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530B1 - 호두 탈피기 - Google Patents

호두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530B1
KR101964530B1 KR1020170184090A KR20170184090A KR101964530B1 KR 101964530 B1 KR101964530 B1 KR 101964530B1 KR 1020170184090 A KR1020170184090 A KR 1020170184090A KR 20170184090 A KR20170184090 A KR 20170184090A KR 101964530 B1 KR101964530 B1 KR 101964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nut
plate
hole
shaf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도석
Original Assignee
전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경호 filed Critical 전경호
Priority to KR1020170184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6Nutc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두(1)의 껍질을 탈피하는 탈피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결합된 상판(11)과 하판(13)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고정홈(15a)을 가진 통공(15)을 구비하고, 하판(13)의 일단으로 수용공간(17)을 구비하는 고정판(10); 및 상기 고정판(10)의 통공(15)과 수용공간(17) 상에 위치하고, 수용공간(17)에 수용된 호두(1)를 탈피하는 탈피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매우 경박단소한 구조로 고정판과 탈피수단의 구성만으로 호두를 탈피할 수 있어 제조 및 생산 공정이 대형 탈피기나 종래의 제품보다 월등하게 뛰어나고, 누구나 손쉽게 탈피수단을 사용하여 스프링의 압축력으로 호두의 내과피에 일정한 힘의 충격력을 가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호두를 탈피할 수 있는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호두 탈피기{Improvement walnut peeling equipment}
본 발명은 호두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내과피를 탈피하는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우 경박단소한 구조로 고정판과 탈피수단의 구성만으로 호두를 탈피할 수 있어 제조 및 생산 공정이 대형 탈피기나 종래의 제품보다 월등하게 뛰어나고, 누구나 손쉽게 탈피수단을 사용하여 스프링의 압축력으로 호두의 내과피에 일정한 힘의 충격력을 가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호두를 탈피할 수 있는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호두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두는 분류상 핵과(核果) 또는 석과(石果)라고 하는데, 외과피는 육질로 녹색이며 내과피(핵과:核果)는 매우 단단한 골질로 잘 깨지지 않는다. 이러한 인체에 좋은 효능 및 효과가 있는 호두는 내피(이하 '껍질'이라고 지칭함)를 탈피하여 먹어야 하는 데, 기존의 호두탈피 기계가 제작되고 있지만 시간대비 생산성 향상 및 탈피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집게형태의 호두까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집게형태의 호두까기장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압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판과 가압판의 사이에 호두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판을 가압하면 호두가 깨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집게형태의 호두까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지지판을 중심으로 가압판이 호를 그리면서 회전되어서 호두를 가압하기 때문에, 가압판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하기 어려워서 가압판에 가해지는 압력이 약한 경우에는 호두가 부분적으로 깨져서 호두알을 꺼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둘째, 부분적으로 깨진 호두를 다시 깰 수 없어서 집게와 같은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나머지 호두껍질을 질을 깨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가압판이 상대적으로 강한 압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는 호두의 껍질과 함께 호두알까지 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48397호에 의하면 "열매(N)를 일측에 탑재시키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일측에 결합된 서포터(20)와, 상기 서포터(20)에 결합된 힌지뭉치(30)와, 상기 힌지뭉치(30)에 결합되어 상기 열매(N)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10)를 향하여 원호운동을 하는 가압판(40)을 포함하는 열매 까기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20)는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 직립되는 지지판(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뭉치(30)는 승강뭉치(S)에 의해 상기 지지판(21)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 까기."를 제시한다.
