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178B1 - Manufacturing method for undiluted extract of high temperature vacuum type and the product manufactured by the method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for undiluted extract of high temperature vacuum type and the product manufactured by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178B1
KR101965178B1 KR1020170114338A KR20170114338A KR101965178B1 KR 101965178 B1 KR101965178 B1 KR 101965178B1 KR 1020170114338 A KR1020170114338 A KR 1020170114338A KR 20170114338 A KR20170114338 A KR 20170114338A KR 101965178 B1 KR101965178 B1 KR 10196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ainer
crude extract
heati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7499A (en
Inventor
최성철
최한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이치하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이치하모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이치하모니
Priority to KR1020170114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178B1/en
Publication of KR2019002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4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1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고온진공 추출방식으로 화장품 원료에 이용 가능한 원액 추출물을 제조하는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이 개시된다. 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은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은 중량이 측정된 추출 재료가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단계; 상기 추출 재료가 수용토록 마련된 용기가 구비되는 가열부에 의해, 상기 용기가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기설정된 제1온도로 1차 가열되어, 상기 용기에 수용된 추출 재료가 증숙(蒸熟)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용기가 기설정된 제2시간 동안 기설정된 제2온도로 2차 가열되면, 상기 원액 추출부를 통해, 상기 추출 재료로부터 원액 추출물이 추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방부제가 첨가되지 않도록 제조되는 천연, 유기농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가능 하거나 또는 방부제의 함량이 감량되도록 할 수 있는 원액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A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which can be used for a cosmetic raw material by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method and a crude extract prepared by the method are disclosed. The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of the present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injecting a weighted extraction material through a charging unit; Wherein the container is heated to a first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by a heating unit provided with a container in which the extraction material is received so that the extracted material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steamed step; And when the first time has elapsed, the heating unit causes the extract to be extracted from the extracting material through the extracting unit when the container is secondarily heated to a predetermined second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 ≪ / RTI >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rude extract which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natural, organic cosmetics manufactured so as not to add preservatives, or to reduce the content of preservatives.

Description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Manufacturing method for undiluted extract of high temperature vacuum type and the product manufactured by the method}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crude extract of a high 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method and a crude extract prepa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진공 추출방식으로 화장품 원료에 이용 가능한 원액 추출물을 제조하는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crude extract and a crude extract prepared thereb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which can be used for a cosmetic raw material by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method, will be.

피부는 우리 몸의 가장 큰 기관으로서 전체 우리 몸 중량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으며 외부환경과 직접 접해 있으면서, 몸 안으로 침입하려는 치명적인 많은 유해 인자들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자극과 인체 유해 미생물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보호막 역할을 담당한다.Skin is the largest organ of our body and occupies about 16% of the total body weight. Many of the deadly harmful factors that directly touch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ntrude into the body are external stimuli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ultraviolet rays, and harmful microorganisms And protects the human body from damage.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적인 노화와 각종 오염물질,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 결핍 등으로 인해 우리 피부는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부 세포들의 본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피부는 주름 생성, 탄력 손실, 각질화 등 피부노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피부의 보습력 감소, 피부 각화 속도의 둔화 등도 피부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 탄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진피 매트릭스(dermis matrix) 내의 콜라겐(collagen), 뮤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의 양이 줄어들고 불용성 콜라겐의 양은 증가되므로, 진피는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피부가 거칠어지게 된다. However, as we grow older, our skin becomes damaged due to natural aging, various pollutants, strong ultraviolet rays, stress and malnutrition, which causes the skin cells to lose their original function, , Elasticity loss, keratiniz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skin moisturizing and skin keratinization rates are also caused by skin aging. That is, since the amount of collagen, mucopolysaccharide, and hyaluronic acid in the dermis matrix,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skin elasticity with age, is reduced and the amount of insoluble collagen is increased, The dermis becomes difficult to maintain the moisture of the skin, and the skin becomes rough.

또한, 피지샘과 땀샘의 기능도 감소하여 피지와 땀의 양이 점차로 줄어들게 되고, 피지막(sebaceous membrane)이 적당히 생성되지 못하여 피부 보습을 위한 보호기능이 상실되어, 결국에는 피부가 건조해지고 투명성(translucence)을 잃게 되며, 피부 단백질의 탄력이 감소하고 주름이 생성된다. 즉, 피부의 보습력 상실은 피부 탄력 감소 및 주름 생성과 함께 노화의 주된 증상이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사람 피부 세포가 자외선(UV-B, UV-A)에 노출 시 피부 손상의 주원인인 활성 산소 종의 생성으로 인하여 주름 생성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In addition, sebaceous glands and sweat glands decrease in function, sebum and sweat are gradually reduced, sebaceous membranes are not properly formed, and protection for skin moisturization is lost, resulting in skin becoming dry and translucent ), The elasticity of the skin protein is reduced, and wrinkles are produced. In other words, loss of moisture of the skin is a main symptom of aging, together with reduction of skin elasticity and wrinkle formation.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activity of human skin cells, which is the main cause of skin damage when exposed to ultraviolet rays (UV-B, UV-A) It is known that wrinkle formation is caused by the production of oxygen species.

이와 같은 오염된 환경에서 젊고, 탄력 있는 피부를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서 남녀노소 누구나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필수 불가결한 제품인 화장품은 최근 들어 합성 화장품 원료의 사용을 배제한 천연, 유기농 화장품을 찾는 고객들이 증가하고 있다.Cosmetics, an indispensable product that is universally used by all ages to maintain young, resilient skin for a long time in such a polluted environment,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to attract natural and organic cosmetics that exclude the use of synthetic cosmetic raw materials.

하지만, 천연, 유기농 화장품을 제조하는 경우, 필요한 원료를 제조함에 있어, 방부제의 사용(첨가)은 불가피한 실정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producing natural and organic cosmetics, the use (addition) of an antiseptic agent is inevitable in producing a necessary raw material.

