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330B1 -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Google Patents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4330B1 KR101964330B1 KR1020170067694A KR20170067694A KR101964330B1 KR 101964330 B1 KR101964330 B1 KR 101964330B1 KR 1020170067694 A KR1020170067694 A KR 1020170067694A KR 20170067694 A KR20170067694 A KR 20170067694A KR 101964330 B1 KR101964330 B1 KR 1019643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upper housing
- diaphragm
- support portion
- clo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1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91—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fluid parame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02D2041/225—Leakage det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탱크 내의 증발가스 또는 외부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출구(112)가 형성된 상부하우징(110)과,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생성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출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증발가스가 유동될 수 있는 입구(122)가 형성된 하부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중앙에 유로(130a)가 형성된 다이아프램부(130)와, 상기 다이아프램부(130)의 상측에 설치되며 승하강에 따라 상기 유로(13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개폐유닛(140)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에 따라 상방향으로 승강되는 상기 개폐유닛(140)의 작동을 센싱할 수 있도록 한 센싱부(150)를 포함하되,상기 하부하우징(120)의 내측에는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받침돌기(12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돌기(124)의 상측에 상기 유로(13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상기 개폐유닛(140)의 디스크(143)가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는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중 연료 시스템의 리크를 진단할 수 있는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내연기관을 구비한 연료시스템은 증발가스의 외부누출을 엄격하게 관리를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최근에는 캐니스터를 통해 증발가스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줄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즉, 연료시스템의 누출부가 있을 경우 오염물질이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운행중 일정 조건하에 연료시스템을 강제 차단한 후 누출 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이 경우 캐니스터와 외부 사이에 전자밸브를 차단한 후에 엔진의 진공압력 또는 정압을 이용하여 압력의 저하가 발생시 연료시스템의 누출 유무를 확인한다.
또한, 환경오염의 저감과 기술의 발전으로 근래에는 하이브리드 차량이 보급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운행 조건에서는 가솔린 내연기관의 사용이 빈번하지 않기 때문에 연료시스템의 누출을 확인하기 위한 진공압력 또는 정압을 발생시킬 수 없어서 내연기관이 정지한 상태에서 자연 냉각에 의해 연료탱크 안의 진공압력을 모니터링 하여 연료시스템의 누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자연적 진공 누출 감지기기(Neutral Vacuum Leakage Detection)가 개발되었다.
상술한 자연적 진공 누출 감지기는 연료탱크에 대량의 연료를 투입할 경우 발생하는 증발가스의 압과 유량을 해소하여 연료탱크의 파손을 막고, 연료탱크의 연료가 내연기관으로 이송을 할 경우에는 연료탱크 내에 진공압력이 형성되어 연료탱크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외부에서 공기가 충분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자연적 진공 누출 감지기(Neutral Vacuum Leakage Detection)는 이러한 진공 압력 및 정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내부의 릴리프밸브를 솔레노이드 코일을 이용하여 제어를 하는 경우 내연기관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전원공급의 애로점이 있으며, 많은 소비전류를 사용하는 문제점과 함께 구성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압력에 의해 기구적으로 작동하는 밸브가 있으나 제품 내부에서 자연응축 또는 외부에서의 수분 또는 이물질이 연료탱크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수분 또는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캐니스터의 성능 저하를 일으켰고, 이는 증발가스의 외부누출을 유도하여 환경오염을 일으키거나, 연료탱크에 유입될 경우에는 연료시스템의 부식 또는 막힘 현상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탱크 내의 진공압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연료시스템의 누출 유무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연료탱크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수분 및 이물질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탱크 내의 증발가스 또는 외부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출구가 형성된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생성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증발가스가 유동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된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중앙에 유로가 형성된 다이아프램부와, 상기 다이아프램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승하강에 따라 상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개폐유닛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에 따라 상방향으로 승강되는 상기 개폐유닛의 작동을 센싱할 수 있도록 한 센싱부를 포함하되,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에는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받침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돌기의 상측에 상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상기 개폐유닛의 디스크가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는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료탱크에서 발생되는 압력은 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연료탱크의 연료가 내연기관으로 이송할 경우 연료탱크 내에 진공압력의 발생시 공기가 연료탱크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탱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센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밸브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수분과 이물질이 밸브를 통과하지 못하여 연료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연료시스템의 부식 또는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에 사용된 개폐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에 사용된 개폐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는 연료탱크 내로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을 자연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증발가스의 압과 유량에 의해 연료탱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시스템의 누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는 연료탱크 내의 증발가스 또는 외부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출구(112)가 형성된 상부하우징(110)과,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생성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증발가스가 유동될 수 있는 입구(122)가 형성된 하부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중앙에 유로(130a)가 형성된 다이아프램부(130)와, 상기 다이아프램부(130)의 상측에 설치되며 승하강에 따라 상기 유로(13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개폐유닛(140)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에 따라 상방향으로 승강되는 상기 개폐유닛(140)의 작동을 센싱할 수 있도록 한 센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은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110)에는 상기 연료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연료탱크에서 생성되는 증발가스를 유입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연료탱크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출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120)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거나, 상기 출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증발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입구(122)가 형성된다.
