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683B1 -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6683B1 KR101966683B1 KR1020170115630A KR20170115630A KR101966683B1 KR 101966683 B1 KR101966683 B1 KR 101966683B1 KR 1020170115630 A KR1020170115630 A KR 1020170115630A KR 20170115630 A KR20170115630 A KR 20170115630A KR 101966683 B1 KR101966683 B1 KR 1019666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intake
- unit
- outside air
- in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24F3/1603—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overpressure in a r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일 양태는, 환기 팬에 의하여 실내를 순환하는 내기 및 실외에서 실내로 공급되는 외기 중 적어도 하나가 유동되는 덕트로서: 천장면에 부착되고, 그 내부에 유로가 정의되는 다수개의 덕트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 인자의 증가에 따른 환경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실내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공기청정기와 같은 제품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공기청정기는, 단순히 실내 공기의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실외의 오염 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55235호, 명칭: 기압조정 환기시스템) 및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22771호, 명칭: 무동력 댐퍼를 이용한 환기시스템)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환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1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실내의 각 영역을 양압으로 유지함으로써, 정화되지 않은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 2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실내의 각 영역의 기압을 상대적인 양압/음압으로 형성하여 실내외의 환기 및 실내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의 경우에는, 각 영역 사이에서의 공기의 입출이 이루어지므로, 각 영역에 거주자의 존부 또는 각 영역에서의 활동에 의한 오염물질의 발생 여부 등을 고려한 영역별 환기의 제어는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내의 각 영역이 양압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흡기와 배기를 위한 2개의 팬이 구비되어야 한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 2의 경우에는, 별도의 덕트를 설치하지 않고, 무동력 댐퍼의 개폐에 의하여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각 영역별 환기의 제어가 불가능하고, 외기흡입장치 및 내기배기장치를 모두 설치하여야 한다.
한편, 최근에 시공되는 건축물의 경우에는, 실내의 환기를 위한 환기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으나, 구형 건축물의 경우에는, 이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 건축물에 환기 시스템을 설치하려면, 기설치된 천장면이나 바닥면 등을 제거한 후 덕트 등을 시공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기압차에 의한 오염물질의 실내 유입이 방지되는 환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의 영역별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일 양태는, 환기 팬에 의하여 실내를 순환하는 내기 및 실외에서 실내로 공급되는 외기 중 적어도 하나가 유동되는 덕트로서: 천장면에 부착되고, 그 내부에 유로가 정의되는 다수개의 덕트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덕트 유닛은, 내기가 실내로부터 흡입되거나, 외기가 실외로부터 흡입되거나, 내기 및 외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흡/배기구를 포함하고, 그 내부에 제1유로가 정의되는 다수개의 제1덕트 유닛; 및 그 내부에 제2유로가 각각 정의되는 다수개의 제2덕트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2덕트 유닛은, 1개 또는 서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이 상기 제1덕트 유닛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환기 팬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흡/배기구는, 제1흡/배기구; 상기 제1흡/배기구에 비하여 상기 환기 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흡/배기구; 및 상기 제2흡/배기구에 비하여 상기 환기 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흡/배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제1덕트 유닛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흡/배기구까지 연장되는 상류 구간; 상기 상류 구간의 일단에서 상기 제2실내 흡기구까지 연장되고, 상기 상류 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유동단면적을 갖는 중류 구간; 및 상기 중류 구간의 일단에서 상기 제3실내 흡기구까지 연장되고, 상기 중류 구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유동단면적을 갖는 하류 구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흡/배기구는, 제1흡/배기구; 상기 제1흡/배기구에 비하여 상기 환기 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흡/배기구; 및 상기 제2흡/배기구에 비하여 상기 환기 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흡/배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속도는, 상기 제1흡/배기구에서 상기 제3흡/배기구를 향하여 증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그 내부에 제3유로가 각각 정의되고, 상기 제3유로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속도를 가변하여 이에 포함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적어도 1개의 제3덕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덕트 유닛은, 상기 제1덕트 유닛 또는 환기 팬과 이에 연결되는 상기 제2덕트 유닛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호 연결되는 상기 제2덕트 유닛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덕트 유닛은, 그 내부에 제3유로가 각각 