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933B1 -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933B1
KR101964933B1 KR1020180091259A KR20180091259A KR101964933B1 KR 101964933 B1 KR101964933 B1 KR 101964933B1 KR 1020180091259 A KR1020180091259 A KR 1020180091259A KR 20180091259 A KR20180091259 A KR 20180091259A KR 101964933 B1 KR101964933 B1 KR 101964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trailer
shock absorber
cov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웃트리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웃트리캠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웃트리캠프
Priority to KR102018009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61Foldable, extensible or yielding 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레일러 커버(120); 짐을 넣기 위해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을 포함하여 상부 모서리 중 일 측에 트레일러 커버(120)가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에 의한 회전 작용과 유압식 쇼바(140)에 의한 저항력을 이용해 여닫을 수 있는 트레일러 커버(120)가 형성되는 트레일러 몸체(110); 및 트레일러 커버(120)와 트레일러 몸체(110)에 고정되며, 정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트레일러 커버(120)의 오픈(Open)의 경우 유압식 쇼바(140)에 의한 하중 저항을 일으킨 상태에서 상부의 헤드(head) 영역에 의한 하중 분산 및 하중 저항력을 제공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하중 분산 및 하중 저항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브라켓을 사용함으로써, 트레일러 몸체로부터 트레일러 커버가 오픈된 경우 하중을 분산에 따른 하중의 저항력을 향상시켜 상부면을 포함하여 형성된 트레일러 커버의 하중에도 견디면서 마루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Load distribution type bracket, and folding type trailer based on the same}
본 발명은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중을 분산시켜 하중 저항력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폴딩형 트레일러는 트레일러 몸체 중 일부에 해당하는 트레일러 커버가 오픈(Open) 되거나 클로즈(Close) 되도록 구성된 트레일러로, 차량에 부착하여 캠핑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트레일러 커버가 오픈되거나 클로즈 되는 부분의 브라켓 또는 힌지가 오픈되는 경우, 충분히 트레일러 커버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나, 기존의 경우에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31794호 "캠핑트레일러(camping trail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중 분산 및 하중 저항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브라켓을 사용함으로써, 트레일러 몸체로부터 트레일러 커버가 오픈된 경우 하중을 분산에 따른 하중의 저항력을 향상시켜 상부면을 포함하여 형성된 트레일러 커버의 하중에도 견디면서 마루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중 분산 및 하중 저항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브라켓 외에 유압식 쇼바를 적용시켜서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고, 브라켓과의 관계에서 하중에 대한 분산력을 적용시키도록 하기 위한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는, 트레일러 커버(120); 짐을 넣기 위해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을 포함하여 상부 모서리 중 일 측에 트레일러 커버(120)가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에 의한 회전 작용과 유압식 쇼바(140)에 의한 저항력을 이용해 여닫을 수 있는 트레일러 커버(120)가 형성되는 트레일러 몸체(110); 및 트레일러 커버(120)와 트레일러 몸체(110)에 고정되며, 정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트레일러 커버(120)의 오픈(Open)의 경우 유압식 쇼바(140)에 의한 하중 저항을 일으킨 상태에서 상부의 헤드(head) 영역에 의한 하중 분산 및 하중 저항력을 제공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유압식 쇼바(140)는, 트레일러 몸체(110) 및 트레일러 커버(12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 1 유압식 쇼바(140), 그리고 트레일러 몸체(110) 및 트레일러 커버(12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 2 유압식 쇼바(140)의 2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유압식 쇼바(140)는, 트레일러 커버(120)를 구성하는 상부면의 전방향 측부면에 제 1 회전식 고정단(141)이 고정되며, 트레일러 몸체(110)를 구성하는 하부면의 전방향 측부면에 제 2 회전식 고정단(142)이 고정되며, 제 1 회전식 고장단(141)으로부터 연장된 쇼바 고정부(140a), 제 2 회전식 고정단(142)으로부터 연장된 쇼바 연장부(14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유압식 쇼바(140)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중 페어(pair)에 해당하는 제 1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정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트레일러 커버(120)의 오픈(Open)의 경우 오일로 저항을 일으켜 쇼바 고정부(140a)로부터 쇼바 연장부(140b)가 연장되는 경우 트레일러 커버(120) 자체의 하중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유압식 쇼바(140)는, 다시 제 1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역방향(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트레일러 커버(120)의 클로즈(Close)의 경우 오일로 저항을 일으켜, 쇼바 고정부(140a) 내부로 쇼바 연장부(140b)가 들어가는 경우 트레일러 커버(120) 자체의 하중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유압식 쇼바(140)는, 트레일러 커버(120)를 구성하는 상부면의 후방향 측부면에 제 1 회전식 고정단(141)이 고정되며, 트레일러 몸체(110)를 구성하는 하부면의 전방향 측부면에 제 2 회전식 고정단(142)이 고정되며, 제 1 회전식 고장단(141)으로부터 