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312B1 - 안전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안전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312B1
KR101965312B1 KR1020160183055A KR20160183055A KR101965312B1 KR 101965312 B1 KR101965312 B1 KR 101965312B1 KR 1020160183055 A KR1020160183055 A KR 1020160183055A KR 20160183055 A KR20160183055 A KR 20160183055A KR 101965312 B1 KR101965312 B1 KR 101965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center
commodity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063A (ko
Inventor
하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메프
Priority to KR102016018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3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상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포장공간을 갖는 상자본체; 및 상기 상자본체의 포장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내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품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좌우방향의 충격과 상하방향의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포장공간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상품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품의 중앙을 지지하는 중앙판; 상기 중앙판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을 이루면서 절개된 상태로 상기 상품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좌우방향의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수평완충날개; 상기 중앙판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품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품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판; 상기 중앙판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품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품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각각 상기 중앙판과 연결시키는 수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포장박스{SAFETY PACKING BOX}
본 발명은 안전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상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상품의 배송 및 운반이나 보관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대개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상품의 배송이나 운반 과정에서 포장된 상품이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들어서는 TV 홈쇼핑이나 인터넷쇼핑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품들이 소비자에게 도달하기 전까지 포장된 상태로 많은 운반과정을 거치게 되기 때문에 운반과정 중에 포장된 상품이 충격에 의해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소비자는 물론, 판매자의 피해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대개의 택배 등의 물류회사에서는 많은 물량을 빨리 처리한다는 이유에 의해 소비자가 구입한 제품을 신중 하게 처리하지 못하고 던지거나 하기 때문에, 제품이 포장된 포장박스의 낙하위험이 항상 도사리게 되고 이와 같이 포장박스가 낙하될 경우에는 포장된 제품에 충격이 전달됨은 당연한 사실임에 따라 제품의 훼손 위험성이 항상 야기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배달된 포장박스를 뜯은 후에 바로 훼손된 제품을 접함에 따라 물류회사는 물론 구입처에게 항의하게 되는 번거로운 절차를 추가로 진행해야 하고 항의하더라도 물류회사 또는 구입처들이 서로 책임을 전 가시킴에 따라 소비자들이 갖는 정신적인 피해는 매우 큰 실정이다.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295호에 개시된 접착식 필름을 이용한 안전포장박스가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외부박스, 상기 외부박스내에 위치하고 포장물의 일측면 및 다른일측면에서 각각 상기 포장물을 지지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가운데가 관통된 테두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외부박스의 내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테두리부 및 일면에 접착면을 가지고 탄성을 가지는 필름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테두리부의 상단 면에 부착되는 고정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외부박스의 절반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외부박스의 높이의 절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고정필름은 상기 포장물이 상기 고정필름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필름이 상기 포장물이 상기 고정필름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서 상기 고정필름끼리 접착되게 하기 위한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포장물이 접착된 고정필름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안전 배송이 가능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기술은,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포장박스의 단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고, 고정필름에 의해 고정된 포장물(상품)이 포장박스의 내부에서 공중에 뜬 상태로 위치되기 때문에 불안정 한 포장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과 함께 포장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은 서로 분리구성되는 테두리부와 고정필름을 통해 상품을 지지하므로 포장이 번거로우며, 테두리부와 고정필름이 단순히 상품을 지지하는 구성일 뿐 충격을 완충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단일체를 이루는 완충부재를 통해 상품의 상부와 하부 및 중앙을 지지하면서 상품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운반과정에서의 상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는 안전 포장박스는, 포장공간을 갖는 상자본체; 및 상기 상자본체의 포장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내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품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좌우방향의 충격과 상하방향의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상품의 상부, 하부 및 중앙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포장공간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상품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품의 중앙을 지지하는 중앙판; 상기 중앙판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을 이루면서 절개된 상태로 상기 상품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좌우방향의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수평완충날개; 상기 중앙판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품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품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판; 상기 중앙판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품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품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각각 상기 중앙판과 연결시키는 수직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에 각각 주름형태를 이루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자본체의 상면 및 바닥면에 각각 밀착되고, 상하방향의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수직완충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전 포장박스는, 완충부재가 단일체의 판지로 이루어지면서 중앙판과 상부판 및 하부판으로 분할되어 상품의 상부와 하부 및 중앙을 지지하므로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중앙판에 수평완충날개가 구비되는 동시에 상부판 및 하부판에 수직완충날개가 구비됨에 따라 좌우방향의 충격은 물론 상하방향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으므로 운반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상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포장박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직완충날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직완충날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에 추가되는 연결밴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재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연관성이 큰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포장박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본체(100) 및 완충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자본체(100)는 상품(1)이 수용되는 포장공간(110)을 갖는 통상의 부재이다.