다이아프램부(130)는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상호 결합에 따라 생성되는 내부공간에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로 유동되는 증발가스 및 공기의 흐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다이아프램부(130)는 링 형상으로 중앙에 유로(130a)가 형성되며 상측으로 상기 유로(130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유로(130a)의 테두리를 따라 링 형상의 플랜지(131)가 돌출되게 형성된 브라켓(132)과, 상기 브라켓(132)의 유로(130a)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가림막(133)과, 링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브라켓(132)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고정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에 의해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한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다이아프램(134)을 포함한다.
즉, 상기 다이아프램부(130)는 상기 다이아프램(134)과 상기 브라켓(132)을 통해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을 구획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132)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증발가스 또는 공기가 상기 상부하우징(110) 또는 하부하우징(120)의 내부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막(133)은 후술하는 개폐유닛(140)의 디스크(143)와 접촉시 완전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디스크(143)와의 접촉한 상태에서는 증발가스 또는 공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개폐유닛(140)은 상기 브라켓(132)의 상측에 안착되어 유동되는 증발가스 및 공기의 압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어 상기 브라켓(132)에 형성되는 유로(13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개폐유닛(140)은 하부가 상기 브라켓(132)의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플랜지(131) 내측에 결합되며 증발가스 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142)와, 상기 지지부(142)의 하측에 위치되며 승하강에 따라 상기 브라켓(132)에 형성된 유로(130a)를 개폐할 수 있는 디스크(143)와, 상기 지지부(142)와 상기 디스크(14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143)를 탄성지지할 수 있는 메인스프링(144)과, 상기 메인스프링(14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디스크(143)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가이드부재(145)와, 상기 지지부(142)를 상기 상부하우징(110)에 대해 하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판스프링(146) 및 상기 상부하우징(110)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146)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나사(1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지지부(142)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링(142a)과, 상기 하부링(142a)의 상측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상부링(142b)과, 상기 하부링(142a)과 상부링(142b)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142c) 및 상기 상부링(142b)의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디스크(143)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142d-1)이 형성된 기둥부재(142d)로 이루어진다.
즉, 전체적으로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142c)에 의해 측면에 증발가스 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통공(14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디스크(143)는 상기 지지부(142)의 하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132)에 형성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개폐판(143a)과, 상기 개폐판(143a)과 고정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지지부(142)의 기둥부재(142d)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42d-1)에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되는 승강부재(143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143)는 상기 개폐판(143a)과 상기 승강부재(143b)를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재료비의 절감과 효율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개폐판(143a)은 금속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승강부재(143b)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하도록 한다.
