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450B1 -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450B1
KR101963450B1 KR1020190019908A KR20190019908A KR101963450B1 KR 101963450 B1 KR101963450 B1 KR 101963450B1 KR 1020190019908 A KR1020190019908 A KR 1020190019908A KR 20190019908 A KR20190019908 A KR 20190019908A KR 101963450 B1 KR101963450 B1 KR 101963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cket
support plate
whee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평식
Original Assignee
문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평식 filed Critical 문평식
Priority to KR1020190019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vehicle inclination or change of direction, e.g. negotiating bends
    • B60T8/245Longitudinal vehicle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6Hill holder; Start aid systems on inclined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구멍이 형성된 수평브래킷과, 상기 수평브래킷의 선단에 수직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브래킷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장착용 브래킷부재;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직브래킷의 일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가 구비된 고정부재; 차량의 바퀴 저면에 끼워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팀판본체와, 상기 버팀판본체가 상기 고정봉에 결합되도록 상기 버팀판본체의 일측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버팀부재;를 마련하여 차량의 앞바퀴와 뒷바퀴에 각각 버팀부재를 설치하여 차량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고, 경사로에 주차 또는 정차 시 차량의 바퀴를 고정시키기 버팀목을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버팀부재가 차량의 앞바퀴 및 뒷바퀴에 각각 설치됨에 따라 경사로의 주정차 시 차량의 주차 방향에 관계없이 차량의 밀림 및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Vehicle parking stop devices}
본 발명은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을 경사로 등에 주차 또는 정차 시 차량의 브레이크에 제동이 해제 또는 차량의 중량에 의해 차량이 밀리게 되는 경우 차량의 주차 또는 정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동장치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중요한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대기 속으로 방출시켜 제동작용을 하는 마찰식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제동장치는 주행할 때 주로 사용하는 주 브레이크(Foot Brake)와 자동차를 주차할 때 사용하는 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가 있으며, 주차브레이크는 보통 손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핸드 브레이크와 발로 조작하는 풋 브레이크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주차 브레이크는 정지상태의 차량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장치로서 핸드 브레이크 또는 사이드(Side) 브레이크라고 하며, 운전석 옆에 구비된 레버를 당기면 이 레버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에 의해 뒤 브레이크 슈 레버가 움직여 라이닝이 드럼에 밀착되므로 제동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자동 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경사로에서 일시 정차 후 하차 또는 주차 후 하차 시 변속 레버를 주차(P)로 절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는 변속기와 출력축이 잠금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주차 제동력의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사고의 위험이 따르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도로 여건 상 불가피하게 이중 주차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운전자는 차량의 변속레버를 중립(N)단으로 위치시키고 주차를 하게 된다.
여기서 노면이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로인 경우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변속 레버를 주차(P)가 아닌 중립(N)에 놓고 하차하였을 경우 상기 차량이 경사로를 따라 구르게 되어 예기치 않은 인명 피해 또는 물리적 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한편 낮은 경사를 갖는 경사로인 경우, 운전자가 차량이 완전히 정지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하차하였더라도 운전자의 하차 후 또는 타인이 정지 중인 차량을 밀어내는 경우, 미비한 각도를 갖는 경사로임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짧은 거리를 움직임과 동시에 진행 방향에 관성이 부가되어 의도치 않게 구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차량의 경사로 판단에 대한 방지 하드웨어 및 로직이 없기 때문에 경사로 상에서도 중립단으로 변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각종 안전 사고에 노출되어 있다.
차량을 경사면에 주차하게 되면 차량에는 자체 무게와 중력 등과 같은 힘이 차량에 가해져 주차 브레이크를 압박하게 되며, 차량에 가해지는 힘이 클 경우에는 차량이 경사면을 따라 구르게 되는 데 이를 막기 위해 경사면에 차량을 주차시킬 경우에 버팀목이나 돌 등을 사용하여 바퀴를 고정시킴으로써 브레이크의 소손 및 차량이 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경사면에 차량을 주차시킬 경우마다 버팀목이나 돌 등을 이용하여 바퀴를 고이는 일은 번거롭고 주위에 항상 바퀴를 고일 만한 물건이 존재하지 않아 그 고이는 작업이 불편하므로 대부분의 운전자는 주차 브레이크만을 사용하여 주차를 시킴으로 인해 브레이크의 수명이 단축되며, 심할 경우에는 차량이 경사면을 따라 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주차용 버팀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주차용 버팀목 장치는 차량의 바퀴 내측 차량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실린더가 구비된 함체, 상기 함체와 연결되며 주차 브레이크 작동 시 상기 함체를 하강되도록 하는 승하강수단, 일측 단부가 상기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에 힌지 결합되고, 중앙부위가 상기 함체에 힌지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의 후진에 의해 차량의 바퀴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회동되는 한쌍의 회동로드, 각각의 상기 회동로드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며 차량의 바퀴 전방 및 후방을 고이도록 하는 버팀목을 포함한다.
