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019B1 - 비닐보관박스 - Google Patents
비닐보관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6019B1 KR101966019B1 KR1020180120103A KR20180120103A KR101966019B1 KR 101966019 B1 KR101966019 B1 KR 101966019B1 KR 1020180120103 A KR1020180120103 A KR 1020180120103A KR 20180120103 A KR20180120103 A KR 20180120103A KR 101966019 B1 KR101966019 B1 KR 1019660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housing
- vinyls
- vinyl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비닐들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 측면에 개방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개방구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장치,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구의 반대편 측면에 배치되는 벽면지지대 및 상기 벽면지지대로부터 상기 개방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분할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비닐들은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의해 소정 각도 접힌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닐보관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의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한 비닐보관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 낚시 등의 야외 레저활동의 경우 많은 시간을 야외에서 보내게 된다. 따라서 일반쓰레기는 물론 음식물 쓰레기 등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쓰레기 등을 담을 수 있는 비닐봉지 등을 별도로 준비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들의 처리하는데 매우 곤란하다.
또한, 등산, 낚시 등의 야외레저활동 등에는 전술한 쓰레기 수거문제와 함께 남은 음식물이나 기타 물품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방안이 마땅치 않으며, 이러한 쓰레기 수거와 물품 수납 등을 위한 일회용 비닐팩의 휴대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한 일회용 비닐팩을 휴대할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이 제공되지 않아 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비닐팩을 그대로 휴대하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 등이 따랐다.
주로 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비닐팩은 수납박스 내에 수십 장의 비닐이 수납되어 하나씩 낱개로 뽑아 사용할 수 있도록 제품화된 것이 대부분으로, 이러한 일회용 비닐팩은 가정 등에서 다양한 용도와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 부피가 커고 휴대가 불편하여 등산, 낚시 등의 야외레활동 시에 소부피로 간편하게 휴대,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17-0018523호는 휴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닐팩 케이스가 개시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가정용 일회용 비닐팩의 경우 수납박스로부터 비닐 인출 시 다수개의 비닐이 한번에 인출되는 등 비닐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이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여 비닐의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한 비닐보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수개의 지지대를 활용하여 보관된 비닐이 외부의 충격에도 흐트러지지 않는 비닐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비닐들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 측면에 개방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개방구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장치,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구의 반대편 측면에 배치되는 벽면지지대 및 상기 벽면지지대로부터 상기 개방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분할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비닐들은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의해 소정 각도 접힌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를 제공하며, 보관된 비닐을 용이하게 하우징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분할플레이트는 상기 벽면지지대에서 상기 개방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를 제공하며, 다수개의 비닐들을 하우징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분할부는,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개방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탄성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일단은 상기 벽면지지대 또는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타단은 상기 분할플레이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를 제공하며, 하우징 내에서의 다수개의 비닐들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개의 비닐들을 상기 분할플레이트 방향으로 압착하는 상부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를 제공하며, 하우징 내에서의 다수개의 비닐들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기 하우징 내부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하우징, 상기 다수개의 비닐들과 접촉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롤러, 상기 상부롤러의 양 끝단에 구비되는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상부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이동바, 및 일단은 상기 상부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이동바와 연결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를 제공하며, 비닐의 개수에 상관없이 비닐들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대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비닐들과 접촉하는 하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를 제공하며, 다수개의 비닐들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개방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틀, 및 상기 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개방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틀, 및 상기 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딩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를 제공하며, 개방구의 개폐가 용이하고 최소한의 공간을 활용하여 개방구를 개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틀은,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가이딩하는 도어가이더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이동을 방지하는 경사가이더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본체를 형성하는 도어플레이트,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중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가이더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삽입부 및 상기 경사가이더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사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를 제공하며, 개방구의 개폐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할부를 통한 비닐의 보관 및 인출, 개폐장치를 통한 비닐의 인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수개의 지지대를 통해 보관된 비닐이 외부의 충격에도 흐트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보관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개방구 상에 개폐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보관박스를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분할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5는 분할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비닐보관박스 내에 비닐이 보관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비닐보관박스에 상부지지대가 더 구비된 것을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지지대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비닐보관박스에 하부지지대가 더 구비된 것을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개폐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11의 개폐장치가 개폐되는 동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는 개방구 상에 개폐장치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보관박스를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분할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5는 분할플레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비닐보관박스 내에 비닐이 보관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비닐보관박스에 상부지지대가 더 구비된 것을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부지지대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비닐보관박스에 하부지지대가 더 구비된 것을 도시한 측면 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개폐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도 11의 개폐장치가 개폐되는 동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보관장치(1)의 주요 구성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보관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비닐(S)들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 측면에 개방구(11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개방구(110)에 설치되어 개방구(110)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장치(200), 및 다수개의 비닐들을 소정 각도 접힌 상태로 하우징(100)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분할부(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육각 형태를 가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서리가 둥글게 처리된 형태의 외관을 가질 수도 있다. 다수개의 비닐들이 분할부(300)에 의해 소정 각도 접힌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 내부 구조를 가진다면 다양한 형상의 외관을 가져도 무방하다.
