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824B1 -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824B1
KR101965824B1 KR1020180073671A KR20180073671A KR101965824B1 KR 101965824 B1 KR101965824 B1 KR 101965824B1 KR 1020180073671 A KR1020180073671 A KR 1020180073671A KR 20180073671 A KR20180073671 A KR 20180073671A KR 101965824 B1 KR101965824 B1 KR 10196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xercise
user
virtual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환
Original Assignee
김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환 filed Critical 김재환
Priority to KR102018007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제 1 단말기로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를 전송하며, 제 1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 및 운동 경로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1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 및 제 1 운동기구에 의해 운동 경로가 완주되면 운동 경로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제 1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하는 점유 영역 관리부를 포함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virtual exercising place}
본 발명은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운동 장소를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가상 운동 장소의 디스플레이를 다른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또는 시간차를 두고 공유하며 함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가상 공간에서 만난 다른 사용자에 쉽게 합류할 수 있도록 하고, 가상 공간의 운동 영역들을 사용자들이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동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문제는 운동이 재미없고 힘들기 때문에 장기간 지속이 어렵다는 점이다. 특히, 혼자 하는 운동, 예를 들어 걷기, 달리기, 싸이클 등은 동반자 없이 혼자 목표량을 달성해야 하는 운동으로서, 장기간 지속하려면 강한 의지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혼자 하는 운동은 운동 기구의 전면에 위치한 모니터에서 나오는 영화나 방송 프로그램 등을 보며 지루함을 달래고 있으나, 운동 시간에 맞는 영화나 방송 프로그램을 매번 찾기도 힘들고, 결국 이 역시 장기간 흥미를 유지시키기 어렵게 된다.
혼자 하는 운동은 동반자와 함께 이루어질 때 장기간 지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나란히 위치한 트레드 밀이나 싸이클 기구를 동반자와 함께 이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대화를 나누며 운동할 수 있는 동반자는 많아야 좌우의 두명이다. 특히 동반자가 시간과 장소를 맞춰 운동 장소에 도착을 하고, 나란히 위치한 비어 있는 운동 기구를 확보해야만 한다. 결국 장기간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하는 것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운동 장소를 운동 기구 주변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가상 운동 장소 내에서 가상 이동하며 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선택된 가상 운동 장소의 디스플레이를 다른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또는 시간차를 두고 공유하며 함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운동 중에 가상 공간에서 만나게 되는 사용자들이 쉽게 그룹을 형성하여 함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상 공간에서 운동 하는 사용자가 운동을 한 영역에 대해 소유권을 부여함으로써, 강한 운동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운동기구와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으로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가상 현재 위치가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의 경로 선택 지점에 도달했을 때, 단말기에 경로 선택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경로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다.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의 위치별 경사도 데이터를 포함하며,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운동기구의 부하 조절 장치에 연결되어, 가상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경사도 데이터에 상응하는 부하를 운동기구에 가하는 경사 활성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들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운동기구들과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들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으로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를 제 2 단말기로 보내고, 제 2 단말기로부터 운동 참여를 승낙하는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받는 참가자 설정부; 제 1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이하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가상 현재 위치까지의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1 운동기구 및 제 2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가상 현재 위치가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의 경로 선택 지점에 도달했을 때,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경로 선택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장 먼저 선택된 경로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며,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1 사용자와 제 2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1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상 채팅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의 위치별 경사도 데이터를 포함하며,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운동기구 및 제 2 운동기구의 부하 조절 장치에 연결되어, 가상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경사도 데이터에 상응하는 부하를 제 1 운동기구 및 제 2 운동기구에 가하는 경사 활성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단말기들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운동기구들과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들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으로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를 제 2 단말기로 보내고, 제 2 단말기로부터 운동 참여를 승낙하는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받는 참가자 설정부; 제 1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이하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1 운동기구 및 제 2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 및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1 사용자와 제 2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1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상 채팅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 1 단말기가 운동 참여 의사를 묻지 않은 제 3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가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되면, 화상 채팅 제어부는 제 3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3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3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3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3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3 단말기로 전송하며, 제 3 단말기가 참가자 설정부를 통해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에 합류 신호를 보내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3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운동기구와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으로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제 1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이하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1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 및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가상 현재 위치까지의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이하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가상 현재 위치까지의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저장하는 운동 기록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2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전송받으면, 제 2 단말기에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2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제 2 운동기구에 의한 가상 현재 위치와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의 가상 현재 위치가 일치되도록 제 2 단말기에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2 운동기구의 속도를 제어하는 운동기구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운동기구 제어부는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의 가상 현재 위치가 바뀌는 속도에 맞추어 제 2 운동기구의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며,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는 제 1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제 1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1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1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며,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2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2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를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와 함께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시키고,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데이터를 제 1 사용자의 회원 계정으로 전달하는 운동 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며,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2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와 제 3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2 사용자와 제 3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3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상 채팅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제 3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가 제 2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되면, 