정의되고, 상기 제3유로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 공간이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제3덕트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덕트 유닛은, 상기 제1덕트 유닛 또는 환기 팬과 이에 연결되는 상기 제2덕트 유닛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호 연결되는 상기 제2덕트 유닛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포집 공간은, 상기 제3유로의 일부의 유동단면적이 상기 제3유로의 나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포집 공간은, 상기 제3유로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3덕트 유닛은, 상기 포집 공간에 포집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상기 포집 공간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포집 트레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기 시스템의 일 양태는, 실내가 실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으로 유지되도록 실내에서의 내기의 순환 및 실외에서 실내로의 외기의 흡입을 위하여 내기 및 외기를 유동시키는 환기 팬; 상기 환기 팬의 동작에 의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내기 및 외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 및 상기 환기 팬의 동작에 의하여 내기 및 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동되는 유로를 정의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덕트;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흡기량 및 배기량을 조절함으로써 1개의 환기 팬을 사용하여 실내를 양압으로 유지함으로써, 오염물질의 실내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실내의 효율적인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내의 모든 영역이 실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양압을 유지하면, 실내의 각 영역을 상대적인 양압 또는 음압으로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의 각 영역 사이의 오염물질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환기를 위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가 기시공된 천장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환기 시스템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덕트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덕트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기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덕트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환기 시스템은,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성되는 실내(1)의 환기를 위한 것으로, 실내 흡기부(10), 실외 흡기부(20), 실내 배기부(30), 환기 팬(40), 필터부(50) 및 덕트(1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내 흡기부(10)는, 실내(1), 실질적으로, 각 영역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실내 공기, 즉 내기가 흡입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실외 흡기부(20)는, 실외(2)로부터 실외 공기, 즉 외기가 흡입되는 곳이다. 상기 실내 배기부(30)는,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하여 흡입되는 내기 및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를 각 영역으로 배출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 흡기부(10)는, 실내(1)의 각 영역 중 주방에 설치되고, 상기 실외 흡기부(20)는, 실외(2)와 연통되도록 베란다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 배기부(30)는, 실내(1)의 각 영역 중 주방을 제외한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실내 흡기부(10), 실외 흡기부(20) 및 실내 배기부(30)는, 후술할 제1덕트 유닛(110)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환기 팬(40)은,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한 내기의 흡입,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한 외기의 흡입 및 상기 실내 배기부(30)를 통한 내기 및 외기의 배출을 위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환기 팬(40)에 의하여 내기 및 외기가 유동되면서, 실내(1)에서의 내기의 순환 및 실외(2)에서 실내(1)로의 외기의 흡입이 이루어짐으로써, 실내(1)가 실외(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환기 팬(40)이 동작하면, 실내 흡기부(10)를 통하여 흡입되는 내기 및 실외 흡기부(20)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상기 필터부(5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실내 배기부(30)를 통하여 실내(1)로 배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실내(1)는 양압으로 유지되고, 상대적으로 실외(2)는 음압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환기 팬(40)이 동작하면, 실내(1)로 배출된 내기 및 외기의 일부가, 실내(1)에 구비되는 개구부 및 틈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실외(2)로 배출됨으로써, 실외(2)에서 실내(1)로의 오염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50)는, 상기 실내 배기부(30)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즉, 실질적으로,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하여 흡입되는 내기 및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상기 필터부(50)에 의하여 그 내부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상기 실내 배기부(30)를 통하여 실내(1)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50)로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덕트(100)는, 상기 환기 팬(40)에 의하여 내기 및 외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하여 흡입되는 내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유동단면적과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유동단면적의 