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865B1 -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865B1
KR101965865B1 KR1020180107842A KR20180107842A KR101965865B1 KR 101965865 B1 KR101965865 B1 KR 101965865B1 KR 1020180107842 A KR1020180107842 A KR 1020180107842A KR 20180107842 A KR20180107842 A KR 20180107842A KR 101965865 B1 KR101965865 B1 KR 10196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ogen
oxygen
discharge pipe
sprinkler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석
이태희
이윤희
Original Assignee
이의석
이태희
이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석, 이태희, 이윤희 filed Critical 이의석
Priority to KR1020180107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24F2003/169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2005/0039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a cryogen, e.g. CO2 liquid or N2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례로, 본 발명은 공기를 가압하여 제공하는 공기 가압기; 상기 공기 가압기에 연결되어 공기중으로부터 산소와 질소를 분리하는 산소 질소 분리기;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산소 배출 배관 및 제1질소 배출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산소와 질소의 비율을 조정하여 배출하는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 상기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의 산소 질소 배출 배관 및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제2질소 배출 배관에 공통으로 연결된 스프링 쿨러; 및 평상 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배관을 통해 산소가 상기 스프링 쿨러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하고, 화재 시 상기 제2질소 배출 배관을 통해 질소가 상기 스프링 쿨러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를 포함하는 소방 공조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Oxygen distribution for improving air quality and nitrogen-based fire figh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질소 가스가 청정 소화 약제인데도 불구하고 질소 발생기를 질소가스를 필요로 하는 산업 분야의 산업용으로만 사용하고 있으며, 질소 가스를 청정 소화 약제로 이용하는 종래의 질소 가스 소화 설비는 질소 가스를 고압 탱크에 고압으로 저장한 후 화재가 발생하면 고압 탱크에 저장된 고압의 질소 가스를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고압으로 질소 가스만 분사시켜 화재가 발생한 방호 구역 내의 산소농도를 떨어뜨려 질식 소화로 화재를 진화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물분사시스템은 저수 탱크와 펌프를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저수 탱크에 저장된 물을 펌프로 가압하여 배관(호스)과 노즐을 통하여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고압의 물을 분사시켜 분사된 물의 증발 잠열로 화염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냉각 소화로 화재를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살펴본 종래의 질소 가스 소화 설비는 질식 소화 작용만 가능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를 진화하게 되면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은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밀폐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방호 구역이 밀폐되지 않는 화재 발생 지역에서는 소화 효과가 급격히 떨어지거나 아예 소화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분사 시스템은 고압으로 분사된 물이 증발하면서 증발잠열로 화염의 온도를 떨어뜨려 냉각 소화를 시키지만 물이 증발하면서 발생한 산소가 화염의 연소를 촉진하는 연소 촉매제로 작용하여 화염 전파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질소 가스 소화 설비 및/또는 물분사 시스템은 소화 설비/시스템으로만 동작할 뿐 실내의 공기질을 개선하는데 아무런 역할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평상 시와 화재 시 산소 분배 및 질소 이용 흐름이 상이한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평상 시에 공기 가압기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산소 질소 분리기를 통해 산소와 질소로 분리하고, 분리된 산소와 질소를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를 통해 최적 비율로 조합한 후 스프링 쿨러를 이용하여 실내로 분사하고, 화재 시에 산소 질소 분리기를 통해 분리된 질소를 3방향으로 보내되, 첫 번째 방향으로 보내지는 질소는 스프링 쿨러를 통해 직접 배출되도록 하고, 두 번째 방향으로 보내지는 질소는 소방수 탱크에 소방수와 혼합되어 화재 지점에 소방수와 함께 스프링 쿨러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며, 세 번째 방향으로 보내지는 질소는 질소 응결기를 통해 액체 질소로 생성된 후 액체 질소 탱크에 저장되었다가 스프링 쿨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평상 시에는 공기질 개선을 위해 산소와 질소 비율을 최적화하여 공급되도록 하고, 화재 시에는 산소 공급을 거의 차단하고 질소, 질소와 물을 공급하도록 한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입 노즐을 통해 질소 및 기타 유독 가스를 흡입하여 산소, 질소, 유독 가스를 분리하며, 유독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은 공기를 가압하여 제공하는 공기 가압기; 상기 공기 가압기에 연결되어 공기중으로부터 산소와 질소를 분리하는 산소 질소 분리기;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산소 배출 배관 및 질소 배출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산소와 질소의 비율을 조정하여 배출하는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 상기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의 산소 질소 배출 배관 및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제1질소 배출 배관에 공통으로 연결된 스프링 쿨러; 및 평상 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배관을 통해 산소가 상기 스프링 쿨러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하고, 화재 시 상기 제1질소 배출 배관을 통해 질소가 상기 스프링 쿨러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컴퓨터는 평상 시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배관의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제1질소 배출 배관의 제1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폐쇄하며, 화재 시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배관의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제1질소 배출 배관의 제1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개방한다.