이러한 상기 선행문헌은 힌지뭉치를 기준으로 가압판이 베이스를 향하여 원호운동을 할 때 그 사이에 배치된 열매가 가압판의 누름압력에 의해 호두일 경우 껍질이 파쇄되어 알맹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매실일 경우 씨를 에워싸고 있는 알맹이가 용이하게 깨뜨려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발명을 사용하여 호두의 껍질을 파쇄하여 알맹이를 추출할 수는 있으나, 일정한 압력에 따라 호두의 껍질을 파쇄해야 하는데 매번 동일한 압력을 가하는 것이 쉽지 않고 힘의 강도를 잘못 조절하여 호두의 알맹이까지 손상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48397호 "열매 까기"(2013.03.22.)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우 경박단소한 구조로 고정판과 탈피수단의 구성만으로 호두를 탈피할 수 있어 제조 및 생산 공정이 대형 탈피기나 종래의 제품보다 월등하게 뛰어나고, 누구나 손쉽게 탈피수단을 사용하여 스프링의 압축력으로 호두의 내과피에 일정한 힘의 충격력을 가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호두를 탈피할 수 있는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호두 탈피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호두의 껍질을 탈피하는 탈피장치에 있어서: 결합된 상판과 하판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고정홈을 가진 통공을 구비하고, 하판의 일단으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의 통공과 수용공간 상에 위치하고, 수용공간에 수용된 호두를 탈피하는 탈피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탈피수단은 통공의 내부에서 전후로 유동하는 유동축과, 유동축의 외면을 감싸면서 통공과 접하는 가이드와, 유동축에 전후로 압축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일단을 막으면서 고정홈에 고정하는 고정링과, 가이드와 스프링을 경계하는 유동링과, 유동축의 일단에 결합하여 스프링의 압축력을 수동방식으로 작동하는 손잡이와, 유동축의 타단에 결합하여 호두의 일면에 충격을 가하는 제1탈피판과, 수용공간 상에 위치하여 호두의 타면에 충격을 가하는 제2탈피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피수단은 손잡이 상에 모터나 외부동력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자동방식, 탄성장전하여 발사하는 반자동방식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탈피수단은 제1탈피판과 제2탈피판의 마주하는 중심으로 유동축과 고정축을 각각 너트 결합하여 고정하는 동시에 결합부위가 일정하게 돌출한 상태로 호두의 일면과 타면에 충격을 가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두 탈피기는 매우 경박단소한 구조로 고정판과 탈피수단의 구성만으로 호두를 탈피할 수 있어 제조 및 생산 공정이 대형 탈피기나 종래의 제품보다 월등하게 뛰어나고, 누구나 손쉽게 탈피수단을 사용하여 스프링의 압축력으로 호두의 내과피에 일정한 힘의 충격력을 가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호두를 탈피할 수 있는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두탈피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두탈피기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두탈피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두탈피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호두(1)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내과피, 즉 껍질을 탈피하는 탈피장치와 관련되며, 고정판(10), 탈피수단(2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10)은 결합된 상판(11)과 하판(13)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고정홈(15a)을 가진 통공(15)을 구비하고, 하판(13)의 일단으로 수용공간(17)을 구비한다. 고정판(10)은 크게 상판(11)과 하판(13)으로 나누어 구성하는 것으로, 재질로는 금속재, 비금속재, 목재, 플라스틱재와 같은 다양한 재질 중 조건에 맞는 요소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상판(11)과 하판(13)을 서로 마주하게 결합하여 하나의 고정판(10)으로 사용하는데, 하판(13)이 상판(11)보다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후술하는 탈피수단(20)을 사용하여 호두(1)의 탈피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필요구성이다. 상판(11)과 하판(13)을 상하로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 중앙으로 관통되는 통공(15)을 구비하고, 통공(15)의 일단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고정홈(15a)을 구비한다. 고정홈(15a)은 통공(15)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하여 통공(15)의 전체길이 기준 걸림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하판(13)의 일단으로는 호두(1)를 안착하여 수용하는 수용공간(17)을 구비한다. 상판(11)과 하판(13)은 일정한 두께와 길이로 구성하는데, 하판(13)의 일단을 기준하여 일정한 길이와 두께만큼 홈을 만들어 수용공간(17)을 형성한다.