조절에 의하여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한 내기의 흡입량과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한 외기의 흡입량의 비가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하여 흡입되는 내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유동단면적과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유동단면적이,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한 외기의 흡입량이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한 내기의 흡입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비율이 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한 내기의 흡입량과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한 외기의 흡입량은 9:1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환기 시스템은, 제1 및 제2감지 센서(S1)(S2)와 제1 및 제2댐퍼부(60)(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감지 센서(S1)(S2)와 제1 및 제2댐퍼부(60)(70)는, 상술한 기본 환기 이외에 각 영역별 환기와 주방에서의 오염물질의 발생시의 환기를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감지 센서(S1)는, 각 영역의 내부에 거주자의 재실(在室)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감지 센서(S2)는, 주방에서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 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 여부 및 그 농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댐퍼부(60)는, 상기 실내 배기부(30)를 통하여 내기 및 외기가 각 영역으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실질적으로, 상기 제1댐퍼부(60)는, 상기 실내 배기부(30)를 통하여 배출되는 내기 및 외기가 안내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상기 제2댐퍼부(70)는,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한 내기의 흡입량에 대한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한 외기의 흡입량의 비율을 조절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댐퍼부(70)는,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하여 흡입되는 내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한 외기의 흡입량이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한 내기의 흡입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비율이 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감지 센서(S1)가 각 영역 중 특정 영역에만 거주자가 재실하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댐퍼부(60)는, 상기 제1감지 센서(S1)에 의하여 각 영역 중 거주자가 재실하는 것으로 감지된 영역으로만 상기 실내 배기부(30)를 통하여 내기 및 외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1댐퍼부(60)는, 상기 제1감지 센서(S1)에 의하여 거주자가 재실하는 것으로 감지된 영역으로 내기 및 외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실내 배기부(30)를 통하여 내기 및 외기가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1댐퍼부(60)는, 상기 제1감지 센서(S1)에 의하여 거주자가 재실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된 영역으로 내기 및 외기가 유동되는 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실내 배기부(30)를 통하여 내기 및 외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2댐퍼부(70)는, 주방에서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한 외기의 흡입량이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한 내기의 흡입량에 대하여 기설정된 비율이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2댐퍼부(70)는, 상기 제2감지 센서(S2)에 의하여 주방에서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감지 센서(S2)에 의하여 감지되는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 농도 이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한 외기의 흡입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댐퍼부(70)는, 주방에서의 조리 과정에서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그 농도가 기설정된 제1기준 농도 이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실내 배기부(30)를 통하여 실내(1)로 배출되는 내기 및 외기의 총량에서 내기의 비율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한다. 정리하면, 상기 제2댐퍼부(70)는, 주방에서의 조리에 의하여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가 발생되면,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한 내기의 흡입량에 비하여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한 외기의 흡입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하여 흡입되는 내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개도 또는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다량의 외기가 실내(1)로 흡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내 온도 센서(S3) 및 실외 온도 센서(S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온도 센서(S3)는, 내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실외 온도 센서(S4)는, 외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댐퍼부(70)는, 실내(1)에 대한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2감지 센서(S2)에 의하여 감지되는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 중 어느 하나의 농도가 제1기준 농도를 초과하라도, 상기 실내 온도 센서(S3)가 감지한 내기의 온도와 상기 실외 온도 센서(S4)가 감지한 외기의 온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온도차에 도달할 때까지만,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한 내기의 흡입량에 