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087B1 -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087B1
KR101019087B1 KR1020080091948A KR20080091948A KR101019087B1 KR 101019087 B1 KR101019087 B1 KR 101019087B1 KR 1020080091948 A KR1020080091948 A KR 1020080091948A KR 20080091948 A KR20080091948 A KR 20080091948A KR 101019087 B1 KR101019087 B1 KR 101019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efied nitrogen
gas
fire extinguishing
fire
extinguish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003A (ko
Inventor
이연호
이화전
Original Assignee
(주)한국소방리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소방리더스 filed Critical (주)한국소방리더스
Priority to KR102008009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0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컴프레셔(10)로부터 압축된 기체를 공급받아, 액화질소를 발생시키는 액화질소제너레이터(20)를 구비하고, 상기 액화질소제너레이터(20)로부터 액화질소를 공급받는 액화질소 저장탱크(30)와, 상기 액화질소 저장탱크(30)로부터 각각의 실(室)로 연결되는 배관라인(40)을 형성하고, 상기 배관라인(40)으로부터 분기되는 각 분기관(50) 단부에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개폐되도록 연결되는 노즐(60)과, 상기 각 실(室)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기의 동작 상태를 인가하여, 상기 각 노즐(60)의 솔레노이드(S/V)를 개폐하기 위한 컨트를유닛(70)을 구비하여,
반도체 제조공장 등의 클린룸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할로겐화합물이나 이산화탄소, 물 등을 이용한 소화설비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을 하지 못하는 TMA(트릴메탈알콜), MPA, TEMAZ 등의 고인화성케미컬에 의한 화재 발생시, 효율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함은 물론 액화질소의 원할한 충진 작업이 실시간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액화질소의 저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가스 상태의 질소 저장 용기보다는 상당히 작은 용기에서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전체적인 설비 규모의 현저한 축소 및 이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 등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액화질소, 가스계 소화시스템, 액화질소제너레이터, 분기관, 노즐, 컨트롤유닛

Description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 시스템{LIQUEFIED NITROGEN GENERATOR UTILIZABLE GAS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비교적 고가의 첨단 장비 등이 설치되는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특히 가스계 소화약제인 하론, CO2 나 분말 소화기, 물 등으로 화재가 진압되지 못하는 경우인 고인화성 케미칼에 의한 화재 발생시, 이를 빠르게 진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 시스템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나 공장 또는 건축물 등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일반적으로 가스계 소화약제인 하론, CO2 나 분말 소화기, 물 등을 고압 분사하여 진화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가스계 소화약제의 종류는 매우 다양한바, 전 세계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명치 표기에 따라 열거하면, 아래의 표와 같이 나눌 수 있다.


할로겐화물 소화약제
(Halogenated Fire Extinguishing Agents)
하론1301(브로모트리플루오로메탄; Bromotrifluoromethane)
하론1211(브로모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 Bromochlorodifluoromethane)
하론2402(디브로모테트라플루오로에탄 ; Dibromotetrafluoroethane)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청정소화약제류
(Fire extinguishing clean agents)
FC-2-1-8(퍼플루오로프로판; Perfluoropropane)
FC-3-1-8(퍼플루오로부탄; Perfluorobutane)
HCFC BLEND A
HCFC-123(디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Dichlorotrifluoroethane) 4.75%(중량백분율)
HCFC-22(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 Chlorodifluoromethane) 82%(중량백분율)
HCFC-124(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 Chlorotetrafluoroethane) 9.5%(중량백분율)
이소프로페닐-1-메틸시클로헥센(Isopropenyl-1-methylcyclohexene)3.75%(중량백분율)
HCFC-124(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 Chlorotetrafluoroethane)
HFC-125(펜타플루오로에탄 ; Pentafluoroethane)
HFC-227ea(헵타플루오로프로판 ; Heptafluoropropane)
HFC-23(트리플루오로메탄 ; Trifluoromethane)
HFC-236fa(헥사플루오로프로판 ; Hexafluoropropane)
FIC-1311(트리플루오로이오다이드 ; Trifluoroiodide)
IG 계열의 가스류
IG-01 (알곤)
IG-100(질소)
IG-541(아래 세가지 기체 혼합물)
질소(N2) 52%(체적백분율)
알곤(Ar) 40%(체적백분율)
이산화탄소(CO2) 8%(체적백분율)
IG-55(아래 두가지 기체 혼합물)
질소(N2) 50%(체적백분율)
알곤(Ar) 50%(체적백분율)
상기 가스계의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기존의 소화시스템은 그것이 엔지니어드 시스템이든 프리엔지니어드 시스템이든 소화약제를 충전한 전용의 약제저장용기를 공히 소화약제의 확보를 위한 시스템의 필수적 구성요소로 삼고 있는데, 상기 가스 계 소화약제들 중 IG 계열의 것은 상온에서 용기 속에 오직 기체 상태로만 저장 가능한 반면에, 그 밖의 소화약제들은 상온에서 고증발성의 액화상태로 저장된다. IG 계열의 기체류가 액화 저장될 수 없는 것은 임계온도(Critical Temperature)가 극히 낮은 물질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IG 계열의 소화약제를 제한된 크기의 용기 속에 상온에서 다량 저장하려면 매우 큰 압력(통상 100 kg/㎠ 이상)의 압축기체 상태로 충전해 둘 수밖에 없다.