연장된 쇼바 고정부(140a), 제 2 회전식 고정단(142)으로부터 연장된 쇼바 연장부(14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유압식 쇼바(140)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중 페어(pair)에 해당하는 제 2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정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트레일러 커버(120)의 오픈(Open)의 경우 오일로 저항을 일으켜 쇼바 고정부(140a)로부터 쇼바 연장부(140b)가 연장되는 경우 트레일러 커버(120) 자체의 하중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2 유압식 쇼바(140)는, 다시 제 2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역방향(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트레일러 커버(120)의 클로즈(Close)의 경우 오일로 저항을 일으켜, 쇼바 고정부(140a) 내부로 쇼바 연장부(140b)가 들어가는 경우 트레일러 커버(120) 자체의 하중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및 제 2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각각은, 트레일러 몸체(110)와 체결되는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 트레일러 커버(120)와 체결되는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 및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 타입 다단 회전단(1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은, 트레일러 몸체(110) 중 트레일러 커버(120)가 형성된 측의 모서리 하단부터 트레일러 커버(120)가 형성된 영역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bar) 형태의 몸체 고정용 플레이트(110a)의 피스홀으로 자체적인 피스홀이 포개지도록 위치시킨 뒤, 고정용 피스를 이용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는, 하중 분산 및 하중 저항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브라켓을 사용함으로써, 트레일러 몸체로부터 트레일러 커버가 오픈된 경우 하중을 분산에 따른 하중의 저항력을 향상시켜 상부면을 포함하여 형성된 트레일러 커버의 하중에도 견디면서 마루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는, 하중 분산 및 하중 저항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브라켓 외에 유압식 쇼바를 적용시켜서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고, 브라켓과의 관계에서 하중에 대한 분산력을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 중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 중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 중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을 나타내는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 중 전면 보조 수납함(16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에 대한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에 의한 하중 분산, 그리고 하중 저항력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가 실제로 제작된 것으로 트레일러 커버(120)가 오픈(Open)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 중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 중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 중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을 나타내는 상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 중 전면 보조 수납함(16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에 대한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에 의한 하중 분산, 그리고 하중 저항력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가 실제로 제작된 것으로 트레일러 커버(120)가 오픈(Open)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는 트레일러 몸체(110), 트레일러 커버(120), 유압식 쇼바(140),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전면 보조 수납함(160), 후면 반사기(170), 텐트 고정 폴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일러 몸체(110)는 짐을 넣기 위해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을 포함하여 상부 모서리 중 일 측에 트레일러 커버(120)가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에 의한 회전 작용과 유압식 쇼바(140)에 의한 저항력을 이용해 오픈 및 클로즈할 수 있는 트레일러 커버(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트레일러 몸체(110)에서 트레일러 커버(120)가 오픈 되면, 트레일러 몸체(120)의 바닥면은 캠핑하는 사람이 생활하는 거실 또는 마루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레일러 몸체(110)에서 트레일러 커버(120)를 오픈 한 경우, 오픈 된 상태(도 13 참조)에서 트레일러 몸체(110)의 상부면에 도 2와 같이 텐트 고정 폴대(180)를 설치하여 텐트 원단을 고정시키고 펼쳐줌으로써, 안락한 휴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일러 커버(120)는 트레일러 몸체(110)의 길이 방향(Lf)과 직교하는 방향인 넓이 방향의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영역과, 트레일러 몸체(110)의 상부면을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트레일러 몸체(110)를 오픈 및 클로즈 상태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유압식 쇼바(140)는 트레일러 몸체(110) 및 트레일러 커버(12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 1 유압식 쇼바(140), 그리고 트레일러 몸체(110) 및 트레일러 커버(12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 2 유압식 쇼바(140)의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유압식 쇼바(140)는 트레일러 커버(120)를 구성하는 상부면의 전방향 측부면에 제 1 회전식 고정단(141)이 고정되며, 트레일러 몸체(110)를 구성하는 하부면의 전방향 측부면에 제 2 회전식 고정단(142)이 고정되며, 제 1 회전식 고장단(141)으로부터 연장된 쇼바 고정부(140a), 제 2 회전식 고정단(142)으로부터 연장된 쇼바 연장부(14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유압식 