상기 스프링 쿨러의 주변에 설치된 흡입 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노즐은 상기 공기 가압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산소 배출 배관 및 질소 배출 배관에 각각 결합된 산소 배출 제어 밸브 및 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산소 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퓨터는 상기 산소 측정기를 통한 평상 시 산소 농도에 따라 상기 산소 배출 제어 밸브 또는 상기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의 개방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재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퓨터는 상기 화재 감지기를 통한 화재 감지 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의 개방 각도를 감소시키거나 폐쇄하고, 상기 제1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은 공기를 가압하여 제공하는 공기 가압기; 상기 공기 가압기에 연결되어 공기중으로부터 산소와 질소를 분리하는 산소 질소 분리기;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에 연결된 제1질소 배출 배관;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제2질소 배출 배관에 연결된 소방수 탱크;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제2질소 배출 배관에 연결된 질소 응결기; 상기 질소 응결기에 연결된 액체 질소 탱크; 상기 제1질소 배출 배관, 상기 소방수 탱크 및 상기 액체 질소 탱크에 각각 제3,4질소 배출 배관을 통하여 연결된 스프링 쿨러; 및 화재 시 상기 제1,2,3,4질소 배출 배관을 통해 질소가 상기 스프링 쿨러로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컴퓨터는 평상 시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배관의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제1,3,4질소 배출 배관의 제1,3,4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폐쇄하며, 화재 시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배관의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제1,3,4질소 배출 배관의 제1,3,4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화재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퓨터는 상기 화재 감지기를 통한 화재 감지 시 상기 제1,3,4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3질소 배출 배관에 연결된 질소 가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쿨러의 주변에 설치된 흡입 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노즐은 상기 공기 가압기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평상 시와 화재 시 산소 분배 및 질소 이용 흐름이 상이한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평상 시 공기 가압기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산소 질소 분리기를 통해 산소와 질소로 분리하고, 분리된 산소와 질소를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를 통해 최적 비율로 조합한 후 스프링 쿨러를 이용하여 실내로 분사하고, 화재 시 산소 질소 분리기를 통해 분리된 질소를 3방향으로 보내되, 첫 번째 방향으로 보내지는 질소는 스프링 쿨러를 통해 직접 배출되도록 하고, 두 번째 방향으로 보내지는 질소는 소방수 탱크에 소방수와 혼합되어 화재 지점에 소방수와 함께 스프링 쿨러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며, 세 번째 방향으로 보내지는 질소는 질소 응결기를 통해 액체 질소로 생성된 후 액체 질소 탱크에 저장되었다가 스프링 쿨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평상 시에는 공기질 개선을 위해 산소와 질소 비율을 최적화하여 공급되도록 하고, 화재 시에는 산소 공급을 거의 차단하고 질소, 질소와 물을 공급하도록 한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흡입 노즐을 통해 질소 및 기타 유독 가스를 흡입하여 산소, 질소, 유독 가스를 분리하며, 유독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 다이아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의 평상 시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의 화재 시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할 수 있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컴퓨터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컴퓨터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컴퓨터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 컴퓨터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컴퓨터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100)을 