이러한 수용공간(17)은 단순하게 바닥과 벽면으로 홈을 형성하여 호두(1)를 안착, 수용해도 되고, 호두(1)의 형상에 맞게 원형으로 구성하여 홈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탈피수단(20)은 상기 고정판(10)의 통공(15)과 수용공간(17) 상에 위치하고, 수용공간(17)에 수용된 호두(1)를 탈피한다. 호두(1)를 직접 탈피하는데 사용하는 탈피수단(20)은 고정판(10)의 통공(15) 내부, 수용공간(17)의 일측상에 위치하여 구성한다. 탈피수단(20)의 주요부는 고정판(10)의 통공(15)상에 위치하여 설치하고, 보조부는 고정판(10)이 수용공간(17)상에 위치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상판(11)과 하판(13)이 결합된 고정판(10)의 통공(15)에 탈피수단(20)의 주요부를 수용 설치하여 수용공간(17)에 설치하는 보조부와 연동하여 호두(1)의 껍질을 탈피 작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른 상기 탈피수단(20)은 통공(15)의 내부에서 전후로 유동하는 유동축(21)과, 유동축(21)의 외면을 감싸면서 통공(15)과 접하는 가이드(22)와, 유동축(21)에 전후로 압축력을 가하는 스프링(23)과, 스프링(23)의 일단을 막으면서 고정홈(15a)에 고정하는 고정링(24a)과, 가이드(22)와 스프링(23)을 경계하는 유동링(24b)과, 유동축(21)의 일단에 결합하여 스프링(23)의 압축력을 수동방식으로 작동하는 손잡이(25)와, 유동축(21)의 타단에 결합하여 호두(1)의 일면에 충격을 가하는 제1탈피판(26)과, 수용공간(17) 상에 위치하여 호두(1)의 타면에 충격을 가하는 제2탈피판(2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탈피수단(20)의 주요구성은 유동축(21), 가이드(22), 스프링(23), 고정링(24a), 유동링(24b), 손잡이(25), 제1탈피판(26), 제2탈피판(27)으로 이루어지는데, 유동축(21)은 통공(15)의 내부에서 전후로 유동하는 탈피수단(20)의 뼈대에 해당하고, 가이드(22)는 유동축(21)의 일부 외면을 감싸면서 통공(15)과 접하는 외부기둥에 해당하고, 스프링(23)은 유동축(21)에 전후로 압축력을 가하는 동력원에 해당하고, 고정링(24a)은 스프링(23)의 일단을 막으면서 고정홈(15a)에 고정하여 스프링(23)의 가압력을 유지해주고, 유동링(24b)은 고정링(24a)과 대향하는 방향에 설치하여 가이드(22)와 스프링(23)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에 해당하고, 손잡이(25)는 고정링(24)과 인접하는 유동축(21)의 일단에 결합하여 스프링(23)의 압축력을 수동방식으로 작동하는 핸들바에 해당하고, 제1탈피판(26)은 유동축(21)의 타단 끝지점에 결합하여 수용공간(17)에 수용한 호두(1)의 일면을 강타하여 탈피하는 탈피장치에 해당하고, 제2탈피판(27)은 수용공간(17) 기준 통공(15)과 대향하는 고정판(10)의 하판(13) 끝단에 볼트결합하여 수용공간(17)에 수용된 호두(1)의 타면에 접하면서 제1탈피판(26)의 전후 가압작동에 연동하여 순간충격으로 탈피작업을 수행하는 탈피장치에 해당한다.
정리하면, 뼈대인 유동축(21)을 중심으로 일단으로 손잡이(25), 고정링(24a), 스프링(23), 유동링(24b), 가이드(22), 제1탈피판(26)을 일체로 결합하여 고정판(10)인 상판(11)과 하판(13)의 결합된 내부에 형성된 통공(15)에 구비하고, 제2탈피판(27)은 호두(1)가 수용되는 하판(13)의 수용공간(17) 일측면 상에 볼트결합하여 호두(1)의 일면이 접한 상태에서 제2탈피판(27)을 제외한 탈피수단(20)의 전후 가압력을 사용한 탈피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호두(1)의 일측과 타측을 동시에 순간적인 충격을 가하는 것으로 내과피인 껍질을 용이하게 탈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른 상기 탈피수단(20)은 제1탈피판(26)과 제2탈피판(27)의 마주하는 중심으로 유동축(21)과 고정축(28)을 각각 너트 결합하여 고정하는 동시에 결합부위가 일정하게 돌출한 상태로 호두(1)의 일면과 타면에 충격을 가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동축(21)의 끝단에 제1탈피판(26)을 너트 및 볼트 결합하고, 고정축(28)의 끝단에 제2탈피판(27)을 너트 및 볼트 결합하면서 하판(13)의 수용공간(17) 일측면 상에 구비한다. 아들 결합과정에서 제1탈피판(26)과 제2탈피판(27)은 유동축(21)과 고정축(28)과의 너트 및 볼트 결합시 일단이 내부로 일정한 길이만큼 돌출 형성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제1탈피판(26)과 제2탈피판(27)의 중간에 위치하는 호두(1)의 좌우 단면을 스프링(23)의 압축력을 사용하여 순간적인 가압을 가하는 것으로 탈피작업을 수행한다. 