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139B1 -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139B1
KR101965139B1 KR1020170122042A KR20170122042A KR101965139B1 KR 101965139 B1 KR101965139 B1 KR 101965139B1 KR 1020170122042 A KR1020170122042 A KR 1020170122042A KR 20170122042 A KR20170122042 A KR 20170122042A KR 101965139 B1 KR101965139 B1 KR 10196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discharged
discharging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360A (ko
Inventor
강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스웰
Priority to KR1020170122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1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7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using more than one jet or band in the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일양태는, 실외에 위치하는 기설정된 형상 및 면적의 대지의 상방에 정의되는 공간으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으로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 유닛; 상기 송풍 유닛의 동작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정의하는 덕트 유닛; 상기 덕트 유닛을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공간 및 상기 공간의 외부를 구획하는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도록 토출되는 다수개의 토출 유닛; 상기 토출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화 유닛; 상기 송풍 유닛의 동작 및 상기 토출 유닛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PREVENTING SYSTEM AND METHOD FOR INFLOW DUST FOR OUTDOOR}
본 발명은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 인자의 증가에 따른 환경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실내의 경우에는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공기청정기나 환기시스템의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외의 경우에는, 단순히 개인용 방진구 등의 착용에 의한 오염 인자의 흡입 방지 수준이 머무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실외에서의 활동이 불편 또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특히, 실외에서의 놀이나 운동과 같은 격렬한 활동이 빈번한 어린이의 경우에는, 개인용 방진구의 착용을 꺼려하는 경향이 높으므로, 오염 인자에 의한 건강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43413호(명칭: 스월러 및 에어커튼 가이드가 부착된 국소배기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에서의 안전한 활동을 위하여 실외 공간에 대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일양태는, 실외에 위치하는 기설정된 형상 및 면적의 대지의 상방에 정의되는 공간으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으로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 유닛; 상기 송풍 유닛의 동작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정의하는 덕트 유닛; 상기 덕트 유닛을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공간 및 상기 공간의 외부를 구획하는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도록 토출되는 다수개의 토출 유닛; 상기 토출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화 유닛; 상기 송풍 유닛의 동작 및 상기 토출 유닛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일 양태에서, 상기 토출 유닛은, 제1방향으로의 제1에어 플로우를 형성하도록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1개의 제1토출 유닛; 및 제2방향으로의 제2에어 플로우를 형성하도록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1개의 제2토출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의 수평 방향의 경계면이 서로 인접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일 양태에서, 상기 대지의 경계선은, 적어도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경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 유닛은, 상기 제1경계선 상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토출 유닛은, 상기 제2경계선 상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토출 유닛 사이의 영역 또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토출 유닛 사이의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 중 어느 일방의 상단 경계면이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 중 나머지 타방의 경계면과 서로 인접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일 양태는, 실외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 농도 감지 센서; 및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농도 이상이면, 상기 제2경계선 상에서의 상기 제1에어 플로우의 높이 및 상기 제2경계선 상에서의 상기 제2에어 플로우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하고,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이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2경계선 상에서의 상기 제1에어 플로우의 높이 및 상기 제2경계선 상에서의 상기 제2에어 플로우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일 양태는, 실외의 상대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이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며, 상기 습도 감지 센서가 감지한 상대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 습도 이하이면,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물 분사 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일 양태에서, 상기 토출 유닛은, 제1 내지 제N방향으로의 제1 내지 제N에어 플로우를 형성하도록 공기가 각각 토출되는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은, 상기 제1 내지 제N에어 플로우의 수평 방향 경계면이 인접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은, 상기 제1 내지 제N에어 플로우가 상기 경계선을 향하도록 상기 대지의 경계선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대지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일 양태는, 실외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 농도 감지 센서; 및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농도 이상이면, 상기 경계선 상에서의 상기 제1 내지 제N에어 플로우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하고,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이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경계선 상에서의 상기 제1 내지 제N에어 플로우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일 양태는, 실외의 상대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이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며, 상기 습도 감지 센서가 감지한 상대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 습도 이하이면, 상기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물 분사 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제어 방법의 일 양태는, 실외에 위치하는 기설정된 형상 및 면적의 대지의 상방에 정의되는 공간으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먼지 농도 감지 센서 및 온도 감지 센서가, 실외의 먼지 농도 및 온도를 감지하는 감지 단계; 및 제어 유닛이, 상기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먼지 농도 및 온도에 따라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 유닛의 동작 및 상기 송풍 유닛에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공간 및 상기 공간의 외부를 