키는 제1 탄성부재(116-1)가 설치되므로, 안전하게 수용홈(110a)에 내설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bar 120 has a first elastic member 116-1 installed in the first contact portion 115-1 of the main frame 110 when lowered to relieve or absorb the impact, so that the blocking bar 120 can safely fit into the receiving groove 110a. It can be introduced in .

한편, 차단바(120)는 하단에 설치된 제1 회동축(120h)이 메인프레임(110)과 힌지(hinge)연결되되 축이 흔들리거나 축 중심이 맞지 않을 때 자동으로 중심을 조정해 주는 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blocking bar 120 is a bearing in which the first rotating shaft 120h installed at the bottom is hinged and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10,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center when the shaft shakes or is not centered. can be formed.

여기서 배어링(bearing)은 자동조심베어링으로, 축의 처짐과 하우징의 변형을 보정하고, 구동시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제품의 이탈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고하중을 지지하기에 적합하고 원활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bearing is a self-aligning bearing, which compensates for deflection of the shaft and deformation of the housing, has an excellent ability to absorb shaking or product separation that occurs during driving, and is suitable for supporting high loads and provides smooth rotational force. can do.

차단바(120)의 동작은 후술하는 동력부(140)에 의해 동력을 받아 회동할 수 있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blocking bar 120 can be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uni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단바(120)는 제1 회동축(120h)에 제1 종동부재(165-1)가 장착되고, 제2 구동부재(161-2)가 장착될 수 있다.The blocking bar 12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first driven member 165-1 and a second driving member 161-2 on the first rotating shaft 120h.

여기서, 제1 종동부재(165-1)는 기어(gear),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기어(gear)의 경우 직접 제1 구동부재(161-1)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게 되며,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일 경우 V-벨트 또는 체인(chain)인 연결부재(169)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는다.Here, the first driven member 165-1 may be any one of a gear, a pulley, and a sprocket, and in the case of a gear,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ember 161-1. Power is transmitted through engagement, and in the case of pulleys and sprockets, power is transmitted by the connecting member 169, which is a V-belt or chain.

또한, 제2 구동부재(161-2)는 기어(gear),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기어(gear)의 경우 직접 제2 종동부재(165-2)와 맞물려 동력이 전달되게 하며,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일 경우 V-벨트 또는 체인(chain)인 연결부재(169)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한다.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member 161-2 may be any one of a gear, a pulley, and a sprocket, and in the case of a gear,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n member 165-2. They engage to transmit power, and in the case of pulleys and sprockets, the power is transmitted by the connecting member 169, which is a V-belt or chain.

참고로, 차단바(120)의 돌기부(182f)는 후술하는 발판부(120)와 제2 센서(182) 간에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제2 센서(182)의 위치 등을 이동시켜 제거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protrusion 182f of the blocking bar 120 is formed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footrest 120 and the second sensor 18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removed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sensor 182. It may be possible.

발판부(13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차단바(120)의 기립으로 수용홈(110a)이 노출되어 통행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플레이트 판부재이다.As shown in FIGS. 1 to 7, the footrest portion 130 has a square plate shape, and the receiving groove 110a is exposed when the blocking bar 120 stands up to prevent accidents during passage. It is a plate member installed for this purpose.

즉,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발판부(130)는 사고를 예방 및 안전을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차단바(120) 기립시 메인프레임(110) 타측과 연결된 제2 회동축(130h)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용홈(110a)의 상부를 메워주는 기능을 한다.That is, the scaffolding unit 13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prevent accidents and ensure safety, and rotates around the second rotation axis 130h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frame 110 when the blocking bar 120 is erected. This functions to fill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110a).

또한, 발판부(130)는 차단바(120)와 회전 방향이 직교하므로, 동력을 전달받을 때 기어박스(170)를 통하여 회전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ootrest unit 130 is orthogonal to the blocking bar 120,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through the gearbox 170 when receiving power.

즉, 발판부(1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부(140)로부터 동력을 직접 전달받지 않고 기어박스(170)를 통하여 제2 회동축(130h)에 전달받는다.That is,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footrest unit 130 does not receive power directly from the power unit 140, but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rotation shaft 130h through the gearbox 170.

발판부(130)는 제2 회동축(130h)이 메인프레임(110) 상측 하면과 베어링(bearing)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회동이 용이하다.The footrest unit 130 can be easily rotated because the second rotation axis 130h is supported by the upper low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0 and a bearing.

한편, 발판부(130)는 소정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회동시 메인프레임(110)의 제2 접촉부(115-2)에 충격을 완화 또는 흡수시키는 제2 탄성부재(116-2)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안전하게 회동하여 제2 접촉부(115-2)와 밀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footrest portion 13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withstand a predetermined load, and has a second elastic member 116-2 to relieve or absorb shock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5-2 of the main frame 110 when rotated. Since it is attached, it can safely rotate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5-2.