상기 버팀목은 바닥에 지지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고정판과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회동되어 차량의 바퀴와 접하여 차량의 바퀴의 회전을 제한하는 경사판과, 상단부가 상기 경사판과 힌지 결합되고, 펼쳐져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상기 경사판이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경사판이 상기 고정판과 접하도록 중앙부위가 접철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의 일측을 밀도록 하여 상기 지지로드가 펼쳐지거나 상기 지지로드의 일측을 당겨지도록 하여 상기 지지로드가 접철되도록 하는 지지로드 접철수단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자동차 바퀴 미끄럼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자동차 바퀴 미끄럼 방지장치는 휠볼트가 관통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볼트홀이 형성되며, 휠볼트를 상기 볼트홀을 통과시켜 바퀴 휠과 결합하면 바퀴 휠의 허브 부분에 고정되는 고정부, 일단이 상기 고정부의 가장자리와 결합하여 바퀴의 가장자리를 향해 직선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부로서, 상기 가이드부는 다수 개가 바퀴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뻗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마다 하나씩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바퀴 축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이 가능한 다수 개의 슬라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드부 중 바퀴 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말단부에 구비되는 힌지부, 상기 슬라이드부와 일대일로 결합하되 한쪽 말단이 상기 힌지부와 힌지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뻗거나 상기 슬라이드부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힌지 운동하여 타이어의 트레드와 접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마찰부재, 상기 슬라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부를 바퀴 축 방향으로 당기거나 바퀴 가장자리 방향으로 빠져나오게 하기 위한 슬라이드부 인입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마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슬라이드부에 대해 꺾이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마찰부재 각도조절수단 및 상기 슬라이드부 인입출수단 및 상기 마찰부재 각도조절수단과 연결되어 차량 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 인입출수단 및 상기 마찰부재 각도조절수단을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구비한다.
상기 마찰부재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힌지부 구동모터와, 상기 힌지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각도조절용 와이어 감개와, 한쪽 말단은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가이드부와 고정 결합하고 다른 한쪽 말단은 상기 각도조절용 와이어 감개와 고정 결합하는 각도조절용 와이어로서, 상기 각도조절용 와이어의 중간 부분이 상기 힌지부 둘레를 감싸며 밀착되어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 및 상기 각도조절용 와이어 감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용 와이어 중 상기 힌지부에 감긴 부분이 이동함으로 써 상기 힌지부를 펴지게 하거나 접혀지게 하도록 설치된 각도조절용 와이어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111048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96190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2304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이 경사로 등에 주차 또는 정차된 상태에서 차량의 바퀴 저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 또는 전후진을 방지하는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바퀴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의 밀림 등에 의해 차량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고정구멍이 형성된 수평브래킷과, 상기 수평브래킷의 선단에 수직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브래킷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장착용 브래킷부재;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직브래킷의 일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가 구비된 고정부재; 차량의 바퀴 저면에 끼워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팀판본체와, 상기 버팀판본체가 상기 고정봉에 결합되도록 상기 버팀판본체의 일측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버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고정구멍이 형성된 수평브래킷과, 상기 수평브래킷의 선단에 수직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브래킷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장착용 브래킷부재;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직브래킷의 일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가 구비된 고정부재; 차량의 바퀴 저면에 끼워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팀판본체와, 상기 버팀판본체가 상기 고정봉에 결합되도록 상기 버팀판본체의 일측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버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버팀부재가 바퀴의 저면으로 연장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버팀판본체에 설치되는 연장버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고정구멍이 형성된 수평브래킷과, 상기 수평브래킷의 선단에 수직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브래킷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장착용 브래킷부재;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수직브래킷의 일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가 구비된 고정부재; 차량의 바퀴 저면에 끼워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팀판본체와, 상기 버팀판본체가 상기 고정봉에 결합되도록 상기 버팀판본체의 일측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버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버팀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봉의 일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팀부재는 차량의 앞바퀴에 설치되는 전방버팀부재 및 차량의 뒷바퀴에 설치되는 후방버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버팀부재는 