완충부재(200)는 상품(1)의 충격을 완충하여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본체(100)의 포장공간(110)에 분리가능하게 내장되어 하나 또는 복수의 상품(1)을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완충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판(210), 수평완충날개(220), 상부판(230), 하부판(240) 및 수직판(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앙판(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1)의 중앙 부위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중앙판(210)은 상품(1)이 삽입되는 삽입홀(211)이 형성되어 상품(1)에 끼워진 상태로 상품(1)의 중앙 부위를 지지한다. 즉, 상품(1)은 중앙판(210)의 삽입홀(211)에 끼워져 걸린상태로 포장공간(110)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수평완충날개(220)는 상품(1)을 지지하면서 좌우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211)의 둘레를 따라 절개된 상태를 이루면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완충날개(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좌우방향의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상품(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한다. 즉, 수평완충날개(220)는 삽입홀(211)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태로 형성되면서 탄성변형가능하게 절곡된 상태로 상품(1)의 외주면에 밀착되므로 상품(1)의 좌우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여기서, 수평완충날개(2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미도시된 주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수평완충날개(220)는 상품(1)의 좌우방향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주름을 통해 원활하게 탄성변형하면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상부판(230)은 상품(1)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수직판(250)을 통해 중앙판(210)에 연결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어 상품(1)의 상부를 지지한다.
하부판(240)은 상품(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수직판(250)을 통해 중앙판(210)에 연결된 상태로 하부로 연장되어 상품(1)의 하부를 지지한다. 즉, 하부판(240)은 상부판(230)과 함께 상품(1)의 상부 및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상품(1)이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막는다.
수직판(250)은 상부판(230) 및 하부판(240)과 중앙판(210)을 연결하면서 수직방향의 지지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완충부재(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선(200b)을 갖는 하나의 판지(200a)로 이루어져 절곡되면서 중앙판(210), 상부판(230), 하부판(240), 수직판(250) 및 후술되는 수직완충날개(2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자 형태로 절곡되면서 중앙판(210)이 2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완충부재(200)는 'ㄹ'자 형태로 절곡되면서 중앙판(210)이 1겹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완충부재(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E'자 형태로 절곡되면서 2겹의 중앙판(210)이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2겹의 중앙판(210)은 서로 이격되어 경사를 이루면서 '>'형태로 형성되어 상품(1)이 지지되는 부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삽입홀(211)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품(1)이 끼워진다.
여기서, 완충부재(200)를 구성하는 판지(200a)는 골판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완충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완충날개(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완충날개(260)는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부판(230) 및 하부판(240)에 각각 주름형태를 이루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각각 상자본체(100)의 상면 및 바닥면에 밀착된다.
이러한 수직완충날개(260)는 상품(1)의 상하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여기서, 수직완충날개(260)는 상품(1)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자본체(100)의 상면과 바닥면에 각각 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각각 상품(1)을 향해 연장되어 상품(1)의 상면과 바닥면에 제각기 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수직완충날개(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230) 및 하부판(240)의 단부측에 치우친 상태로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1)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직완충날개(260)는 상품(1)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주름의 폭이 동일한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직완충날개(2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1)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상자본체(100) 쪽으로 갈수록 주름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직완충날개(260)는 충격을 분산하는 주름의 완충면적이 상품(1) 쪽으로 갈수록 확장됨에 따라 상하방향의 충격이 좀 더 원활하게 완충될 수 있다.