동력부(140)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축이 회전하는 모터(motor)로, 전선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식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power unit 140 is a motor whose drive shaft rotates when supplied with power. Although wires are not shown, they are connected according to common sense.

동력부(140)는 차단바(120)의 제1 회동축(120h) 및 발판부(130)의 제2 회동축(130h)과 직간접적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회전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가 장착될 수도 있다.The power unit 140 can directly or indirectly provide power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20h of the blocking bar 120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130h of the footrest unit 130, and is a reducer that reduces the rotation speed. may be installed.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동력부(140)는 구동축에 제1 구동부재(161-1)가 장착되고, 제2 구동부재(161-2)가 장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wer unit 14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first driving member 161-1 and a second driving member 161-2 on a drive shaft.

여기서, 제1 구동부재(161-1)는 기어(gear),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기어(gear)의 경우 직접 제1 종동부재(165-1)와 맞물려 동력이 전달되게 하며,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일 경우 V-벨트 또는 체인(chain)인 연결부재(169)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한다.Here, the first driving member 161-1 may be any one of a gear, a pulley, and a sprocket, and in the case of a gear,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en member 165-1. They engage to transmit power, and in the case of pulleys and sprockets, the power is transmitted by the connecting member 169, which is a V-belt or chain.

또한, 제2 구동부재(161-2)는 기어(gear),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기어(gear)의 경우 직접 제2 종동부재(165-2)와 맞물려 동력이 전달되게 하며,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일 경우 V-벨트 또는 체인(chain)인 연결부재(169)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한다.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member 161-2 may be any one of a gear, a pulley, and a sprocket, and in the case of a gear,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ven member 165-2. They engage to transmit power, and in the case of pulleys and sprockets, the power is transmitted by the connecting member 169, which is a V-belt or chain.

제어부(150)는 도 1 내지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롤 통하여 통제하는 장치로, 전산처리장치(CPU)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력부(140)을 제어하여 차단바(120) 및 발판부(130)의 개폐(開閉)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고, 원격 제어가 가능한 구성이다.The control unit 150 is a device that is connected wired or wirelessly and controlled through control signals, as shown in FIGS. 1 to 5, etc., and controls and shuts off the power unit 140 according to a set program of the computer processing unit (CPU).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ar 120 and the footrest 130 can be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remote control is possible.

특히,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어부(150)는 자동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력부(140)를 제어하여 차단바(120) 및 발판부(130)의 개폐(開閉)를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5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ocking bar 120 and the footrest unit 130 by controlling the power unit 140 according to an automatically set program, and can be connected to a smartphone and Control signals can be input through the same wireless terminal.

제어부(150)는 제1 및 제2 센서(181, 182)의 신호를 입수하고, 동력부(140)를 제어하여 차단바(120) 및 발판부(130) 각각을 개폐(開閉)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receive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81 and 182 and control the power unit 140 to open and close the blocking bar 120 and the footrest unit 130, respectively. .

또한, 제어부(150)는 수동으로 정보를 입력받아 수정 보완할 수 있고, 기존 설정된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제어자가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50 can manually receive information and make corrections, update existing programs, and allow the controller to intuitively control them.

즉, 본 발명은 제어부(150)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력부(140)가 동작하여 제1 구동부재(161-1) 및 제2 구동부재(161-2)를 통해서 차단바(120)의 제1 회동축(120h)과 발단부(130)의 제2 회동축(130h)에 동력이 전달되어 차단바(120) 및 발판부(130) 각각을 회동시킬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unit 140 operates according to a set program of the control unit 150 to block the blocking bar 120 through the first driving member 161-1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61-2. Pow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otation axis 120h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130h of the foot end portion 130 to rotate each of the blocking bar 120 and the footrest portion 130.

전반적인 동력전달부재는 160번대로, 제1 및 제2 구동부재(161-1, 161-2)와, 제1 및 제2 종동부재(165-1, 165-2), 및 연결부재(169) 등을 포함한다.The overall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numbered 160, including first and second driving members (161-1, 161-2), first and second driven members (165-1, 165-2), and connecting members (169). Includes etc.

제1 구동부재(161-1)는 동력부(140)에 형성되어 차단바(120)에 형성된 제1 종동부재(165-1)를 통하여 제1 회동축(120h)에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member 161-1 is formed in the power unit 140 and can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first rotating shaft 120h through the first driven member 165-1 formed in the blocking bar 120. there is.