화상 채팅 제어부는 제 3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3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3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3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2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를 제 3 단말기로 보내고, 제 3 단말기로부터 운동 참여를 승낙하는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받는 참가자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제 3 단말기가 참가자 설정부를 통해 제 2 단말기에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보내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2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3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운동기구와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으로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제 1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이하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1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 및 제 2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가 제 1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되면, 제 2 단말기의 제 2 운동 기구의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제 1 단말기의 제 1 운동 기구의 속도와 일치시키는 운동 기구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 2 운동 기구와 제 1 운동 기구의 속도가 동일하게 되고, 제 2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와 제 1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에 의해 제 2 운동 기구의 속도가 변경되어 제 1 운동 기구의 속도와 상이하게 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중단하고, 제 2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며,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1 사용자와 제 2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1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상 채팅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운동기구와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으로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제 1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이하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1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 및 제 2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가 제 1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되면,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의 운동 거리를 비교하여 운동 거리가 짧은 단말기의 운동 기구의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운동 거리가 긴 단말기의 운동 기구의 속도와 일치시키거나, 운동 거리가 긴 단말기의 운동 기구의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운동 거리가 짧은 단말기의 운동 기구의 속도와 일치시키는 운동 기구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 1 운동 기구와 제 2 운동 기구의 속도가 동일하게 되고, 제 1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와 제 2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에 동일한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운동 기구와 제 2 운동 기구 중 어느 하나의 운동 기구의 속도가 변경되어 제 1 운동 기구와 제 2 운동 기구의 속도가 서로 상이하게 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에 각각의 가상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며,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1 사용자와 제 2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1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상 채팅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들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운동기구들과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들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으로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를 제 2 단말기로 보내고, 제 2 단말기로부터 운동 참여 승낙 신호를 받는 참가자 설정부; 제 1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이하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1 운동기구 및 제 2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 제 3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가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되면, 제 3 단말기의 제 3 운동 기구의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제 1 단말기의 제 1 운동 기구 또는 제 2 단말기의 제 2 운동 기구의 속도와 일치시키는 운동 기구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 1 운동 기구, 제 2 운동 기구 및 제 3 운동 기구의 속도가 동일하게 되고,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에 동일한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들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운동기구들과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들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으로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를 제 2 단말기로 보내고, 제 2 단말기로부터 운동 참여 승낙 신호를 받는 참가자 설정부; 제 1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이하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1 운동기구 및 제 2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 제 3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가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되면,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의 운동 거리를 비교하여 운동 거리가 짧은 단말기의 운동 기구의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운동 거리가 가장 긴 단말기의 운동 기구의 속도와 일치시키거나, 운동 거리가 긴 단말기의 운동 기구의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운동 거리가 가장 짧은 단말기의 운동 기구의 속도와 일치시키는 운동 기구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 1 운동 기구, 제 2 운동 기구 및 제 3 운동 기구의 속도가 동일하게 되고,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에 동일한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운동 기구, 제 2 운동 기구 및 제 3 운동 기구 중 적어도 하나의 운동 기구의 속도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어 속도가 서로 상이하게 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속도가 변경된 운동 기구의 단말기와 사용자에 의해 속도가 변경되지 않은 단말기에 각각의 가상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운동기구와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으로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제 1 단말기로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를 전송하며, 제 1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이하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 및 운동 경로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1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 및 제 1 단말기에 연결된 운동기구에 의해 운동 경로가 완주되면 운동 경로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제 1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하는 점유 영역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는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가상 운동 장소로 선택하기 위해 제 1 단말기가 전송한 사용 허가 신청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사용 허가 신청을 상기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사용 허가를 전송받는 사용 허가 확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른 사용자가 사용 허가를 하게 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상기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에 포함시킬 수 있다.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가상 운동 장소로 선택하기 위해 제 1 단말기가 전송한 사용료를 접수받는 사용료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료 관리부에 사용료를 전송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상기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며,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1 사용자와 제 2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1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상 채팅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제 2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제 1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되면, 화상 채팅 제어부는 제 2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2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2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고,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를 제 2 단말기로 보내고, 제 2 단말기로부터 운동 참여를 승낙하는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받는 참가자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제 2 단말기가 참가자 설정부를 통해 제 1 단말기에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보내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들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운동기구들과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들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으로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를 제 2 단말기로 보내고, 제 2 단말기로부터 운동 참여 승낙 신호를 받는 참가자 설정부; 제 1 단말기로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를 전송하며, 제 1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이하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 및 운동 경로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1 운동기구 및 제 2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 및 제 1 운동기구 및 제 2 운동기구에 의해 운동 경로가 완주되면 운동 경로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제 1 사용자 및/또는 제 2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하는 점유 영역 관리부를 포함하되,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운동기구 및 제 2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는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가상 운동 장소로 선택하기 위해 제 1 단말기가 전송한 사용 허가 신청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사용 허가 신청을 상기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사용 허가를 전송받는 사용 허가 확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른 사용자가 사용 허가를 하게 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상기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에 포함시킬 수 있다.