이는 천연, 유기농 원료 중에서 방부제 첨가 없이 제조되는 원료는 없을 뿐 아니라, 그러한 원료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화학적인 방부제의 첨가 없이 천연, 유기농 원료들의 부패를 막기 위한 방안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re are no raw materials that are produced without preservatives in natural and organic raw materials, and even if there are such raw materials, there is no way to prevent the corruption of natural and organic raw materials without the addition of chemical preservatives.

따라서, 천연, 유기농 원료들을 이용하여 천연, 유기농 화장품을 제조하는 경우에, 화학적인 방부제의 첨가 없이도 천연, 유기농 원료들의 부패를 막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producing natural or organic cosmetics using natural or organic raw materials, there is a need to search for measures to prevent the corruption of natural and organic raw materials without the addition of chemical preservatives.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0939호(발명의 명칭: 천연 방부제 및 화장품 기능성 원료용 산사 열매 추출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6-0060939 (the title of the invention: a composition comprising a natural preservative and a scarlet fruit extract ingredient for a cosmetic functional raw materi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부제가 첨가되지 않도록 제조되는 천연, 유기농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가능 하거나 또는 방부제의 함량이 감량되도록 할 수 있는 원액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을 제공함에 있다. DISCLOSUR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crude extract which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of natural, organic cosmetics manufactured so as not to add preservatives, And a crude extract prepared thereb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은 중량이 측정된 추출 재료가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단계; 상기 추출 재료가 수용토록 마련된 용기가 구비되는 가열부에 의해, 상기 용기가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기설정된 제1온도로 1차 가열되어, 상기 용기에 수용된 추출 재료가 증숙(蒸熟)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용기가 기설정된 제2시간 동안 기설정된 제2온도로 2차 가열되면, 상기 원액 추출부를 통해, 상기 추출 재료로부터 원액 추출물이 추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epar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comprising: Wherein the container is heated to a first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by a heating unit provided with a container in which the extraction material is received so that the extracted material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steamed step; And when the first time has elapsed, the heating unit causes the extract to be extracted from the extracting material through the extracting unit when the container is secondarily heated to a predetermined second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second time ; ≪ / RTI >

또한, 상기 증숙 단계는, 상기 가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가열모듈, 상기 가열부의 상단에 배치되되, 상기 가열부의 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된 냉각모듈 및 상기 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모듈이 추가로 마련되는 경우에, 상기 가열모듈에 의해, 상기 용기가 상기 제1시간 동안 상기 제1온도로 1차 가열되도록 하여 상기 추출 재료가 증숙되도록 하되, 1차 가열되어 팽창하는 상기 용기의 내부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제1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냉각모듈에 의해, 상기 내부 공기 중 일부가 배출되어, 기체의 압력이 낮아진 용기의 상단부가 냉각되도록 하여, 상기 용기에 진공압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진공압력이 발생된 용기가 상기 제2시간 동안 상기 제2온도로 2차 가열되도록 하여, 상기 추출 재료로부터 상기 원액 추출물이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boiling step may include a heating modul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heating unit, a cooling module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heating unit, the cooling module having an outlet at one side of the heating unit, and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measur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The heating module allows the container to be first heated to the first temperature for the first time so that the extracted material is allowed to mature, The cooling module discharges a part of the internal air to cool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with the lowered pressure of the gas, To cause a vacuum pressure to be generated in the container, and causing the container in which the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to be secondarily heated to the second temperature for the second time period, So that the crude extract can be extracted from the material.

더불어, 상기 증숙 단계는, 상기 추출 재료의 중량이 커질수록 1차 가열을 위한 상기 제1온도가 높게 설정되도록 하되, 상기 추출 재료의 중량이 5~10kg이면, 상기 제1온도가 200~245℃로 설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1시간이 상기 추출 재료의 중량과 상관없이 23시간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oiling step, the first temperature for the first heating is set to be higher as the weight of the extracted material increases, and when the weight of the extracted material is 5 to 10 kg, the first temperature is 200 to 245 ° C And the first time may be set to 23 hours regardless of the weight of the extraction material.

그리고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제1시간이 23시간이고, 상기 제1온도가 200~245℃이면, 상기 제1시간 경과 후, 1차 가열된 용기의 상단부가 30~70℃ 만큼 냉각되도록 하고, 상기 상단부가 냉각된 용기에 진공압력이 발생되면, 상기 진공압력이 발생된 용기에 20시간 동안 170~175℃로 2차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And the extraction step may cause the upper end of the firstly heated container to cool by 30 to 70 ° C after the first time period if the first time is 23 hours and the first temperature is 200 to 245 ° C, When a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container in which the upper part is cooled, the container may be heated to 170 to 175 ° C for 20 hours in the container in which the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또한, 상기 추출 재료는, 칡, 알로에, 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racting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of alum, aloe, and mugwort.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The crud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prepared by a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이에 의해, 방부제가 첨가되지 않도록 제조되는 천연, 유기농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가능 하거나 또는 방부제의 함량이 감량되도록 할 수 있는 원액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rude extract which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natural, organic cosmetics manufactured so as not to add preservatives, or to reduce the content of preservativ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구성요소 중 가열부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을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구성요소 중 가열부의 동작특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을 이용하여 저온 개봉 보관시 세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 실험의 실험 결과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을 이용하여 저온 개봉 보관시 진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 실험의 실험 결과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을 방부 처리한 후, 상온 개봉 보관시 세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 비교실험의 실험 결과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을 방부 처리한 후, 상온 개봉 보관시 진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 비교실험의 실험 결과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천연 화장품 조성물의 세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 비교실험의 실험 결과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천연 화장품 조성물의 진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 비교실험의 실험 결과가 도시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a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heating uni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rude extract of the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ating unit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raw liquid extract manufacturing chamber of the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an experimental result of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contamination during storage at a low temperature using a crude extract prepared by the method of prepar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for resistance to fungal contamination during storage at a low temperature using a crude extract prepar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for comparing the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contamination during preservation at room temperature after preservation of the crude extract prepared by the method of producing a crude extract of the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for comparing the resistance against fungal contamination when preserving a crude extract prepar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for comparing the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contamination of a functional natural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using a crude extract prepared by the method of prepar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11 is a graph showing an experimental result of a comparison test of resistance against fungal contamination of a functional natural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using a crude extract prepared by the method of producing a crude extract of a high 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a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이하에서는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총칭함)과 이를 이용한 제조장치는 방부제가 첨가되지 않도록 제조되는 천연, 유기농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가능 하거나 또는 방부제의 함량이 감량되도록 할 수 있는 원액 추출물(E)을 제조하기 위해 마련된다. The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an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natural and organic cosmetics manufactured without preservatives Or an extract of the stock solution (E) capable of reducing the content of the preservative.