대한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한 외기의 흡입량의 비율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하여 흡입되는 내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개도 또는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 제2댐퍼부(70)는, 상기 제2감지 센서(S2)에 의하여 감지되는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 중 어느 하나의 농도가 제1기준 농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설정되는 제2기준 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한 내기의 흡입량에 대한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한 외기의 흡입량의 비율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실내 흡기부(10)를 통하여 흡입되는 내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개도 또는 상기 실외 흡기부(20)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댐퍼부(70)는, 실내(1)에 대한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면,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실내(1)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을 일정한 수준까지만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 제2댐퍼부(70)는, 실내(1)의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 중 어느 하나의 농도가 거주자의 건강에 위해를 가하는 수준까지 도달하면, 실내(1)에 대한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에너지의 소모가 증가되더라도 실내(1)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1기준 농도'는, 거주자가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를 인지할 수 있는 농도로 설정될 수 있고, '제2기준 농도'는, 거주자의 건강에 위해를 가하는 수준에 인접하는 농도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덕트(100)는, 천장면에 부착되고, 그 내부에 유로가 정의되는 다수개의 덕트 유닛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덕트(100)는, 천장면(ceiling)과 그 상층의 바닥면(slab)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마감이 완료된 천장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덕트 유닛은, 다수개의 제1 및 제2덕트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덕트 유닛(110)은, 내기가 실내(1)로부터 흡입되거나, 외기가 실외(2)로부터 흡입되거나, 내기 및 외기가 실내(1)로 배출되는 흡/배기구(111A)(111B)(111C)를 포함하고, 그 내부에 제1유로(112)가 정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 유닛(110)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상기 실내 흡기부(10), 실외 흡기부(20) 또는 실내 배기부(30)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배기구(111A)(111B)(111C)가, 다수개, 즉 제1 내지 제3흡/배기구(111A)(111B)(11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흡/배기구(111A)(111B)(111C)는, 상기 환기 팬(40)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정의된다. 즉, 상기 제2흡/배기구(111B)는, 상기 제1흡/배기구(111A)에 비하여 상기 환기 팬(4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3흡/배기구(111C)는, 상기 제2흡/배기구(111B)에 비하여 상기 환기 팬(4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112)는, 상류 구간(112A), 중류 구간(112B) 및 하류 구간(112C)을 포함한다. 상기 상류 구간(112A)은, 상기 제1덕트 유닛(11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흡/배기구(111A)까지 연장되고, 상기 중류 구간(112B)은, 상기 상류 구간(112A)의 일단에서 상기 제2흡/배기구(112B)까지 연장되며, 상기 하류 구간(112C)은, 상기 중류 구간(112B)의 일단에서 상기 제3흡/배기구(111C)까지 연장된다. 이때 상기 중류 구간(112B)은, 상기 상류 구간(112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유동단면적을 갖고, 상기 하류 구간(112C)은, 상기 중류 구간(112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유동단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112)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류 구간(112A), 중류 구간(112B) 및 하류 구간(112C)을 차례로 유동하면서 그 유동속도가 증가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유로(112)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속도는, 상기 제1흡/배기구(111A)에서 상기 제3흡/배기구(111C)를 향하여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환기 팬(4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흡/배기구(111A)(111B)(111C)를 통하여 흡입/배출되는 내기 또는/및 외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덕트 유닛(120)은, 그 내부에 제2유로(122)가 각각 정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덕트 유닛(120)은, 1개 또는 서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이 상기 제1덕트 유닛(11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환기 팬(40)을 연결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덕트 유닛이 적어도 1개의 제3덕트 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 유닛(130)은, 그 내부에 제3유로(132)가 각각 정의되고, 상기 제1덕트 유닛(110) 또는 환기 팬(40)과 이에 연결되는 상기 제2덕트 유닛(120)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호 연결되는 상기 제2덕트 유닛(12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덕트 유닛(130)이, 상기 제3유로(132)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실질적으로, 제3유로(132)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동속도가 가변됨으로써, 이에 포함된 이물질이 포집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3덕트 유닛(130)에는 포집 