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85B1 - 소켓 일체형 소제구 - Google Patents

소켓 일체형 소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85B1
KR101963685B1 KR1020180077704A KR20180077704A KR101963685B1 KR 101963685 B1 KR101963685 B1 KR 101963685B1 KR 1020180077704 A KR1020180077704 A KR 1020180077704A KR 20180077704 A KR20180077704 A KR 20180077704A KR 101963685 B1 KR101963685 B1 KR 101963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main body
stop
socket
clean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종국
김효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Priority to KR1020180077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16L55/1152Caps fixed by screwing or by means of a screw-threaded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켓 일체형 소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주연에 나선 형태의 본체나사산부가 구성되는 소제구본체; 상기 소제구본체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본체나사산부와 체결되도록 그 외주연에 나선 형태의 마개나사산부가 구성되는 마개;를 포함하여 소제구에 소켓이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배관과의 결합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소제구본체에 결합되는 마개의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배관 청소시 그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소제구본체와 마개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형태가 간결하므로 제작시 재료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소제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켓 일체형 소제구{Socket-integrated clean-out}
본 발명은 소켓 일체형 소제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배관이나 오수받이 등에 적용되는 소제구에 있어, 배관과 결합되는 소켓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소켓 일체형 소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공동주택, 상가건물 등 각종 건물의 지하나 지하 주차장상단에 각종 생활 오배수(주방이나 화장실 등)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관은 생활 오배수(또는 생활 하수)의 유지방이 응고되거나 하수 속에 섞인 기타 이물질으로 인해서 비정기적으로 막히게 된다.
이를 위해, 배관으로는 각종 생활 하수의 배수 과정에서 그 내부에 적층되는 각종 슬러지의 적층 유무를 확인하고 이를 청소하기 위한 소제구가 구비되어 있다. 소제구는 통상적으로 배관보다는 높아지게 상부로 절곡된 형태이고, 배관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이다.
상기한 소제구는 배관의 연결지점 등 군데군데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건물 관리자는 상기한 소제구를 통해 횡주관 내에 슬러지의 적층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 그 적층 정도에 따라 오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배관의 내부를 주기적으로 세정해 주어야 한다. 이때, 배관의 소제구를 통해 고압세척수로 배관을 세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 소제구는 마개가 나사방식을 통해 체결되도록 구성되나, 체결부위에 슬러지나 이물질이 끼거나 낀 상태로 오래 방치되어 고착되는 경우 마개의 개폐가 용이치 않아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452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소제구본체에 결합되는 마개의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소켓 일체형 소제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일체형 소제구는 내주연에 나선 형태의 본체나사산부가 구성되는 소제구본체; 상기 소제구본체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본체나사산부와 체결되도록 그 외주연에 나선 형태의 마개나사산부가 구성되는 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나사산부는 나선의 평면뷰가 반원호 형태로 이뤄지는 제 1본체나사산; 나선의 평면뷰가 반원호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 1본체나사산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소제구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 구조로 상호 이격되는 제 2본체나사산;을 포함하여, 상기 제 1본체나사산의 상단과 제 2본체나사산의 하단, 그리고 상기 제 1본체나사산의 하단과 제 2본체나사산의 상단 간에 각각 인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나사산부는 나선의 평면뷰가 중심각 270°의 원호 형태로 이뤄지는 제 1마개나사산; 및 나선의 평면뷰가 중심각 270°의 원호 형태로 이뤄지며, 상기 제 1마개나사산과는 서로 동일한 중심 및 높이에서 겹쳐치지 않게 배치되는 제 2마개나사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마개나사산과 상기 제 2마개나사산은 서로 180°만큼 회전된 상태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 1마개나사산의 산과 산 사이인 피치 중심에 상기 제 2마개나사산의 산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일체형 소제구는 소제구에 소켓이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배관과의 