이를 위하여, 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이용하는 제조장치는 투입부(100), 가열부(200), 원액 추출부(300) 및 여과부(400)로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present crude extract preparation method comprises an input unit 100, a heating unit 200, a crude liquid extraction unit 300, and a filtration unit 400.

투입부(100)는, 추출 재료(M)를 투입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투입부(100)는, 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이용하는 제조장치가 원통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단에 원형으로 형성된 투입구가 구비되어, 추출 재료(M)가 투입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00 is provided for inputting the extraction material M. Specifically, whe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present crude extract extract manufacturing method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charging unit 100 may have a charging port formed in a circular shape at the upper end thereof so that the extraction material M may be charged.

이때, 추출 재료(M)는 칡, 알로에, 쑥, 캐모마일, 제라늄, 로즈마리, 다마스크 장미꽃잎, 녹차, 병풀, 레몬잎, 장미, 쌀겨, 마치현, 모링가, 사과, 라벤더, 티트리잎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추출 재료(M)는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가 아니라, 소정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로 투입될 수 있으며, 투입되기 전에 중량이 측정되어, 일정량의 추출 재료(M)가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extraction material (M)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oe, aloe, wormwood, chamomile, geranium, rosemary, damask rose petal, green tea, And the extracting material M may be put in a state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rather than being completely removed from the water. The weight of the extracting material M may be measured before being injected, Can be supplied.

가열부(200)는, 추출 재료(M)를 가열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가열부(200)는,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된 추출 재료(M)가 내부에 마련된 용기(210)에 수용되면, 용기(210)가 제1시간 동안 제1온도로 1차 가열되어, 용기(210)에 수용된 추출 재료(M)가 증숙되도록 하고, 제1시간이 경과되면, 1차 가열된 용기(210)가 제2시간 동안 제2온도로 2차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200 is provided for heating the extraction material M. [ Specifically, when the extraction material M injected through the charging unit 100 is received in the container 210 provided inside the heating unit 200, the container 210 is heated to the first temperature for the first time, So that the extracted material M contained in the container 210 is matured, and when the first time has elapsed, the first heated container 210 can be heated to the second temperature for a second time.

원액 추출부(300)는 가열부(200)를 통해 가열되어, 증숙된 추출 재료(M)로부터 원액 추출물(E)이 추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원액 추출부(300)는 가열부(200)의 내부에 마련되어, 가열되어 증숙된 추출 재료(M)로부터 원액 추출물(E)이 추출되면, 추출되는 원액 추출물(E)이 수용되도록 하거나 또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undiluted solution extracting unit 300 is provided for heating the solution through the heating unit 200 to extract the undiluted solution extract E from the extracted extractive material M. Specifically, the undiluted solution extracting unit 300 is provided inside the heating unit 200 to allow the extract solution E to be extracted when the undiluted solution extract E is extracted from the heated and matured extraction material M,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여과부(400)는, 추출된 원액 추출물(E)에 포함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여과부(400)는, 원액 추출부(300)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되, 내부에 마이크로 필터가 구비되어, 추출된 원액 추출물(E)에 포함된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다. The filtration unit 400 is provided to remove the precipitate contained in the extracted crude extract (E). Specifically, the filtration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undiluted solution extraction unit 300, and a microfilter is provided therein to remove the precipitate contained in the extracted undiluted solution 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가열부(20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가열부(200)의 동작특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a heating unit 200 of a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in detail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heating unit 200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crude extract extraction method of the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가열부(2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heating unit 200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crude extract solutio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E.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이용하는 제조장치의 가열부(200)는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된 추출 재료(M)가 내부에 마련된 용기(210)에 수용되면, 용기(210)가 제1시간 동안 제1온도로 1차 가열되어, 용기(210)에 수용된 추출 재료(M)가 증숙되도록 하고, 제1시간이 경과되면, 1차 가열된 용기(210)가 제2시간 동안 제2온도로 2차 가열되도록 하기 위해, 전술한 용기(210) 이외에, 가열모듈(220), 냉각모듈(230), 온도 감지모듈(240) 및 제어모듈(250)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200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crude liquid extract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extraction material M inj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00 is received in the container 210 provided therein, The first heated container 210 is first heated to the first temperature for a first time to allow the extracted material M contained in the container 210 to be matured, A heating module 220, a cooling module 230,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240, and a control module 25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addition to the container 210 described above so as to be heated to a second temperature.

용기(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된 추출 재료(M)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가열모듈(220)은, 추출 재료(M)가 수용된 용기(210)를 가열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가열모듈(220)은 가열부(200)의 측면을 따라 열선(미도시)이 권취되거나 또는 하단에 열선(미도시)이 배치되어, 용기(210)가 가열되도록 하거나, 가열부(200)의 측면 또는 하단에 증기가 분사될 수 있는 가열 노즐(미도시)이 마련되어, 공급되는 증기에 의해 용기(210)가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ainer 210 is provided to accommodate the extraction material M injected through the inlet 1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heating module 220 heats the container 210 containing the extraction material M . More specifically, the heating module 220 is configured to heat the container 210 to heat the container 210 by winding a hot wire (not shown)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heating unit 200 or a hot wire (not shown) A heating nozzle (not shown) capable of injecting steam can be provid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vessel 210, so that the vessel 210 can be heated by the supplied steam.