도시한 블럭 다이아그램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100)은 공기 가압기(110), 산소 질소 분리기(120),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130), 소방수 탱크(140), 질소 응결기(150), 액체 질소 탱크(160), 질소 가압기(170), 스프링 쿨러(180) 및 제어 컴퓨터(1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은 흡입 노즐(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노즐(210)은 흡입 배관(211)을 통해 공기 가압기(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은 산소 질소 분리기(120)와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130)를 상호간 연결하는 산소 배출 배관(121) 및 질소 배출 배관(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소 배출 배관(121)에는 산소 배출 제어 밸브(122)가 설치될 수 있고, 질소 배출 배관(123)에는 질소 배출 제어 밸브(12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은 산소 질소 분리기(120)에 연결된 제1,2질소 배출 배관(123a, 12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질소 배출 배관(123a)은 스프링 쿨러(180)에 직접 연결되고, 제2질소 배출 배관(123b)은 소방수 탱크(140) 및 질소 응결기(150)의 입력단에 다배관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은 소방수 탱크(140), 액체 질소 탱크(160)의 출력단을 스프링 쿨러(180)에 연결하는 제3,4질소 배출 배관(123c,123d) 및 제5질소 배출 배관(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질소 배출 배관(123c)이 소방수 탱크(140)의 출력단과 제5질소 배출 배관(125)의 사이에 연결되고, 제4질소 배출 배관(123d)이 액체 질소 탱크(160)와 제5질소 배출 배관(125)의 사이에 연결되며, 제1질소 배출 배관(123a)은 제5질소 배출 배관(125)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3,4질소 배출 배관(123a,123c,123d)에 각각 제1,3,4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a,126b,126c)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은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130)를 스프링 쿨러(180)에 연결하는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에는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13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은 산소 측정기(191), 화재 감지기(192), 동력 제어기(193) 및 중계기(194)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가압기(11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 및 가압하여 산소 질소 분리기(120)에 공급하고 그리고/또는 스프링 쿨러(180)의 주변에 설치된 흡입 노즐(210)로부터 공기(예를 들면, 질소 및 유독 가스 포함)를 흡입 배관(211)을 통해 흡입한 후 산소 질소 분리기(120)에 가압하여 공급할 수 있다.
산소 질소 분리기(120)는 공기 가압기(110)에 연결되어 공기중으로부터 산소(예를 들면, 공기중 대략 21%)와 질소(예를 들면, 공기중 대략 78%)를 분리한 후, 산소 및 질소를 각각 공급한다. 여기서, 산소 질소 분리기(120)는 아르곤,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소 산화물, 황 산화물 및/또는 기타 유독 가스 등을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130)는 산소 배출 배관(121) 및 질소 배출 배관(123)을 통하여 산소 질소 분리기(120)에 연결된다.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130)는 산소 및 질소를 적절히 배합하여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을 통해 산소와 질소를 공급한다. 일례로, 산소 배출 배관(121)에 설치된 산소 배출 제어 밸브(122) 및 질소 배출 배관(123)에 설치된 질소 배출 제어 밸브(124)의 개방 각도에 따라 산소와 질소의 배합 비율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평상 시에는 대략 22%의 산소 및 대략 78%의 질소를 배합하여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을 통해 스프링 쿨러(180)에 공급한다. 또한, 일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재 시에는 대략 0~15%의 산소 및 대략 100~85%의 질소를 배합하여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을 통해 스프링 쿨러(180)에 공급한다. 여기서,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130)에 의한 산소와 질소의 배합비는 산소 측정기(191)에 의한 센싱 신호에 따라 실내공기질관리법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비율로 제어될 수 있다. 더불어, 산소는 스프링 쿨러(180) 대신에 별도로 구비된 산소 발생기 토출 노즐(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실내에 분사될 수도 있다.