제2 구동부재(161-2)는 차단바(120) 및 동력부(14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회전 방향을 변환하는 기어박스(170)의 제2 종동부재(165-2)를 통하여 제2 회동축(130h)에 회전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member 161-2 is formed on any one of the blocking bar 120 and the power unit 140 and operates through the second driven member 165-2 of the gearbox 170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2 Rotational power can be provided to the rotating shaft (130h).

또한, 제1 구동부재(161-1)와 제1 종동부재(165-1)는 기어(gear),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 중 어느 하나이고, 제2 구동부재(161-2)와 제2 종동부재(165-2)는 기어(gear),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member 161-1 and the first driven member 165-1 are any one of a gear, a pulley, and a sprocket,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61-2 and the second driven member 165-2 may be any one of a gear, a pulley, and a sprocket.

또한, 제1 구동부재(161-1)와 제1 종동부재(165-1)는 연결부재(169)인 V-벨트 또는 체인(chain)으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고, 제2 구동부재(161-2)와 제2 종동부재(165-2)는 V-벨트 또는 체인(chain)으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member 161-1 and the first driven member 165-1 are connected by a V-belt or chain, which is a connecting member 169, to transmit power,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61 -2) and the second driven member 165-2 may be connected to a V-belt or chain to transmit power.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어박스(170)는 제2 종동부재(165-2)와 제2 회동축(130h)의 회전축을 교차하여 변경하는 장치로, 베벨기어 또는 웜기어를 포함하고 제2 종동부재(165-2)로 제2 회동축(130h)에 회동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gearbox 17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crosses and changes the rotation axes of the second driven member 165-2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130h, includes a bevel gear or worm gear, and includes a second driven member ( 165-2), the rotational po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rotation axis (130h).

또한, 기어박스(170)는 제2 종동부재(165-2)가 장착되어 회전방향을 90도 변환하여 제2 회동축(130h)에 회동동력을 전달한다.In addition, the gearbox 170 is equipped with a second driven member 165-2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by 90 degrees and transmit rotational power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30h.

여기서, 제2 종동부재(165-2)는 기어(gear),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기어(gear)의 경우 직접 제2 구동부재(161-2)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게 되며,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일 경우 V-벨트 또는 체인(chain)인 연결부재(169)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는다.Here, the second driven member 165-2 may be any one of a gear, a pulley, and a sprocket, and in the case of a gear, i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161-2. Power is transmitted through engagement, and in the case of pulleys and sprockets, power is transmitted by the connecting member 169, which is a V-belt or chain.

도 4 및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서(181)는 메인프레임(110) 바닥 일측에 설치되어 차단바(120) 상승시 차단바(120)의 위치를 센싱하여 제어부(15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first sensor 18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110 and senses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bar 120 when the blocking bar 120 rises to inform the control unit 150. Signals can be transmitted.

또한, 제2 센서(182)는 메인프레임(110) 바닥 타측에 설치되어 차단바(120) 하강시 차단바(120)의 위치를 센싱하여 제어부(15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ensor 182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110 and can sense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bar 120 when the blocking bar 120 is lowered and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

또한, 제1 및 제2 센서(181, 182) 각각은 제어부(150)에 센싱 신호를 자동으로 보내므로, 제어부(150)가 동력부(140)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제어부(150)를 통해서 차단바(120) 및 발판부(130)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181 and 182 automatically send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 so that the control unit 150 provides information to control the power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 The blocking bar 120 and the footrest unit 130 can be rotated through 15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 출입통제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such, the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식 주차장의 승강기 도어가 열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승강기 도어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vehicles from entering the elevator door of a mechanical parking lot even if the elevator door is not opened, thereby reducing human or material damage.

또한, 차량 통제를 통하여 차량이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차량이 진입되어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차단바(120)를 인지하여 차량이 무리하게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rough vehicle control, it is possible to block vehicle entry or prevent safety accidents in which a vehicle enters and falls, and visually recognizes the blocking bar 120 to prevent the vehicle from entering forcibly.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차량이 무리하게 진입하더라도 차단바(120)에 닿아 차량의 진입을 막아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vehicle enters forcefu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stability can be maintained by blocking vehicle entry by touching the blocking bar 120.

또한, 제어부(150)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력부(140)를 제어하여 차단바(120) 및 발판부(130)의 개폐(開閉)를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ower unit 14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set program of the control unit 15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locking bar 120 and the footrest unit 130, using a wireless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It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control.