냉각모듈(230)은, 용기(210)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1시간이 경과되어, 1차 가열이 완료되면, 용기(210)의 상단부가 냉각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냉각모듈(230)은, 가열부(200)의 일측에 배출구(233)가 마련되어, 1차 가열되는 용기(210)의 내부 공기가 패창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제1시간이 경과되어, 1차 가열이 완료되면, 내부 공기 중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어, 내부 공기의 압력이 낮아진 용기(210)의 상단부가 냉각되도록 하여, 용기(210)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oling module 230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210 and is provided to allow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210 to cool when the first time has elapsed and the first heating is completed. Specifically, the cooling module 23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233 at one side of the heating unit 200 to allow the internal air of the container 210 to be heated to be deflat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heating is completed, a part of the internal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210 having the lowered internal air pressure is cooled, so that a vacuum pressure can be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210 have.

이를 위해, 냉각모듈(230)은, 배출구(233) 이외에도, 가열부(200)의 상단에 냉각팬(231)이 배치되거나 또는 가열부(200)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냉각 노즐(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The cooling module 2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oling fan 231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heating unit 200 or cold air is supplied from the upper end of the heating unit 200 toward the lower end A cooling nozzle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온도 감지모듈(240)은, 용기(210)에 수용된 추출 재료(M)의 온도 또는 용기(210)의 내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온도 감지모듈(240)은, 용기(210)의 일측 또는 하측에 마련되어, 용기(210)에 수용된 추출 재료(M)의 온도 또는 용기(210)의 내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제어모듈(25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240 is provided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ion material M contained in the container 210 or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air of the container 210.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240 is provided on one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210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ing material M contained in the container 210 or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210,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control module 250.

제어모듈(250)은, 온도 감지모듈(240)로부터 수신된 추출 재료(M)의 온도 또는 용기(210)의 내부 공기의 온도를 기반으로 가열모듈(220)과 냉각모듈(230)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50)은, 가열모듈(220)을 제어하여 추출 재료(M)가 수용된 용기(210)가 제1시간 동안 제1온도로 1차 가열되도록 하고, 1차 가열이 완료되면, 냉각모듈(230)을 제어하여, 용기(210)의 상단부가 냉각되도록 하고, 제2시간 동안 제2온도로 2차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250 controls the heating module 220 and the cooling module 230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ion material M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240 or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210 .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250 controls the heating module 220 so that the container 210 containing the extraction material M is firstly heated to the first temperature for the first time, and when the first heating is completed, The cooling module 23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210 is cooled and secondarily heated to a second temperature for a second time.

이때, 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은 추출 재료(M)의 중량이 커질수록 1차 가열을 위한 제1온도가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추출 재료(M)의 중량이 5~10kg이면, 제1온도가 200~245℃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시간은 추출 재료(M)의 중량과 상관없이 23시간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emperature for the first heating is set to be higher as the weight of the extraction material (M) increases.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if the weight of the extraction material M is 5 to 10 kg,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emperature is set to 200 to 245 DEG C, Time.

그리고 제1시간이 23시간이고, 제1온도가 200~245℃로 설정되면, 제2시간이 20시간으로 설정되고, 제2온도가 170~175℃로 설정되어, 제1시간 경과 후, 냉각모듈(230)을 이용하여 1차 가열된 용기(210)의 상단부가 30~70℃만큼 냉각되도록 하고, 용기(210)의 상단부가 냉각된 용기(210)에 진공압력이 발생되면, 진공압력이 발생된 용기(210)에 20시간 동안 170~175℃로 2차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time is 23 hours and the first temperature is set to 200 to 245 DEG C, the second time is set to 20 hours, the second temperature is set to 170 to 175 DEG C, The upper end of the first heated container 210 is cooled by 30 to 70 DEG C using the module 230 and when a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container 210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210 is cooled, And the secondary container 210 may be heated to 170 to 175 ° C for 20 hours.

한편, 제어모듈(250)의 동작특성을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모듈(250)은, 가열모듈(220)을 제어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 재료(M)가 수용된 용기(210)가 제1시간 동안 제1온도로 1차 가열되도록 하고, 추출 재료(M)가 1차 가열되는 과정에서 용기(210)의 내부 공기가 가열되어 팽창함으로써, 내부 공기의 압력이 상승하면, 내부 공기 중 일부가 밖으로 배출되어, 내부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압력이 낮아진 상태로 가열부(200)의 상단에 배치된 냉각모듈(230)에 의해 냉각이 이뤄지면, 상측과 하측의 온도차에 의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류 현상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3A to 3E, the control module 250 controls the heating module 22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xtraction material (not shown) as shown in FIG. 3A M is first heated to a first temperature for a first time and the inner air of the container 210 is heated and expanded during the first heating of the extracted material M, A part of the internal air is discharged to lower the pressure of the internal air. When the cooling is performed by the cooling module 230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heating part 200 in a state where the pressure is lowered , And a convection phenomenon can be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s shown in FIG. 3B.

이때, 냉각모듈(230)에 마련되는 배출구(233)는 내부 공기 중 일부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되,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도,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 밀폐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charge port 233 provided in the cooling module 230 may be provided with unidirectional sealing means for allowing a part of the inside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not allowing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side even if the inside pressure is lowered.

그리고 추출 재료(M)가 수용된 용기(210)의 내부에 대류 현상이 발생 되더라도, 배출구(233)를 통해 내부 공기는 배출되고 외부 공기는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210)의 내부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Even if a convection phenomenon occurs in the container 210 containing the extraction material M, since the insid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33 and the outside air is not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210, A vacuum pressure may be generated as shown.