소방수 탱크(140)는 다배관 형태인 제2질소 배출 배관(123b)을 통하여 산소 질소 분리기(120)에 연결됨으로써, 질소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소방수 탱크(140)에는 소방수가 미리 채워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소방수 탱크(140)를 통해 질소 가스와 소방수를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다. 더불어, 질소 가스와 물이 동시에 금속 배관(예를 들면, 제3질소 배출 배관(123c) 및 제5질소 배출 배관(125))을 통해 흐르기 때문에 금속 배관의 부식도 방지할 수 있다.
질소 응결기(150) 역시 다배관 형태인 제2질소 배출 배관(123b)을 통하여 산소 질소 분리기(120)에 연결됨으로써, 질소를 공급받는다. 질소 응결기(150)는 기체 상태의 질소를 액체 상태의 질소로 응결시킨다.
액체 질소 탱크(160)는 배관(123e)을 통하여 질소 응결기(150)에 연결된다. 따라서, 액체 질소 탱크(160)는 다량의 액체 질소를 저장하게 된다.
질소 가압기(170)는 제3질소 배출 배관(123c)을 통하여 제5질소 배출 배관(125)에 결합되어, 물, 물과 기체 질소, 기체 질소 및/또는 액체 질소를 가압하여 스프링 쿨러(180)에 공급한다.
스프링 쿨러(180)는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 및 제5질소 배출 배관(125)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5질소 배출 배관(12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3,4질소 배출 배관(123a,123c,123d)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소방수 탱크(140) 및 액체 질소 탱크(160)의 출력단과 스프링 쿨러(180)가 연결된다.
더불어,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에는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132)가 결합되어 있어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을 통한 산소와 질소의 배출량이 제어되고, 또한 제1,3,4질소 배출 배관(123a,123c,123d)에는 제1,3,4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a,126b,126c)가 결합되어 있어, 물, 물과 기체 질소, 기체 질소 및/또는 액체 질소의 배출량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컴퓨터(1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산소 배출 제어 밸브(122) 및 질소 배출 제어 밸브(124)의 개방 각도를 동력 제어기(193)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130)에 의한 산소와 질소의 배합 비율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 컴퓨터(1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132)의 개방 각도를 동력 제어기(193)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을 통한 산소 질소의 배출량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 컴퓨터(190)는 제1질소 배출 배관(123)에 결합된 제1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a), 소방수 탱크(140)의 제3질소 배출 배관(123c)에 결합된 제3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b) 및/또는 액체 질소 탱크(160)의 제4질소 배출 배관(123d)에 결합된 제4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c)의 개방 각도를 동력 제어기(193)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기체 질소, 물과 기체 질소 및/또는 액체 질소의 배출량이 제어되도록 한다.
더불어, 제어 컴퓨터(190)는 공기 가압기(110) 및 질소 가압기(170)의 동작도 동력 제어기(193)로 제어하여, 최적의 산소 및/또는 질소가 공급되도록 한다.
흡입 노즐(210)은 스프링 쿨러(180)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흡입 배관(211)을 통해 공기 가압기(110)에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보다 가벼워 실내의 상부 영역으로 상승한 질소 및 유독 가스가 신속하게 흡입 노즐(210)로 흡입되어 제거될 수 있다. 즉, 질소 및 유독 가스는 흡입 노즐(210)을 통해 공기보다 가벼운 질소 및 유독가스의 특성으로 실내 상부에 모인 질소와 유독 가스를 흡입하여 공기와 함께 산소 질소 분리기(120)로 채집한 후 재활용함으로써 화재 진압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화재 진압 후 실내에 과다 분사된 질소를 신속히 제거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산소 측정기(191)는 실내의 산소를 측정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컴퓨터(190)로 전송한다.
화재 감지기(192)는 실내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 컴퓨터(190)로 전송한다.