쇼바(140)는 후술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중 제 1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정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트레일러 커버(120)의 오픈의 경우 오일로 저항을 일으켜 쇼바 고정부(140a)로부터 쇼바 연장부(140b)가 연장되는 경우 트레일러 커버(120) 자체의 하중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다시 제 1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역방향(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트레일러 커버(120)의 클로즈(Close)의 경우 오일로 저항을 일으켜, 쇼바 고정부(140a) 내부로 쇼바 연장부(140b)가 들어가는 경우 트레일러 커버(120) 자체의 하중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 2 유압식 쇼바(140)는 트레일러 커버(120)를 구성하는 상부면의 후방향 측부면에 제 1 회전식 고정단(141)이 고정되며, 트레일러 몸체(110)를 구성하는 하부면의 전방향 측부면에 제 2 회전식 고정단(142)이 고정되며, 제 1 회전식 고장단(141)으로부터 연장된 쇼바 고정부(140a), 제 2 회전식 고정단(142)으로부터 연장된 쇼바 연장부(14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유압식 쇼바(140)는 제 1 유압식 쇼파(140)와 동일하게 후술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중 제 2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정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트레일러 커버(120)의 오픈의 경우 오일로 저항을 일으켜 쇼바 고정부(140a)로부터 쇼바 연장부(140b)가 연장되는 경우 트레일러 커버(120) 자체의 하중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다시 제 2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역방향(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트레일러 커버(120)의 클로즈의 경우 오일로 저항을 일으켜, 쇼바 고정부(140a) 내부로 쇼바 연장부(140b)가 들어가는 경우 트레일러 커버(120) 자체의 하중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은 제 1 유압식 쇼바(140)와 페어(pair)를 이루는 제 1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과, 제 2 유압식 쇼바(130)와 페어(pair)를 이루는 제 2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및 제 2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모두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 힌지 타입 다단 회전단(1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은 트레일러 몸체(110) 중 트레일러 커버(120)가 형성된 측의 모서리 하단부터 트레일러 커버(120)가 형성된 영역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bar) 형태의 몸체 고정용 플레이트(110a)의 피스홀으로 자체적인 피스홀이 포개지도록 위치시킨 뒤, 고정용 피스를 이용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은 트레일러 커버(120)에서 트레일러 몸체(110)와 인접한 사선 영역에 형성되는 커버 고정용 플레이트(120a)의 피스홀으로 자체적인 피스홀이 포개지도록 위치시킨 뒤, 고정용 피스를 이용해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몸체 고정용 플레이트(110a) 및 커버 고정용 플레이트(120a)에 의해 고정되는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 및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 사이에는 힌지 타입 다단 회전단(153)이 형성됨으로써, 힌지 타입 다단 회전단(153)을 중심으로 커버 고정용 플레이트(120a)에 해당하는 상부가 헤드(head)에 해당하여 도 6a와 같은 디폴트(default) 상태에서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의 180°회전에 따라 펼쳐지는 경우와 펼쳐진 후 하단의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으로 하중을 분산시키고,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저항력을 제공한다.
즉, 하중 분산 및 하중 저항력을 위해 힌지 타입 다단 회전단(153)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과 미리 설정된 각도(α°)가 굽은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측 하중 분산단(153a), 그리고 제 1 측 하중 분산단(153a)으로부터 연장되어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을 회전용 고정핀에 의해 내측으로 고정시키는 제 2 측 하중 분산단(153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α°는 15 내지 25°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19°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하중 분산력 및 하중 저항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제 2 측 하중 분산단(153b)은 제 1 측 하중 분산단(153b)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트레일러 몸체(110)의 중심부가 아닌 외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곡면형 플레이트로 곡면형 끝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용 고정핀으로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을 수평면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β°)가 굽은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하며, 여기서 β°는 23 내지 34°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6°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하중 분산력 및 하중 저항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도 7b와 같이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과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의 수평면상의 이격거리(d)가 형성됨으로써, 하중 분산 및 하중 저항력을 위해 힌지 타입 다단 회전단(153)을 중심으로 하중 분산력 및 하중 저항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격거리(d)는 2 내지 5cm로 설정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cm로 설정되는 것이 하중 분산력 및 하중 저항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구조에 