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198B1 - 인양용 러그 조립체 - Google Patents

인양용 러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198B1
KR101965198B1 KR1020180126811A KR20180126811A KR101965198B1 KR 101965198 B1 KR101965198 B1 KR 101965198B1 KR 1020180126811 A KR1020180126811 A KR 1020180126811A KR 20180126811 A KR20180126811 A KR 20180126811A KR 101965198 B1 KR101965198 B1 KR 101965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ug
flange
lug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건식
Original Assignee
(주)수산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산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수산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80126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양용 러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는 현장 구조물의 플랜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양물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용 러그 조립체로서, 상기 플랜지의 일 부분이 수용되는 제1 플랜지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1 고리부재 걸림홀이 형성된 제1 러그 몸체, 상기 플랜지의 다른 일 부분이 수용되는 제2 플랜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의 중심과 동일 선상에 중심이 위치되는 제2 고리부재 걸림홀이 형성된 제2 러그 몸체, 및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과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과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에 인입되어 상기 제1 러그 몸체와 상기 제2 러그 몸체를 고정 결합하며, 상기 인양물을 피인양 부재에 의해 연결 가능한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양용 러그 조립체{LIFTING LUG ASSEMBLY}
본 발명은 인양용 러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양 작업의 준비 단계에서 시간을 단축하고,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인양물과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인양용 러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각종 물체를 인양 시에는 크레인이나 호이스트의 와이어에 체결된 훅에 상기 물체를 연결하여 인양시키며, 크레인이나 호이스트가 없는 장소에서는 체인 블록을 사용하여 인양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체인 블록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와이어 슬링을 설치하거나, 혹은 용접을 수행하여 러그를 설치하여야 하며, 특히, 개구부, 고소 난간 등과 같이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서는 비계틀 등과 같은 보조 구조물이 먼저 설치되어야 하므로, 인양 작업의 준비 단계에서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불필요한 인력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자하여 체인 블록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인양물과 체인 블록의 무게 중심이 일치되지 않아 인양 작업이 어렵고, 나아가 인양물이 파손되거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인양 작업의 준비 단계에서 시간을 단축하고,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인양물과 피인양 부재인 체인 블록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인양용 러그 조립체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2045호(리프팅 러그)(2016.06.15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장에 미리 설치된 현장 구조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양 작업의 준비 단계에서 시간을 단축하고,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인양물과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인양용 러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는, 현장 구조물의 플랜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양물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용 러그 조립체로서, 상기 플랜지의 일 부분이 수용되는 제1 플랜지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1 고리부재 걸림홀이 형성된 제1 러그 몸체, 상기 플랜지의 다른 일 부분이 수용되는 제2 플랜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의 중심과 동일 선상에 중심이 위치되는 제2 고리부재 걸림홀이 형성된 제2 러그 몸체, 및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과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과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에 인입되어 상기 제1 러그 몸체와 상기 제2 러그 몸체를 고정 결합하며, 상기 인양물을 피인양 부재에 의해 연결 가능한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 러그 몸체는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러그 몸체는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2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의 중심은,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과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용 러그 조립체는,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에 인입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양용 러그 조립체는, 상기 인양물을 피인양 부재에 의해 연결 가능하고, 상기 인양물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과 상기 인양물의 무게 중심을 일치시키는 하중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 조절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제1 러그 몸체의 하부 측 일 부분에 결합되고, 길이를 신축 가능한 제1 