그런데, IG 계열의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기존의 소화시스템은 약제저장용기 속 기체의 고압력 만으로도 소화에 필요한 량이 기준시간 이내에 방사노즐로부터 방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용기 속에 상온에서 액화상태로 저장되는 소화약제들 중 포화증기압이 매우 큰 상기 HFC-23(상온 20 ℃ 기준에서 약 43 kg/㎠ 의 포화증기압을 갖고 있음) 및 이산화탄소(상온 20℃ 기준에서 약 60 kg/㎠ 의 포화증기압을 갖고 있음)를 제외하고는 모두 용기 속에 질소가스를 추가적으로 보충 충전하여 충분히 큰 압력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이른바 축압방식으로 하여 기준시간 내에 방사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소화에 필요한 약제량의 기준 방사시간으로는 할로겐족 원소(불소-F, 염소-Cl, 취소-Br 또는 옥소-I)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약제의 경우 10초 이하, 그 밖의 것은 60초 이하가 국내외적으로 표준화 되어 있는바, 할로겐족 원소가 결합된 약제는 연소의 배경이 되는 발열산화반응에 대해 부촉매로 작용하여 발열 산화 반응의 억제를 통해 연소를 중지시키는 화학적 기능으로 소화의 결과를 얻게 하는 반면에(이와 같은 소화 원리를 소방공학분야에서는 '연쇄반응 차단소화'라고 함), 그 밖의 약제는 연소중인 물질 주위의 산소를 물리적으로 결핍(즉 희석)케하여 연소를 중지시키는, 이른바 희석소화('질식소화'라고도 함)의 원리가 적용되는 소화원리의 차이성 때문이다.
특히,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가스계 소화약제를 이용할 경우 지속적인 충진 여부에 따라 화재 진압 효율이 달라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유지 작업 및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가스계 소화약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한 것으로, 할로겐화합물, 이산화탄소, 물 등을 이용하는 소화설비 등으로도 화재 진압을 하지 못하는, TMA(트릴메탈알콜), MPA, TEMAZ 등의 고인화성케미컬에 의한 화재 발생시에 유효한 화재 진압을 위해 액화질소를 채택하도록 하되, 액화질소 충진 작업이 실시간 이루어지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영역으로 액화질소 분사 영역이 360 °의 범위에서 분사되도록 하여 짧은 시간내에 효율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컴프레셔(10)로부터 압축된 기체를 공급받아, 액화질소를 발생시키는 액화질소제너레이터(20)를 구비하고, 상기 액화질소제너레이터(20)로부터 액화질소를 공급받는 액화질소 저장탱크(30)와, 상기 액화질소 저장탱크(30)로부터 각각의 실(室)로 연결되는 배관라인(40)을 형성하고, 상기 배관라인(40)으로부터 분기되는 각 분기관(50) 단부에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개폐되도록 연결되는 노즐(60)과, 상기 각 실(室)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기의 동작 상태를 인가하여, 상기 각 노즐(60)의 솔레노이드(S/V)를 개폐하기 위한 컨트를유닛(70)을 구비하여서 되는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제조공장 등의 클린룸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할로겐화합물이나 이산화탄소, 물 등을 이용한 소화설비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을 하지 못하는 TMA(트릴메탈알콜), MPA, TEMAZ 등의 고인화성케미컬에 의한 화재 발생시, 효율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함은 물론 액화질소의 원할한 충진 작업이 실시간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액화질소의 저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가스 상태의 질소 저장 용기보다는 상당히 작은 용기에서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전체적인 설비 규모의 현저한 축소 및 이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 등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등의 공장 클린룸이나, 기타 고가의 전자기기가 설치되는 통신기기실, 발전기, 변압기, 전기설비실이나 기계실, 전시실 및 전자계산기실이나, 방송시설, 항공 관제실, 제어실 등에서 화재가 발생 될 경우 고가의 제품이 파괴됨은 물론,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TMA(트릴메탈알콜), MPA, TEMAZ 등의 고인화성케미컬에 의한 화재 발생시에는 통상의 할로겐화합물, 이산화탄소, 물 등을 이용한 소화설비 등으로도 화재 진압을 하지 못하게 되고, 특히 물을 이용하는 경우에 는 케미칼과 물이 반응하여 폭발을 촉진할 우려가 있어, 액화질소를 이용하여 소화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시스템을 갖는다.