동력 제어기(193)는 제어 컴퓨터(190)의 제어에 따라 산소 배출 배관(121)에 설치된 산소 배출 제어 밸브(122), 질소 배출 배관(123)에 설치된 질소 배출 제어 밸브(124),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에 설치된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132), 제1질소 배출 배관(123a)에 설치된 제1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a), 제3질소 배출 배관(123c)에 설치된 제3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b), 제4질소 배출 배관(123d)에 설치된 제4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c)의 폐쇄, 개방 및 개방 각도를 제어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동력 제어기(193)는 제어 컴퓨터(190)의 제어에 따라 공기 가압기(110) 및 질소 가압기(170)의 동작 상황도 제어한다. 특히, 질소의 경우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스프링 쿨러(180)를 통한 분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나, 상술한 질소 가압기(170)에 의해 질소 분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액체 질소 탱크(160)의 출력 단에 연결된 제4,5질소 배출 배관(123d,125)은 저온으로 인하여 파손될 수 있으므로, 내부 배관과 외부 배관 그리고 그 사이에 자켓을 보온재로 보온한 후 진공 상태로 만들어 열의 침입을 방지함으로써, 제4,5질소 배출 배관(123d,12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산소 측정기(191)의 산소 측정 신호와, 화재 감지기(192)의 화재 감지 신호와, 동력 제어기(193)의 밸브를 제어하는 신호는 바로 제어 컴퓨터(190)로 전송될 수도 있지만, 중계기(194)를 경유하여 제어 컴퓨터(190)로 전송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 컴퓨터(190)와 산소 측정기(191), 화재 감지기(192), 및 동력 제어기(193)를 유선 통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의 이동식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는 중계기(194)를 경유하여 제어 컴퓨터(190)에 접근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관리자는 원격지에서도 제어 컴퓨터(190)를 조작하여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은 평상 시와 화재 시 별개로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평상 시 공기 가압기(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산소 질소 분리기(120)를 통해 산소와 질소로 분리하고, 분리된 산소와 질소를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130)를 통해 최적 비율로 조합한 후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 및 스프링 쿨러(180)를 통해 실내로 분사함으로써, 평상 시 항상 최적의 공기질을 갖는 실내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화재 시 산소 질소 분리기(120)를 통해 분리된 질소를 3방향으로 보내는데, 첫 번째 방향으로 보내지는 질소는 제1질소 배출 배관(123a), 제5질소 배출 배관(125) 및 스프링 쿨러(180)를 통해 직접 배출되도록 하고, 두 번째 방향으로 보내지는 질소는 소방수 탱크(140)에 소방수와 혼합되어 제3질소 배출 배관(123c), 제5질소 배출 배관(125) 및 스프링 쿨러(180)를 통해 화재 지점에 소방수와 함께 스프링 쿨러(180)를 통해 분사되도록 하며, 세 번째 방향으로 보내지는 질소는 질소 응결기(150)를 통해 액체 질소로 생성된 후 액체 질소 탱크(160)에 저장되었다가 제4질소 배출 배관(123d), 제5질소 배출 배관(125) 및 스프링 쿨러(18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시 산소 공급을 거의 차단하고 기체 질소, 기체 질소와 물 및/또는 액체 질소에 의해 화재가 신속하게 진압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은 흡입 노즐(210)을 통해 질소 및 기타 유독 가스를 흡입하여 산소, 질소, 유독 가스를 분리한 후, 유독 가스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평상 시 및/또는 화재 시 실내의 공기질을 신속하게 회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은 화재 발생 지역에 질소 및 소방수의 비율을 높이고, 대피로에는 산소 및 소방수의 비율을 높임으로써, 대피중 질식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은 화재성상 단계별로 화재 발생 초기, 성장기, 최성기, 감쇠기별로 질소, 산소, 소방수의 분사 비율을 적절히 분배함으로써,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은 소방수를 사용할 수 없는 전기 및 유류 화재의 경우 고압 질소 분사만으로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잔불은 소방수로 완전이 진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100)의 평상 시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의 평상 시 동작 방법은 공기 가압 단계(S21), 산소 질소 분리 단계(S22), 산소 질소 비율 조정 단계(S23) 및 스프링 쿨러(180)를 통한 분사 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의 주체는 제어 컴퓨터(190)일 수 있으며,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기 가압 단계(S21)에서, 제어 컴퓨터(190)는 공기 가압기(110)를 동작시켜 외부 또는 스프링 쿨러(180)의 주변에 설치된 흡입 노즐(21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가압하여 산소 질소 분리기(120)에 공급하도록 한다.