링크암,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암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 러그 몸체의 상부 측 일 부분에 결합되며, 길이를 신축 가능한 제2 링크암, 및 상기 제1 링크암의 외주부에 상기 제1 링크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인양물을 피인양 부재에 의해 연결 가능한 제2 고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에 의하면, 현장에 미리 설치된 현장 구조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인양 작업의 준비 단계에서 시간을 단축하고,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에 의하면, 하중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하중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양물과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가 설치되는 현장 구조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가 현장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의 사용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후(back)”,“위(up)”,“아래(down)”,“상(top)”,“하(bottom)”,“좌(left)”,“우(right)”,“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인양 작업의 준비 단계에서 시간을 단축하고,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인양물과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인양용 러그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해 안출되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현장 구조물의 플랜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양물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용 러그 조립체로서, 상기 플랜지의 일 부분이 수용되는 제1 플랜지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1 고리부재 걸림홀과 제1 홀이 형성된 제1 러그 몸체, 상기 플랜지의 다른 일 부분이 수용되는 제2 플랜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의 중심과 동일 선상에 중심이 위치되는 제2 고리부재 걸림홀이 형성된 제2 러그 몸체, 및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과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과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에 인입되어 상기 제1 러그 몸체와 상기 제2 러그 몸체를 고정 결합하며, 상기 인양물이 연결 가능한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용 러그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인양용 러그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가 설치되는 현장 구조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가 현장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100)는 현장 구조물(10)의 플랜지(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양물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용 러그 조립체(100)로서, 제1 러그 몸체(110), 제2 러그 몸체(120), 및 고리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100)는 현장에 미리 설치된 현장 구조물(10),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에 고정 설치된 'H형', 'I형', 'T형'의 빔 등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H형', 'I형', 'T형'의 빔 하부에 구비된 플랜지(flange)(11)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현장 구조물(10)이 'H형', 'I형', 'T형'의 빔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플랜지(11), 즉, 돌출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러그 몸체(110)는 전술한 현장 구조물(10)의 플랜지(11)를 고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100)를 현장 구조물(10)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러그 몸체(110)는 'ㄷ' 또는 '⊂'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러그 몸체(110)는 현장 구조물(10)의 플랜지(11) 일 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ㄷ' 또는 '⊂' 형상의 제1 플랜지 수용부(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현장 구조물(10)이 위치되는 방향을 제1 러그 몸체(110)의 상부 측이라고 할 때, 제1 러그 몸체(110)의 하부 측으로는 제1 고리부재 걸림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 플랜지 수용부(111)가 'ㄷ' 또는 '⊂'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장 구조물(10)의 플랜지(11) 형태가 변경되는 경우, 플랜지(11)의 일 부분이 수용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제1 플랜지 수용부(111)에서 플랜지(11)와 맞닿는 부분의 면에는 요철(凹凸)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요철을 통해 제1 러그 몸체(110)를 플랜지(11)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인양 작업 중 제1 러그 몸체(110)가 현장 구조물(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러그 몸체(120)는 전술한 제1 러그 몸체(110)와 함께 현장 구조물(10)의 플랜지(11)를 고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100)를 현장 구조물(10)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러그 몸체(120)는 'ㄷ' 또는 '⊂'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러그 몸체(120)는 현장 구조물(10)의 플랜지(11) 다른 일 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ㄷ' 또는 '⊂' 형상의 제2 플랜지 수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2 플랜지 수용부(121)가 'ㄷ' 또는 '⊂'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장 구조물(10)의 플랜지(11) 형태가 변경되는 경우, 플랜지(11)의 일 부분이 수용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제2 플랜지 수용부(121)에서 플랜지(11)와 