즉, 기체를 압축하기 위한 에어컴프레셔(10)와, 상기 에어컴프레셔(10)로부터 압축된 기체를 공급받아 액화질소를 발생시키는 액화질소제너레이터(20)와, 상기 액화질소제너레이터(20)로부터 액상으로 변환된 액화질소를 공급받아 저장되는 액화질소 저장탱크(30)와, 상기 액화질소 저장탱크(30)로부터 연결되는 배관라인(40)과, 상기 배관라인(40)으로부터 각각 분기되는 분기관(50)과, 상기 분기관(50)에 구비되는 노즐(60) 및 상기 노즐(60)에서 액화질소의 분사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액화질소제너레이터(20)는 Nitrogen Gas Generator인 CMS(Carbon Molecular Sieve)를 사용하여 공기에서 압력을 변화시켜 흡착과 탈착을 함으로써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는 PSA 모듈을 채택하여 99 ~ 99.9995 % 이상의 안정적이고 높은 순도의 질소 가스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PSA(Pressurs Swing Adsorption)은 모듈에 의한 질소발생장치의 공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흡착탑 내의 압력을 선택한 조업 조건의 흡착 압력으로 높여주는 가압단계 변경(Pressurization Step)과, 일정한 흡착 압력에서 질소가스를 생성하는 단계인 흡착단계(Adsorption Step), 흡착탑 내를 재생하기 위한 감압단계(Blow Down Step), 흡착 탑의 완전한 재생을 이루기 위한 세정 단계(Purge Step), 손실되는 에너지의 일부를 사용하여 손실을 줄이기 위한 압력 균등화 단계(Pressure Equalization Step) 등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얻게 되는 액화질소(液體窒素, liquid nitrogen)는 대기 압력 하에서 -196℃에서 액체로 존재한다. 임계온도는 -146.9℃이며, 임계압력은 33.5atm이다. 끓는점은 l atm 하에서 -196℃로, 기체상태의 체적보다는 무려 700 배 정도의 작은 체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채택되는 액화질소 저장탱크(30)는 기체상태의 질소가스를 저장할 때의 탱크 용적보다는 700배 가까이 축소될 수 있어, 액화질소 저장탱크(30)의 설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액화질소 저장탱크(30)는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의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는바, 83 L의 용기에 질소소화약제를 통상 20℃의 대기압 상태에서 20.3 ㎥ 이 되도록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액화질소 저장탱크(30)내의 압력은 21 ℃에서 28MPa(35 ℃에서 약 29.7MPa)이 된다. 또한, 액화질소 저장탱크(30)에는 질소소화약제의 누설을 방지하고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작동시 액화질소 저장탱크(30)의 방출압력을 10.8 MPa이하로 감압시키는 감압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액화질소 저장탱크(30)로부터 각 실(室)마다 연결되는 주 배관라인(40)을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배관라인(40)으로부터 각 실(室)로 분기되는 분기관(50)이 구비된다.