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가상 운동 장소로 선택하기 위해 제 1 단말기가 전송한 사용료를 접수받는 사용료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료 관리부에 사용료를 전송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상기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며,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1 사용자, 제 2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 및 제 3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1 사용자, 제 2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각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로 전송하는 화상 채팅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제 3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되면, 화상 채팅 제어부는 제 3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3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3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3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를 제 3 단말기로 보내고, 제 3 단말기로부터 운동 참여를 승낙하는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받는 참가자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제 3 단말기가 참가자 설정부를 통해 제 1 단말기에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보내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3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운동 장소를 운동 기구 주변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가상 운동 장소 내에서 가상 이동하며 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선택된 가상 운동 장소의 디스플레이를 다른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공유하거나, 시간차를 두고 공유하며 함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운동 장소를 운동 기구 주변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가상 운동 장소 내에서 가상 이동하며 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가상 운동 장소에서 만나게 되는 다른 사용자와 함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운동 중에 가상 공간에서 만나게 되는 사용자들이 쉽게 그룹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그룹에 대한 합류와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상 공간 상에서 사용자들 간의 교류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가상 공간에서 운동을 하는 사용자에게 완료된 운동 경로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해 소유권을 부여하고, 소유된 영역에 대하여는 다른 사용자가 허락을 얻거나 사용료를 지불한 후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함으로써, 강한 운동의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의 가상 운동 장소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운동 장소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포스팅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운동 시작 위치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경로 변경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을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을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운동 시작 위치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에서 다른 사용자가 운동 경로에 의해 소유하게 된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의 가상 운동 장소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2)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운동기구(11)(12)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단말기들, 운동기구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회원의 단말기(1)(2)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원의 단말기(1)(2)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회원의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2)는 운동 기구(11)(12) 앞, 옆, 위 등에 설치되어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대형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운동 기구(11)(12)에 설치된 대형 모니터와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1)(2)는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기구(11)(12)는 트레드 밀, 싸이클 기구와 같은 운동기구로서, 운동에 의해 이동 거리가 계산되는 방식의 기구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100)은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10),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 참가자 설정부(130), 화상 채팅 제어부(140) 및 경사 활성화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데이터 저장 서버로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좌표에 기초하여 각 좌표값마다 360도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전세계 어느 곳이든 가상 운동 장소가 될 수 있다. 또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의 위치별 경사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좌표에 기초하여 360도 전 방향에 대한 경사가 측정된 경사도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운동 장소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포스팅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운동 시작 위치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사용자는 자신의 제 1 단말기(1)를 통해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접속하여 가상 운동 장소 목록(1a)을 확인한 후에(S110), 자신이 운동하고 싶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에서는 제 1 사용자의 선택을 돕기 위해, 가상 운동 장소 목록(1a)에 기재된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사진(1b) 및 정보(1c)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가상 운동 장소로는 전세계의 모든 운동 가능한 길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가상 운동 장소를 예로 들면, 청계천 야간 산책길, 설악산 토왕성폭포 가는 길, DMZ펀치볼둘레길(먼멧재길), 남한산성 둘레길 5코스(성곽길)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정보(1c)에는 해당 운동 장소에 대한 정보(역사, 길이, 난이도 등)가 포함될 수 있다.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정보(1c)에는 사용자의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의견을 포스팅할 수 있는 입력창(1g)이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의 의견을 담은 포스팅들을 보여주는 목록창(1h)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호도 입력창(1i)을 통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자신의 선호도를 "좋아요" 버튼을 눌러 표시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좋아요"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사용자는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포스팅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이 포스팅한 의견들을 읽을 수 있다. 이러한 포스팅은 다른 SNS 프로그램들(예를 들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팟캐스트 등)에 공유될 수 있으며,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정보(1c)에 기재된 내용과 포스팅이 함께 공유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사용자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제 1 단말기(1)에는 운동 시작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1d)이 디스플레이 된다. 가상 운동 장소에서 운동 가능한 경로들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운동 시작 위치(1e)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 시작 위치(1e)를 선택하면 운동 시작 위치(1e)에서 보여지는 전방의 풍경(1f)이 도시된다. 풍경(1f)은 운동 방향에 따라서 변경될 것이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제 1 단말기(1)로부터 가상 운동 장소 및 운동 시작 위치를 전송받으며(S120),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이하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1)로 전송할 수 있다(S130).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제 1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운동 장소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제 1 단말기(1)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 1 단말기에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1f)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5에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1f)가 작은 화면으로 도시되었지만, 전체 화면에 표시되는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제 1 운동기구(11)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제 1 운동기구(11)와 연결된 제 1 단말기(1)로부터 전송받고(S140),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50).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트레드 밀 또는 싸이클 기구에 장착되어 있는 공지된 거리 계산부와 유무선 방식에 의해 연결된 제 1 단말기(1)를 통해 운동 거리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운동 거리 정보가 반영된 가상 현재 위치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1)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 1 단말기에는 가상 현재 위치에 대한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1f)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사용자가 제 1 운동기구에서 운동을 함에 따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계속 갱신되며, 마치 제 1 사용자가 가상 운동 장소에 들어가 운동을 하는 것처럼, 제 1 사용자에게 제 1 단말기(1)를 통해 보여지는 풍경이 운동 거리에 대응되어 변화된다.