또한 하우징(100)은 종이, 플라스틱 또는 고무 등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개방구(110)는 하우징(100)의 측면부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개방구(110)는 분할부(300)를 구성하는 분할플레이트(320)가 분할부(300)를 구성하는 벽면지지대(3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닐(S)을 개방구(110)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비닐을 인출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개방구(110)는 하우징(1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분할플레이트(320)의 연장 방향은 하우징(100)의 하면으로부터 상면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또는 하우징(10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일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보관박스(1)는 두 가지 종류의 개폐장치(200)가 적용될 수 있다(도 10, 도 11). 도 2의 경우, 편의상 도 11에 도시된 개폐장치(200)가 적용되어 도시되어 있다.
개폐장치(200)는 비닐(S)들을 인출하기 위한 입구인 개방구(110)를 개폐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비닐(S)들을 인출할 때에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방구(110)를 개방시킬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개폐장치(200)의 두 가지 실시예들은 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분할부(300)는 다수개의 비닐(S)들이 소정 각도 접힌 상태에서 하우징(100) 내에서 보관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 내에 위치되는 구성이며, 분할부(300)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분할부(300)는 개방구(110) 및 개폐장치(200)가 하우징(100)의 일 측면에 위치된 것을 전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방구(110) 및 개폐장치(200)의 위치가 변화되면 분할부(300) 또한 개방구(110) 및 개폐장치(200)에 맞게 위치가 변화되어야 한다.
분할부(300)는,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되고 개방구(110)의 반대편 측면에 배치되는 벽면지지대(310) 및 벽면지지대(310)로부터 개방구(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분할플레이트(320)로 구성된다.
벽면지지대(310)는 분할플레이트(320)를 지지하는 구성이지만, 벽면지지대(310) 없이 분할플레이트(320)가 하우징(100)의 내측 측면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벽면지지대(310)는 하우징(100) 내측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측면에 밀착되어 구비되며, 두께 또한 매우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벽면지지대(310)와 분할플레이트(320)는 하우징(100)과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이,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소재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탄성력을 가질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가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벽면지지대(310)는 개방구(110)가 위치한 하우징(100) 일 측면의 반대편 측면의 대부분과 직접 접촉하고 있으나, 상기 반대편 측면의 일부분과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분할부(300)의 역할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비닐(S)들이 접힌 상태로 하우징(100) 내부에 보관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벽면지지대(310)와 분할플레이트(320)가 하우징(100)의 상기 반대편 측면의 가로폭 전체에 걸쳐서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개방구(110)의 가로폭과 유사한 수준이어도 무방하다.
한편, 가로폭이 좁은 분할부(300)가 두 개 이상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비닐(S)의 인출이 용이할 수 있도록, 분할부(300)가 상기 반대편 측면 가로폭의 중심 부분에는 반드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면지지대(310)는 비닐접착부(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닐접착부(311)는 벽면지지대(310)에 구비되되, 분할플레이트(320)의 하단에 위치한 벽면지지대(310)의 표면에 구비된다.
비닐접착부(311)는 다수개의 비닐(S)들의 한쪽 끝단이 접착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00) 내에 보관된 비닐이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장의 비닐(S)을 인출할 때 분할플레이트(320)를 기준으로 윗부분에 위치한 부분부터 먼저 개방구(110)를 통해 인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비닐접착부(311)는 사람의 힘으로도 접착이 분리될 정도의 작은 접착력을 가진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분할부(30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것이다. 도 4의 분할플레이트(320)는 벽면지지대(310)에서 개방구(110) 방향으로 갈수록 세로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다수개의 비닐(S)들은 겹쳐진 상태에서 분할플레이트(320)에 의해 소정 각도 접히기 때문에 분할플레이트(320)와 가장 멀리 위치되는 비닐의 경우, 위치가 불안정해져 인출이 힘들어지거나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한 비닐들의 전체 배치가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겹쳐진 다수개의 비닐들의 한쪽 끝단이 경사져서 구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수개의 비닐들의 한쪽 끝단이 경사진다는 것은, 각각의 비닐들 사이의 마찰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비닐이라는 소재의 특성상 마찰의 발생으로 정전기가 발생하여 비닐의 인출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때 도 4와 같이 분할플레이트(320)가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면 다수개의 비닐들의 한쪽 끝단들의 경사진 정도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닐들 사이의 마찰 발생을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비닐들의 위치가 흐트러질 가능성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비닐들의 인출 시 사용자의 불편이 줄어들게 된다.