앞바퀴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프론트 펜더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버팀부재는 뒷바퀴의 정회전을 방지하도록 리어 펜더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팀부재는 차량의 중량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앞바퀴와 뒷바퀴에 각각 버팀부재를 설치하여 차량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고, 경사로에 주차 또는 정차 시 차량의 바퀴를 고정시키기 위해 버팀목을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버팀부재가 차량의 앞바퀴 및 뒷바퀴에 각각 설치됨에 따라 경사로의 주정차 시 차량의 주차 방향에 관계없이 차량의 밀림 및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고정구멍(12)이 형성된 수평브래킷(11)과, 상기 수평브래킷(11)의 선단에 수직브래킷(1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브래킷(13)에 결합구멍(14)이 형성된 장착용 브래킷부재(10),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22)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21)과, 상기 고정봉(21)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23)과, 상기 수직브래킷(13)의 일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24)가 구비된 고정부재(20), 차량의 바퀴 저면에 끼워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팀판본체(41)와, 상기 버팀판본체(41)가 상기 고정봉(21)에 결합되도록 상기 버팀판본체(41)의 일측에 결합구멍(33)이 형성된 버팀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경사로 등에 차량을 주차 또는 정차 시 차량이 밀리거나 이동되지 않게 안전하게 주·정차를 유지시켜 차량의 이동에 따른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차량에 설치되도록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래킷부재(10)와, 상기 브래킷부재(10)의 하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20)와 차량의 바퀴 저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 회전을 방지하도록 고정부재(20)에 설치되는 버팀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래킷부재(10)의 차량의 펜더에 설치되도록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래킷부재(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수평브래킷(11)과 상기 수평브래킷(11)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브래킷(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브래킷(11)에는 차량의 펜더에 설치되도록 고정구멍(12)이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구멍(12)은 브래킷부재(10)가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수직브래킷(13)에는 고정부재(20)가 관통되게 설치되도록 결합구멍(14)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구멍(14)은 수직브래킷(13)의 하단에서부터 소정 높이까지 슬롯(15, 도 8 참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브래킷(13)에는 버팀부재(30)의 회전이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지면서 버팀부재(30)가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세레이션부(1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브래킷(13) 및 상기 수직브래킷(13)과 맞닿는 버팀부재(30)에는 각각 세레이션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버팀부재(30)가 브래킷부재(10)에 설치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2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고정봉(21)과 상기 고정봉(21)에 설치되는 스프링(23), 상기 고정봉(21)의 선단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24)와 고정볼트(25)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봉(21)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21)의 일측에는 스프링(2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스프링(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걸림턱(22)이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봉(21)의 타측은 수직브래킷(13)의 결합구멍(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고정봉(21)의 외측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23)이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23)은 걸림턱(22)이 수직프레임(13)에 직접 접촉되지 않게 하여 고정브래킷(10)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봉(21)의 타측에는 간격유지구(24)와 고정볼트(25)가 설치되는데, 상기 간격유지구(24)는 수직프레임(13)과 버팀판본체(3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트(25)는 버팀판본체(31)와 맞닿게 체결된다.
한편 상기 간격유지구(24)는 고정봉(21)과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버팀부재(30)가 회전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세레이션 형태로 결합된다.
즉, 상기 고정봉(21)과 간격유지구(24)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게 결합되며, 상기 버팀부재(30)의 미사용 시 상기 버팀부재(3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볼트(25)는 버팀부재(30)의 일면에 접하게 고정봉(21)에 체결되며, 상기 버팀부재(30)는 고정볼트(25)에 의해 고정봉(21)에 고정된다.
상기 버팀부재(30)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버팀판본체(31)와, 상기 버팀판본체(31)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타이어인입구멍(32)과 상기 고정봉(21)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결합구멍(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팀판본체(31)는 차량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차량의 중량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버팀판본체(31)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바퀴와 접촉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타이어인입구멍(32)이 형성된다. 상기 타이어인입구멍(32)에는 자성체(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는 버팀부재(30)가 펜더(3, 5)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버팀부재(30)를 차체(1)에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 버팀판본체(31)의 상부에는 고정봉(21)에 끼워지도록 결합구멍(33)이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브래킷부재(10)의 결합구멍(14)에 고정봉(21)을 끼워 결합하게 된다.