결합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소제구본체에 결합되는 마개의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배관 청소시 그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소제구본체와 마개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형태가 간결하므로 제작시 재료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일체형 소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일체형 소제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본체나사부와 마개나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소제구본체와 마개가 체결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일체형 소제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일체형 소제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저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본체나사부와 마개나사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소제구본체와 마개가 체결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소제구란 각종 배관에 적용되어 배관 내부가 생활 하수의 유지방이 응고되거나 하수 속에 포함된 기타 이물질에 의해 막힐 경우 이를 용이하게 제거시키기 위해 배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일체형 소제구는 소제구에 소켓이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배관(P)과의 결합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소제구본체(10)에서 마개(20)의 착탈이 용이하여 배관의 청소 작업시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일체형 소제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제구본체(10), 소켓부(30) 및 마개(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소제구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의 내주연에 나선 형태의 본체나사산부(1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30)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소제구본체(10)의 타단부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연결관(3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소제구본체(10)와 연통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소켓부(30)는 배관(P)의 끝단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가 없으나 , 상기 소켓부(30)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배관(P)과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33)은 소제구가 설치되는 배관의 설치환경에 따라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관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연결관(33)이 직선형 관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마개(20)는 상기 소제구본체(10)의 개방된 일단부에 체결되어 소제구본체(10)의 내측을 외부와 차단시켜 악취 등이 외부에 배출되는 것을 막고, 배관(P)의 청소시 용이하게 그 체결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마개(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연에 상기 본체나사산부(100)와 나사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되도록 나선 형태의 마개나사산부(200)가 마련되어, 상기 소제구본체(10)와 마개(20)는 본체나사산부(100)와 마개나사산부(200) 간 나사결합 방식을 통해 상호 체결 및 해제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갖게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1)를 마련하여 작업자는 한 손으로 상기 마개(20)를 회전시켜 상기 소제구본체(10)에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제구본체(10)와의 밀착되는 지점에 패킹(22)이 구성되어 소제구본체(10)와 마개(20) 간 보다 수밀한 결합구조를 취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본체나사산부(100) 및 마개나사산부(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 내지 도 5는 상기 소제구본체(10) 및 마개(20)의 외형을 생략함으로써 본체나사산부(100)와 마개나사산부(200)가 보다 부각되도록 도시한 도면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실제 본체나사산부(100)와 마개나사산부(200)가 각각 소제구본체(10)의 내주연과 마개(20)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먼저, 상기 본체나사산부(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본체나사산(110) 및 제 2본체나사산(1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본체나사산(11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의 평면뷰가 반원호 형태로 이뤄지며 이때, 그 호의 중심각은 180°이내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본체나사산(120)은 상기 제 1본체나사산(110)과 같이 그 평면뷰가 반원호 형태를 취하되, 상기 제 1본체나사산(110)과 제 2본체나사산(120)은 서로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소제구본체(10)의 중심 기준 상호 점대칭 구조로 구성된다.