경사 활성화부(150)는 제 1 운동기구(11)의 부하 조절 장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제 1 단말기(1)를 통해, 가상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경사도 데이터에 상응하는 부하를 제 1 운동기구(11)에 가하거나, 가상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경사도 데이터에 상응하는 경사도를 제 1 운동기구(11)에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가 커지면, 싸이클 기구의 부하를 크게 하거나, 트레드밀의 발판 경사를 크게 하여 제 1 사용자의 운동이 더 힘들어지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의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경로 변경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경로 확인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는 제 1 운동 기구에서 최초에 정해진 경로 대로 운동을 하는 동안에, 새로운 경로로 변경을 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가상 현재 위치가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의 경로 선택 지점(예를 들어 갈림길)에 도달했을 때, 제 1 단말기(1)에 경로 변경이 가능하다는 정보와 선택할 수 있는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 선택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1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를 통해 원하는 경로(예를 들어 도 6의 1번 화살표 또는 2번 화살표)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에 의해 선택된 경로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1)에 표시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에 설치된 카메라는 운동중인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촬영하고, 경로 확인부(160)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통해 기저장된 행동 패턴과 일치되는 패턴을 검색한 후에 일치되는 패턴에 부여된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휘두르면, 경로 확인부(160)는 저장된 행동 패턴 중에서 손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휘두르는 패턴을 찾아내고, 해당 패턴의 의미가 오른쪽 길을 선택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경로 선택 지점에서 오른쪽 길을 선택한 것으로 결정하고, 이를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에 전송하여 선택된 길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을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을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운동 시작 위치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사용자는 자신의 제 1 단말기(1)를 통해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접속하여 가상 운동 장소 목록(1a)을 확인한 후에(S210), 자신이 운동하고 싶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에서는 제 1 사용자의 선택을 돕기 위해, 가상 운동 장소 목록(1a)에 기재된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사진(1b) 및 정보(1c)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가상 운동 장소로는 전세계의 모든 운동 가능한 길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가상 운동 장소를 예로 들면, 청계천 야간 산책길, 설악산 토왕성폭포 가는 길, DMZ펀치볼둘레길(먼멧재길), 남한산성 둘레길 5코스(성곽길)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정보(1c)에는 해당 운동 장소에 대한 정보(역사, 길이, 난이도 등)가 포함될 수 있다.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정보(1c)에는 사용자의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의견을 포스팅할 수 있는 입력창(1g)이 표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의 의견을 담은 포스팅들을 보여주는 목록창(1h)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호도 입력창(1i)을 통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자신의 선호도를 "좋아요" 버튼을 눌러 표시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좋아요"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사용자는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포스팅하거나, 다른 사용자들이 포스팅한 의견들을 읽을 수 있다. 이러한 포스팅은 다른 SNS 프로그램들(예를 들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팟캐스트 등)에 공유될 수 있으며,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정보(1c)에 기재된 내용과 포스팅이 함께 공유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사용자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에는 운동 시작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1d)이 디스플레이 된다. 가상 운동 장소에서 운동 가능한 경로들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운동 시작 위치(1e)를 선택할 수 있다(S220). 사용자가 운동 시작 위치(1e)를 선택하면 운동 시작 위치(1e)에서 보여지는 전방 풍경(1f)이 도시된다.