한편, 수직완충날개(260)는 상자본체(100)가 아닌 상품(1) 쪽으로 연장될 경우에는 상품(1) 쪽으로 갈수록 주름의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수직완충날개(260)는 상품(1)에 대응하는 폭 내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상부판(230) 및 하부판(240)과 동일한 폭을 이루면서 연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수직완충날개(260)는 복수의 상품(1)들을 지지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1)에 대응하지 않는 부분이 절개되면서 각각의 상품(1)의 상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완충부재(200)는 상품(1)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수직완충날개(260)가 구비되므로 재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포장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완충부재(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밴드(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밴드(270)는 전술한 상부판(230)과 하부판(240)을 연결하면서 상부판(230)과 하부판(240)을 상품(1)에 밀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연결밴드(270)는 완충부재(200)를 이루는 판지(200a)와 동일한 골판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거나 탄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밴드(2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후크형태로 형성되어 상부판(230)이나 하부판(240) 또는 수직완충날개(260)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걸림공에 끼워져 걸리면서 분리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포장박스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완충부재(200)를 구성하는 중앙판(210)의 삽입홀(211)에 상품(1)을 삽입한 상태로 완충부재(200)를 상자본체(100)의 포장공간(110)에 투입한다.
이때, 연결밴드(270)가 구성될 경우 사용자는 연결밴드(270)의 양단부를 상부판(230) 및 하부판(240)의 걸림공에 결합하여 상부판(230) 및 하부판(240)을 상품(1)에 밀착시킨 상태로 완충부재(200)를 상품(1)과 함께 상자본체(100)의 포장공간(110)에 투입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자본체(100)를 닫은 상태로 테이핑하여 포장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포장된 안전 포장박스는 운반과정을 거쳐 배송되는데, 이 과정에서 여러 방향에서의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좌우방향(수평방향)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수평완충날개(220)가 탄성변형하면서 충격을 완충하며, 상하방향(수직방향)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수직완충날개(260)가 탄성변형하면서 충격을 완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포장박스에 포장된 상품(1)은 운반과정에서 가해지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충격이 완충되므로 충격에 의해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배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포장박스에 의하면, 완충부재(200)가 단일체의 판지(200a)로 이루어지면서 중앙판(210)과 상부판(230) 및 하부판(240)으로 분할되어 상품91)의 상부와 하부 및 중앙을 지지하므로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으며, 특히, 중앙판(210)에 수평완충날개(220)가 구비되는 동시에 상부판(230) 및 하부판(240)에 수직완충날개(260)가 구비됨에 따라 좌우방향의 충격은 물론 상하방향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으므로 운반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상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상자본체 100a : 포장공간
200 : 완충부재 210 : 중앙판
211 : 삽입홀 220 : 수평완충날개
230 : 상부판 240 : 하부판
250 : 수직판 260 : 수직완충날개
270 : 연결밴드
1 : 상품

Claims (9)

  1. 포장공간을 갖는 상자본체; 및
    상기 상자본체의 포장공간에 분리가능하게 내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품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에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좌우방향의 충격과 상하방향의 충격을 완충하되, 상기 상품의 상부, 하부 및 중앙을 지지하는 일체형의 판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지의 절곡을 통해 상기 상품의 중앙에 복수의 겹들을 형성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포장공간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상품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품의 중앙을 지지하는 중앙판;
    상기 중앙판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을 이루면서 절개된 상태로 상기 상품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좌우방향의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수평완충날개;
    상기 중앙판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품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품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판;
    상기 중앙판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품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품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판;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각각 상기 중앙판과 연결시키는 수직판;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에 각각 주름형태를 이루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자본체의 상면 및 바닥면에 각각 밀착되고, 상하방향의 충격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충격을 완충하는 수직완충날개;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연결하면서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을 상기 상품에 밀착시키는 연결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포장박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완충날개는,
    상기 상품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포장박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완충날개는,
    상기 상자본체를 향해 연장되면서 상기 상자본체 쪽으로 갈수록 상기 주름의 폭이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포장박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하나의 판지로 이루어져 절곡선에 의해 절곡되면서 상기 중앙판, 상기 상부판, 상기 하부판, 상기 수직판 및 상기 수직완충날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포장박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하나의 판지가 절곡되면서 상기 중앙판이 2겹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포장박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앙판은,
    상기 2겹의 판지가 서로 이격되면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포장박스.