아울러, 그 평면뷰가 반원호 형태를 취하는 제 2본체나사산(120) 역시 그 호 중심각이 180° 이내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본체나사산(110)의 상단(111)과 제 2본체나사산(120)의 상단(121)의 높이가 같고, 제 1본체나사산(110)의 하단(112)과 제 2본체나사산(120)의 하단(122)의 높이가 같게 형성되는 구조로, 상호 간은 점대칭 구조로 구성되므로,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제 1본체나사산(110)의 상단(111)은 제 2본체나사산(120)의 하단(122)과 서로 마주보고, 제 1본체나사산(110)의 하단(112)은 제 2본체나사산(120)의 상단(121)과 서로 마주보는 구조를 취하게 되어 상기 제 1본체나사산(110)의 상단(111)과 제 2본체나사산(120)의 하단(122), 그리고 상기 제 1본체나사산(110)의 하단(112)과 제 2본체나사산(120)의 상단(121) 간에는 각각 그 높이 차에 의해 인입구(130)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본체나사산(110) 및 제 2본체나사산(120)은 그 평면뷰가 반원호를 이루되, 각 호의 중심각이 180°이내로 구성되므로 인입구(130)의 폭이 넓어져 상기 마개나사산부(200)와의 결합시 넓어진 인입구(130)를 통해 마개나사산부(200)가 보다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 1본체나사산(110)에 상단(111)과 하단(112)은, 나선 구조인 제 1본체나사산(110)의 양끝단 중 비교적 높은 끝단을 상단(111)으로, 양끝단 중 비교적 낮은 끝단은 하단(112)으로 정의한 것으로, 그와 다른 구성인 제 2본체나사산(120), 제 1마개나사산(210) 및 제 2마개나사산(220)에도 동일한 기준으로 각각의 양끝단을 높이에 따라 상단과 하단이라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마개나사산부(200)는 제 1마개나사산(210) 및 제 2마개나사산(2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마개나사산(210) 및 제 2마개나사산(220)은 도 3 등에서와 같이 서로 일정하게 이격된 상태로 각 하단(212,222)이 상기 본체나사산부(100)에 형성되는 인입구(130)에 인입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나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마개나사산(210) 및 제 2마개나사산(22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나선의 평면뷰가 중심각 270°의 원호 형태로 이뤄지는 것으로, 상기 제 1마개나사산(210)의 상단(211)과 제 2마개나사산(220)의 상단(221), 그리고 상기 제 1마개나사산(210)의 하단(212)과 제 2마개나사산(220)의 하단(222)은 각각 같은 높이에서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되, 상기 제 1마개나사산(210) 및 제 2마개나사산(220)은 서로 동일한 높이에서 서로 일정간격만큼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일 실시 예로, 상기 제 2마개나사산(220)은 제 1마개나사산(210) 대비 180°회전된 상태로 적용될 수 있는 바, 이는 도 3b에서와 각 상단(211,221)을 비교해보면 나선 중심을 기준으로 180°만큼 이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1마개나사산(210)과 제 2마개나사산(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상기 마개(20)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제 1마개나사산(210)은 제 1본체나사산(110)에 안착된 상태이고, 상기 제 2마개나사산(220)은 상기 제 2본체나사산(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마개(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 1마개나사산(210)의 하단(212)과 제 2마개나사산(220)의 하단(222)은 각각 제 1본체나사산(110)과 제 2본체나사산(120) 간 이격된 간격인 인입구(130)에 인입되면서 제 1마개나사산(210)과 제 2마개나사산(220) 간 이격된 간격(피치)에 제 1본체나사산(110)과 제 2본체나사산(120)이 끼워지면서 소제구본체(10)와 마개(20) 간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 1본체나사산(110)과 제 2본체나사산(120)이 반원호 형태로 동일한 높이에서 대칭되게 이격되므로, 상기 마개(20)는 적은 회전 수만큼 회전하여도 제 1마개나사산(210)과 제 2마개나사산(220) 간 간격이 제 1본체나사산(110) 및 제 2본체나사산(120)에 깊게 끼워지거나 해제될 수 있게 되므로, 배관(P)의 점검 등을 위해 소재구 개방 시, 마개(20)를 조금만 회전시키더라도 마개(20)의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되며, 또한, 소제구본체(10)와 마개(20)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형태가 간결하므로 제작시 재료비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소제구본체 20 : 마개
100 : 본체나사산부 110 : 제 1본체나사산
120 : 제 2본체나사산 200 : 마개나사산부
210 : 제 1마개나사산 220 : 제 2마개나사산

Claims (4)

  1. 내주연에 나선 형태의 본체나사산부가 구성되는 소제구본체; 상기 소제구본체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본체나사산부와 체결되도록 그 외주연에 나선 형태의 마개나사산부가 구성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나사산부는, 나선의 평면뷰가 중심각 180° 이내의 원호 형태로 이뤄지는 제 1본체나사산; 나선의 평면뷰가 중심각 180° 이내의 원호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 1본체나사산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소제구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점대칭 구조로 상호 이격되는 제 2본체나사산;을 포함하여, 상기 제 1본체나사산의 상단과 제 2본체나사산의 하단, 그리고 상기 제 1본체나사산의 하단과 제 2본체나사산의 상단 간은 그 높이차에 의해 그리고 그 평면뷰가 서로 겹치지 않는 거리차 에 의해 형성되는 인입구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마개나사산부는, 나선의 평면뷰가 중심각 270°의 원호 형태로 이뤄지는 제 1마개나사산; 나선의 평면뷰가 중심각 270°의 원호 형태로 이뤄지며, 상기 제 1마개나사산과는 서로 동일한 중심 및 높이에서 서로 겹쳐지지 않게 배치되는 제 2마개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마개나사산과 상기 제 2마개나사산은 서로 180°만큼 회전된 상태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 1마개나사산의 산과 산 사이인 피치 중심에 상기 제 2마개나사산의 산이 배치되어,