제 1 사용자는 가상 운동 장소에서 함께 운동할 동반자를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를 통해 함께 운동할 동반자로서 제 2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 1 단말기(1)는 참가자 설정부(130)로 제 2 사용자를 운동 동반자로 선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S230). 제 2 사용자는 다른 나라에 사는 사람일 수도 있으며, 동일한 공간에서 운동을 하고 있는 사람일 수도 있다. 참가자 설정부(130)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들의 목록을 제 1 단말기(1)로 전송하여 제 1 사용자가 운동할 동반자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는 참가자 설정부(130)에 의해 제 2 사용자의 제 2 단말기(2)로 전송될 수 있으며(S240), 제 2 사용자는 제 2 단말기(2)를 통해 운동 참여를 승낙하는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참가자 설정부(130)로 보내거나(S250), 운동 참여를 거절하는 공동 운동 거절 신호를 참가자 설정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참가자 설정부(130)가 제 2 단말기(2)로부터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받으면, 제 1 단말기(1)에는 제 2 단말기(2)에 의해 촬영된 제 2 사용자의 모습(1g)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 및 도 7에서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100)이 2개의 단말기(1)(2)와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예를 든 것이며, 3개 이상의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100)과 연결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100)은 동호회와 같은 모임의 단체 운동에 사용될 수 있으며, 국내외 스포츠, 의학, 연예, 정치, 문화 예술 분야의 유명인들 중 운동 참여 승낙을 한 유명인들이 다수의 사용자들과 함께 운동에 참여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참가자 설정부(130)는 가상의 캐릭터(유명 만화 캐릭터나 본인 또는 유명인의 모습을 가진 캐릭터, 가상의 트레이너 캐릭터 등)를 운동할 동반자 목록에 포함시켜 제 1 단말기(1)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들은 사용자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화상 채팅 제어부(140)는 제 1 단말기(1)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사용자의 모습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제 1 단말기(1)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1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1)로부터 전송받고, 제 2 단말기(2)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2 사용자의 모습을 포함하는 비디오 데이터 및 제 2 단말기(2)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2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2)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화상 채팅 제어부(140)는 제 1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2)로 전송하고,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1)로 전송할 수 있다(S260).
운동할 동반자로서, 가상의 캐릭터가 선택된 경우에는 화상 채팅 제어부(140)는 선택된 캐릭터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1)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상의 캐릭터는 인공 지능에 의해 대화 및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가상의 캐릭터는 제 1 사용자와 동일한 속도로 달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채팅 제어부(140)는 단말기들(1)(2)로 배경음악(가요, 팝송, 클래식 등)을 전송하여, 배경 음악과 함께 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제 1 단말기(1)로부터 가상 운동 장소 및 운동 시작 위치를 전송받은 후에,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다(S270).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제 1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운동 장소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에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1f)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8에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1f) 및 제 2 사용자(1g)가 작은 화면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들 중 원하는 화면을 전체 화면에 표시되는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제 1 운동기구(11)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S280), 가상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90).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트레드 밀 또는 싸이클 기구에 장착되어 있는 공지된 거리 계산부와 유무선 방식에 의해 연결된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를 통해 운동 거리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운동 거리 정보가 반영된 가상 현재 위치의 GPS 좌표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에는 가상 현재 위치에 대한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1f)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사용자 및 제 2사용자가 각각 제 1 운동기구 및 제2 운동기구에서 운동을 함에 따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가 계속 바뀌며, 마치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가상 운동 장소에 들어가 함께 운동을 하는 것처럼,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에게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를 통해 보여지는 풍경이 운동 거리에 대응되어 변화된다.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운동 속도 차이에 의해 제 1 사용자의 가상 현재 위치 및 제 2 사용자의 가상 현재 위치가 차이가 발생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에 각각 상이한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경사 활성화부(150)는 제 1 운동기구(11) 및 제 2 운동기구(12)의 부하 조절 장치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를 통해, 가상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경사도 데이터에 상응하는 부하를 제 1 운동기구(11) 및 제 2 운동기구(12)에 가하거나, 가상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경사도 데이터에 상응하는 경사도를 제 1 운동기구(11) 및 제 2 운동기구(12)에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가 커지면, 싸이클 기구의 부하(회전 저항)를 크게 하거나, 트레드밀의 발판 경사를 크게 하여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의 운동이 더 힘들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에서 최초에 정해진 경로 대로 운동을 하는 중간에, 새로운 경로로 변경을 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가상 현재 위치가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의 경로 선택 지점(예를 들어 갈림길)에 도달했을 때, 제 1 단말기(1) 및/또는 제 2 단말기(2)에 경로 변경이 가능하다는 정보와 선택 가능한 경로를 포함하는 경로 선택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중 어느 한명이 제 1 단말기(1) 또는 제 2 단말기(2)를 통해 원하는 경로(예를 들어 도 6의 1번 화살표 또는 2번 화살표)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가장 먼저 선택된 경로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먼저 갈림길에 도착한 사용자가 경로를 정할 수 있는 우선권을 가지게 함으로써, 경쟁을 통해 운동의 흥미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화상 채팅 제어부(140)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운동을 하는 다른 사용자의 가상 현재 위치가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의 가상 현재 위치와 