제어모듈(250)은, 용기(210)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되면, 진공압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용기(210)가 제2시간 동안 제2온도로 2차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50)은, 용기(210)가 2차 가열되도록 하여, 용기(210)의 내부에 수용된 추출 재료(M)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기화되어 증기상태로 변환되어, 상승되도록 하고,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된 증기들이 가열부(200)의 상단부에 도달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250 may cause the container 210 to be secondarily heated to the second temperature for a second time when the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210. [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250 allows the container 210 to be heated secondarily so that the extracted material M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10 gradually vaporizes over time and is converted into a vapor state, And the elevated vapors can reach the upper end of the heating section 200 as shown in Fig.

이때, 제어모듈(250)은, 제2시간 동안 제2온도로 2차 가열하는 중에도, 온도 감지모듈(240)을 통해, 용기(210)에 수용된 추출 재료(M)의 온도 또는 용기(210)의 내부 공기의 온도가 제2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냉각모듈(230)이 동작하도록 하여, 제2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냉각모듈(230)이 동작되는 경우, 가열부(200)의 상단부에 도달한 증기들이 냉각되어 응축액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변환된 응축액들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액 추출부(300)에 도달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250 ma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ion material M contained in the container 210 or the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10 through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240 during the second heating to the second temperature for the second time. The cooling module 230 can be operated to maintain the second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air of the heating module 200 is higher than the second temperature, Can be cooled and converted into a condensate, and the converted condensates can reach the crude extractor 300 as shown in FIG. 3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은 방부제가 첨가되지 않도록 제조되는 천연, 유기농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가능 하거나 또는 방부제의 함량이 감량되도록 할 수 있는 원액 추출물(E)을 제조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eparing a crude extrac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natural or organic cosmetics manufactured so as not to add preservatives, or a crude extract (E) that can reduce the content of preservatives.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중량이 측정된 추출 재료(M)가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되어(S310), 용기(210)에 수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추출 재료(M)의 중량을 측정하는 것은, 추출 재료(M)의 중량에 따라 1차 가열 온도인 제1온도의 설정 값이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In order to do this, it is first necessary to allow the weight of the extracted extractive material M to be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unit 100 (S310) and to b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10. [ The reason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extraction material M is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 value of the first temperature, which is the first heating temperature, is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extraction material M.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재료의 중량이 5~10kg이면, 도달하고자 하는 제1온도를 200~245℃로 설정하여, 기설정된 제1시간 동안 추출 재료(M)가 1차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weight of the material is 5 to 10 kg, the first temperature to be reached is set to 200 to 245 ° C so that the extracted material M is first heated for a predetermined first time.

한편, 추출 재료(M)가 용기(210)에 수용되면, 제어모듈(250)은, 가열모듈(220)을 제어하여, 추출 재료(M)가 수용된 용기(210)가 제1시간 동안 제1온도로 1차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S320). 그리고 제1시간이 경과되어, 1차 가열이 완료되면, 제어모듈(250)은, 냉각모듈(230)을 제어하여 용기(210)의 상단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S330),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raction material M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10, the control module 250 controls the heating module 220 so that the container 210, in which the extraction material M is accommodated, (S320). ≪ / RTI > When the first time has elapsed and the first heating is completed, the control module 250 controls the cooling module 230 to cool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210 (S330)

구체적으로, 제어모듈(250)은 1차 가열되는 용기(210)의 내부 공기가 패창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제1시간이 경과되어, 1차 가열이 완료되면, 내부 공기 중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어 내부 공기의 압력이 낮아진 용기(210)의 상단부가 냉각 모듈에 의해 냉각되도록 하여, 용기(210)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first time has elapsed and the first heating has been completed, the control module 250 control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210 such that a part of the internal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210 having the lowered internal air pressure is cooled by the cooling module so that a vacuum pressure can be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210.

이때, 용기(210)의 내부에는 상단부와 하단부 간의 온도차에 의해 대류 현상이 발생되고, 용기(210)의 내부에 대류 현상이 발생 되더라도, 배출구(233)를 통해 내부 공기는 배출되고 외부 공기는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210)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convection phenomenon occurs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210. Even if a convection phenomenon occurs in the container 210, the insid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33, A vacuum pressure may be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210. In this case,

제어모듈(250)은, 용기(210)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되면, 진공압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용기(210)가 제2시간 동안 제2온도로 2차 가열되도록 하여(S340), 추출 재료(M)로부터 원액 추출물(E)이 추출되도록 할 수 있고(S350), 추출된 원액 추출물(E)은 여과부(400)를 통해, 여과될 수 있다(S360). When the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container 210, the control module 250 causes the container 210 to be secondarily heated to the second temperature for a second time in a state where the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S340) The extracted crude extract E can be filtered from the material M through the filtration unit 400 in operation S360 and the extracted crude extract E can be filtered through the filtration unit 400 in operation S36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5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rude extract of a high-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추출 재료(M)를 가열하는 방식에 있어, 일부 차이가 있다.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rude extrac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method of heating the extraction material (M).

구체적으로, 이를 위해, 우선 중량이 측정된 추출 재료(M)를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하여(S410), 용기(210)에 수용되도록 한다. Specifically, for this purpose, the extracted extractive material M, which has been measured for weight, is first introduced through the injection unit 100 (S410) and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10. [

추출 재료(M)가 용기(210)에 수용되면, 제어모듈(250)은, 가열모듈(220)을 제어하여, 추출 재료(M)가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S420). 이때, 제어모듈(250)은, 온도 감지모듈(240)을 통해, 용기(210)의 내부 공기의 온도 또는 추출 재료(M)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제1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추출 재료(M)가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Once the extraction material M is received in the container 210, the control module 250 may control the heating module 220 to cause the extraction material M to be heated (S420).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25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air of the container 210 or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ion material M through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240, and extracts So that the material M can be heated.