구획하는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도록 토출되는 다수개의 토출 유닛에서 공기의 배출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제어 방법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먼지 농도 판단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먼지 농도 판단 단계에서 먼지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어 플로우에 의하여 상기 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공간의 내부로의 먼지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송풍 유닛의 동작 및 상기 토출 유닛에서의 공기의 토출 각도를 제어하는 제1모드 동작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먼지 농도 판단 단계에서 먼지 농도가 기준 농도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온도 판단 단계; 및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온도 판단 단계에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어 플로우에 의하여 상기 공간에서 활동하는 활동자의 체온이 저하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 유닛의 동작 및 상기 토출 유닛에서의 공기의 토출 각도를 제어하는 제2모드 동작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제어 방법의 일 양태에서, 상기 감지 단계에서, 습도 감지 센서가 실외의 상대 습도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온도 판단 단계에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 습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습도 판단 단계; 및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습도 판단 단계에서 습도가 기준 습도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에어 플로우에 의하여 상기 공간에서 활동하는 활동자의 체온이 저하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 유닛의 동작 및 상기 토출 유닛에서의 공기의 토출 각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이 분사되도록 물 분사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3모드 동작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토출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 플로어에 의하여 실외의 공간의 외부에서 공간으로의 먼지의 유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공간에서 활동하는 활동자의 건강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먼지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따라서 공간으로의 먼지의 유입을 방지 또는 공간에서 활동하는 활동자의 체온을 낮출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순한 먼지의 유입 방지 뿐만 아니라 활동자의 건강이나 쾌적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제어 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1)은, 실외에 위치하는 기설정된 형상 및 면적의 대지(10)의 상방에 정의되는 공간(S1)으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지(10)의 경계선이, 적어도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경계선(11)(1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대지(10)의 경계선이 전체적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1)은, 송풍 유닛(100), 덕트 유닛(200), 토출 유닛(300A), 정화 유닛(400), 물 분사 유닛(500),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 온도 감지 센서(700), 습도 감지 센서(800) 및 제어 유닛(9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송풍 유닛(100)은, 공기를 유동시킨다. 실질적으로, 상기 송풍 유닛(100)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형성하는 에어 커튼에 의하여 상기 공간(S1)의 외부에서 상기 공간(S1)으로의 먼지의 유입 방지 또는 상기 공간(S1)에서 활동하는 활동자에 대한 체온 저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덕트 유닛(200)은, 상기 송풍 유닛(100)의 동작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정의한다. 예를 들면, 상기 덕트 유닛(200)에는 적어도 1개의 흡입구 및 다수개의 토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대적으로 상기 대지(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토출 유닛(300a)이 각각 배치될 것이다.
상기 토출 유닛(300a)(300b)은, 상기 덕트 유닛(200)을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공간(S1) 및 상기 공간(S1)의 외부를 구획하는 에어 플로우(Fa1)(Fa2))를 형성하도록 토출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 유닛(300a)이,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을 포함한다.
상기 제1토출 유닛(301a)은, 제1방향으로의 제1에어 플로우(Fa1)를 형성하도록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고, 상기 제2토출 유닛(302a)은, 제2방향으로의 제2에어 플로우(Fa2)를 형성하도록 공기가 토출되는 곳이다. 도 1에는,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이 각각 다수개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은,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토출 유닛(301a)은, 상기 제1경계선(11) 상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토출 유닛(302a)은, 상기 제2경계선(12) 상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은,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Fa1)(Fa2)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토출 유닛(302a) 사이의 영역 또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토출 유닛(301a) 사이의 영역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에어 플로우(Fa1)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토출 유닛(302a) 사이의 영역을 향하고, 상기 제2에어 플로우(Fa2)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토출 유닛(301a) 사이의 영역을 향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은,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Fa1)(Fa2)의 수평 방향의 경계면이 서로 인접되고,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Fa1)(Fa2) 중 어느 일방의 상단 경계면은,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Fa1)(Fa2) 중 나머지 타방의 경계면과 서로 인접되도록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Fa1)(Fa2) 사이에 먼지의 유입이 발생할 수 있는 틈새의 형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Fa1)(Fa2)의 상호 간섭에 의하여 난류 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정화 유닛(400)은, 상기 송풍 유닛(100)에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정화 유닛(400)으로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정화 부재나 필터 등이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물 분사 유닛(500)은,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한다. 