인접하게 되는 경우에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에 다른 사용자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하고 목소리를 출력하여,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공간에 다른 사용자들이 운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줌으로써, 사용자들 사이의 교류를 활발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에게 가상 이동 운동의 재미를 주어 가상 운동 공간에 더 몰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가상 운동 공간에서 만난 사용자들은 참가자 설정부(130)에 합류 신호를 전송하여, 함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사용자들의 단말기들에는 동일한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들이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단말기(1)가 운동 참여 의사를 묻지 않았던 제 3 단말기의 가상 현재 위치가 제 1 단말기(1) 또는 제 2 단말기(2)의 가상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 되면, 화상 채팅 제어부(140)는 제 3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3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3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3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3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3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참가자 설정부(130)는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로 제 3 사용자의 정보(예를 들어, 이름, 사진, 성별 등)를 전송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 3 단말기로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의 정보(예를 들어, 이름, 사진, 성별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 또는 제 2 단말기(2)를 통해 함께 운동할 동반자로서 제 3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 1 단말기(1) 또는 제 2 단말기(2)는 참가자 설정부(130)로 제 3 사용자를 운동 동반자로 선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는 참가자 설정부(130)에 의해 제 3 사용자의 제 3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 3 사용자는 제 3 단말기를 통해 운동 참여를 승낙하는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참가자 설정부(130)로 보내거나, 운동 참여를 거절하는 공동 운동 거절 신호를 참가자 설정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참가자 설정부(130)가 제 3 단말기로부터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받으면,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에는 제 3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제 3 사용자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 3 사용자가 제 3 단말기를 통해 함께 운동할 동반자로서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제 3 단말기는 참가자 설정부(130)로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를 운동 동반자로 선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는 참가자 설정부(130)에 의해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의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 또는 제 2 단말기(2)를 통해 운동 참여를 승낙하는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참가자 설정부(130)로 보내거나, 운동 참여를 거절하는 공동 운동 거절 신호를 참가자 설정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참가자 설정부(130)가 제 1 단말기(1) 또는 제 2 단말기(2)로부터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받으면, 제 3 단말기에는 제 1 단말기(1) 및 제 2 단말기(2)에 의해 촬영된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렇게 제 1 사용자, 제 2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가 함께 운동을 하게 되면 제 1 단말기(1), 제 2 단말기(2) 및 제 3 단말기(3)에는 동일한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100)은 함께 운동하는 사용자들에게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함께 운동을 하는 사용자들에게 일정 구간(최초 경로에서 벗어난 경로일 수도 있다)의 선착순 이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은 자신들이 갈림길마다 스스로 경로를 선택하며 목표 지점에 가장 먼저 도착하기 위해 전속력으로 질주할 수 있다. 이 이벤트가 시작되면, 사용자들의 단말기에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가 개별적으로 상이하게 표시되며, 목표 지점에 가장 먼저 도착한 사용자에게는 참가자 설정부(130)가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100)의 사용기간을 늘려주는 등의 보상을 할 수 있다. 목표 지점에 사용자들이 모두 도착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처음처럼 사용자들의 단말기들로 동일한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다시 함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에서 다른 사용자가 운동 경로에 의해 소유하게 된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점유 영역 관리부(170), 사용 허가 확인부(180) 및 사용료 관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1 사용자가 운동 경로를 결정하고 운동 경로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대하여 소유권을 가지게 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 1 사용자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가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들로부터 운동을 하고자 하는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는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영역과 B 영역은 다른 사용자들이 운동한 경로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서, 점유 영역 관리부(170)는 해당 영역을 운동한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하게 된다.
제 1 사용자는 운동이 가능한 영역으로서, A 영역과 B 영역을 선택할 수 없으며, C 영역을 선택하여 운동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1 사용자가 제 1 단말기(1)에 연결된 제 1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C 영역 주변의 운동 경로로 운동을 완료하면, 점유 영역 관리부(170)가 이 운동 경로에 의해 둘러싸인 C 영역을 제 1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할 수 있다.
이렇게 각 사용자가 운동한 영역을 해당 사용자에게 소유권을 주게 되면, 그 영역은 해당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만일 다른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서 경치를 보며 운동을 하고 싶다면, 소유자의 허락을 얻거나, 소유자에게 사용료를 낼 수 있다. 따라서, 좋은 경치를 가진 장소는 사용자들에 의해 선점될 것이고, 이 곳을 방문하고자 하는 다른 사용자들은 허락을 수하거나 사용료를 내게 되므로, 모든 사용자들이 좋은 경치의 운동 장소들을 선점하기 위해 매우 열심히 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제 1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가상 운동 장소로 선택하기 위해서는 제 1 단말기(1)로 사용 허가 확인부(180)에 사용 허가 신청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 허가 확인부(180)는, 전송받은 사용 허가 신청을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며, 해당 사용자는 사용 허가를 하기 위해서 사용 허가를 사용 허가 확인부(180)로 다시 전송한다. 이 경우에,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는 해당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에 포함시켜 제 1 사용자의 제 1 단말기(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운동할 수 있게 되며, 이 경우에는 제 1 사용자가 운동을 하여도 제 1 사용자의 소유로 변경이 되지는 않는다.