도 5는 분할부(30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것이다. 도 5의 분할부(300)는 벽면지지대(310) 및 분할플레이트(320) 이외에도 분할플레이트(320)의 하단에 배치되고 개방구(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탄성플레이트(330)를 더 포함한다.
탄성플레이트(330)의 일단은 벽면지지대(310) 및/또는 분할플레이트(320)에 연결되며, 탄성플레이트(330)의 타단은 분할플레이트(320)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탄성플레이트(330)의 일단에서 탄성플레이트(330)의 타단으로 갈수록 탄성플레이트(330)와 분할플레이트(320) 사이의 이격되는 거리가 커진다.
탄성플레이트(33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플레이트(330)는 다수개의 비닐(S)들이 하우징(100) 내부에 보관될 때 비닐들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개의 비닐(S)들이 탄성플레이트(330)와 하우징(100)의 바닥면 사이에 끼여 배치됨으로 인해 탄성플레이트(330)의 타단 부위는 분할플레이트(320)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며, 결과적으로 탄성플레이트(330)의 탄성력은 하우징(100) 내의 다수개의 비닐(S)들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하우징(100) 내부 상단에 연결되고 다수개의 비닐들을 분할플레이트(320) 방향으로 압착시키는 상부지지대(400)가 도시되고 있다.
상부지지대(400)는 하우징(100) 내부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하우징(410), 다수개의 비닐(S)들과 접촉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롤러(430), 상부롤러(430)의 양 끝단에 구비되는 회전축(440), 회전축(44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하우징(410)에 대하여 상부하우징(4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이동바(420), 및 일단은 상부하우징(4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이동바(420)와 연결되는 스프링(450)으로 구성된다.
상부이동바(420)는 일부가 상부하우징(410)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하우징(4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본체(421)와 이동본체(421)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부롤러(430)의 회전축(44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축연결부(422)로 구성된다.
상부롤러(430)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다수개의 비닐(S)들 중 가장 바깥에 위치한 비닐과 접촉하여 비닐들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부롤러(430)의 회전 접선 방향으로 비닐들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상부롤러(430)의 회전 접선 방향과 비닐이 인출되는 방향은 동일하다. 즉, 비닐의 인출 방향과 회전축(440)은 수직 관계를 형성한다.
한편, 스프링(450)이 구비됨으로 인해 비닐들이 조금씩 하우징(100) 외부로 빠져나가도 상부롤러(430)가 계속해서 다수개의 비닐(S)들의 최상단과 접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닐들이 하나씩 하우징(100) 외부로 빠져나갈수록 상부하우징(410)의 최상단과 상부롤러(430)가 비닐과 접촉하는 지점 사이의 거리는 점점 멀어지게 된다.
상부지지대(400) 또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지지대(400)는 하우징(100)의 가로 폭의 중간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비닐(S)들의 가로 폭의 중심과 상부롤러(430)가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는 하우징(100) 내부에 하부지지대(500)가 더 포함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하부지지대(500)는 하우징(100)의 내부 하단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하부지지대(50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다수개의 비닐들 중 가장 바깥면에 위치한 비닐과 직접 접촉하는 하부롤러(520), 하부롤러(520)의 양 끝단에 구비되는 회전축(530), 및 회전축(53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우징(100)의 하단과 고정 결합하는 지지하우징(510)으로 구성된다.
하부지지대(500)는 상부지지대(400)에 비해 개방구(110)에 더욱 가깝게 위치되는 구성이며, 비닐이 용이하게 인출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부지지대(400)와 하부지지대(500)는 독립적으로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부지지대(400)만 설치되거나 하부지지대(500)만 하우징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두 구성 모두 동시에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분할플레이트(320)의 세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특징과 탄성플레이트(330)가 더 구비되는 특징 또한 상부지지대(400) 및 하부지지대(500)의 배치 여부와 독립적인 특징들에 해당하며, 선택적으로 하우징(100) 내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통해, 비닐을 인출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100) 내부는 분할부(300)에 의해 크게 상부구역(A), 하부구역(B), 및 중간구역(C)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부구역(A)과 하부구역(B)에 다수개의 비닐(S)들의 각각의 끝단들이 위치하게 되며 다수개의 비닐(S)들이 소정각도 접히는 부분은 중간구역(C)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개방구(110)를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어 가장 겉면에 위치하는 비닐과 접촉한다. 이 때 사용자의 손가락 끝은 상부구역(A)과 중간구역(C)의 경계지점에서 비닐을 아래로 누르면서 상부구역(A)에 구비된 비닐의 한쪽 끝단이 개방구(110)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유도한다. 즉, 일반적으로 상부구역(A)에 위치한 비닐의 한쪽 끝단의 인출이 먼저 시작된다.