상기 물 분사 유닛(500)은, 적극적으로 물을 분사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의 압력차에 따른 벤츄리 효과 등에 의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는, 실외의 먼지 농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700) 및 습도 감지 센서(800)는, 실외의 온도와 습도를 각각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유닛(900)은, 상기 송풍 유닛(100)의 동작 및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900)은,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 온도 감지 센서(700) 및 습도 감지 센서(800)가 각각 감지한 먼지 농도, 온도 및 습도에 따라서 상기 송풍 유닛(100)의 동작 및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에서 공기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900)은,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농도 이상이면, 상기 제2경계선(12) 상에서의 상기 제1에어 플로우(Fa1)의 높이 및 상기 제2경계선(12) 상에서의 상기 제2에어 플로우(Fa2)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 유닛(900)은, 실외의 먼지 농도가 인체에 위해한 수준인 경우에는, 상기 공간(S1)의 외부에서 상기 공간(S1)으로의 먼지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공간(S1)에서의 활동자의 활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Fa1)(Fa2)의 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900)은,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이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700)가 감지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2경계선(12) 상에서의 상기 제1에어 플로우(Fa1)의 높이 및 상기 제2경계선(12) 상에서의 상기 제2에어 플로우(Fa2)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한다. 즉, 실외의 먼지 농도가 인체에 위해한 수준보다 낮고, 실외의 온도가 상기 공간(S1)에서의 활동자의 활동이 불편할 정도의 수준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 유닛(900)이, 상기 공간(S1)에서 활동하는 활동자의 체온을 낮출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Fa1)(Fa2)의 방향을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 유닛(900)은,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이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700)가 감지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며, 상기 습도 감지 센서(800)가 감지한 상대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 습도 이하이면,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물 분사 유닛(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 유닛(900)은, 상대 습도에 따라서 상기 공간(S1)에서 활동하는 활동자의 체온이 수분의 증발에 의하여 더 낮추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Fa1)(Fa2)에 물이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2)은, 토출 유닛(300b)이 제1 내지 제4토출 유닛(301b)(302b)(303b)(304b)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대지(20)의 경계선(21)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대지(20)의 경계선(21)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내지 제4토출 유닛(301b)(302b)(303b)(304b)은, 각각에서 토출되는 제1 내지 제4에어 플로우(Fb1)(Fb2)(Fb3)(Fb4)가 상기 경계선(21)을 향하도록 상기 대지(20)의 경계선(21)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대지(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4토출 유닛(301b)(302b)(303b)(304b)은, 상기 대지(2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토출 유닛(301b)(302b)(303b)(304b)은,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형성하는 제1 내지 제4에어 플로우(Fb1)(Fb2)(Fb3)(Fb4)의 수평 방향 경계면이 인접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제1 내지 제4에어 플로우(Fb1)(Fb2)(Fb3)(Fb4)에 의하여 공간(S2)의 외부에서 상기 공간(S2)으로의 이물질의 유입이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3 및 4에는, 상기 토출 유닛(300b)이 4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토출 유닛(300b)은, 4개 미만 또는 초과의 개수로 구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제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제어 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제어 방법은, 감지 단계(S100) 및 제어 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단계(100)에서는, 실외의 환경 인자에 대한 감지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단계(S200)에서는 감지된 환경 인자에 따른 구체적인 제어가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감지 단계(S100)에서는,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 및 온도 감지 센서(700)가, 실외의 먼지 농도 및 온도를 감지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감지 단계(S100)에서는, 습도 감지 센서(800)가 실외의 상대 습도를 더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단계(S200)에서는, 제어 유닛(900)이, 상기 감지 단계(S100)에서 감지된 먼지 농도 및 온도에 따라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 유닛(100)의 동작 및 상기 송풍 유닛(100)에 의하여 유동하는 공기가 공간(S1)(S2) 및 상기 공간(S1)(S2)의 외부를 구획하는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도록 토출되는 다수개의 토출 유닛(300a)(300b)에서 공기의 배출 각도를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 단계(S200)에서는, 상기 감지 단계(S100)에서 감지된 습도에 따라서 상기 토출 유닛(300a)(300b)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 유닛(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단계(S200)는, 상기 제어 단계(S200)는, 먼지 농도 판단 단계(S210), 제1모드 동작 단계(S220), 온도 판단 단계(S230), 제2모드 동작 단계(S240), 습도 판단 단계(S250) 및 제3모드 동작 단계(S26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먼지 농도 판단 단계(S210)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900)이, 상기 감지 단계(S100)에서 감지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농도'는, 인체에 유해 여부에 따른 먼지 농도로써, 먼지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모드 동작 단계(S220)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900)이, 상기 먼지 농도 판단 단계(S210)에서 먼지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어 플로우에 의하여 상기 공간(S1)(S2)의 외부에서 상기 공간(S1)(S2)으로의 먼지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송풍 유닛(100)의 동작 및 상기 토출 유닛(300a)(300b)에서의 공기의 토출 각도를 제어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모드 동작 단계(S220)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900)이, 상기 대지(10)(20)의 경계선(11)(12)(21)에서의 상기 에어 플로우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이상이 되도록 상기 토출 유닛(300a)(300b)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먼지 농도 판단 단계(S210)에서 먼지 농도가 기준 농도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온도 판단 단계(S230)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900)이, 상기 감지 단계(S10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온도'는, 상기 공간(S1)(S2)에서의 활동자의 활동이 불편한지 여부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S1)(S2)의 목적이나 계절에 따라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모드 동작 단계(S240)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900)이, 상기 온도 판단 단계(S230)에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어 플로우에 의하여 상기 공간(S1)(S2)에서 활동하는 활동자의 체온이 저하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 유닛(100)의 동작 및 상기 토출 유닛(300a)(300b)에서의 공기의 토출 각도를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모드 동작 단계(S240)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900)이, 상기 에어 플로우가 상기 공간(S1)에서 활동하는 활동자를 향하도록 상기 경계선(11)(12)(21)에서의 상기 에어 플로우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미만이 되도록 상기 토출 유닛(300a)(300b)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할 것이다.