이때 고정봉(21)에는 스프링(23)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봉(21)에는 세레이션 결합으로 간격유지구(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간격유지구(24)의 일면에 버팀판본체(31)가 밀착되게 설치된다.
즉, 수직프레임(13), 간격유지구(24), 버팀판본체(31)가 고정봉(21)에 순서대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봉(21)의 선단에는 고정볼트(25)를 체결함으로써 이들 간격유지구(24), 버팀판본체(31)가 이동되지 않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봉(21)은 수직브래킷(13)의 결합구멍(1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와 같은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차량의 앞바퀴 및 뒷바퀴에 각각 설치되도록 전방버팀부재(30a)와 후방버팀부재(30b)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버팀부재(30a)는 차량의 앞바퀴 측에 설치되고, 상기 후방버팀부재(30b)는 차량의 뒷바퀴 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전방버팀부재(30a)가 설치된 브래킷부재(10)는 프론트 펜더(3)의 후방 측에 설치되고, 후방버팀부재(30b)가 설치된 브래킷부재(10)는 리어 펜더(5)의 전방 측에 설치된다.
이는 경사로에 주차된 차량이 밀려 이동하게 되면, 차량의 주차 상태에 따라 앞바퀴(2)가 전방버팀부재(30a)에 걸려 정지되거나 뒷바퀴(4)가 후방버팀부재(30a)에 걸려 정지된다.
즉, 차량이 전진하게 되면, 도 5의 도면상 차량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뒷바퀴(4)가 후방버팀부재(30b)의 상면으로 이동되어 후방버팀부재(30b)를 누르게 된다.
이와 달리 차량이 후진하게 되면, 도5의 도면상 차량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앞바퀴(2)가 전방버팀부재(30a)의 상면으로 이동되어 전방버팀부재(30a)를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앞바퀴(2) 또는 뒷바퀴(4) 중 어느 하나는 버팀부재(30)를 누르게 되고, 이에 바퀴(2, 4)의 회전이 정지되어 차량의 이동을 제한시키게 된다.
한편 운전자는 차량을 운행하기 위하여 앞바퀴(2) 및 뒷바퀴(4)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버팀부재(30)를 이탈시킴으로써 차량을 운행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고정구멍(12)이 형성된 수평브래킷(11)과, 상기 수평브래킷(11)의 선단에 수직브래킷(1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브래킷(13)에 결합구멍(14)이 형성된 장착용 브래킷부재(10),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22)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21)과, 상기 고정봉(21)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23)과, 상기 수직브래킷(13)의 일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24)가 구비된 고정부재(20), 차량의 바퀴 저면에 끼워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팀판본체(41)와, 상기 버팀판본체(41)가 상기 고정봉(21)에 결합되도록 상기 버팀판본체(41)의 일측에 결합구멍(33)이 형성된 버팀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버팀부재(30)가 바퀴의 저면으로 연장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버팀판본체(31)에 설치되는 연장버팀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래킷(10), 고정부재(20) 및 버팀부재(3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버팀부재(3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연장버팀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버팀부재(40)는 버팀판본체(31)와 같은 동일한 폭과 원호 형상으로 연장버팀판(41)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버팀판(41)에는 버팀판(31)과의 연결에 의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구멍(42)이 형성된다.
또 상기 연장버팀판(41)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타이어인입구멍(43)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버팀판(41)을 버팀판(31)에 연결시키는 체결부재(44)가 구비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차량의 주차 또는 정차 시 차량을 보다 안전하게 주차 또는 정차시키기 위하여 바퀴(2, 4)의 저면에 버팀판(31)을 설치하게 된다.
즉, 운전자는 프론트 펜더(3)와 리어 펜더(4)에 설치되어 있는 버팀부재(30)의 버팀판(31)을 회전시켜 버팀판(31)을 바퀴(2, 4)와 지면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버팀판(31)의 설치 시 경사가 심한 도로인 경우, 운전자는 버팀판(31)에 연결된 연장버팀판(41)을 슬라이딩시켜 버팀판(31)의 길이를 신장시키며, 경사가 낮은 도로인 경우 연장버팀판(41)을 슬라이딩시켜 버팀판(31)의 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조절하게 된다.