그 후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하부구역(B)와 중간구역(C)의 경계지점과 접촉하여 하부구역(B)의 비닐접착부(311)와 연결된 비닐의 다른쪽 끝단을 비닐접착부(311)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러한 인출 과정 중에 분할플레이트(320), 탄성플레이트(330), 사우지지대(400) 및 하부지지대(500)가 비닐의 위치에 영향을 주면서 비닐(S)이 한개씩 용이하게 개방구(110)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개폐장치(200)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있다.
도 10은 개폐도어(230)가 구비된 개폐장치(200)가 도시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개폐장치(200)는 개방구(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틀(210) 및 틀(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고 틀(210)의 일 측면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도어(230)로 구성된다.
개폐도어(230)는, 틀(2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쪽 측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결합부(231), 및 틀(210)과 끼임 결합(또는 후크 결합)하며 반대쪽 측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체결부(232)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체결부(232)에 힘을 가압하여 체결부(232)와 틀(21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체결부(232)와 틀(21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 개방구(110)가 개방될 수 있으며 비닐(S)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3은 슬라이딩(220) 도어가 구비된 개폐장치(200)가 도시되고 있다.
슬라이딩도어(220)는 틀(21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틀(210)은, 슬라이딩 도어(220)를 가이딩하는 도어가이더(211), 및 슬라이딩도어(220)와의 접촉을 통해 슬라이딩도어(220)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가이더(212), 및 슬라이딩도어(220)가 개방구(110)를 완전히 폐쇄할 때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도어(220)의 추가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213)로 구성된다.
슬라이딩도어(220)는, 본체를 형성하는 판 형상의 도어플레이트(221), 도어플레이트(221)의 가장자리 중 일부에 구비되고 도어가이더(211)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삽입부(222), 및 도어플레이트(211)가 개방구(1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경사가이더(212)와 접촉하는 구성인 경사돌기(223)로 구성된다.
도 12 및 도 13을 살펴보면, 도어플레이트(221)의 가장자리 중 도어플레이트(221)가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한 가장자리에 삽입부(222)가 형성된다. 삽입부(222)는 도어플레이트(221)와 "ㄷ"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ㄷ"형태로 구비되는 도어가이더(211)와 맞물리게 된다.
이 때 삽입부(222)가 개방부(110)를 기준으로 도어가이더(211)보다 바깥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어플레이트(221)는 틀(2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도어가이더(21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플레이트(221)가 개방구(110)를 완전히 폐쇄하면 하우징(100)으로부터 소정거리 더 돌출된 스토퍼(213)에 의해 도어플레이트(221)의 이동이 방지된다.
도 13은 경사가이더(212)와 경사돌기(223) 사이의 상호작용이 도시되고 있다. 도 13은 하우징(100) 내부에서 개폐장치(200)를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것으로서 개폐장치(200)의 배면이 도시되고 있다.
도 13의 위쪽 도면은 도어플레이트(221)가 스토퍼(213)로부터 약간 이동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경사가이더(212)는 도어가이더(211)의 한쪽 끝단에 구비되는 구성이며, 도 13의 위쪽 도면에서는 도어플레이트(221)의 배면에 구비된 경사돌기(223)와 아직 접촉하지 않고 있다.
개방구(110)를 개방시키기 위해 도어플레이트(221)를 스토퍼(2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도 13의 아래쪽 도면과 같이 경사가이더(212)는 경사돌기(223)와 접촉하게 된다.
