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630B1 -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및 그 자동화 방법 - Google Patents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및 그 자동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630B1
KR101962630B1 KR1020160052627A KR20160052627A KR101962630B1 KR 101962630 B1 KR101962630 B1 KR 101962630B1 KR 1020160052627 A KR1020160052627 A KR 1020160052627A KR 20160052627 A KR20160052627 A KR 20160052627A KR 101962630 B1 KR101962630 B1 KR 101962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
banknote
belt
denomin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423A (ko
Inventor
양승원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첫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첫눈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63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4Managing the stock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4Managing the stock of valuable papers
    • G07D11/245Replenish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및 그 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는 출금 예정인 제1 권종의 지폐와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스택; 입금되는 제1 권종의 지폐와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예비 스택; 및 상기 스택의 제1 권종의 지폐와 제2 권종의 지폐가 모두 출금되면, 상기 예비 스택이 상기 스택을 대체하도록 제어하는 스택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및 그 자동화 방법{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EXTRA STACK AND AUTOMATE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및 그 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에서는 물론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정부기관, 공공장소등에도 설치되며, 고객이 자신의 현금카드나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현금을 자유롭게 입출금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에게 편리한 금융서비스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는 금융 서비스 사용자가 입금하는 지폐를 별도의 탱크(120)에 적재하여 보관하고, 각 권종 별로 각 1개의 스택(Stack: 110)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출금할 지폐를 저장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서비스 사용자의 출금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출금 요청에 따라 상기 스택(110) 상의 지폐를 불출하여 사용자에게 지폐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는 사용자의 출금 요청에 의해 스택의 지폐가 모두 출금되어 빈 스택(empty stack)이 되면, 더 이상 현금 출금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추가로 인력이 투입되어야만 정상적인 현금 지급 서비스가 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출금 요청에 의해 스택의 지폐가 모두 출금되어 빈 스택(empty stack)이 되는 경우, 예비 스택이 상기 스택의 지폐를 대체하도록 하여, 스택(stack)의 리필(refill) 기간(term)이 길어지도록 하여 인력의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비 스택(지폐 카트리지 트레이)의 개수를 조절함에 따라, 원하는 기간만큼의 무인 운영 기간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는 출금 예정인 제1 권종의 지폐와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스택; 입금되는 제1 권종의 지폐와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예비 스택; 및 상기 스택의 제1 권종의 지폐 또는 제2 권종의 지폐가 모두 출금되면, 상기 예비 스택이 상기 스택을 대체하도록 제어하는 스택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택 및 상기 예비 스택은 상기 제1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제1 레인과, 상기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제2 레인을 포함하는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에 형성되는 벨트 홈; 상기 벨트 홈과 각각 맞물리는 내측 벨트와 외측 벨트;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외측 벨트에 전달하여, 상기 구동력이 상기 외측 벨트와 맞물리는 상기 벨트 홈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구동 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는, 각각 상기 벨트 홈이 형성되어, 상기 벨트 홈과 각각 맞물리는 상기 내측 벨트와 상기 외측 벨트의 이동에 의해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벨트 홈은 상기 내측 벨트와 상기 외측 벨트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예비 스택에 해당하는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는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 중에서 가장 후순위의 출금 예정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자동화 방법은, 입금되는 제1 권종의 지폐와 제2 권종의 지폐가 예비 스택에 수납되는 제1 단계; 및 스택 제어부가 상기 스택의 제1 권종의 지폐 또는 제2 권종의 지폐가 모두 출금되면, 상기 예비 스택이 상기 스택을 대체하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출금 예정인 상기 제1 권종의 지폐와 제2 권종의 지폐가 스택에 수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출금 요청에 의해 스택의 지폐가 모두 출금되어 빈 스택(empty stack)이 되면, 예비 스택이 상기 스택의 지폐를 대체하여, 스택(stack)의 리필(refill) 기간이 길어지도록 하여 인력의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비 스택(지폐 카트리지 트레이)의 개수를 조절함에 따라, 원하는 기간 만큼의 무인 운영 기간을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현금자동입출금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자동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의 개념도이다.