이는 바퀴(2, 4)가 버팀판(31) 및 연장버팀판(41)과의 접촉되는 길이를 늘려주게 되어 차량의 밀림으로 인한 이동 시 바퀴(2, 4)가 곧바로 연장버팀판(41)과 버팀판(31)에 접촉되어 차량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고정구멍(12)이 형성된 수평브래킷(11)과, 상기 수평브래킷(11)의 선단에 수직브래킷(1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브래킷(13)에 결합구멍(14)이 형성된 장착용 브래킷부재(10),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22)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21)과, 상기 고정봉(21)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23)과, 상기 수직브래킷(13)의 일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24)가 구비된 고정부재(20), 차량의 바퀴 저면에 끼워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팀판본체(41)와, 상기 버팀판본체(41)가 상기 고정봉(21)에 결합되도록 상기 버팀판본체(41)의 일측에 결합구멍(33)이 형성된 버팀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버팀부재(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봉(21)의 일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래킷(10), 고정부재(20) 및 버팀부재(3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는 고정부재(20)에 구동모터(50)를 설치하여 상기 버팀부재(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50)는 고정봉(21)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50)는 수평브래킷(11)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모터(5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온/오프 되어 버팀부재(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동모터(50)는 차량의 시동 시 버팀부재(30)가 펜더(3, 5)의 내측으로 상승되도록 회전되고, 차량의 시동이 꺼지게 되면 버팀부재(30)가 펜더(3, 5)의 하측으로 하강되도록 회전된다.
이와 같이 버팀부재(30)는 구동모터(50)에 의해 차량의 시동과 함께 해제되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구동모터(50)에 의해 자동으로 펜더(3, 5)의 하측으로 하강되어 바퀴(2, 4)의 이동을 제한시킴으로써, 차량이 밀리거나 이동되지 않게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제4 실시 예>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제3 실시 예에 더하여, 버팀부재(30)가 브래킷부재(10)로부터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버팀부재(30)가 브래킷부재(10)의 내부로 자동 인입되도록 구현하고,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버팀부재(30)가 브래킷부재(10)로부터 자동 인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브래킷부재(10) 내부에 피니언 기어(도시 생략됨)를 구비하고, 버팀부재(30)를 랙 기어(도시 생략됨)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랙 기어는 브래킷부재(10)로부터의 원활한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해 플렉스블(flexible)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피니언 기어는 구동모터(5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브래킷부재 11: 수평브래킷
12: 고정구멍 13: 수직브래킷
14: 결합구멍 16: 세레이션부
20: 고정부재 21: 고정봉
22: 걸림턱 23: 스프링
24: 간격유지구 25: 고정볼트
30: 버팀부재 30a: 전방버팀부재
30b: 후방버팀부재 31: 버팀판본체
32: 타이어인입구멍 33: 결합구멍
40: 연장버팀부재 41: 연장버팀판
42: 슬라이드구멍 43: 타이어인입구멍
44: 체결부재
50: 구동모터

Claims (5)

  1. 고정구멍(12)이 형성된 수평브래킷(11)과, 상기 수평브래킷(11)의 선단에 수직브래킷(1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브래킷(13)에 결합구멍(14)이 형성된 장착용 브래킷부재(10);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22)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21)과, 상기 고정봉(21)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23)과, 상기 수직브래킷(13)의 일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24)가 구비된 고정부재(20);
    차량의 바퀴 저면에 끼워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팀판본체(41)와, 상기 버팀판본체(41)가 상기 고정봉(21)에 결합되도록 상기 버팀판본체(41)의 일측에 결합구멍(33)이 형성된 버팀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
  2. 고정구멍(12)이 형성된 수평브래킷(11)과, 상기 수평브래킷(11)의 선단에 수직브래킷(1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브래킷(13)에 결합구멍(14)이 형성된 장착용 브래킷부재(10);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22)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21)과, 상기 고정봉(21)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23)과, 상기 수직브래킷(13)의 일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24)가 구비된 고정부재(20);
    차량의 바퀴 저면에 끼워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팀판본체(41)와, 상기 버팀판본체(41)가 상기 고정봉(21)에 결합되도록 상기 버팀판본체(41)의 일측에 결합구멍(33)이 형성된 버팀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버팀부재(30)가 바퀴의 저면으로 연장되어 끼워지도록 상기 버팀판본체(41)에 설치되는 연장버팀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