맞닿는 부분의 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요철을 통해 제2 러그 몸체(120)를 플랜지(11)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인양 작업 중 제2 러그 몸체(120)가 현장 구조물(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러그 몸체(120)는 현장 구조물(10)이 위치되는 방향을 제2 러그 몸체(120)의 상부 측이라고 할 때, 제2 러그 몸체(120)의 하부 측에 제2 고리부재 걸림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러그 몸체(110)와 제2 러그 몸체(120)는 각각 플랜지(11)의 일 부분과 다른 일 부분을 수용한 상태에서 하부 측 일부면이 겹쳐지게 되며, 제2 고리부재 걸림홀(122)은 전술한 제1 러그 몸체(110)의 제1 고리부재 걸림홀(112)과 중심이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리부재(130)는 제1 러그 몸체(110)와 제2 러그 몸체(120)에 각각 플랜지(11)의 일 부분과 다른 일 부분을 수용한 상태에서 제1 고리부재 걸림홀(112)과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122)에 끼워져 제1 러그 몸체(110)와 제2 러그 몸체(120)를 서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고리부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물이 연결되는 체인 블록(131)이나, 그 외 와이어, 체인 등과 같은 피인양 부재와 결합됨으로써, 인양물을 전술한 제1 러그 몸체(110)와 제2 러그 몸체(1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체인 블록(131), 와이어, 체인 등과 같은 피인양 부재에 연결된 인양물은 고리부재(130)에 의해 제1 러그 몸체(110)와 제2 러그 몸체(120)에 연결되어 인양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리부재(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클(shackle)과 상기 샤클의 개구단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고리부재(130)가 제1 러그 몸체(110) 및 제2 러그 몸체(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리부재(130)에 다양한 보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100)는 전술한 제1 러그 몸체(110), 제2 러그 몸체(120), 및 고리부재(130) 외에 제1 러그 몸체(110)와 제2 러그 몸체(120)의 고정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하여 고리부재(13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체결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러그 몸체(110)에는 제1 고리부재 걸림홀(112)에 인접한 위치에 제1 체결홀(113)이 형성되고, 제2 러그 몸체(120)에는 제2 고리부재 걸림홀(122)에 인접한 위치에 제2 체결홀(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체결홀(113)과 제2 체결홀(123)에 체결부재(140)가 끼워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체결홀(113)과 제2 체결홀(123)은, 제1 고리부재 걸림홀(112)의 중심과 제2 고리부재 걸림홀(122)의 중심이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중심이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 체결홀(113)과 제2 체결홀(123), 그리고 체결부재(14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40)는 볼트와 너트, 리벳(rivet)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100)에 의하면, 현장에 미리 설치된 현장 구조물(10)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인양 작업의 준비 단계에서 시간을 단축하고,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를 이용하여 인양물을 인양할 때,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과 인양물의 무게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인양용 러그 조립체와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 만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의 사용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200)는 현장 구조물(10)의 플랜지(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양물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용 러그 조립체(200)로서, 제1 러그 몸체(210), 제2 러그 몸체(220), 제1 고리부재(230), 및 하중 조절 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러그 몸체(210), 제2 러그 몸체(220), 및 제1 고리부재(2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러그 몸체(110), 제2 러그 몸체(120), 및 고리부재(130)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고리부재(130)는 제1 러그 몸체(110)와 제2 러그 몸체(120)를 서로 고정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인양물이 연결된 피인양 부재와 결합하여 인양물을 제1 러그 몸체(110)와 제2 러그 몸체(120)에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반해, 본 발명에서의 제1 고리부재(230)는 제1 러그 몸체(210)와 제2 러그 몸체(220)를 서로 고정 결합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인양물이 연결된 피인양 부재는 후술되는 제2 고리부재(253)에 결합되도록 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하중 조절 수단(250)은 인양물을 연결 가능하고, 인양물이 연결된 상태에서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과 인양물의 무게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때, 이를 일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하중 조절 수단(2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암(251), 제2 링크암(252), 및 제2 고리부재(2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중 조절 수단(250)의 제1 링크암(25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제1 러그 몸체(210)의 하부 측 일 부분에 고정 결합된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러그 몸체(210)를 기준으로 현장 구조물(10)이 위치되는 방향을 제1 러그 몸체(210)의 상부 측으로 지칭하며, 현장 구조물(10)이 위치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제1 러그 몸체(210)의 하부 측으로 지칭한다.