이후부터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는 스택(310), 예비 스택(320) 및 스택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스택(Stack: 310)은 현금자동입출금기 사용자의 출금 요청 시에 출금되는 지폐가 수납되는 곳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택(310)에는 출금 예정인 제1 권종의 지폐와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택(310)에는 제1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제1 레인과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제2 레인이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권종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택(310)의 제1 레인에는 1 만원권이 수납될 수 있으며, 제2 레인에는 5 만원권이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비 스택(320)은 현금자동입출금기 사용자가 입금한 지폐가 수납되는 곳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예비 스택(320)에는 입금되는 제1 권종의 지폐와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예비 스택(320)에는 제1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제1 레인과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제2 레인이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권종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비 스택(320)의 제1 레인에는 1 만원권이 수납될 수 있으며, 제2 레인에는 5 만원권이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출금 요청에 의해 상기 스택(310)의 제1 권종의 지폐 또는 제2 권종의 지폐가 모두 출금되면, 상기 예비 스택(320)이 상기 스택(310)을 대체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금자동입출금기의 사용자로부터 입금되는 지폐를 예비 스택(320)에 수납하여 대기하고, 스택(310)에 있던 지폐가 출금되어 빈(empty) 상태가 되면, 상기 예비 스택(320)을 이용하여 상기 스택(310)을 대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택 제어부(330)가 상기 스택(310)의 제1 권종의 지폐 또는 제2 권종의 지폐가 모두 출금되면, 상기 예비 스택(320)이 상기 스택(310)을 대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빈(empty) 스택(310)을 예비 스택(320)으로 교체하면, 스택(stack)의 리필(refill) 기간(term)이 길어져 인력의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예비 스택(320)의 개수를 조절하여 원하는 기간만큼의 무인 운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는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401), 구동부(410), 구동 체인(409), 벨트 홈(411), 내측 벨트(407), 내측 벨트 구동용 기어(405), 외측 벨트(406), 및 외측 벨트 구동용 기어(4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택 또는 예비 스택이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401)로 구성되며,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401)에는 제1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제1 레인(402)과,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제2 레인(403)이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권종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1 레인(402)에는 1 만원권이 수납될 수 있으며, 제2 레인(403)에는 5 만원권이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다수의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401)에는 각각 벨트 홈(411)이 형성되어, 상기 벨트 홈(411)과 각각 맞물리는 내측 벨트(407)와 외측 벨트(406)의 이동에 의해 상기 다수의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401)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구동부(410)는 구동력을 제공하고, 구동 체인(409)은 상기 구동부(410)의 구동력을 외측 벨트(406)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410)의 구동력이 상기 외측 벨트(406)와 맞물리는 벨트 홈(411)에 전달되어,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401)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 홈(411)은 내측 벨트 구동용 기어(405)에 의해 회전하는 내측 벨트(407)와, 외측 벨트 구동용 기어(404)에 의해 회전하는 외측 벨트(406)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401)가 이동되며,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401)의 이동시에는 구동부(410)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구동 체인(409)의 저속회전에 의해 내측 벨트(407)와 외측 벨트(406)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40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며, 우측의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401)의 지폐가 모두 소진되면, 좌측의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출금 요청에 의해 스택에 해당하는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410)의 제1 권종의 지폐 또는 제2 권종의 지폐가 모두 출금되면, 예비 스택에 해당하는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가 상기 스택에 해당하는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를 대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예비 스택에 해당하는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가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 중에서 가장 후순위의 출금 예정인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출금 요청에 의해 스택의 지폐가 출금되어 빈 스택(empty stack)이 되면, 예비 스택이 상기 스택의 지폐를 대체하여, 스택(stack)의 리필(refill) 기간(term)이 길어지도록 하여 인력의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비 스택의 개수를 조절하여 원하는 기간만큼의 무인 운영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10: 스택(stack)