공간(133)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포집 공간(133)은, 상기 제3유로(132)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곳으로, 상기 제3유로(132)의 일부의 유동단면적이 상기 제3유로(132)의 나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포집 공간(133)은, 상기 제3유로(132)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덕트 유닛(130)은, 포집 트레이(1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포집 트레이(134)는, 상기 포집 공간(133)에 포집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상기 제3덕트 유닛(130), 실질적으로 상기 포집 공간(133)의 내외부로 입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환기 팬(40)의 동작에 의하여 실내(1)를 순환하는 내기 및 실외(2)에서 흡입되는 외기가 상기 필터부(50)에 의하여 이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실내(1)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팬을 사용하여 실내(1)를 실외(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으로 유지함으로써, 실외(2)에서 실내(1)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감지 센서(S1)에 의하여 거주자가 재실된 영역으로만 상기 실내 배기부(30)를 통한 내기 및 외기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1)를 구성하는 각 영역 중 거주자가 재실하는 영역이 다른 영역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을 유지함으로써, 실내(1)에서 거주자가 거주하는 영역으로의 오염물질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주방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실내(1)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주방에서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1)에서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오염물질 및 유해가스의 농도와 내기 및 외기의 온도차에 따라서 실내(1)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실내(1)의 냉방 및 난방을 위하여 소요되는 에너지를 고려한 실내(1)에 대한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실내 흡기부 10: 실외 흡기부
30: 실내 배기부 40: 환기 팬
50: 필터부 60: 제1댐퍼부
70: 제2댐퍼부 100: 덕트
110: 제1덕트 유닛 120: 제2덕트 유닛
130: 제3덕트 유닛
30: 실내 배기부 40: 환기 팬
50: 필터부 60: 제1댐퍼부
70: 제2댐퍼부 100: 덕트
110: 제1덕트 유닛 120: 제2덕트 유닛
130: 제3덕트 유닛
Claims (10)
- 환기 팬(40)에 의하여 실내(1)를 순환하는 내기 및 실외(2)에서 실내(1)로 공급되는 외기 중 적어도 하나가 유동되는 덕트(100)로서:
천장면에 부착되고, 그 내부에 유로가 정의되는 다수개의 덕트 유닛을 포함하는 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 유닛은,
내기가 실내(1)로부터 흡입되거나, 외기가 실외(2)로부터 흡입되거나, 내기 및 외기가 실내(1)로 배출되는 흡/배기구(111)를 포함하고, 그 내부에 제1유로(112)가 정의되는 다수개의 제1덕트 유닛(110); 및
그 내부에 제2유로(122)가 각각 정의되는 다수개의 제2덕트 유닛(120); 을 포함하고,
상기 제2덕트 유닛(120)은, 1개 또는 서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이 상기 제1덕트 유닛(11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환기 팬(40)을 연결하며,
상기 흡/배기구(111)는,
제1흡/배기구(111A);
상기 제1흡/배기구(111A)에 비하여 상기 환기 팬(4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흡/배기구(111B); 및
상기 제2흡/배기구(111B)에 비하여 상기 환기 팬(4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3흡/배기구(111C);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112)는,
상기 제1덕트 유닛(11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흡/배기구(111A)까지 연장되는 상류 구간(112A);
상기 상류 구간(112A)의 일단에서 상기 제2흡/배기구(111B)까지 연장되고, 상기 상류 구간(112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유동단면적을 갖는 중류 구간(112B); 및
상기 중류 구간(112B)의 일단에서 상기 제3흡/배기구(111C)까지 연장되고, 상기 중류 구간(112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유동단면적을 갖는 하류 구간(112C); 를 포함하는 덕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유닛은, 그 내부에 제3유로(132)가 각각 정의되고, 상기 제3유로(132)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 중 적어도 하나의 유동속도를 가변하여 이에 포함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적어도 1개의 제3덕트 유닛(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덕트 유닛(130)은, 상기 제1덕트 유닛(110) 또는 환기 팬(40)과 이에 연결되는 상기 제2덕트 유닛(120)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호 연결되는 상기 제2덕트 유닛(120) 사이에 배치되는 덕트,
- 제 1 항에 있어서,
그 내부에 제3유로(132)가 각각 정의되고, 상기 제3유로(132)를 유동하는 내기 및 외기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포집 공간(133)이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제3덕트 유닛(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덕트 유닛(130)은, 상기 제1덕트 유닛(110) 또는 환기 팬(40)과 이에 연결되는 상기 제2덕트 유닛(120)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호 연결되는 상기 제2덕트 유닛(120) 사이에 배치되는 덕트,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공간(133)은, 상기 제3유로(132)의 일부의 유동단면적이 상기 제3유로(132)의 나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정의되는 덕트.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공간(133)은, 상기 제3유로(132)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정의되는 덕트.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덕트 유닛(130)은, 상기 포집 공간(133)에 포집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상기 포집 공간(133)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포집 트레이(134)를 더 포함하는 덕트.