상기 분기관(50) 단부측으로는 노즐(60)이 구비되고, 상기 배관라인(40)으로부터 분기관(50)의 단락 유무를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분기관(50)으로부터 그 단부측의 노즐(60)간을 단속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노즐(60)은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액화질소가 기화된 상태에서 배관을 통해 상기 분기관(50)으로 유도되며 상기 노즐(60)에서 분사되어질 때 360° 방향으로 회전되며 분사되도록 하여, 화재영역이 노즐(60)로부터 떨어져 있다 하더라도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 전역에 균일하고 신속하게 확산 분사 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러한 효율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노즐(60)로부터 분사되는 액화질소의 분사압력은 2.0 MPa(20.4 Kg/㎠) 이상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효과를 갖기 위해 상기 노즐(60)은 분기관(50) 단부측에 결합되기 위한 중앙 내부가 통공 된 형태를 갖는 결합몸체(61)와, 상기 결합몸체(61) 하단측과 연결하되 360°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연결체(62)와, 상기 연결체(62)와 고정되어 연결체(62)의 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되는 회전몸체(6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체(62)와 회전몸체(63) 중앙부는 모두 관통되는 중공 형태를 갖는다.
미설명부호 61a, 62a, 63a 는 각 결합몸체(61)와 연결체(62) 및 회전몸체(63)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이다.
상기 결합몸체(6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몸체(61) 상방 내주면으 로 분기관(50)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61b)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연결체(62) 내부로 진입되어 액화질소가이더(66)가 고정되도록 하면서, 하부측으로는 상기 회전몸체(63) 상단 내주면과 나사 결합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액화질소가이더(66)와 연결체(62) 및 회전몸체(63)는 액화질소의 분사 과정에서 서로 동일하게 연동하며 회전되어진다.
미설명부호 66a와 62b는 각각 액화질소가이더(66) 외주면과 연결체(62) 외주면에 천공되는 체결공으로, 볼트(B)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몸체(63)의 최하단부와 외주면으로는 상기의 통공(63a)와 연결되는 제1분사공(64)과 제2분사공(65)을 각각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분사공(64)는 회전몸체(63) 통공(63a)와 연결되면서 하단면을 관통하는 분사공을 의미하며, 제2분사공(65)은 회전몸체(63)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통공(63a)과 연결되는 분사공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회전몸체(63)의 최하단으로 내주면으로 상기한 최하단부의 제1분사공(64)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테이퍼면(64a)를 형성하여, 분기관(50)으로부터 유도되는 액화질소가 노즐(60)측으로 유도되었을 때 상기 테이퍼면(64a)을 따라 밖으로 분사되어질 때, 그 분사압력에 의해 회전몸체(63) 내부에서 테이퍼면(64a)에 의해 와류가 유도되며 상기 회전몸체(63)를 회전시킬 수 있는 원심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몸체(63)와 결합몸체(61)간을 연결하되 자유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기 연결체(62)가 강한 분사압력에 의해 어 느 일방향으로 360°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액화질소의 분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발화지점의 산소를 희석하며 빠른 진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60)의 제1,2분사공(64,65)을 통해 분사되는 액화질소의 광범위한 분사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도 2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분사공(64) 외면으로 가이드홈(64b)을 형성하고, 제2분사공(65) 외면 즉 회전몸체(63)의 외주면측으로 회전몸체(6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65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각의 가이드홈(64b,65a)을 통해 액화질소가 고압으로 분사되어질 때, 가이드홈(64b,65a)의 절개된 부분에 의해 액화질소가 더욱 확산 분사될 수 있게 됨은 물론, 외부로 분사되는 압력이 각 가이드홈(64b, 65a)의 내면에 맞닿으며 연결체(62)와 회전몸체(63)의 회전력을 더욱 배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를 위해 즉 회전몸체(63)의 회전력을 더욱 배가하면서도 측방으로의 액화질소 분사 확산 영역을 더욱 넓게 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분사공(65)으로부터 완만한 곡선면을 갖도록 가이드홈(65a)을 형성하여, 액화질소가 상기 제2분사공(65)을 통해 분사되어질 때 상기 가이드홈(65a)의 완만한 곡선면을 따라 확산 분포되도록 하므로서, 보다 넓은 영역으로의 액화질소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60)과 분기관(50) 사이 및 상기 각 분기관(50)과 메인 배관라 인(40)간을 각각 단락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S/V)를 구비하고, 아울러 각 실(室)에서의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화재감지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화재감지기에서의 화재 발생 유무에 대한 신호는 컨트롤유닛(70)의 제어반측으로 인가되도록 하고, 그 인가된 신호에 따라 화재감지기가 작동된 실(室)로 연결되는 분기관(50)측으로 액화질소가 공급되도록 해당 솔네노이드밸브(S/V)를 개방시킴은 물론, 해당 분기관(50) 단부측에 구비되는 노즐(60)을 통해 액화질소가 분사 되도록 분기관(50)과 노즐(60)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S/V)를 개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유닛(70)은 상기한 액화질소제너레이터(20)에서의 실시간 액화질소의 생성 유무를 판단하도록 하고 있다.