그리고 가열된 추출 재료(M)가 기설정된 제1온도에 도달하면(S430-Yes), 제어모듈(250)은, 냉각모듈(230)을 제어하여 내부 공기를 냉각시켜(S440), 제2온도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module 250 controls the cooling module 230 to cool the inside air (S440), and when the heated extraction material M reaches the predetermined first temperature (S430-Yes), the control module 250 controls the cooling module 230 to cool the inside air . ≪ / RTI >

또한, 제어모듈(250)은 내부 공기가 제2온도에 도달하면(S450-Yes), 다시 가열모듈(220)을 제어하여 추출 재료(M)를 가열하여, 제1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며,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S460-Yes), 추출 재료(M)로부터 원액 추출물(E)이 추출되도록 할 수 있고(S470), 추출된 원액 추출물(E)은 여과부(400)를 통해, 여과될 수 있다(S480). When the internal air reaches the second temperature (S450-Yes), the control module 250 controls the heating module 220 again to heat the extracted material M to reach the first temperature Heating and cooling are repeated until a preset time is reached and the crude extract (E) is extracted from the extracted material (M) (S470) until a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S460-Yes) The extracted crude extract (E) may be filtered through the filtration unit 400 (S480).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은 추출 재료(M)의 중량이 5~10kg이면, 추출 재료(M)가 수용된 용기(210)가 200~245℃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하고, 200~245℃에 도달하면, 용기(210)의 상단부를 냉각시켜, 170℃에 도달하도록 하고, 용기(210)가 170℃에 도달하면, 다시 200~245℃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과 냉각을 43시간 동안 반복하여, 용기(210)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되도록 한 상태에서 추출 재료(M)로부터 원액 추출물(E)이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weight of the extracted material M is 5 to 10 kg, the container 210 containing the extracted material M is heated until it reaches 200 to 245 캜, and 200 to 245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210 is cooled to reach 170 캜 and when the container 210 reaches 170 캜, heating and cooling are continued for 43 hours until reaching 200 - 245 캜 again The extraction of the crude extract (E) from the extraction material (M) can be performed while the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inside the container (210) repeatedly.

한편, 도 6a 내지 도 6d는 추출 재료(M)로 칡을 이용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을 저온 개봉 보관하며, 세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을 실험한 실험 결과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추출 재료(M)로 칡을 이용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을 저온 개봉 보관하며, 진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을 실험한 실험 결과가 도시된 도면이다. 6A to 6D show that the extract (E) prepar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tored at low temperature and stored, and the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contamination is tested FIGS. 7A to 7D show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n FIG. 7A to FIG. 7D, the crude extract (E) prepared by the crude extract pr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tored at low temperature, And the result of an experiment in which the resistance against fungal contamination is tested.

구체적으로, 도 6a 및 도 7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이 저온에 개봉 보관된 시점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b 및 도 7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이 저온에 개봉 보관된 지 10일이 경과된 시점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6c 및 도 7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이 저온에 개봉 보관된 지 30일이 경과된 시점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d 및 도 7d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이 저온에 개봉 보관된 지 90일이 경과된 시점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Specifically, FIGS. 6A and 7A are views showing a state at the time when the stock extract (E) prepar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opened and stored at low temperatures. FIGS. 6B and 7B are views FIG. 6C and FIG. 7C are views showing a state at a point in time when 10 days after the stock solution (E) prepar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according to the Example has been stored at a low temperature, FIG. 6D and FIG. 7D are diagrams showing a state when the raw extract (E) prepa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is opened and stored at low temperature, And 90 days after the undiluted undiluted extract (E) is stored at low temperature.

도 6a 내지 도 7d를 살펴보면, 칡을 추출 재료(M)로 이용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은 저온 개봉 상태에서는 90일이 경과된 시점에서도 세균 및 진균이 검출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6 (a) to 7 (d), the crude extract (E) prepar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rud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ing the extract as the extraction material (M) And fungi were not detected.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은 건조되지 않은 원물 상태의 칡(소정의 수분이 포함된 칡) 5~10kg을 200~245℃로 23시간 동안 1차 가열하고, 170℃로 20시간 동안 2차 가열하여, 원액 추출물이 추출되도록 하고, 추출된 원액 추출물을 마이크로 필터로 여과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된 것이다.5 to 10 kg of the undiluted undiluted raw material (the predetermined moisture content) was heated at 200 to 245 ° C. for 23 hours to 1 Heated to 170 ° C for 20 hours to allow the crude extract to be extracted, and the extracted crude extract is filtered with a microfilter.

또한, 도 8a 내지 도 9b는 칡을 추출 재료(M)로 이용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을 방부 처리하여, 상온에 개봉 보관하는 경우, 세균 및 진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을 확인하고자 일반적인 칡 추출물과의 비교실험의 실험 결과가 도시된 도면이다. 8A to 9B show the case where the crude extract (E) prepared by the crude extract extract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as an extractive material (M), and is preserv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experiment with a common fungus extract in order to confirm the resistance against fungal contamination.

구체적으로, 도 8a는 세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을 확인하고자 추출 재료(M)로 칡을 이용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에 천연 방부제인 나프리(Napre)를 조성물 전체 중량의 1%에 해당하는 양만큼 첨가하여 방부 처리한 후, 상온 개봉 보관된 지 30일이 경과된 시점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8b는 일반적인 칡 추출물에 천연 방부제인 나프리(Napre)를 조성물 전체 중량의 1%에 해당하는 양만큼 첨가하여 방부 처리한 후, 상온 개봉 보관된 지 상온 개봉 보관된지 30일이 경과된 시점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More specifically, FIG. 8A shows the results of a method of measuring the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contamination using an extracting material (M) as a raw material, a natural preservative, Napre) is added to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1%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subjected to a preservative treatment, and then 30 days after storage at room temperature is opened. Fig. 8B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natural preservative (Napre) is added to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1%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subjected to a preservative treatment, and then 30 days after storage at room temperature is maintained.