의해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이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과 연결된 힌지 타입 다단 회전단(153)을 중심으로 정방향(시계방향) 회전시, 트레일러 몸체(110)로부터 트레일러 커버(120)가 오픈 되며,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의 디폴트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회전 각도(180°)로 회전시,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의 하부면이 힌지 타입 다단 회전단(153)의 제 1 측 하중 분산단(153a)의 상부면에 막혀서 더 이상 회전할 수가 없으며, 막힌 지점에 하중 저항력이 발생한 뒤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과 연결된 몸체 고정용 플레이트(110a)를 거쳐, 트레일러 몸체(110)로 하중이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설계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의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과 대조군으로,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과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의 수평면상의 이격거리(d)가 0이며 힌지 타입 다단 회전단(153)이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과 미리 설정된 각도(α°)가 굽은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측 하중 분산단(153a)이 없이 제 2 측 하중 분산단(153b)으로만 형성된 제 1 대조군,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과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의 수평면상의 이격거리(d)가 형성되며, 힌지 타입 다단 회전단(153)이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과 미리 설정된 각도(α°)가 굽은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측 하중 분산단(153a)을 구비하나 제 1 측 하중 분산단(153b)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트레일러 몸체(110)의 중심부가 아닌 외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곡면형 플레이트로 곡면형 끝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용 고정핀으로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을 수평면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β°)가 굽은 형태로 형성되지 않는 제 2 대조군에 대한 인장강도 및 내절강도, 그리고 파열강도에 대한 측정의 결과는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나타나며, 모두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인장강도는 TAPPI T 404 om-87에 따라 Hounsfield사의 인장강도 측정기를 사용하고 내절강도는 TAPPI T 511 om-83에 의하여 MIT 형을 사용한다. 내절강도 측정시 인장하중은 0.4 kg으로 하였고 stiffness는 TAPPI T 451 om-84에 따라 Clark 형을 사용하며, 파열강도는 TAPPI T 403 om-85에 따라 Mullen 저압형 시험기를 사용한다.
전면 보조 수납함(160)은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의 하체 프레임 중 전단의 상부와, 트레일러 몸체(110)의 전면에 도 8 및 도 9와 같은 형성됨으로써, 캠핑을 위한 보조 수납을 할 수 있다.
전면 보조 수납함(160)은 일반적인 힌지 형태로 커버가 오픈(Open) 되고 클로즈(Close) 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 반사기(170)는 트레일러 몸체(110)의 후면의 양측에 반사판 형태로 형성되어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100)를 따르는 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하중 분산형 브라켓 기반의 폴딩형 트레일러
110 : 트레일러 몸체
120 : 트레일러 커버
140 : 유압식 쇼바
150 : 하중 분산형 브라켓
151 :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
152 :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
153 : 힌지 타입 다단 회전단
160 : 전면 보조 수납함
170 : 후면 반사기
180 : 텐트 고정 폴대

Claims (10)

  1. 트레일러 커버(120);
    짐을 넣기 위해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면을 포함하여 상부 모서리 중 일 측에 트레일러 커버(120)가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에 의한 회전 작용과 유압식 쇼바(140)에 의한 저항력을 이용해 여닫을 수 있는 트레일러 커버(120)가 형성되는 트레일러 몸체(110); 및
    트레일러 커버(120)와 트레일러 몸체(110)에 고정되며, 정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트레일러 커버(120)의 오픈(Open)의 경우 유압식 쇼바(140)에 의한 하중 저항을 일으킨 상태에서 상부의 헤드(head) 영역에 의한 하중 분산 및 하중 저항력을 제공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을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쇼바(140)는,
    상기 트레일러 몸체(110) 및 상기 트레일러 커버(12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 1 유압식 쇼바(140), 및 상기 트레일러 몸체(110) 및 상기 트레일러 커버(12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 2 유압식 쇼바(140)의 2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을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압식 쇼바(140)는,
    상기 트레일러 커버(120)를 구성하는 상부면의 전방향 측부면에 제 1 회전식 고정단(141)이 고정되며, 상기 트레일러 몸체(110)를 구성하는 하부면의 전방향 측부면에 제 2 회전식 고정단(142)이 고정되며, 상기 제 1 회전식 고장단(141)으로부터 연장된 쇼바 고정부(140a), 상기 제 2 회전식 고정단(142)으로부터 연장된 쇼바 연장부(14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을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압식 쇼바(140)는,
    상기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중 페어(pair)에 해당하는 제 1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정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커버(120)의 오픈(Open)의 경우 오일로 저항을 일으켜 상기 쇼바 고정부(140a)로부터 상기 쇼바 연장부(140b)가 연장되는 경우 상기 트레일러 커버(120) 자체의 하중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을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압식 쇼바(140)는,