산소 질소 분리 단계(S22)에서, 제어 컴퓨터(190)는 산소 질소 분리기(120)를 동작시켜 공기중으로부터 산소와 질소를 분리하여, 필요 개소에 공급한다. 일례로, 산소 질소 분리기(120)는 공기중 대략 21%의 산소와 대략 78%의 질소를 분리하여, 필요 개소에 공급한다.
산소 질소 비율 조정 단계(S23)에서, 제어 컴퓨터(190)는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130)를 동작시켜 산소와 질소가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도록 한다. 일례로, 제어 컴퓨터(190)는 산소 배출 배관(121)에 설치된 산소 배출 제어 밸브(122) 및 질소 배출 배관(123)에 설치된 질소 배출 제어 밸브(124)의 개방 각도를 각각 제어하여, 산소와 질소가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어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일례로, 평상 시 산소 대략 22%, 질소 대략 78%로 혼합되어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스프링 쿨러(180)를 통한 분사 단계(S24)에서, 제어 컴퓨터(190)는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에 설치된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132)의 개방 각도를 제어하여, 적절한 비율로 혼합된 산소와 질소가 스프링 쿨러(180)를 통해 실내에 분사되도록 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비율로 혼합된 산소와 질소는 스프링 쿨러(180) 대신 별도로 설치된 산소 발생기 토출 노즐(미도시)을 통해 실내로 분사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100)의 화재 시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100)의 화재 시 동작 방법은 공기 가압 단계(S31), 산소 질소 분리 단계(S32), 산소 질소 비율 조정 단계(S33), 기체 질소와 소방수 혼합 공급 단계(S34), 액체 질소 공급 단계(S35) 및 스프링 쿨러(180)를 통한 분사 단계(S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의 주체는 제어 컴퓨터(190)일 수 있으며,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더불어, 공기 가압 단계(S31), 산소 질소 분리 단계(S32), 산소 질소 비율 조정 단계(S33)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산소 질소 비율 조정 단계(S33)에서 화재 시 산소 대략 0~15%, 질소 대략 100~85%로 혼합되어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기체 질소와 소방수 혼합 공급 단계(S34)에서, 제어 컴퓨터(190)는 소방수 탱크(140)를 제어하여, 산소 질소 분리기(120)로부터 분리된 질소가 제2질소 배출 배관(123b)을 통해 소방수 탱크(140)로 공급되도록 하고 또한 일정량의 물이 소방수 탱크(140)로 공급되도록 한다.
액체 질소 공급 단계(S35)에서, 제어 컴퓨터(190)는 질소 응결기(150) 및 액체 질소 탱크(160)를 제어하여, 산소 질소 분리기(120)로부터 분리된 질소가 제2질소 배출 배관(123b)을 통해 질소 응결기(150)에 공급되도록 하고, 또한 질소가 질소 응결기(150)에서 응결되어 액체 질소 탱크(160)에 공급되도록 한다.