또한, 제1 링크암(251)은 길이를 신축(伸縮)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링크암(251)은 내경(內徑)이 다른 둘 이상의 바 부재를 겹쳐서 다단 접이식으로 구성한 후, 이를 통해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수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중 조절 수단(250)의 제2 링크암(252)은 일단부가 제1 링크암(251)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 러그 몸체(210)의 상부 측 일 부분에 고정 결합된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암(252)은 길이를 신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링크암(252)은 일단부가 제1 링크암(251)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바 부재와, 일단부가 제1 러그 몸체(210)의 상부 측 일 부분에 결합되고, 타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바 부재, 그리고 양단부에 각각 제1 바 부재의 나사산과 제2 바 부재의 나사산이 체결 가능한 나사산이 너트 형태로 형성된 제3 바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바 부재의 나사산과 제3 바 부재의 나사산 간의 나사 결합 정도와 제2 바 부재의 나사산과 제3 바 부재의 나사산 간의 나사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수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링크암(252)은 내경이 다른 둘 이상의 바 부재를 겹쳐서 다단 접이식으로 구성한 후, 이를 통해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수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중 조절 수단(250)의 제2 고리부재(2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암(251)의 외주부에 상기 제1 링크암(25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제2 고리부재(253)는 인양물이 연결된 체인 블록, 와이어, 체인 등과 같은 피인양 부재와 결합되어, 인양물을 전술한 제1 러그 몸체(210)와 제2 러그 몸체(2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2 고리부재(253)는 단순히 인양 고리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샤클과 상기 샤클의 개구단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인 블록, 와이어, 체인 등과 같은 피인양 부재에 연결된 인양물은 제2 고리부재(253)에 의해 제1 러그 몸체(210)와 제2 러그 몸체(220)에 연결되어 인양 작업이 수행되게 되는데, 이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W1)과 인양물의 무게 중심(W2)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고리부재(253)를 제1 링크암(251) 상에서 제1 링크암(25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W1)과 인양물의 무게 중심(W2)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고리부재(253)를 제1 링크암(251) 상에서 제1 링크암(25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W1)과 인양물의 무게 중심(W2)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링크암(251)의 길이를 제2 링크암(252)의 길이와 함께 소정 길이만큼 신장시킨 후, 신장된 제1 링크암(251)의 길이 방향으로 제2 고리부재(253)를 이동시켜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W1)과 인양물의 무게 중심(W2)이 일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제2 고리부재(253)가 제1 링크암(25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 고리부재(253)에 다양한 보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200)는 전술한 제1 러그 몸체(210), 제2 러그 몸체(220), 제1 고리부재(230), 및 하중 조절 수단(250) 외에 제1 러그 몸체(210)와 제2 러그 몸체(220)의 고정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하여 제1 고리부재(23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체결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러그 몸체(210)에는 제1 고리부재 걸림홀에 인접한 위치에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제2 러그 몸체(220)에는 제2 고리부재 걸림홀에 인접한 위치에 제2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에 체결부재(240)가 끼워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은, 제1 고리부재 걸림홀의 중심과 제2 고리부재 걸림홀의 중심이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중심이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 그리고 체결부재(24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240)는 볼트와 너트, 리벳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양용 러그 조립체(200)에 의하면, 하중 조절 수단(250)을 구비하여 하중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양물과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현장 구조물 11: 플랜지
20: 인양물 100, 200: 인양용 러그 조립체
110, 210: 제1 러그 몸체 111: 제1 플랜지 수용부
112: 제1 고리부재 걸림홀 113: 제1 체결홀
120, 220: 제2 러그 몸체 121: 제2 플랜지 수용부
122: 제2 고리부재 걸림홀 123: 제2 체결홀
130: 고리부재 131: 체인 블록
230: 제1 고리부재 140, 240: 체결부재
250: 하중 조절 수단 251: 제1 링크암
252: 제2 링크암 253: 제2 고리부재

Claims (5)

  1. 현장 구조물의 플랜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양물을 인양하기 위한 인양용 러그 조립체로서,
    상기 플랜지의 일 부분이 수용되는 제1 플랜지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1 고리부재 걸림홀이 형성된 제1 러그 몸체;
    상기 플랜지의 다른 일 부분이 수용되는 제2 플랜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의 중심과 동일 선상에 중심이 위치되는 제2 고리부재 걸림홀이 형성된 제2 러그 몸체;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과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과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에 인입되어 상기 제1 러그 몸체와 상기 제2 러그 몸체를 고정 결합하며, 상기 인양물을 피인양 부재에 의해 연결 가능한 고리부재; 및
    상기 인양물을 피인양 부재에 의해 연결 가능하고, 상기 인양물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피인양 부재의 무게 중심과 상기 인양물의 무게 중심을 일치시키는 하중 조절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하중 조절 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제1 러그 몸체의 하부 측 일 부분에 결합되고, 길이를 신축 가능한 제1 링크암;
    일단부가 상기 제1 링크암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 러그 몸체의 상부 측 일 부분에 결합되며, 길이를 신축 가능한 제2 링크암; 및
    상기 제1 링크암의 외주부에 상기 제1 링크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인양물을 피인양 부재에 의해 연결 가능한 제2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용 러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러그 몸체는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러그 몸체는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2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의 중심은, 상기 제1 고리부재 걸림홀과 상기 제2 고리부재 걸림홀의 중심이 동일 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용 러그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용 러그 조립체는,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에 인입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양용 러그 조립체.