또한, 설치공간의 축소로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다양한 장소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area can be minimized by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to various place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차량 출입통제장치
110 : 메인프레임
120 : 차단바
130 : 발판부
140 : 동력부
150 : 제어부
100: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110: mainframe
120: blocking bar
130: Footrest part
140: Power unit
150: control unit

Claims (7)

수용홈이 형성된 메인프레임;
상기 수용홈에 내설되었다가 상기 메인프레임 일측과 연결된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기립되는 차단바;
상기 차단바 기립시 상기 메인프레임 타측과 연결된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수용홈의 상부를 메워주는 발판부;
상기 제1 및 제2 회동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에 형성된 제1 구동부재가 상기 차단바에 형성된 제1 종동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 회동축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차단바 및 동력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2 구동부재가 회전 방향을 변환하는 기어박스의 제2 종동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2 회동축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통제장치.
A main frame with a receiving groove formed thereon;
a blocking bar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standing upright around a first pivot ax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
A footrest portion that rotates around a second rotation ax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frame when the blocking bar stands up to fill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a power unit that provides power to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s;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ower unit,
A first driving member formed in the power unit provides rotational power to the first rotation shaft through a first driven member formed in the blocking bar,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wherein a second driving member formed on one of the blocking bar and the power unit provides rotational power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through a second driven member of a gearbox that changes the rotation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재와 제1 종동부재는 기어(gear),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구동부재와 제2 종동부재는 기어(gear), 풀리(pulley) 및 스프라켓(sprocke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통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riving member and the first driven member are one of a gear, a pulley, and a sprocket,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and the second driven member are a gear and a pulley.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ne of a sproc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재와 제1 종동부재는 V-벨트 또는 체인(chain)으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제2 구동부재와 제2 종동부재는 V-벨트 또는 체인(chain) 으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통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riving member and the first driven member are connected by a V-belt or chain to transmit power,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and the second driven member are connected by a V-belt or chain to transmit power.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is is transmit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베벨기어 또는 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종동부재로 상기 제2 회동축에 회동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통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box includes a bevel gear or a worm gear and transmits rotational power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through the second driven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 하강시 상기 메인프레임과 접하는 제1 접촉부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발판부 상승시 상기 메인프레임과 접하는 제2 접촉부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통제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elastic member that relieves the impact on the first contact part in contact with the main frame when the blocking bar is lowere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that relieves the impact on the second contact part in contact with the main frame when the footrest part rises. Characterized by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바 상승시 상기 차단바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차단바 하강시 상기 차단바의 위치를 센싱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통제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rst sensor that senses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bar when the blocking bar rises and a second sensor that senses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bar when the blocking bar fall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통하여 신호를 받고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단바 및 발판부를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통제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vehicle access contro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receives signal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and controls the power unit to rotate the blocking bar and the footrest unit.
KR1020220063737A 2022-05-24 2022-05-24 Vehicle Access Prevention Apparatus KR202301638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737A KR20230163876A (en) 2022-05-24 2022-05-24 Vehicle Access Preven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737A KR20230163876A (en) 2022-05-24 2022-05-24 Vehicle Access Preven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876A true KR20230163876A (en) 2023-12-01

Family

ID=8912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737A KR20230163876A (en) 2022-05-24 2022-05-24 Vehicle Access Preven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387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42B1 (en) 2018-02-12 2019-08-27 김동섭 Car dropping prevent apparatus for a car elevator
KR102332754B1 (en) 2021-05-03 2021-12-01 박준원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42B1 (en) 2018-02-12 2019-08-27 김동섭 Car dropping prevent apparatus for a car elevator
KR102332754B1 (en) 2021-05-03 2021-12-01 박준원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3159B2 (en) Vehicle lifting platform
KR102332754B1 (en)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CN104372972A (en) No-avoidance three-dimensional parking garage
KR20230163876A (en) Vehicle Access Prevention Apparatus
KR101924515B1 (en) Elevator of multi-level parking garage
US20200299106A1 (en) Escalator which can be connected to a lift
KR101500875B1 (en) Safety equipment of train platform
KR200422025Y1 (en) Sub-Step of Structure for Vehicle
KR101406018B1 (en) Safety equipment of vertically driven type
CN204186103U (en) Without dodging parking systems
JPH03183887A (en) Door for input and output
KR101715330B1 (en) Manual operation remote control for pit of elevator
US6615953B1 (en) Construction hoist with optical monitoring device
KR102657923B1 (en) Vehicle fall prevention device of parking facility
KR101471545B1 (en) Safety equipment of train platform with two-type rope engagement method
CN207314938U (en) A kind of Simple lifting garage of ground pit type rack-and-pinion lifting
CN111533045B (en) Floor lifting machine
KR101893285B1 (en) Smart parking system of multi-level parking garage
KR100430547B1 (en) A parking contol machine
JP3959520B2 (en) Boarding station detection device
JP2900844B2 (en) Stacker crane cage lifting device
JP2932879B2 (en) In / out device with cab
JP2003082879A (en) Safety device for mechanical type parking device
JP2009287376A (en) Parking space maintaining device
JPH08170437A (en) Multistory par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