즉, 상기 디스크(143)는 상기 다이아프램부(130)의 가림막(133)과 접촉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미세한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폐판(143a)을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승강부재(143b)는 원활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금속재질에 비해 중량이 가벼운 플라스틱재질로 형성하여 원활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재료비 등을 절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42)와 상기 디스크(143) 사이에는 메인스프링(144)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스프링(144)은 상기 지지부(142)에 대해 상기 디스크(143)를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디스크(143)를 탄성지지하여 증발가스 또는 공기의 유동이 없을 경우 상기 디스크(143)가 상기 브라켓(132)에 형성된 유로(130a)를 항상 밀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5)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142)의 상부링(142b)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기둥부재(142d) 내로 삽입되는 승강부재(143b)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승강부재(143b)가 상기 슬라이딩홈(142d-1)의 일측으로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기둥부재(142d)의 슬라이딩홈(142d-1)으로 승강부재(143b)가 승하강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즉, 승강부재(143b)의 일부가 상기 기둥부재(142d)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42d-1)으로 승하강되도록 하기 위해선 상기 슬라이딩홈(142d-1)이 상기 승강부재(143b)의 직경보다 커야함으로 유격이 발생된다. 그로 인해 슬라이딩시 진동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재(142d)의 일면에는 절개부(142d-2)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홈(142d-1)이 천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143b)의 일부분이 기둥부재(142d)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가이드부재(145)의 일단이 노출된 승강부재(143b)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145)는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143b)와 접촉되는 일 끝단에는 상기 승강부재(143b)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확장부(145a)가 형성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확장부(145a)는 일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한 후 볼록한 면이 상기 승강부재(143b)의 면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상기 승강부재(143b)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판스프링(146)은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상기 지지부(142)를 하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돌출부(142e)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146)이 상기 지지부(142)의 상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지지부(142) 및 상기 지지부(142)와 결합된 다이아프램부(130)의 브라켓(132)이 하부하우징(120)의 내측 바닥면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받침돌기(124)를 형성하여 상기 판스프링(146)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부(142)와 다이아프램부(130)가 일정 높이 정도 하강하면 상기 받침돌기(124)가 상기 지지부(142)와 결합된 디스크(143)의 하부를 지지하여 더 이상 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제한하도록 한다.
조절나사(147)는 상기 지지부(142)를 가압하도록 한 상기 판스프링(146)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10)에 나사결합되되, 말단이 상기 판스프링(146)의 상측과 접촉되도록 한 후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방식으로 상기 판스프링(146)을 가압하여 상기 지지부(142)를 가압하는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조절나사(147)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조절나사(147)가 하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판스프링(146)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판스프링(14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142)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상승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부(142)에 전달되는 가압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할 수도 있는 등 상기 판스프링(146)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센싱부(150)는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의 내부공간 내로 증발가스 또는 공기가 유동에 의해 상기 개폐유닛(140)이 승하강할 경우 이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지지부(142)의 승강시 돌출부(142e)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스위치(152)와, 상기 스위치(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15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기판(154)은 일측에 복수개의 접속단자(155)가 마련된 것으로, 상기 스위치(152)에서 전달된 신호를 상기 제어기판(154)에서 수신한 후 이를 상기 복수개의 접속단자(155)를 통해 외부로 전달하여 알림음 또는 알림등을 통해 작업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 밸브(100)는 초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유닛(140)이 다이아프램부(130)에 형성된 유로(130a)를 밀폐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연료를 연료탱크에서 내연기관으로 공급하거나, 온도에 의해 연료탱크 내에 진공압이 발생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부(130) 및 개폐유닛(140)이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다이아프램부(130)의 브라켓(132)에 형성된 유로(130a)는 상기 개폐유닛(140)의 디스크(143)에 의해 밀폐되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개폐유닛(140)의 상승으로 인해 지지부(142)의 돌출부(142e)가 센싱부(150)의 스위치(152)와 접촉되면서 연료탱크의 진공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즉, 연료탱크 내의 진공압이 발생할 경우에만 상기 개폐유닛(140)이 상승되는 구조로서, 진단밸브(100)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있지 않다면 상기 개폐유닛(140)이 상승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진공압이 더욱 상승할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부(130)의 유로(130a)를 밀폐하고 있는 디스크(143)가 상기 메인스프링(144)의 탄성력을 무시하고 상승하면서 유로(130a)를 개방하여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상부하우징(110)에 형성된 출구(112)를 통해 연료탱크내로 공급되어 진공압에 의해 연료탱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22)를 하부하우징(120)에 형성하고, 연료탱크로 배출되는 출구(112)를 상부하우징(110)에 형성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물기는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물기에 의해 연료탱크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료의 주입 및 온도에 의해 연료탱크 내에 압력이 상승할 경우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유닛(140) 및 다이아프램부(130)가 하부하우징(120) 측으로 하강되면서, 상기 개폐유닛(140)의 디스크(143)가 상기 하부하우징(120)의 바닥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받침돌기(124)에 접촉되게 된다.