한편, 상기 온도 판단 단계(S230)에서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습도 판단 단계(S250)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900)이, 상기 감지 단계(S100)에서 감지된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 습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습도'는, 상기 공간(S1)(S2)에서의 활동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지 여부에 따른 것으로, 상기 공간(S1)(S2)의 목적이나 온도에 따라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습도 판단 단계(S250)에서 습도가 기준 습도 이하로 판단되면, 상기 제3모드 동작 단계(S260)에서는, 상기 제어 유닛(900)이, 추가적으로 상기 토출 유닛(300a)(300b)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이 분사되도록 물 분사 유닛(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3모드 동작 단계(S260)에서는, 상기 물 분사 유닛(500)에 의하여 분사되는 물이 상기 공간(S1)(S2)에서 활동하는 활동자의 피부에서 증발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활동자의 체온이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송풍 유닛 200: 덕트 유닛
300a, 300b: 토출 유닛 400: 정화 유닛
500: 물 분사 유닛 600: 먼지 농도 감지 센서
700: 온도 감지 센서 800: 습도 감지 센서
900: 제어 유닛

Claims (13)

  1. 실외에 위치하는 기설정된 형상 및 면적의 대지(10)(20)의 상방에 정의되는 공간(S1)(S2)으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으로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 유닛(100);
    상기 송풍 유닛(100)의 동작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정의하는 덕트 유닛(200);
    상기 덕트 유닛(200)을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공간(S1)(S2) 및 상기 공간(S1)(S2)의 외부를 구획하는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도록 토출되는 다수개의 토출 유닛(300a);
    상기 토출 유닛(300a)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화 유닛(400);
    상기 송풍 유닛(100)의 동작 및 상기 토출 유닛(300a)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900); 을 포함하고,
    상기 대지(10)의 경계선은, 적어도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경계선(11)(12)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 유닛(300a)은,
    상기 제1경계선(11) 상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방향으로의 제1에어 플로우(Fa1)를 형성하도록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1개의 제1토출 유닛(301a); 및
    상기 제2경계선(12) 상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2방향으로의 제2에어 플로우(Fa2)를 형성하도록 공기가 토출되는 적어도 1개의 제2토출 유닛(302a);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에어 플로우(Fa1)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토출 유닛(302a) 사이의 영역을 향하고, 상기 제2에어 플로우(Fa2)는, 서로 인접하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토출 유닛(301a) 사이의 영역을 향하며, 상기 제1 및 제2에어 플로우(Fa1)(Fa2)의 수평 방향의 경계면이 서로 인접되는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실외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 및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7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900)은,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농도 이상이면, 상기 제2경계선(12) 상에서의 상기 제1에어 플로우(Fa1)의 높이 및 상기 제2경계선(12) 상에서의 상기 제2에어 플로우(Fa2)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하고,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이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700)가 감지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2경계선(12) 상에서의 상기 제1에어 플로우(Fa1)의 높이 및 상기 제2경계선(12) 상에서의 상기 제2에어 플로우(Fa2)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하는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실외의 상대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800); 및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 유닛(50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900)은,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이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700)가 감지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며, 상기 습도 감지 센서(800)가 감지한 상대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 습도 이하이면, 상기 제1 및 제2토출 유닛(301a)(302a)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물 분사 유닛(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7. 실외에 위치하는 기설정된 형상 및 면적의 대지(10)(20)의 상방에 정의되는 공간(S1)(S2)으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으로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 유닛(100);
    상기 송풍 유닛(100)의 동작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정의하는 덕트 유닛(200);
    상기 덕트 유닛(200)을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공간(S1)(S2) 및 상기 공간(S1)(S2)의 외부를 구획하는 에어 플로우를 형성하도록 토출되는 다수개의 토출 유닛(300b);
    상기 토출 유닛(300a)(300b)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화 유닛(400);