스프링 쿨러(180)를 통한 분사 단계(S36)에서, 제어 컴퓨터(190)는 제1질소 배출 배관(123a)에 설치된 제1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a), 소방수 탱크(140)의 출력단인 제3질소 배출 배관(123c)에 설치된 제3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b), 액체 질소 탱크(160)의 출력단인 제4질소 배출 배관(123d)에 설치된 제4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c) 및 산소 질소 배출 배관(131)에 설치된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132)를 각각 개방시킴으로써, 기체 질소, 물, 액체 질소가 혼합된 채로 스프링 쿨러(180)를 통해 실내에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화재의 종류에 따라 액체 질소 탱크(160)의 출력단인 제4질소 배출 배관(123d)에 설치된 제4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c)는 폐쇄 상태로 제어하여 액체 질소가 분사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소방수 탱크(14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냉각되어 스프링 쿨러(180)를 막을 수 있음) 이에 따라, 스프링 쿨러(180)를 통해 기체 질소와 소방수만이 실내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화재의 종류에 따라 소방수 탱크(140)의 출력단인 제3질소 배출 배관(123c)에 설치된 제3질소 배출 제어 밸브(126b)는 폐쇄 상태로 제어하여 소방수가 분사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쿨러(180)를 통해 기체 질소와 액체 질소만이 실내로 분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 공조 시스템
110; 공기 가압기 120; 산소 질소 분리기
121; 산소 배출 배관 122; 산소 배출 제어 밸브
123; 질소 배출 배관
123a, 123b, 123c, 123d; 제1,2,3,4질소 배출 배관
124; 질소 배출 제어 밸브
125; 제5질소 배출 배관
126a, 126b, 126c; 제1,3,4질소 배출 제어 밸브
130;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
131; 산소 질소 배출 배관
132;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
140; 소방수 탱크
150; 질소 응결기 160; 액체 질소 탱크
170; 질소 가압기 180; 스프링 쿨러
190; 제어 컴퓨터 191; 산소 측정기
192; 화재 감지기 193; 동력 제어기
194; 중계기 210; 흡입 노즐
211; 흡입 배관

Claims (11)

  1. 공기를 가압하여 제공하는 공기 가압기;
    상기 공기 가압기에 연결되어 공기중으로부터 산소와 질소를 분리하는 산소 질소 분리기;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산소 배출 배관 및 질소 배출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산소와 질소의 비율을 조정하여 배출하는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
    상기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의 산소 질소 배출 배관 및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제1질소 배출 배관에 공통으로 연결된 스프링 쿨러; 및
    평상 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배관을 통해 산소가 상기 스프링 쿨러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하고, 화재 시 상기 제1질소 배출 배관을 통해 질소가 상기 스프링 쿨러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퓨터는 평상 시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배관의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제1질소 배출 배관의 제1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폐쇄하며, 화재 시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배관의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제1질소 배출 배관의 제1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개방하는, 소방 공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쿨러의 주변에 설치된 흡입 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노즐은 상기 공기 가압기에 연결된, 소방 공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산소 배출 배관 및 질소 배출 배관에 각각 결합된 산소 배출 제어 밸브 및 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더 포함하는, 소방 공조 시스템.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산소 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퓨터는 상기 산소 측정기를 통한 평상 시 산소 농도에 따라 상기 산소 배출 제어 밸브 또는 상기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의 개방 각도를 제어하는, 소방 공조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퓨터는 상기 화재 감지기를 통한 화재 감지 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의 개방 각도를 감소시키거나 폐쇄하고, 상기 제1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개방하는, 소방 공조 시스템.
  7. 공기를 가압하여 제공하는 공기 가압기;
    상기 공기 가압기에 연결되어 공기중으로부터 산소와 질소를 분리하는 산소 질소 분리기;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산소 배출 배관 및 질소 배출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산소와 질소의 비율을 조정하여 배출하는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에 연결된 제1질소 배출 배관;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제2질소 배출 배관에 연결된 소방수 탱크;
    상기 산소 질소 분리기의 제2질소 배출 배관에 연결된 질소 응결기;
    상기 질소 응결기에 연결된 액체 질소 탱크;
    상기 산소 질소 비율 조정기의 산소 질소 배출 배관, 상기 제1질소 배출 배관, 상기 소방수 탱크 및 상기 액체 질소 탱크에 각각 제3,4질소 배출 배관을 통하여 공통으로 연결된 스프링 쿨러; 및
    평상 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배관을 통해 산소가 상기 스프링 쿨러를 통해 분사되도록 제어하고, 화재 시 상기 제1,2,3,4질소 배출 배관을 통해 질소가 상기 스프링 쿨러로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퓨터는 평상 시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배관의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제1,3,4질소 배출 배관의 제1,3,4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폐쇄하며, 화재 시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산소 질소 배출 배관의 산소 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스프링 쿨러에 연결된 상기 제1,3,4질소 배출 배관의 제1,3,4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개방하는, 소방 공조 시스템.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컴퓨터는 상기 화재 감지기를 통한 화재 감지 시 상기 제1,3,4질소 배출 제어 밸브를 개방하는, 소방 공조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질소 배출 배관에 연결된 질소 가압기를 더 포함하는, 소방 공조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쿨러의 주변에 설치된 흡입 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노즐은 상기 공기 가압기에 연결된, 소방 공조 시스템.