  3. 고정구멍(12)이 형성된 수평브래킷(11)과, 상기 수평브래킷(11)의 선단에 수직브래킷(1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브래킷(13)에 결합구멍(14)이 형성된 장착용 브래킷부재(10);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22)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봉(21)과, 상기 고정봉(21)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23)과, 상기 수직브래킷(13)의 일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24)가 구비된 고정부재(20);
    차량의 바퀴 저면에 끼워지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버팀판본체(41)와, 상기 버팀판본체(41)가 상기 고정봉(21)에 결합되도록 상기 버팀판본체(41)의 일측에 결합구멍(33)이 형성된 버팀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버팀부재(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봉(21)의 일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
  4. 제1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재(30)는 차량의 앞바퀴(2)에 설치되는 전방버팀부재(30a) 및 차량의 뒷바퀴(4)에 설치되는 후방버팀부재(3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버팀부재(30a)는 앞바퀴(2)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프론트 펜더(3)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버팀부재(30b)는 뒷바퀴(4)의 정회전을 방지하도록 리어 펜더(5)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재(30)는 차량의 중량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
KR1020190019908A 2019-02-20 2019-02-20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 KR101963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908A KR101963450B1 (ko) 2019-02-20 2019-02-20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908A KR101963450B1 (ko) 2019-02-20 2019-02-20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450B1 true KR101963450B1 (ko) 2019-07-31

Family

ID=6747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908A KR101963450B1 (ko) 2019-02-20 2019-02-20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45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293A (ko) * 1987-06-04 1989-03-13 김영태 자동차의 비상정지시 밀림방지장치
KR19980084336A (ko) * 1997-05-22 1998-12-05 김영귀 주차시 자동차 타이어 고임장치
KR20090016122A (ko) * 2007-08-10 2009-02-13 박정근 차량용 제동장치
KR101423041B1 (ko) 2013-03-28 2014-07-25 손양달 자동차바퀴 부착용 미끄럼방지장치
KR101896190B1 (ko) 2017-08-30 2018-09-07 이문수 자동차 바퀴 미끄럼 방지장치
KR20180111048A (ko) 2017-03-31 2018-10-11 (주) 네스코 주차용 버팀목 장치
KR20180135192A (ko) * 2017-06-12 2018-12-20 함효민 자동 장착 자동차 고임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293A (ko) * 1987-06-04 1989-03-13 김영태 자동차의 비상정지시 밀림방지장치
KR19980084336A (ko) * 1997-05-22 1998-12-05 김영귀 주차시 자동차 타이어 고임장치
KR20090016122A (ko) * 2007-08-10 2009-02-13 박정근 차량용 제동장치
KR101423041B1 (ko) 2013-03-28 2014-07-25 손양달 자동차바퀴 부착용 미끄럼방지장치
KR20180111048A (ko) 2017-03-31 2018-10-11 (주) 네스코 주차용 버팀목 장치
KR20180135192A (ko) * 2017-06-12 2018-12-20 함효민 자동 장착 자동차 고임목
KR101896190B1 (ko) 2017-08-30 2018-09-07 이문수 자동차 바퀴 미끄럼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9991B1 (en) Restraining arms for wheel chocks
US4793763A (en) Towing apparatus with front stop
EP0272801A1 (en) Vehicle immobilising device
CN109249865B (zh) 安装于车辆上的自行车支架
US2973209A (en) Safety means to eliminate overturning of tractors and like motivated vehicles
US10843617B2 (en) Carriage for moving a wheeled object
US4600352A (en) Spare tire handling mechanism
US20100207355A1 (en) Lifting device for tow car
US11827501B2 (en) Forklift
KR20100134988A (ko) 2륜차의 안전 주행 보조용의 보조 바퀴를 구비한 자동 모터 구동 스탠드 장치
EP0802105B1 (en) An adjustable steering wheel,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KR100751773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US7954829B2 (en) Retractable wheel assembly for a jackstand
JP2013221274A (ja) 車両強制停止装置
KR101963450B1 (ko) 차량의 주정차 버팀장치
US20090016836A1 (en) Retractable wheelchair anchor
KR101982866B1 (ko)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
JP2005008043A (ja) タイヤ着脱作業台車
KR200185117Y1 (ko) 차량의 경사지 주차용 미끄럼 방지장치
US9216682B2 (en) Vehicle towing and recovery system
AU2011101598A4 (en) A pivoting panel assembly
US20220297641A1 (en) Stabilizing jack
JPH04504835A (ja) 補助ブレーキ機構を備えるリトラクタ
US20150298638A1 (en) Restraint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FI121417B (fi) Laite ajoneuvoyhdistelmän linkkuunmenon estämisek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