제 1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가상 운동 장소로 선택하기 위해서 제 1 단말기(1)로 사용료 관리부(190)에 사용료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료는 본 발명의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사이버머니로서, 현금으로 사용자 계정에 충전할 수 있는 사이버머니로 지불될 수 있다. 신용카드나 현금 전송에 의해서도 사용료 지불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렇게 운동을 하는 경우에 운동 중에 근접한 사용자끼리는 서로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여 운동을 할 수 있다.
화상 채팅 제어부(140)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운동을 하는 다른 사용자의 가상 현재 위치가 제 1 사용자의 가상 현재 위치와 인접하게 되는 경우에 제 1 단말기(1)에 다른 사용자의 모습을 디스플레이하고 목소리를 출력하여, 제 1 사용자가 운동을 하는 공간에 다른 사용자들이 운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줌으로써, 사용자들 사이의 교류를 활발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에게 가상 이동 운동의 재미를 주어 가상 운동 공간에 더 몰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사용자의 제 2 단말기(2)의 가상 현재 위치가 제 1 단말기(1)의 가상 현재 위치에 근접하게 되면, 화상 채팅 제어부(140)는 제 2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2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2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2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참가자 설정부(130)는 제 1 단말기(1)로 제 2 사용자의 정보(예를 들어, 이름, 사진, 성별 등)를 전송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 2 단말기로 제 1 사용자의 정보(예를 들어, 이름, 사진, 성별 등)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를 통해 함께 운동할 동반자로서 제 2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 1 단말기(2)는 참가자 설정부(130)로 제 2 사용자를 운동 동반자로 선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는 참가자 설정부(130)에 의해 제 2 사용자의 제 2 단말기(2)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는 제 2 단말기(2)를 통해 운동 참여를 승낙하는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참가자 설정부(130)로 보내거나, 운동 참여를 거절하는 공동 운동 거절 신호를 참가자 설정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참가자 설정부(130)가 제 2 단말기로부터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받으면, 제 1 단말기(1)에는 제 2 단말기(2)에 의해 촬영된 제 2 사용자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제 2 사용자가 제 2 단말기(2)를 통해 함께 운동할 동반자로서 제 1 사용자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제 2 단말기(2)는 참가자 설정부(130)로 제 1 사용자를 운동 동반자로 선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는 참가자 설정부(130)에 의해 제 1 사용자의 제 1 단말기(1)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 1 사용자는 제 1 단말기(1)를 통해 운동 참여를 승낙하는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참가자 설정부(130)로 보내거나, 운동 참여를 거절하는 공동 운동 거절 신호를 참가자 설정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참가자 설정부(130)가 제 1 단말기(1)로부터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받으면, 제 2 단말기(2)에는 제 1 단말기(1)에 의해 촬영된 제 1 사용자의 모습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렇게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함께 운동을 하게 되면 제 2 단말기에는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함께 운동하는 경우에 운동 영역 소유를 보다 용이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즉, 그룹으로 함께 이동하는 사용자들은 가상 공간에서의 이동 속도를 가속시켜줄 수 있다. 즉, 실제 운동기구의 속도는 시속 3km이지만, 화상 데이터 제어부(120)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이동 속도를 시속 5km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함께 운동하는 것을 장려할 수 있으며, 이렇게 그룹으로 운동을 한 영역의 소유권은 그 그룹 내의 규칙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사용자에게 소유권을 부여할 수 있으며, 그룹 멤버 모두의 공동 소유로 할 수 있게 된다. 공동 소유인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가 소유 영역에서 운동하기 위해 지불하는 사용료는 공동 소유자들이 균등 분배하여 가지게 될 것이다.