또한, 도 9a은 진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을 확인하고자 추출 재료(M)로 칡을 이용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에 천연 방부제인 나프리(Napre)를 조성물 전체 중량의 1%에 해당하는 양만큼 첨가하여 방부 처리한 후, 상온 개봉 보관된 지 30일이 경과된 시점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9b는 일반적인 칡 추출물에 천연 방부제인 나프리(Napre)를 조성물 전체 중량의 1%에 해당하는 양만큼 첨가하여 방부 처리한 후, 상온 개봉 보관된 지 상온 개봉 보관된지 30일이 경과된 시점의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9A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e natural preservative Napre (E) on the crude extract (E) prepared by the crude extract extr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Was added to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1%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subjected to a preservative treatment, and then 30 days after storage at room temperature was opened. Fig. 9 The figure shows a state in which Napre is added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1%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subjected to a preservative treatment, and then 30 days after storage at room temperature is maintained.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은 도 8a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균 및 진균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인 칡 추출물은 도 8b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균 및 진균이 검출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이 일반적인 칡 추출물보다 세균 및 진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나 천연 방부제의 함량이 감량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8 (a) and 9 (a), bacteria and fungi were not detected in the crude extract (E)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Example, (E) produc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ore resistant to bacterial and fungal contamination than general extracts, thereby reducing the content of natural preservatives. .

그리고 도 10a 내지 도 11d는 칡을 추출 재료(M)로 이용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을 이용하여 제작된 무방부 화장품 조성물과 기존 화장품 조성물의 세균 및 진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을 확인하고자 비교실험의 실험 결과가 도시된 도면이다. FIGS. 10A to 11D are cross-sectional photographs of a conventional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using the crude extract (E) prepared by the crude extract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cosmetic composition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experiment is shown in order to confirm the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and fungal contamination.

구체적으로, 도 10a 및 도 11a는 방부 처리된 기존에 판매되는 마스크 팩에 이용되는 화장품 조성물이 상온 개봉 보관된지 6일이 경과된 시점의 모습이고, 도 10b 및 도 11b는 방부 처리되지 않은 기존에 판매되는 마스크 팩에 이용되는 화장품 조성물이 상온 개봉 보관된지 6일이 경과된 시점의 모습이며, 도 10c 및 도 11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을 이용하여 제작된 무방부 화장품 조성물이 상온 개봉 보관된지 6일이 경과된 시점의 모습이고, 도 10d 및 도 11d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방부 처리된 화장품 조성물이 상온 개봉 보관된지 6일이 경과된 시점의 모습이다.Specifically, FIGS. 10A and 11A are views at the time when six days have elapsed from the time when cosmetic compositions used in mask packs which have been preserved to be sold a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IG. 10B and FIG. FIG. 10C and FIG. 11C ar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the cosmetic composition used in the mask pack to be sold is opened at room temperature and stored for 6 days, and FIGS. 10C and 11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crude extract (E) 10D and 11D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btained when the undiluted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by using the crude extract (E) prepared by the crude extract pr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And 6 days after the preserved cosmetic composition was opened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을 이용하여 제작된 무방부 화장품 조성물과 기존 화장품 조성물을 비교실험한 결과 상온 개봉 보관된지 6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방부 처리되지 않은 기존에 판매되는 마스크 팩에 이용되는 화장품 조성물에서만 세균 및 진균이 각각 20cfu/ml 검출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을 이용하여 제작된 화장품이 기존 화장품 조성물보다 세균 및 진균 오염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나 천연 방부제의 함량이 감량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ntreated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by using the crude extract (E) prepared by the crude extract pr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cosmetic composition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it was found that when 6 days had passed since the storage at room temperature Bacteria and fungi were detected at 20 cfu / ml only in the cosmetic composition used in the conventional mask pack which was not preserved, and the extract (E) prepared by the crude extract solution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xample It can be confirmed that cosmetics are more resistant to bacterial and fungal contamination than conventional cosmetic compositions and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tent of natural preservatives.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액 추출물(E)을 이용하여 제작된 화장품 조성물의 함량(W/W%)은 원액 추출물(E)이 전체 중량의 95~100%, 수용성 증점제가 전체 중량의 0~0.3%, 유기농 에센셜 오일이 0~4.7%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ent (W / W%) of the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using the crude extract (E) prepared by the crude extract pr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95 to 100% of the total weight of the crude extract (E) The water-soluble thickener may be 0 to 0.3% of the total weight, and the organic essential oil may be 0 to 4.7%.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M : 추출 재료(Material) E : 원액 추출물(Extract)
100 : 투입부 200 : 가열부
210 : 용기 220 : 가열모듈
230 : 냉각모듈 231 : 냉각팬
233 : 배출구 240 : 온도 감지모듈
250 : 제어모듈 300 : 원액 추출부
400 : 여과부
M: Material E: Extract
100: input unit 200: heating unit
210: vessel 220: heating module
230: cooling module 231: cooling fan
233: Outlet 240: Temperature sensing module
250: Control module 300:
400:

Claims (6)