즉, 액화질소저장탱크(30)내에 일정 내부압력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유닛(70)에 의해 에어컴프레셔(10)와 액화절소제너레이터(20)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이로부터 생성되는 액화질소는 상기 액화질소저장탱크(30)측으로 유입, 충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충진 과정은 액화질소저장탱크(30)내의 압력 변이에 따라 실시간 충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항상 액하질소저장탱크(30)내 액화질소는 적정 압력에서의 충진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소화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노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노즐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에어컴프레셔 20; 액화질소제너레이터
30; 액화질소 저장탱크 40; 배관라인
50; 분기관 60; 노즐
61; 결합몸체 61a, 62a, 63a; 통공
61b; 결합구 62; 연결체
62b; 체결공 63; 회전몸체
64; 제1분사공 64a; 테이퍼면
64b; 가이드홈 65; 제2분사공
65a; 가이드홈 66; 액화질소가이더
66a; 체결공 70; 컨트롤유닛
S/V ; 솔레노이드밸브

Claims (9)

  1. 에어컴프레셔(10)로부터 압축된 기체를 공급받아, 액화질소를 발생시키는 액화질소제너레이터(20)를 구비하고, 상기 액화질소제너레이터(20)로부터 액화질소를 공급받는 액화질소 저장탱크(30)와, 상기 액화질소 저장탱크(30)로부터 각각의 실(室)로 연결되는 배관라인(40)을 형성하고, 상기 배관라인(40)으로부터 분기되는 각 분기관(50) 단부에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개폐되도록 연결되는 노즐(60)과, 상기 각 실(室)에서의 화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기의 동작 상태를 인가하여, 상기 각 노즐(60)의 솔레노이드(S/V)를 개폐하기 위한 컨트를유닛(70)을 구비하여서 되는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즐(60)은 상기 분기관(50) 단부측에 결합 되기 위한 중앙 내부가 통공 된 형태를 갖는 결합몸체(61)와, 상기 결합몸체(61) 하단측과 연결하되 360°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연결체(62)와, 상기 연결체(62)와 고정되어 연결체(62)의 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되는 회전몸체(63)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체(62)와 회전몸체(63) 중앙부는 모두 관통되는 중공 형태를 갖으며, 상기 회전몸체(63)의 최하단부와 외주면으로는 회전몸체(63) 중앙을 관통하는 통공(63a)과 연결되는 제1분사공(64)과 제2분사공(65)을 각각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63)의 최하단으로 내주면으로 상기한 최하단부의 제1분사공(64) 내측으로 테이퍼지는 테이퍼면(64a)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공(64) 외면으로 가이드홈(64b)을 형성하고, 제2분사공(65) 외면 즉 회전몸체(63)의 외주면측으로 회전몸체(6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홈(65a)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65a)는 상기 제2분사공(65)으로부터 완만한 곡선면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61)는 상기 분기관(50)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61b)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연결체(62) 내부로 진입되어 액화질소가이더(66)가 고정되도록 하며, 하부측으로는 상기 회전몸체(63) 상단 내주면과 나사 결합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시스템.