- 실내(1)가 실외(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으로 유지되도록 실내(1)에서의 내기의 순환 및 실외(2)에서 실내(1)로의 외기의 흡입을 위하여 내기 및 외기를 유동시키는 환기 팬(40);
상기 환기 팬(40)의 동작에 의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내기 및 외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50); 및
상기 환기 팬(40)의 동작에 의하여 내기 및 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동되는 유로를 정의하는 제 1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덕트(100); 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5630A KR101966683B1 (ko) | 2017-09-11 | 2017-09-11 |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
CN201810449113.8A CN109489173B (zh) | 2017-09-11 | 2018-05-11 | 换气系统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5630A KR101966683B1 (ko) | 2017-09-11 | 2017-09-11 |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8843A KR20190028843A (ko) | 2019-03-20 |
KR101966683B1 true KR101966683B1 (ko) | 2019-08-13 |
Family
ID=6603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5630A KR101966683B1 (ko) | 2017-09-11 | 2017-09-11 |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6683B1 (ko)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67905B1 (ko) * | 1995-12-30 | 1999-01-15 | 석진철 | 자동차의 내, 외기 자동조절장치 |
KR100422771B1 (ko) | 2001-10-19 | 2004-03-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와이퍼 암 체결구조 |
KR100506405B1 (ko) * | 2002-08-08 | 2005-08-11 |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 이중 덕트에 의한 열회수 방식을 이용한 환기 장치 |
KR20050092671A (ko) * | 2004-05-21 | 2005-09-22 | 강남필터 주식회사 | 고 여과효율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내기 및 외기도입식공기청정환기시스템 |
KR100555235B1 (ko) | 2004-06-17 | 2006-03-03 | 노영환 | 기압조정 환기시스템 |
KR20130083553A (ko) * | 2012-01-13 | 2013-07-23 | 주식회사 명성인터내셔날 | 환기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방법 |
-
2017
- 2017-09-11 KR KR1020170115630A patent/KR101966683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8843A (ko) | 2019-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8116B1 (ko) | 공기청정 시스템 | |
US7497771B2 (en) | Ventilating system | |
KR101237259B1 (ko) | 실내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필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된 창문형 환기장치 | |
KR20180064276A (ko) | 미세먼지센서를 이용한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2302110B1 (ko) | 비말 및 미세먼지 제거 보건용 공조환기조화기 | |
KR101866877B1 (ko) | 라돈 저감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 |
JP7209143B2 (ja) | 熱交換型換気扇 | |
KR20170103133A (ko) | 환기장치 | |
KR100776602B1 (ko) | 공기 순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JP5626588B2 (ja) | 空調システム | |
CN106662350A (zh) | 空气净化器以及具有空气净化功能的设备机器 | |
KR102087324B1 (ko) | 환기 시스템 | |
KR102069860B1 (ko) | 서큘레이팅이 가능한 사이클론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 |
JP6982727B2 (ja) | 熱交換型換気扇の制御方法 | |
KR20180014122A (ko) | 환기장치 | |
KR20000017710A (ko) | 주방 환기설비 시스템 | |
KR20120040689A (ko) | 캐노피 후드 배기장치 | |
KR101808120B1 (ko) | 실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 시스템 | |
KR102199003B1 (ko) | 덕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 |
CN109489173B (zh) | 换气系统 | |
KR101966683B1 (ko) | 덕트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 |
KR102307537B1 (ko) |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 |
KR20120094731A (ko) | 공기청정기 | |
JP2001033072A (ja) | 換気システム | |
JP6482885B2 (ja) | 建物の空調換気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