중량이 측정된 추출 재료가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단계;
상기 추출 재료가 수용토록 마련된 용기가 구비되는 가열부에 의해, 상기 용기가 23시간 동안 200~245℃의 온도로 1차 가열되어, 상기 용기에 수용된 추출 재료가 증숙(蒸熟)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23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용기가 20시간 동안 170~175℃의 온도로 2차 가열되면, 원액 추출부를 통해, 상기 추출 재료로부터 원액 추출물이 추출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원액 추출부와 연결되되 마이크로 필터를 구비한 여과부를 통해 상기 추출된 원액 추출물에서 침전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부의 측면에 배치되는 가열모듈, 상기 가열부의 상단에 배치되되 상기 가열부의 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된 냉각모듈 및 상기 용기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증숙 단계와 상기 추출 단계는,
수동적인 온도 조절이 아닌 상기 온도 감지모듈에 의해 감지된 용기 내부 온도를 기반으로 상기 가열모듈과 상기 냉각모듈이 제어되도록 하는 자동적인 온도 조절에 의해, 상기 증숙 단계에서의 상기 1차 가열을 위한 온도와 상기 추출 단계에서의 상기 2차 가열을 위한 온도가 맞춰지도록 하며,
상기 원액 추출물은,
저온 개봉 상태에서 90일이 경과한 후에도 세균 및 진균이 검출되지 않도록 하여 유기농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되기 위해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되어 상기 침전물이 제거된 상태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
The weighted extracted material is injected through the input portion;
So that the container is first heated to a temperature of 200 to 245 占 폚 for 23 hours by a heating part equipped with a container provided with the extraction material so that the extracted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is steamed;
Extracting the crude extract from the extract material through the crude extracting unit when the container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170 to 175 DEG C for 20 hours by the heating unit after 23 hours have elapsed; And
And removing the precipitate from the extracted crude extract through a filtration unit connected to the crude extracting unit and having a microfilter,
The heating unit includes:
A heating modul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heating unit, a cooling module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heating unit, the cooling module having an outlet at one side of the heating unit, and a temperature sensing module measur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Wherein the boiling step and the extracting step comprise: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ling module based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module, rather than by manual temperature control, the temperature for the primary heating at the steaming stage And the temperature for the secondary heating in the extraction step is adjusted,
The crude extract may contain,
Wherein the filter is filtered in the filtration part so that bacteria and fungi are not detected even after passage of 90 days in a low-temperature open state, and the filtrate is extracted as a raw material for organic cosmetics, A method for producing a crude extra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재료는,
칡, 알로에, 쑥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진공 추출방식의 원액 추출물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raction material may comprise,
Wherein the extrac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oe, aloe, and mugwort.
삭제delete
KR1020170114338A 2017-09-07 2017-09-07 Manufacturing method for undiluted extract of high temperature vacuum type and the product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1019651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338A KR101965178B1 (en) 2017-09-07 2017-09-07 Manufacturing method for undiluted extract of high temperature vacuum type and the product manufactured by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338A KR101965178B1 (en) 2017-09-07 2017-09-07 Manufacturing method for undiluted extract of high temperature vacuum type and the product manufactured by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499A KR20190027499A (en) 2019-03-15
KR101965178B1 true KR101965178B1 (en) 2019-04-05

Family

ID=6576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338A KR101965178B1 (en) 2017-09-07 2017-09-07 Manufacturing method for undiluted extract of high temperature vacuum type and the product manufactured by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1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223B1 (en) * 2019-09-17 2021-08-23 주식회사 씨에이치하모니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g extract prepared by distilled extraction
WO2023106884A1 (en) * 2021-12-10 2023-06-15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Composition including artemisia capillaris and bamboo shoot extrac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bowel disea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119B1 (en) * 2005-09-26 2007-02-15 현 김 A kettle for extracting or teaming in high temperature and vacuum cond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20B1 (en) * 2008-06-24 2011-04-22 노한래 Concentrated Fluid Extractor
KR101066983B1 (en) * 2008-10-09 2011-09-22 이성언 An extracting apparatus with high temperature and vacuum
KR20100087993A (en) * 2009-01-29 2010-08-06 노한래 Extracting apparatus with regulating sensor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extracted liquid
KR20110101829A (en) * 2010-03-10 2011-09-16 노한래 Extractor of oriental medicine and fruit
KR20160060939A (en) 2014-11-21 2016-05-31 이석준 Composition Having Extracted Component of Hawthorn Fruit for A Natural Antiseptic and Functional Material of Cosmetic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119B1 (en) * 2005-09-26 2007-02-15 현 김 A kettle for extracting or teaming in high temperature and vacuum condition and its oper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499A (en)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17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undiluted extract of high temperature vacuum type and the product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101626575B1 (en) Anti-atopic dermatitis antimicrobial wet tissue comprising eco-friendly antimicrobial agent
CN101775337A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preparing osmanthus essential oil, dry osmanthus product and osmanthus essential lotion
CN105899091B (en) Tobacco-containing material and its processing method
CN107216949A (en) The transformation distillating method of polyphenol powde and essential oil is extracted in a kind of wood from Chinese juniper
CN102640985A (en) Cigarette tar-reducing harm-reducing process and supercritical extraction device for tobacco shred or tobacco leaves
CN106260344A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Herba Dendrobii black tea
CN109864269A (en) A kind of chrysanthemum dish production method
CN106689342A (en) Cucumber storage method
CN108669223A (en) A kind of anti-rot and fresh-keeping method of mango
CN108115788B (en) A kind of anti-artwork of woodwork
KR101698162B1 (en) Composition for hair pack and hair pack comprasing the same
CN106823454A (en) A kind of continuous selective extraction method of volatile oil and flavones in cacumen biotae
CN105192484B (en) A kind of long-acting Titian device and its method for increasing aroma
CN109430454A (en) A kind of processing technology of low fluorine hiding tea
KR102440460B1 (en)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containing ginseng condensed water obtained by vacuum drying at room temperature
CN107081825B (en) A method of preventing poplar craze and transfiguration
CN104719451A (en) Method for extracting biological fresh keeping agent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application of biological fresh keeping agent in fruit freshness keeping
KR101769935B1 (en) Method for producing Broussonetia plant extracts, the extracts produced thereby,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2360053B1 (en) Fill-up lifting ampoule
CN104824138A (en) Green corn preservative
CN104738786B (en) A kind of method of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honeysuckle
CN110840793B (en) Fibroin mask liqui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3409237A (en) Method used for extracting chamomille extract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KR20130113820A (en) A METHOD OF EXTRACTING FOR ACORUS CALAMUS ROOT EXTRACTS OIL INCLUDING β-ASARONE US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