경사가이더(212)와 경사돌기(223)는 모두 도어플레이트(221)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진 형태에 해당한다. 따라서 경사가이더(212)의 경사면과 경사돌기(223)의 경사면이 접촉을 하여 도어플레이트(22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비닐보관박스
100: 하우징 110: 개방구 200: 개폐장치
210: 틀 211: 도어가이더 212: 경사가이더
220: 슬라이딩도어 221: 도어플레이트 222: 삽입부
230: 개폐도어 231: 결합부 232: 체결부
300: 분할부 310: 벽면지지대 320: 분할플레이트
330: 탄성플레이트 340: 탄성부재 400: 상부지지대
410: 상부하우징 420: 상부이동바 430: 상부롤러
440: 회전축 500: 하부지지대 520: 하부롤러
S: 비닐
100: 하우징 110: 개방구 200: 개폐장치
210: 틀 211: 도어가이더 212: 경사가이더
220: 슬라이딩도어 221: 도어플레이트 222: 삽입부
230: 개폐도어 231: 결합부 232: 체결부
300: 분할부 310: 벽면지지대 320: 분할플레이트
330: 탄성플레이트 340: 탄성부재 400: 상부지지대
410: 상부하우징 420: 상부이동바 430: 상부롤러
440: 회전축 500: 하부지지대 520: 하부롤러
S: 비닐
Claims (5)
- 외관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비닐들이 보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일 측면에 개방구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개방구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장치;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구의 반대편 측면에 배치되는 벽면지지대, 상기 벽면지지대로부터 상기 개방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분할플레이트 및 상기 분할플레이트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개방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탄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비닐들은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의해 소정 각도 접힌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보관되고,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일단은 상기 벽면지대 또는 상기 분할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플레이트의 타단은 상기 분할플레이트와 소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개의 비닐들을 상기 분할플레이트 방향으로 압착하는 상부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기 하우징 내부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하우징;
상기 다수개의 비닐들과 접촉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롤러;
상기 상부롤러의 양 끝단에 구비되는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상부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이동바; 및
일단은 상기 상부하우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이동바와 연결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보관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0103A KR101966019B1 (ko) | 2018-10-08 | 2018-10-08 | 비닐보관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0103A KR101966019B1 (ko) | 2018-10-08 | 2018-10-08 | 비닐보관박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6019B1 true KR101966019B1 (ko) | 2019-04-04 |
Family
ID=6610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0103A KR101966019B1 (ko) | 2018-10-08 | 2018-10-08 | 비닐보관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601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81377A (ja) * | 1996-09-10 | 1998-03-31 |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 樹脂製袋収納箱 |
JP2003212279A (ja) * | 2002-01-21 | 2003-07-30 | Keiko Takeda | ビニール袋収納フォルダ |
JP3196046U (ja) * | 2014-12-02 | 2015-02-19 | めぐみ 柏原 | ティッシュボックス |
KR101565550B1 (ko) * | 2014-07-24 | 2015-11-03 | 주식회사 대명폴리텍 | 일회용 비닐류 포장케이스 |
-
2018
- 2018-10-08 KR KR1020180120103A patent/KR1019660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81377A (ja) * | 1996-09-10 | 1998-03-31 | Hitachi Electron Service Co Ltd | 樹脂製袋収納箱 |
JP2003212279A (ja) * | 2002-01-21 | 2003-07-30 | Keiko Takeda | ビニール袋収納フォルダ |
KR101565550B1 (ko) * | 2014-07-24 | 2015-11-03 | 주식회사 대명폴리텍 | 일회용 비닐류 포장케이스 |
JP3196046U (ja) * | 2014-12-02 | 2015-02-19 | めぐみ 柏原 | ティッシュボックス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180482B1 (en) |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 |
US6942118B2 (en) | Container closure arrangement | |
KR20010092441A (ko) | 개폐가 용이한 용기 | |
US10123667B2 (en) | Household tissue case | |
US20110056967A1 (en) | Film Accommodating Cassette for Waste Disposal Apparatus | |
EP2295341A1 (en) | Waste disposal apparatus | |
BR112020003460A2 (pt) | recipiente de armazenamento e distribuição de produto. | |
KR101966019B1 (ko) | 비닐보관박스 | |
GB2515302A (en) | A footwear holder | |
KR101898089B1 (ko) | 물티슈 용기용 원터치 커버 | |
KR20140096612A (ko) | 물티슈 포장팩 설치장치 | |
JP6574094B2 (ja) |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 |
JPH07206055A (ja) | ウエ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 |
US20110056173A1 (en) | Waste Disposal Apparatus | |
US7931169B2 (en) | Dispenser | |
JP4825491B2 (ja) | 家庭用薄紙収納容器 | |
JP4431206B2 (ja) | 開閉自在容器 | |
JP4377461B2 (ja) | 開閉自在容器 | |
KR102095804B1 (ko) | 일회용 비닐장갑 결합체 | |
JP3967432B2 (ja) | 蓋装置 | |
JP4851408B2 (ja) | コンパクトケース | |
US20190142060A1 (en) | Foldable cigarette rolling device | |
CN215884909U (zh) | 一种垃圾桶 | |
US3125262A (en) | Goodwin | |
JPH11115974A (ja) | 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