KR1020080091948A 2008-09-19 2008-09-19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 시스템 KR101019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948A KR101019087B1 (ko) 2008-09-19 2008-09-19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948A KR101019087B1 (ko) 2008-09-19 2008-09-19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003A KR20100033003A (ko) 2010-03-29
KR101019087B1 true KR101019087B1 (ko) 2011-03-07

Family

ID=4218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948A KR101019087B1 (ko) 2008-09-19 2008-09-19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0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865B1 (ko) * 2018-09-10 2019-04-05 이의석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
KR20220023840A (ko) * 2020-08-20 2022-03-03 이연호 Ess 전용 자동소화장치
WO2023173160A1 (en) * 2022-03-15 2023-09-21 Woodside Energy Technologies Pty Ltd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878B1 (ko) * 2010-07-29 2013-06-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화학반응을 이용한 미세 물분무 소화시스템
KR101297424B1 (ko) * 2011-07-27 2013-08-14 이재홍 화재방지수단을 갖는 풍력발전장치
KR101236828B1 (ko) * 2011-08-26 2013-0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GB2498389B (en) 2012-01-15 2016-04-06 Alan Beresford A combined cooling and fire suppression/extinguishing system employing liquid nitrogen in a continuously operating ventilation system
KR101301344B1 (ko) * 2012-11-30 2013-08-29 김래성 가스 자동소화설비의 화이어 락아웃 시스템
KR101301426B1 (ko) * 2012-11-30 2013-08-28 김래성 가스자동소화설비의 화이어 락아웃 장치
CN104069606A (zh) * 2013-03-30 2014-10-01 滕州市通达电子有限公司 智能控制氮气灭火器
CN105464696B (zh) * 2015-12-25 2018-07-06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液氮增压防火灭火系统和方法
RU2766070C2 (ru) * 2020-08-07 2022-02-0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раснодарский Компрессорный завод»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и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сельхозугодий, степных и лесных массивов атмосферным азотом
CN115957463A (zh) * 2022-12-15 2023-04-14 国网新疆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用于电缆沟的移动液氮灭火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317Y1 (ko) * 2002-09-27 2003-01-30 이기원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KR20030093852A (ko) * 2002-06-05 2003-12-11 이원일 질소가스를 이용한 증류수 미분무 소화 시스템
KR20040089968A (ko) * 2003-04-15 2004-10-22 이원일 질소가스와 소화액을 이용한 미분무 소화 장치
JP2008081371A (ja) * 2006-09-28 2008-04-10 Hitachi Ltd ガス発生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消火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852A (ko) * 2002-06-05 2003-12-11 이원일 질소가스를 이용한 증류수 미분무 소화 시스템
KR200302317Y1 (ko) * 2002-09-27 2003-01-30 이기원 자동식 소화기용 노즐장치
KR20040089968A (ko) * 2003-04-15 2004-10-22 이원일 질소가스와 소화액을 이용한 미분무 소화 장치
JP2008081371A (ja) * 2006-09-28 2008-04-10 Hitachi Ltd ガス発生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消火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865B1 (ko) * 2018-09-10 2019-04-05 이의석 공기질 개선을 위한 산소 분배 및 질소를 이용한 소방 공조 시스템
KR20220023840A (ko) * 2020-08-20 2022-03-03 이연호 Ess 전용 자동소화장치
KR102390597B1 (ko) * 2020-08-20 2022-04-27 이지에스주식회사 Ess 전용 자동소화장치
WO2023173160A1 (en) * 2022-03-15 2023-09-21 Woodside Energy Technologies Pty Ltd Fire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003A (ko) 201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087B1 (ko) 액화질소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스계 소화 시스템
US11202929B2 (en) Fire engine
KR100408578B1 (ko) 소화제의기압분사방법
CN202802579U (zh) 二氧化碳自动灭火系统
CN110101993B (zh) 一种锂离子电池储能柜的火灾防控方法
EP1534394B1 (en) Automatic foam fire fighting equipment especially used as fixed installation equipment for fire fighting of large hydrocarbon storage tanks
JP2007319281A (ja) 消火装置、消火剤の生成方法、及び消火剤
CN115591152A (zh) 应用于开敞空间的远程气体灭火抑爆系统及其使用方法
KR20190034840A (ko) 소방장치
Log et al. ‘Water mist’for fire protection of historic buildings and museums
CN111589017B (zh) 一种天花板内置式全氟己酮灭火系统及灭火方法
KR101777301B1 (ko) 드라이아이스 생성방지용 전열기가 구비된 원자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방출시스템
CN105477808A (zh) 一种适用于多种类型火灾的灭火器
CN203790484U (zh) 一种悬挂式水雾灭火装置
KR101034564B1 (ko)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이용한 자동소화장치
KR101168210B1 (ko) 화재진압용 복합형 소화장치
CN108825293A (zh) 煤矿液态二氧化碳管道直接注入灭火装置
JP2001333994A (ja) 液体金属火災消火装置
KR20150053867A (ko) 가스계 및 액체계 소화약제가 순차적으로 자동 분사되는 소화기구
JP3647077B2 (ja) 混合ガス消火設備
KR102078081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CN208081691U (zh) 一种以液氮为喷射动力的多功能消防车及混合喷射炮
CN215608970U (zh) 一种改进的全氟己酮柜式灭火装置
KR100848804B1 (ko) 불활성가스 소화약제를 이용한 소화방법 및 혼합소화약제
CN106955441A (zh) 填充二氧化碳水合物的灭火器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