  9. 삭제
KR1020160183055A 2016-12-29 2016-12-29 안전 포장박스 KR101965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55A KR101965312B1 (ko) 2016-12-29 2016-12-29 안전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55A KR101965312B1 (ko) 2016-12-29 2016-12-29 안전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063A KR20180078063A (ko) 2018-07-09
KR101965312B1 true KR101965312B1 (ko) 2019-04-03

Family

ID=6291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055A KR101965312B1 (ko) 2016-12-29 2016-12-29 안전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551B1 (ko) 2019-05-20 2020-02-14 김선국 물품의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080B1 (ko) * 2020-08-18 2022-05-25 주식회사 신우 상부면 및 하부면의 형성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종이케이스
KR102634800B1 (ko) * 2022-02-08 2024-02-07 주식회사 신우 3층 적층 구조의 종이 케이스 및 종이 케이스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833B2 (ja) * 1990-12-21 2001-07-16 イーストマン・コダック・カンパニー 改善された集光効率を有する分割vルーフミラー型のコレクタ
JP2004168338A (ja) * 2002-11-19 2004-06-17 Rengo Co Ltd 瓶梱包用緩衝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5927A (ja) * 1997-10-13 1999-04-27 Tomoku Co Ltd 物品輸送用包装箱
JP3187833U (ja) * 2013-10-04 2013-12-19 大王パッケージ株式会社 瓶梱包用緩衝体及び梱包資材セ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833B2 (ja) * 1990-12-21 2001-07-16 イーストマン・コダック・カンパニー 改善された集光効率を有する分割vルーフミラー型のコレクタ
JP2004168338A (ja) * 2002-11-19 2004-06-17 Rengo Co Ltd 瓶梱包用緩衝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551B1 (ko) 2019-05-20 2020-02-14 김선국 물품의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063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2274B1 (en) Suspension and retention packaging structure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US8235216B2 (en) Suspension packaging assembly
US10513384B2 (en) Packaging system and method
US8215488B2 (en) System and method of packaging
KR101965312B1 (ko) 안전 포장박스
US43066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fragile articles
JP5178234B2 (ja) 薄型物品の輸送用梱包具
WO2015049702A1 (en) Packaging for the transport of bottles or similar
US3442372A (en) Shipping structure
US9199761B2 (en) Compressible packaging assembly
EP3112282B1 (en) Box template with integrated corner protectors
KR20200000188U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WO2012019222A1 (en) Improved protective packaging for bottles or other containers
US9199762B1 (en) Bulk box dampening systems
JP2006096380A (ja) 梱包箱
EP3661850A1 (en) Packaging
KR20140004914U (ko) 재사용 완충포장 박스
JP5652031B2 (ja) 中仕切付き外装箱
KR200211377Y1 (ko) 계란 포장용기 보호대
JP4060928B2 (ja) 緩衝機能付き包装体
US20230356909A1 (en) Retention packaging system
JPH11268768A (ja) 緩衝機能付き包装体
CN109843733B (zh) 加固纸板箱
KR200416447Y1 (ko) 포장박스
JP2019026357A (ja) 通信販売用包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