이후,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디스크(143)는 상기 받침돌기(124)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아프램부(130)만 하강하게 되어 디스크(143)에 의해 밀폐되고 있던 유로(130a)가 개방되면서 증발가스가 하부하우징(120)의 입구(122)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연료탱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100)는 경우에 따라 상기 조절나사(147)를 이용하여 상기 개폐유닛(140)을 상방향에서 가압하고 있는 판스프링(146)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진단밸브(100) 내로 유동되는 증발가스 및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진단밸브 110 : 상부하우징
112 : 출구 120 : 하부하우징
122 : 입구 124 : 받침돌기
130 : 다이아프램부 130a : 유로
131 : 플랜지 132 : 브라켓
133 : 가림막 134 : 다이아프램
140 : 개폐유닛 141 : 통공
142 : 지지부 142a : 상부링
142b : 하부링 142c : 연결부재
142d : 기둥부재 142e : 돌출부
142d-1 : 슬라이딩홈 142d-2 : 절개부
143 : 디스크 143a : 개폐판
143b : 승강부재 144 : 메인스프링
145 : 가이드부재 146 : 판스프링
147 : 조절나사 150 : 센싱부
152 : 스위치 154 : 제어기판
112 : 출구 120 : 하부하우징
122 : 입구 124 : 받침돌기
130 : 다이아프램부 130a : 유로
131 : 플랜지 132 : 브라켓
133 : 가림막 134 : 다이아프램
140 : 개폐유닛 141 : 통공
142 : 지지부 142a : 상부링
142b : 하부링 142c : 연결부재
142d : 기둥부재 142e : 돌출부
142d-1 : 슬라이딩홈 142d-2 : 절개부
143 : 디스크 143a : 개폐판
143b : 승강부재 144 : 메인스프링
145 : 가이드부재 146 : 판스프링
147 : 조절나사 150 : 센싱부
152 : 스위치 154 : 제어기판
Claims (10)
- 연료탱크 내의 증발가스 또는 외부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출구(112)가 형성된 상부하우징(110)과,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생성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 또는 상기 상부하우징(110)의 출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증발가스가 유동될 수 있는 입구(122)가 형성된 하부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중앙에 유로(130a)가 형성된 다이아프램부(130)와,
상기 다이아프램부(130)의 상측에 설치되며 승하강에 따라 상기 유로(13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개폐유닛(140)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에 따라 상방향으로 승강되는 상기 개폐유닛(140)의 작동을 센싱할 수 있도록 한 센싱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유닛(140)은
하부가 상기 다이아프램부(130)와 결합되며 상기 유로(130a)를 통해 유동되는 증발가스 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142)와,
상기 지지부(142)의 하측에 위치되며 승하강에 따라 상기 유로(130a)를 개폐할 수 있는 디스크(143)와,
상기 지지부(142)와 상기 디스크(14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143)를 탄성지지할 수 있는 메인스프링(1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143)에는 승강부재(143b)가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42)에는 상기 승강부재(143b)가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홈(142d-1)이 형성된 기둥부재(142d)가 마련되되, 상기 기둥부재(142d)의 일면에는 절개부(142d-2)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홈(142d-1)이 천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부(130)는
링 형상으로 중앙에 유로(130a)가 형성되며 상측으로 상기 유로(130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유로(130a)의 테두리를 따라 링 형상의 플랜지(131)가 돌출되게 형성된 브라켓(132)과,
상기 브라켓(132)의 유로(130a)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가림막(133)과,
링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브라켓(132)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고정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에 의해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10)과 하부하우징(120)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한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다이아프램(134)으로 이루어진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140)은
상기 메인스프링(14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기 디스크(143)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가이드부재(145)와,
상기 지지부(142)를 상기 상부하우징(110)에 대해 하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 판스프링(146)을 더 포함하는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140)은 상기 상부하우징(110)에 나사결합되되, 말단이 상기 판스프링(146)의 상측과 접촉되도록 하여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방식으로 상기 판스프링(146)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절나사(147)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43)는 상기 지지부(142)의 하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다이아프램부(130)의 브라켓(132)에 형성된 유로(130a)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개폐판(143a)과, 상기 개폐판(143a)과 고정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지지부(142)의 