정확히 말해서, 내부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는 구성은 유동축(27), 고정축(28)의 끝단 및 제1탈피판(26)과 제2탈피판(27)을 고정 결합하는데 사용하는 너트로서, 일부 돌출 형성한 구성에 의해 호두(1)의 좌우면 껍질을 동시에 충격을 가하여 탈피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탈피수단(20)은 손잡이(25) 상에 모터나 외부동력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자동방식, 탄성장전하여 발사하는 반자동방식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탈피수단(20)의 압축력을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손잡이(25)를 사용한 수동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손잡이(25)의 수동방식 이외에 손잡이(25) 상에 모터 또는 외부동력을 직,간접적으로 연결하여 전후로의 압축작업을 수행하는 자동방식, 탈피수단(20)의 스프링(23)을 당겨 일정한 압축력을 유지한 채로 준비한 뒤 필요시에 압축작업을 수행하는 탄성장정의 반자동방식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탈피할 호두(1)의 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손잡이(25)를 사용한 수동방식을 선호하지만, 수량이 어느 정도 이상이거나 지속적으로 탈피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자동방식이나 반자동방식을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매우 경박단소한 구조로 고정판과 탈피수단의 구성만으로 호두를 탈피할 수 있어 제조 및 생산 공정이 대형 탈피기나 종래의 제품보다 월등하게 뛰어나고, 누구나 손쉽게 탈피수단을 사용하여 스프링의 압축력으로 호두의 내과피에 일정한 힘의 충격력을 가하여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호두를 탈피할 수 있는 사용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호두 10: 고정판
11: 상판 13: 하판
15: 통공 15a: 고정홈
17: 수용공간 20: 탈피수단
21: 유동축 22: 가이드
23: 스프링 24a: 고정링
24b: 유동링 25: 손잡이
26: 제1탈피판 27: 제2탈피판
28: 고정축

Claims (4)

  1. 호두(1)의 껍질을 탈피하는 탈피장치에 있어서:
    결합된 상판(11)과 하판(13)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고정홈(15a)을 가진 통공(15)을 구비하고, 하판(13)의 일단으로 수용공간(17)을 구비하는 고정판(10); 및
    상기 고정판(10)의 통공(15)과 수용공간(17) 상에 위치하고, 수용공간(17)에 수용된 호두(1)를 탈피하는 탈피수단(20);을 포함하되,
    상기 탈피수단(20)은 통공(15)의 내부에서 전후로 유동하는 유동축(21)과, 유동축(21)의 외면을 감싸면서 통공(15)과 접하는 가이드(22)와, 유동축(21)에 전후로 압축력을 가하는 스프링(23)과, 스프링(23)의 일단을 막으면서 고정홈(15a)에 고정하는 고정링(24a)과, 가이드(22)와 스프링(23)을 경계하는 유동링(24b)과, 유동축(21)의 일단에 결합하여 스프링(23)의 압축력을 수동방식으로 작동하는 손잡이(25)와, 유동축(21)의 타단에 결합하여 호두(1)의 일면에 충격을 가하는 제1탈피판(26)과, 수용공간(17) 상에 위치하여 호두(1)의 타면에 충격을 가하는 제2탈피판(2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피수단(20)은 손잡이(25) 상에 모터나 외부동력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자동방식, 탄성장전하여 발사하는 반자동방식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 탈피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수단(20)은 제1탈피판(26)과 제2탈피판(27)의 마주하는 중심으로 유동축(21)과 고정축(28)을 각각 너트 결합하여 고정하는 동시에 결합부위가 일정하게 돌출한 상태로 호두(1)의 일면과 타면에 충격을 가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 탈피기.