    서로 180°의 각 만큼 이격된 상기 제 1마개나사산 및 제 2마개나사산의 하단은 각각 상기 제 1본체나사산 제 2본체나사산 간 그 높이차 및 거리차에 의해 형성되는 인입구에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일체형 소제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77704A 2018-07-04 2018-07-04 소켓 일체형 소제구 KR101963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704A KR101963685B1 (ko) 2018-07-04 2018-07-04 소켓 일체형 소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704A KR101963685B1 (ko) 2018-07-04 2018-07-04 소켓 일체형 소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685B1 true KR101963685B1 (ko) 2019-04-01

Family

ID=6610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704A KR101963685B1 (ko) 2018-07-04 2018-07-04 소켓 일체형 소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8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3944A (ja) * 1996-01-30 2000-04-04 クロウン・コルク・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容器の終端部及び二重ねじ山を有する蓋キャップ
EP1316507A2 (en) * 2001-11-28 2003-06-04 Owens-Illinois Closure Inc. Tamper-indicating closure and container with drain ele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0344527Y1 (ko) 2003-11-15 2004-03-11 김정배 프라스틱 소제구
KR20080043691A (ko) * 2006-11-14 2008-05-19 크래프트 후우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나선 가공된 용기 및 뚜껑의 가청 밀폐 특징부
JP2013177200A (ja) * 2012-02-03 2013-09-09 Toppan Printing Co Ltd 注出口栓および包装容器
KR20150098502A (ko) * 2014-02-20 2015-08-28 최동안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
KR20170003058U (ko) * 2016-02-23 2017-08-31 임상철 용기의 뚜껑 결합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3944A (ja) * 1996-01-30 2000-04-04 クロウン・コルク・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容器の終端部及び二重ねじ山を有する蓋キャップ
EP1316507A2 (en) * 2001-11-28 2003-06-04 Owens-Illinois Closure Inc. Tamper-indicating closure and container with drain elem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070181525A1 (en) * 2001-11-28 2007-08-09 Gregory James L Tamper-indicating closure, container, package,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200344527Y1 (ko) 2003-11-15 2004-03-11 김정배 프라스틱 소제구
KR20080043691A (ko) * 2006-11-14 2008-05-19 크래프트 후우즈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나선 가공된 용기 및 뚜껑의 가청 밀폐 특징부
JP2013177200A (ja) * 2012-02-03 2013-09-09 Toppan Printing Co Ltd 注出口栓および包装容器
KR20150098502A (ko) * 2014-02-20 2015-08-28 최동안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
KR20170003058U (ko) * 2016-02-23 2017-08-31 임상철 용기의 뚜껑 결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47013A (en) Diaphragm for water closets
KR101922921B1 (ko) 소제구의 결합구조
KR100892620B1 (ko) 오수받이
KR200453608Y1 (ko) 너트 일체형 배수관
WO2016185375A1 (en) Sink drain with integrated trap and removable lower cover
KR101963685B1 (ko) 소켓 일체형 소제구
WO2014000406A1 (zh) 台盆的安装结构
KR102253102B1 (ko) 횡주관 소제구
US5144699A (en) Plumbing drainage system
US7472435B2 (en) P-trap drainage device
JP2006207371A (ja) 排水管掃除装置
KR101827385B1 (ko) 절수형 양변기용 관 연결 조립체
KR101633706B1 (ko) 역체크 밸브를 구비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 마개
KR200457653Y1 (ko) 레두샤
KR20180044511A (ko) 양변기의 트랩과 플랜지의 결합구조
KR101208089B1 (ko) 배수트랩의 결합구조
KR20160003178U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CN212129406U (zh) 一种易清洁的侧排水地漏
CN210459420U (zh) 一种下去水器与下水管的连接结构
KR102418523B1 (ko) 싱크대용 배수호스 연결구
CN208830423U (zh) 一种防臭易清洁排水管
KR102619605B1 (ko) 트랩배관용 연장형 체결어댑터
KR200401683Y1 (ko) 악취 유입 방지용 배수관
KR20120003035U (ko) 파이프 이음관
CN201416191Y (zh) 一种与地漏相连接的多功能排水管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