기둥부재(142d)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42d-1)에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되는 승강부재(143b)로 이루어진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43)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상기 가이드부재(145)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142)의 상부링(142a)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142)의 기둥부재(142d)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42d-1)으로 삽입되는 상기 승강부재(143b)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승강부재(143b)가 상기 슬라이딩홈(142d-1)의 일측으로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청구항 6에 있어서, 가이드부재(145)는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재(143b)와 접촉되는 일단에는 상기 승강부재(143b)와의 접촉면이 증가될 수 있도록 확장부(145a)가 돌출되게 형성된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145a)는 일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볼록한 면이 상기 승강부재(143b)의 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143a)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143b)는 플라스틱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50)는
상기 개폐유닛(140)의 승강시 상기 개폐유닛(140)의 지지부(142)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142e)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스위치(152)와, 상기 스위치(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154)으로 이루어진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7694A KR101964330B1 (ko) | 2017-05-31 | 2017-05-31 |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7694A KR101964330B1 (ko) | 2017-05-31 | 2017-05-31 |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1103A KR20180131103A (ko) | 2018-12-10 |
KR101964330B1 true KR101964330B1 (ko) | 2019-04-01 |
Family
ID=6467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7694A KR101964330B1 (ko) | 2017-05-31 | 2017-05-31 |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433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33672A1 (en) * | 2007-11-27 | 2009-05-28 | Continental Automotive Canada Inc. | Natural vacuum leak detection device using diaphragm-seal mechanism |
US20130015378A1 (en) * | 2011-07-11 | 2013-01-17 |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 Articulating poppet to seal a natural vacuum leak detection device |
-
2017
- 2017-05-31 KR KR1020170067694A patent/KR1019643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133672A1 (en) * | 2007-11-27 | 2009-05-28 | Continental Automotive Canada Inc. | Natural vacuum leak detection device using diaphragm-seal mechanism |
US20130015378A1 (en) * | 2011-07-11 | 2013-01-17 |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 Articulating poppet to seal a natural vacuum leak detec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1103A (ko) | 2018-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83046B2 (en) | Valve device for fuel tank | |
US3513817A (en) | Thermally modulating air supplies | |
US20050279956A1 (en) | Valve with reliable opening indication | |
US6508263B1 (en) | Float operated fuel tank vapor vent valve | |
KR100907167B1 (ko) | 증기 벤트 밸브 조립체 및 증기 벤트 제어 방법 | |
KR101512788B1 (ko) | 스팀 트랩 시스템 | |
AU2005202948A1 (en) | Fuel vapor vent valve floa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6779546B2 (en) | Pressure control valve for fuel tank | |
US6854477B2 (en) | Apparatus for inhibiting fuels from flowing out of fuel tanks | |
RU2507427C2 (ru) | Клапан сброса давления | |
CN213687105U (zh) | 一种具有可拆卸式双阀的加湿器 | |
KR101964330B1 (ko) | 밀폐형 기밀 진단밸브 | |
JP2005023938A (ja) | 給油中の燃料蒸発ガスの再循環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 |
US11932100B2 (en) | Valve device | |
US7146729B2 (en) | Fuel vapor vent valve and method of attaching same to a tank | |
US6779545B2 (en) | Pressure control valve for fuel tank | |
JP2002005334A (ja) | ダイヤフラム弁装置における異常検知装置 | |
CN106949275A (zh) | 一种通气切断阀 | |
US7686030B2 (en) | Cut valve | |
JPH06137226A (ja) | 燃料遮断装置 | |
JP4487915B2 (ja) | 燃料遮断弁 | |
US20240239186A1 (en) | Valve device for fuel tank | |
WO2021132035A1 (ja) | 弁装置 | |
JP2019027352A (ja) | 燃料遮断弁 | |
JP2008057327A (ja) | 燃料遮断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