  4. 삭제
KR1020170184090A 2017-12-29 2017-12-29 호두 탈피기 KR101964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090A KR101964530B1 (ko) 2017-12-29 2017-12-29 호두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090A KR101964530B1 (ko) 2017-12-29 2017-12-29 호두 탈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530B1 true KR101964530B1 (ko) 2019-04-01

Family

ID=6610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090A KR101964530B1 (ko) 2017-12-29 2017-12-29 호두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5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313B1 (ko) 2020-04-28 2020-09-02 경상북도 김천시 호두 자동 탈각장치
KR102560492B1 (ko) * 2022-09-05 2023-07-26 박정규 호두까기 집게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1733A (en) * 1987-03-18 1989-05-23 Morrow George W Solenoid type nutcracker
US5333384A (en) * 1993-11-01 1994-08-02 Graves Gerald E Nutcracker
CN2395662Y (zh) * 1999-09-04 2000-09-13 张金刚 多用途硬果破壳器
CN2549871Y (zh) * 2002-03-29 2003-05-14 魏天战 核桃器
CN200945117Y (zh) * 2006-08-23 2007-09-12 陕西科技大学 一种螺杆式核桃夹
US20080236407A1 (en) * 2007-03-30 2008-10-02 Alexander Joseph Kalogroulis Automatic nut cracker
JP2011251077A (ja) * 2010-06-04 2011-12-15 Yoko Itabayashi 胡桃割り補助器具
KR101248397B1 (ko) 2011-01-26 2013-03-28 김영채 열매 까기
KR101479145B1 (ko) * 2013-12-30 2015-01-08 하세현 호두까기용 보조기구
CN106983399A (zh) * 2017-05-25 2017-07-28 巫溪银汉农业有限公司 挤压距离可调的挤压式核桃破壳器
US20170245691A1 (en) * 2016-02-29 2017-08-31 Scott Staten OLIVER Powered nut cracker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1733A (en) * 1987-03-18 1989-05-23 Morrow George W Solenoid type nutcracker
US5333384A (en) * 1993-11-01 1994-08-02 Graves Gerald E Nutcracker
CN2395662Y (zh) * 1999-09-04 2000-09-13 张金刚 多用途硬果破壳器
CN2549871Y (zh) * 2002-03-29 2003-05-14 魏天战 核桃器
CN200945117Y (zh) * 2006-08-23 2007-09-12 陕西科技大学 一种螺杆式核桃夹
US20080236407A1 (en) * 2007-03-30 2008-10-02 Alexander Joseph Kalogroulis Automatic nut cracker
JP2011251077A (ja) * 2010-06-04 2011-12-15 Yoko Itabayashi 胡桃割り補助器具
KR101248397B1 (ko) 2011-01-26 2013-03-28 김영채 열매 까기
KR101479145B1 (ko) * 2013-12-30 2015-01-08 하세현 호두까기용 보조기구
US20170245691A1 (en) * 2016-02-29 2017-08-31 Scott Staten OLIVER Powered nut cracker
CN106983399A (zh) * 2017-05-25 2017-07-28 巫溪银汉农业有限公司 挤压距离可调的挤压式核桃破壳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313B1 (ko) 2020-04-28 2020-09-02 경상북도 김천시 호두 자동 탈각장치
KR102560492B1 (ko) * 2022-09-05 2023-07-26 박정규 호두까기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7380B1 (en) Dual function garlic press
KR101964530B1 (ko) 호두 탈피기
CN106805257A (zh) 一种旋转式水果去皮去核装置
KR20150094102A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KR100885373B1 (ko) 감 탈피장치
KR101280677B1 (ko) 자동 양파 탈피장치
JP4318144B2 (ja) 栗の皮剥ぎ装置
CN108887697B (zh) 竹笋去皮机
KR101116128B1 (ko) 감 탈피장치
JP2021052734A (ja) 山栗の皮むき装置
US3338281A (en) Nut cracker for macadamia and other nuts
DE102018212162A1 (de) Zufuhreinrichtung für eine Saftpresse, Küchenmaschine und Saftpresse mit Zufuhreinrichtung
CN203252524U (zh) 挤压核桃碎壳器
CN110269497B (zh) 一种自动调节的水果削皮装置
KR101248397B1 (ko) 열매 까기
JP7254561B2 (ja) カボチャの種ワタ除去方法および装置
US1255808A (en) Nutcracker.
KR101983075B1 (ko) 박과 빙수의 제조를 위한 가공장치
KR102054352B1 (ko) 과일 탈피장치
CN210582094U (zh) 一种多功能苹果削皮去核分瓣器
KR20160106234A (ko) 원두커피의 다지기 장치
CN205359152U (zh) 一种去蒜皮器
CN109527950A (zh) 一种水果削皮机
CN217907472U (zh) 一种可避免核桃仁夹碎的核桃开壳器
CN212087970U (zh) 一种手动核桃脱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