이렇게 그룹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에 운동 중에 만난 다른 사용자들은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그룹에 합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10: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120: 화상 데이터 제어부
130: 참가자 설정부
140: 화상 채팅 제어부
150: 경사 활성화부
160: 경로 확인부
170: 점유 영역 관리부
180: 사용 허가 확인부
190: 사용료 관리부

Claims (10)

  1.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운동기구와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제 1 단말기로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를 전송하며, 제 1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이하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 및 운동 경로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1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 및
    제 1 운동기구에 의해 운동 경로가 완주되면 운동 경로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제 1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하는 점유 영역 관리부를 포함하며,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1 사용자와 제 2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1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는 화상 채팅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제 2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제 1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되면, 화상 채팅 제어부는 제 2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2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2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2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로 전송하고,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를 제 2 단말기로 보내고, 제 2 단말기로부터 운동 참여를 승낙하는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받는 참가자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제 2 단말기가 참가자 설정부를 통해 제 1 단말기에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보내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는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되지 않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가상 운동 장소로 선택하기 위해 제 1 단말기가 전송한 사용 허가 신청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사용 허가 신청을 상기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사용 허가를 전송받는 사용 허가 확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른 사용자가 사용 허가를 하게 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상기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가상 운동 장소로 선택하기 위해 제 1 단말기가 전송한 사용료를 접수받는 사용료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료 관리부에 사용료를 전송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상기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단말기들 및 운동 거리가 계산 가능한 운동기구들과 연결되어 가상 운동 장소에 대한 화상을 단말기들로 전송하기 위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를 제 2 단말기로 보내고, 제 2 단말기로부터 운동 참여 승낙 신호를 받는 참가자 설정부;
    제 1 단말기로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를 전송하며, 제 1 단말기가 가상 운동 장소를 선택하면,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이하 "가상 운동 장소와 관련된 위치 기반 화상 데이터"를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화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은 운동 시작 위치 및 운동 경로에 해당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며, 제 1 운동기구 및 제 2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운동 거리 정보를 전송받고,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이하 "운동 시작 위치로부터 운동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를 "가상 현재 위치"라 한다)에 대응되는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데이터 제어부; 및
    제 1 운동기구 및 제 2 운동기구에 의해 운동 경로가 완주되면 운동 경로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제 1 사용자 및/또는 제 2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하는 점유 영역 관리부를 포함하되,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운동기구 및 제 2 운동기구에 의해 계산된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1 사용자, 제 2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 및 제 3 단말기를 사용하는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1 사용자, 제 2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및 제 3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각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로 전송하는 화상 채팅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제 3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제 1 단말기 또는 제 2 단말기의 현재 위치와 근접하게 되면, 화상 채팅 제어부는 제 3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와, 제 3 단말기의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제 3 사용자의 목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3 단말기로부터 전송받고, 제 3 사용자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 전송하고,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운동 참여 의사를 묻는 신호를 제 3 단말기로 보내고, 제 3 단말기로부터 운동 참여를 승낙하는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받는 참가자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제 3 단말기가 참가자 설정부를 통해 제 1 단말기에 공동 운동 시작 신호를 보내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제 1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제 1 운동 장소 화상 데이터를 제 3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는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되지 않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가상 운동 장소로 선택하기 위해 제 1 단말기가 전송한 사용 허가 신청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사용 허가 신청을 상기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사용 허가를 전송받는 사용 허가 확인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른 사용자가 사용 허가를 하게 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상기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은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가상 운동 장소로 선택하기 위해 제 1 단말기가 전송한 사용료를 접수받는 사용료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제 1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료 관리부에 사용료를 전송하면, 화상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영역을 상기 선택 가능한 가상 운동 장소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10. 삭제
KR1020180073671A 2018-06-26 2018-06-26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KR101965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671A KR101965824B1 (ko) 2018-06-26 2018-06-26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671A KR101965824B1 (ko) 2018-06-26 2018-06-26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824B1 true KR101965824B1 (ko) 2019-04-04

Family

ID=6610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671A KR101965824B1 (ko) 2018-06-26 2018-06-26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8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325A (ko) * 2005-10-21 2007-04-25 주식회사 두비원 트레드밀 시스템
KR20120116554A (ko) * 2011-04-13 2012-10-23 이영복 전자지도를 이용한 영토 획득 게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325A (ko) * 2005-10-21 2007-04-25 주식회사 두비원 트레드밀 시스템
KR20120116554A (ko) * 2011-04-13 2012-10-23 이영복 전자지도를 이용한 영토 획득 게임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262B1 (ko) 시공간 초월 온라인 탐방 운동 시스템
CN104836727A (zh) 基于即时通讯的运动社交控制方法
CN109120504B (zh) 一种影像设备共享方法及其社交方法
KR20160136816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퍼스널 트레이너 간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매칭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6076976A2 (en) Mobile social activity networking systems and methods
WO2018100684A1 (ja) モバイル端末連携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情報配信方法
KR101965823B1 (ko)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US11452928B2 (en)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exercising place
KR101783472B1 (ko) 스마트폰 카메라 촬영 기능을 활용한 골프 인맥 관리 및 레슨 중계 시스템
WO2014021780A1 (en) Sports networking platform
CN113986414B (zh) 信息共享方法及电子设备
KR101965824B1 (ko)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KR102447874B1 (ko) 골프 1:1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965822B1 (ko)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KR101893739B1 (ko)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KR101965821B1 (ko)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KR20160149020A (ko) 골프 라운딩 예약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0359A (ko) 온라인 경주 대회를 이용한 포인트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0535668A (zh) 司机团队的组队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0384930A (zh) 一种互动游戏群组构建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KR102441426B1 (ko) 대리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JP6548770B2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イベント運営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87294A (ko) 모바일 커뮤니티 서버 및 모바일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JP6523384B2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
JP2001306719A (ja) スポーツ観戦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