320: 예비 스택
330: 스택 제어부
401: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
402: 제1 레인
403: 제2 레인
404: 외측 벨트 구동용 기어
405: 내특 벨트 구동용 기어
406: 외측 벨트
407: 내측 벨트
409: 구동 체인
410: 구동부
411: 벨트 홈

Claims (8)

  1. 출금 예정인 제1 권종의 지폐와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스택;
    입금되는 제1 권종의 지폐와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예비 스택;
    상기 스택의 제1 권종의 지폐 또는 제2 권종의 지폐가 모두 출금되면, 상기 예비 스택이 상기 스택을 대체하도록 제어하는 스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택 및 상기 예비 스택은 상기 제1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제1 레인과, 상기 제2 권종의 지폐가 수납되는 제2 레인을 포함하는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로 구성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에 형성되는 벨트 홈;
    상기 벨트 홈과 각각 맞물리는 내측 벨트와 외측 벨트;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외측 벨트에 전달하여, 상기 구동력이 상기 외측 벨트와 맞물리는 상기 벨트 홈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구동 체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 홈은,
    상기 내측 벨트와 상기 외측 벨트의 사이에 결합되는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는,
    각각 상기 벨트 홈이 형성되어, 상기 벨트 홈과 각각 맞물리는 상기 내측 벨트와 상기 외측 벨트의 이동에 의해 동시에 이동하는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비 스택에 해당하는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는,
    상기 지폐 카트리지 트레이 중에서 가장 후순위의 출금 예정인 위치에 배치되는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7. 삭제
  8. 삭제
KR1020160052627A 2016-04-29 2016-04-29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및 그 자동화 방법 KR101962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627A KR101962630B1 (ko) 2016-04-29 2016-04-29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및 그 자동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627A KR101962630B1 (ko) 2016-04-29 2016-04-29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및 그 자동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23A KR20170123423A (ko) 2017-11-08
KR101962630B1 true KR101962630B1 (ko) 2019-03-29

Family

ID=6038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627A KR101962630B1 (ko) 2016-04-29 2016-04-29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및 그 자동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6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4117A (ja) * 2010-09-17 2012-03-29 Glory Ltd 貨幣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4055A (ja) * 1989-02-14 1990-08-27 Fujitsu Ltd カートリッジ自動装填装置の棚取り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4117A (ja) * 2010-09-17 2012-03-29 Glory Ltd 貨幣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23A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50444B (zh) 存款纸币和/或取款纸币的纸币存取装置
CN1881268B (zh) 从现金交易机中提取现金的设备
US82404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positing and/or dispensing at least banknotes having a first denomination and banknotes having a second denomination
US8857598B2 (en) Paper sheet conveying device and automatic cash transaction device
CN103778709A (zh) 介质收纳送出装置和介质处理装置
KR20150136408A (ko) 경로전환장치,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 기기
CN101540076B (zh) 用于现金交易机的提款设备
KR200392317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JP6776134B2 (ja) 紙幣処理装置
JP2016218965A (ja) 紙幣取扱装置
KR10149565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사이클박스 운용방법
KR101962630B1 (ko) 예비 스택을 구비한 현금자동입출금기 및 그 자동화 방법
JP2003263682A (ja) 釣銭補充システムおよび釣銭補充方法
KR20130027711A (ko) 지폐처리장치 및 지폐처리방법
KR20160077780A (ko) 다권종 카세트장치
KR101099900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WO2016059824A1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6679940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RU2796001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кассовая машина (банкомат)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KR101310444B1 (ko) 지폐처리장치 및 지폐처리방법
JP7218617B2 (ja) 硬貨収納部、硬貨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085078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180010752A (ko) 금융 기기
JP6413389B2 (ja) 媒体処理装置
JP5184108B2 (ja) 紙幣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