    상기 송풍 유닛(100)의 동작 및 상기 토출 유닛(300b)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900); 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유닛(300b)은, 제1 내지 제N방향으로의 제1 내지 제N에어 플로우를 형성하도록 공기가 각각 토출되는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은, 상기 대지(20)의 경계선(21)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대지(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N에어 플로우는, 방사 방향으로 상기 대지(20)의 경계선(21)을 향하고 상호 인접하는 다른 에어 플로우와 수평 방향 경계면이 인접되는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실외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 및
    실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7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900)은,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농도 이상이면, 상기 경계선(21) 상에서의 상기 제1 내지 제N에어 플로우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하고,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이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700)가 감지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경계선(21) 상에서의 상기 제1 내지 제N에어 플로우의 높이가 기설정된 높이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각도를 제어하는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실외의 상대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800); 및
    상기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 유닛(50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900)은,
    상기 먼지 농도 감지 센서(600)가 감지한 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하이고, 상기 온도 감지 센서(700)가 감지한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 온도 이상이며, 상기 습도 감지 센서(800)가 감지한 상대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 습도 이하이면, 상기 제1 내지 제N토출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물 분사 유닛(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122042A 2017-09-21 2017-09-21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42A KR101965139B1 (ko) 2017-09-21 2017-09-21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042A KR101965139B1 (ko) 2017-09-21 2017-09-21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60A KR20190033360A (ko) 2019-03-29
KR101965139B1 true KR101965139B1 (ko) 2019-04-03

Family

ID=6589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042A KR101965139B1 (ko) 2017-09-21 2017-09-21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1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833B1 (ko) * 2007-04-25 2007-10-09 (주)소하테크 축사 환기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컨테이너형 축사
KR101030930B1 (ko) * 2010-04-22 2011-04-27 박성국 창호 냉난방 자동제어 에어커튼 환기 시스템
JP4824885B2 (ja) * 2001-09-28 2011-11-30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エアシャワー装置,清浄装置の配置構造及び運転方法
CN105311767A (zh) * 2014-06-27 2016-02-10 佛山圣哥拉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在户外建立有洁净空气的局域空间的空气净化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413A (ko) 2011-10-20 2013-04-30 조흥원 스월러 및 에어커튼 가이드가 부착된 국소배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4885B2 (ja) * 2001-09-28 2011-11-30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エアシャワー装置,清浄装置の配置構造及び運転方法
KR100764833B1 (ko) * 2007-04-25 2007-10-09 (주)소하테크 축사 환기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컨테이너형 축사
KR101030930B1 (ko) * 2010-04-22 2011-04-27 박성국 창호 냉난방 자동제어 에어커튼 환기 시스템
CN105311767A (zh) * 2014-06-27 2016-02-10 佛山圣哥拉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在户外建立有洁净空气的局域空间的空气净化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360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0937A1 (en) Air shower gate
KR102565654B1 (ko) 환기 공기 유입구를 위한 공기 처리 장치
US4967645A (en) Air shower with directed air flow
KR102563496B1 (ko) 인체 감지 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60114846A (ko) 클린룸 시스템
KR101884301B1 (ko) 터널 매립형 공기정화장치
KR102246804B1 (ko) 에어 샤워 시스템
KR102322052B1 (ko) 미세먼지 대피겸 저감시스템
KR101965139B1 (ko) 실외용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3910B1 (ko) 복합 청정시스템이 구비된 스마트 게이트
KR102056072B1 (ko) 에어 커튼 장치
KR102346218B1 (ko) 학습형 실내 미세먼지 순차적 저감시스템
KR20180052793A (ko) 에어 워시 장치
KR20190028841A (ko) 환기 시스템
CN112902350A (zh) 室外空气清洁系统
JP2003279090A (ja) 病院待合室の換気システム
JP5014815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JP4494114B2 (ja) 空気浄化装置
JP2001033072A (ja) 換気システム
KR102329069B1 (ko) 실내 감염 방지 시스템
KR20220138562A (ko) 현관 및 벽장의 청정 기능을 가지는 공기 순환 장치
KR101966683B1 (ko)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CN114543324A (zh) 气流控制系统
KR102539682B1 (ko) 에어 워시 장치
JP7453820B2 (ja) 空気浄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