  4. 삭제
  5. 삭제
KR1020180126811A 2018-10-23 2018-10-23 인양용 러그 조립체 KR101965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11A KR101965198B1 (ko) 2018-10-23 2018-10-23 인양용 러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11A KR101965198B1 (ko) 2018-10-23 2018-10-23 인양용 러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198B1 true KR101965198B1 (ko) 2019-04-03

Family

ID=6616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811A KR101965198B1 (ko) 2018-10-23 2018-10-23 인양용 러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1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7081B2 (ja) * 2000-05-17 2006-05-24 飯島機工株式会社 保持具
WO2008022368A1 (en) * 2006-08-25 2008-02-28 I & S Larard Pty Ltd A lifting assembly
KR20110109189A (ko) * 2010-03-30 2011-10-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레일견인용 지그장치
KR20120077938A (ko) * 2010-12-31 2012-07-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해치커버 조립부재 리프팅 지그
KR20160002045U (ko) 2014-12-05 2016-06-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러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7081B2 (ja) * 2000-05-17 2006-05-24 飯島機工株式会社 保持具
WO2008022368A1 (en) * 2006-08-25 2008-02-28 I & S Larard Pty Ltd A lifting assembly
KR20110109189A (ko) * 2010-03-30 2011-10-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레일견인용 지그장치
KR20120077938A (ko) * 2010-12-31 2012-07-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해치커버 조립부재 리프팅 지그
KR20160002045U (ko) 2014-12-05 2016-06-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3033B1 (en) Shackle
US5306062A (en) Adjustable lifting device for sewer frame or the like
US6412649B1 (en) Spreader bar apparatus
US20190242128A1 (en) Modular Truss
JP3782776B2 (ja) ユニットロードを操作するためのデバイス
CN106988537B (zh) 一种片状桁架组合结构的安装方法
EP3114070B1 (en) Adjustable length tensioning member
JP2007022789A (ja) 吊り治具および竪管施工方法
KR101965198B1 (ko) 인양용 러그 조립체
JP6989423B2 (ja) 荷受けステージ用の支持フレーム
JP2902589B2 (ja) 吊りクランプ
KR102007663B1 (ko) 인양용 러그 장치
EP3184479A1 (en) Simplified assembly trellis-like modular element for towers of tower cranes and tower comprising such modular element
CN210286469U (zh) 一种预制构件吊具
CN112777478B (zh) 航空发动机翻转工装及其吊具
JPH09278368A (ja) Aフレーム支持装置およびaフレーム着脱方法
JPS6019101Y2 (ja) アイプレ−ト
US20030079436A1 (en) Lifting frame
JP2012057305A (ja) 柱上作業台
JP2016156159A (ja) 仮設足場等盛替え用簡易ステップ
CN218290153U (zh) 一种用于电机生产定子铁芯吊装夹具
JPH1111854A (ja) パネル吊り上げ治具
JP7194620B2 (ja) チュービング装置
CN220854487U (zh) 一种用于吊装撑杆测试的试验工装
CN103010934B (zh) 一种拌筒出模吊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