    다시 제 1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역방향(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커버(120)의 클로즈(Close)의 경우 오일로 저항을 일으켜, 상기 쇼바 고정부(140a) 내부로 상기 쇼바 연장부(140b)가 들어가는 경우 상기 트레일러 커버(120) 자체의 하중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을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압식 쇼바(140)는,
    상기 트레일러 커버(120)를 구성하는 상부면의 후방향 측부면에 상기 제 1 회전식 고정단(141)이 고정되며, 상기 트레일러 몸체(110)를 구성하는 하부면의 전방향 측부면에 상기 제 2 회전식 고정단(142)이 고정되며, 상기 제 1 회전식 고장단(141)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쇼바 고정부(140a), 상기 제 2 회전식 고정단(142)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쇼바 연장부(14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을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압식 쇼바(140)는,
    상기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중 페어(pair)에 해당하는 제 2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정방향(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트레일러 커버(120)의 오픈(Open)의 경우 오일로 저항을 일으켜 상기 쇼바 고정부(140a)로부터 상기 쇼바 연장부(140b)가 연장되는 경우 상기 트레일러 커버(120) 자체의 하중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을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압식 쇼바(140)는,
    다시 제 2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의 역방향(반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상기 트레일러 커버(120)의 클로즈(Close)의 경우 오일로 저항을 일으켜, 상기 쇼바 고정부(140a) 내부로 상기 쇼바 연장부(140b)가 들어가는 경우 상기 트레일러 커버(120) 자체의 하중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을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및 제 2 하중 분산형 브라켓(150) 각각은, 상기 트레일러 몸체(110)와 체결되는 상기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 상기 트레일러 커버(120)와 체결되는 상기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 상기 제 1 하중 분산형 지지단(151) 및 상기 제 2 하중 분산형 지지단(152) 사이에 형성되는 힌지 타입 다단 회전단(15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분산형 브라켓을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10. 삭제
KR1020180091259A 2018-08-06 2018-08-06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KR101964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259A KR101964933B1 (ko) 2018-08-06 2018-08-06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259A KR101964933B1 (ko) 2018-08-06 2018-08-06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933B1 true KR101964933B1 (ko) 2019-04-02

Family

ID=6616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259A KR101964933B1 (ko) 2018-08-06 2018-08-06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9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794B1 (ko) * 2013-02-05 2013-05-06 주식회사 케이에스메탈 트레일러형 캠핑카
KR101810332B1 (ko) * 2016-10-07 2017-12-19 (주)신화플러스 텐트 트레일러
KR101846132B1 (ko) * 2017-10-25 2018-04-05 홍도찬 다목적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794B1 (ko) * 2013-02-05 2013-05-06 주식회사 케이에스메탈 트레일러형 캠핑카
KR101810332B1 (ko) * 2016-10-07 2017-12-19 (주)신화플러스 텐트 트레일러
KR101846132B1 (ko) * 2017-10-25 2018-04-05 홍도찬 다목적 트레일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31794호 "캠핑트레일러(camping trai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2793B1 (en) Truck bed extension apparatus
US10669760B2 (en) Snap-acting hinge with damped closure and opening angle of more than 90°
US8256817B2 (en) Tonneau cover
US10286849B2 (en) Cargo management system incorporating a dynamic load floor and a swing arm assembly
US10710646B2 (en) Truck bed extension assembly
CA3003327A1 (en) Truck bed extension apparatus
US20040036304A1 (en) Over-center spring control
KR20130111959A (ko) 전개 가능한 쉘터 구조물
CA3037571A1 (en) Latch assembly and tonneau cover
KR101964933B1 (ko) 하중 분산형 브라켓, 그리고 이를 기반한 폴딩형 트레일러
CA2955289C (en) Pickup truck bed cover
CN101447652A (zh) 开关柜
KR101445314B1 (ko)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BRPI0904396B1 (pt) Painel de forma ajustável para escora de paredes curvas
US8177074B2 (en) Housing for a drying device
JP2019098845A (ja) 車両後部構造
US4095311A (en) Hinges
KR102053653B1 (ko) 캐노피 장치
CN109440939A (zh) 一种折叠建筑
CN108528541A (zh) 包括多打开位置机制的承重底板组件
KR102150697B1 (ko) 수납가구
US2640294A (en) Collapsible stand
KR100638549B1 (ko) 설치폭의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안전휀스
KR20150120089A (ko) 차량용 접이식 루프 박스
CN218086849U (zh) 翻转支撑结构和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