KR1020180107842A 2018-09-10 2018-09-10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 KR101965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42A KR101965865B1 (ko) 2018-09-10 2018-09-10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842A KR101965865B1 (ko) 2018-09-10 2018-09-10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865B1 true KR101965865B1 (ko) 2019-04-05

Family

ID=6610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842A KR101965865B1 (ko) 2018-09-10 2018-09-10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8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840A (ko) * 2020-08-20 2022-03-03 이연호 Ess 전용 자동소화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509B1 (ko) * 2003-11-13 2004-05-20 이원일 질소가스와 소화수을 이용한 안개분무 소화 장치
KR20100110168A (ko) * 2009-04-02 2010-10-12 주식회사 시뮬레이션테크 능동형 선박화재 예방시스템
KR101010682B1 (ko) * 2003-10-07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선 공기 발생장치 및 발생방법
KR101019087B1 (ko) * 2008-09-19 2011-03-07 (주)한국소방리더스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 시스템
KR20150022075A (ko) * 2013-08-22 2015-03-04 주식회사 엔에프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682B1 (ko) * 2003-10-07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선 공기 발생장치 및 발생방법
KR100432509B1 (ko) * 2003-11-13 2004-05-20 이원일 질소가스와 소화수을 이용한 안개분무 소화 장치
KR101019087B1 (ko) * 2008-09-19 2011-03-07 (주)한국소방리더스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 시스템
KR20100110168A (ko) * 2009-04-02 2010-10-12 주식회사 시뮬레이션테크 능동형 선박화재 예방시스템
KR20150022075A (ko) * 2013-08-22 2015-03-04 주식회사 엔에프 간이시설 내부 공기의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840A (ko) * 2020-08-20 2022-03-03 이연호 Ess 전용 자동소화장치
KR102390597B1 (ko) * 2020-08-20 2022-04-27 이지에스주식회사 Ess 전용 자동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31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d/or monitoring the air tightness of an enclosed room
RU256549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KR101965865B1 (ko)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
KR101062436B1 (ko) 소방 방법 및 장치
US20190192892A1 (en) Inert Gas Remote Driver Liquid Fire Suppression Systems
US20160152344A1 (en) Fire extinction design for an auxiliary power unit compartment of an aircraft
CN107106881B (zh) 用于防止和/或熄灭火灾的方法和系统
CN104368105A (zh) 一种组合分配式自动气体防火安全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181574B1 (ko) 소방 탱크를 이용한 원자력 발전소용 미분무수 소화 장치
US3590924A (en) Dual nozzle sprinkler head
US20190329081A1 (en) Fire protection system for an enclosure and method of fire protection for an enclosure
JP2009291729A (ja) 温泉水のガス分離装置
CN109459997A (zh) 一种组合式发电厂防火防爆吹扫系统及控制方法
KR20200030330A (ko) 주제어실 이중바닥 공간 화재진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JP2007061519A (ja) 水素製造・貯蔵装置の防災設備
US10864395B2 (en) Wet-dry fire extinguishing agent
KR20180128270A (ko) 증발 냉방 장치와 연동되는 화재 확산 지연 장치
JP2018075239A (ja) 消火設備及び消火方法
JPH11197264A (ja) 消火設備
JP6499035B2 (ja) 消火設備
JP4184647B2 (ja) 消火器および中和器
JP2017038789A (ja) 水素ステーションの防災設備
CN215608970U (zh) 一种改进的全氟己酮柜式灭火装置
JP4156824B2 (ja) トンネル内消火システム
CA2885112A1 (en) Fire supression flow control system apparatus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