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798B1 -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798B1
KR101960798B1 KR1020170067765A KR20170067765A KR101960798B1 KR 101960798 B1 KR101960798 B1 KR 101960798B1 KR 1020170067765 A KR1020170067765 A KR 1020170067765A KR 20170067765 A KR20170067765 A KR 20170067765A KR 101960798 B1 KR101960798 B1 KR 101960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safe
authentication
information
biometric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134A (ko
Inventor
한승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Priority to KR102017006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79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1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with alarm, signal or indicat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용자의 생체인증이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원격지에서도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한편 금고의 파손과 같은 금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biometic recognition safe system having IoT and its control methods}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의 생체인증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금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귀중품을 보관하는 각종 금고는 도어락 장치의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상의 열쇠를 이용한 개폐방식, 또는 다이얼이나 버튼 형식으로 구성된 숫자 입력 장치를 통해 미리 정해진 비밀번호를 선택하는 수동식 번호열쇠를 이용한 개폐방식과 같은 기계식 개폐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계식 개폐장치는 열쇠의 분실이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기계적 잠금장치가 마모될 경우에는 개폐동작이 불가능하거나 불안정해지고, 나아가 개폐장치의 잠금장치와 개폐수단(열쇠 또는 번호열쇠)이 합치될 때 발생되는 기계음으로 인하여 이를 감지한 제3 자가 무단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버튼식 키패드나 터치패널로 구성된 숫자 입력 장치에 비밀번호를 구성하는 숫자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전자번호 키, 지문이나 각막 등과 같은 생체 정보를 이용한 생체정보 키, 또는 이용자 인식카드(personal identification card, PIC) 등과 같은 전자식 개폐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개폐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폐장치 중 전자번호 키를 이용한 방식은 각종 센서나 리더기를 구비해야 하는 다른 방식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오작동이 일으킬 확률이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며, 이와 다른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개폐장치의 경우에도 키 분실이나 장치의 오작동과 같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전자번호 키 방식이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 활용성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또한, 전자번호 키를 포함하는 디지털 개폐장치와 함께 금고나 출입문 등에 채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음성, 지문, 홍채 등과 같은 생체정보를 이용하는 개폐장치는 키를 휴대하거나 번호를 기억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으나, 개폐장치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생체정보들이 유출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2764호(2005. 9. 7. 등록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용자의 생체인증이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은 금고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금고 유닛은 서버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인터넷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수집되는 이용자의 생체정보와 사전에 등록된 관리자의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생체인증모듈; 및 고유식별코드를 가지고 해당 고유식별코드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관리자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며 금고상태를 감시하며 이용자의 인증결과에 의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금고 도어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에 의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감시 및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에서, 상기 생체인증모듈은 금고 도어를 열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을 가지는 관리자의 암호화된 생체인증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 수집부; 및 상기 생체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이용자의 생체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관리자의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인증부를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에서, 상기 생체인증정보는 홍채, 지문, 음성, 손등 혈관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로서 각각의 관리자마다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생체정보로 구성되어, 이용자 인증시 이용자마다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생체정보에 대한 이용자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에서, 상기 생체인증정보가 2개 이상일 때의 이용자 인증은 제1의 생체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전에 정해진 비율 이상이 동일한 경우 인증 성공으로 판정하고, 사전에 정해진 비율 미만이 동일한 경우 제2의 생체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전에 정해진 비율 이상이 동일한 경우 인증 성공으로 판정하고 사전에 정해진 비율 미만이 동일한 경우 인증 실패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에서, 상기 생체인증정보는 그의 전부가 상기 금고 유닛 또는 상기 서버에 저장되거나, 2개로 분할되어 상기 금고 유닛과 상기 서버에 분산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에서, 상기 금고 유닛에 해당 금고 유닛을 포함하는 금고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시 및 개폐 제어부는 해당 금고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이용자의 인증이 사전에 정해진 횟수만큼 실패하였을 때, 해당 내용을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내용이 사전에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a) 금고 유닛이 금고의 관리모드가 이용자 인증 관리모드 또는 인터넷 관리모드로 설정되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b) 금고의 관리모드가 이용자 인증 모드시 상기 금고 유닛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이용자의 생체정보와 사전에 등록된 관리자의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금고의 관리모드가 인터넷 관리모드시 상기 금고 유닛이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접속을 확인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금고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이용자 인증 성공시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금고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제어신호 수신시 상기 금고 유닛(100)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생체인증정보는 홍채, 지문, 음성, 손등 혈관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로서 각각의 관리자마다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생체정보로 구성되어, 이용자 인증시 이용자마다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생체정보에 대한 이용자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생체인증정보는 그의 전부가 상기 금고 유닛 또는 서버에 저장되거나, 2개로 분할되어 상기 금고 유닛과 상기 서버에 분산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금고 유닛은 해당 금고 유닛을 포함하는 금고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이용자의 인증이 사전에 정해진 횟수만큼 실패하였을 때, 해당 내용을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내용이 사전에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비밀번호나 키 없이 이용자의 생체인증이나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만으로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금고 도어의 개폐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금고 파손과 같은 금고의 상태와 함께 금고의 개폐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관리자는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금고의 개폐를 제어하고 금고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개시된 금고 유닛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생체인증모듈의 구성도.
도 4a, 도 4b는 도 1 내지 도 3의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에 의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에 의해 금고 상태를 감시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은 이용자의 생체인증을 통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이용자 인증 관리모드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인터넷 관리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공간에 설치된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금고 유닛(100), 인터넷상에 위치한 서버(200), 사물인터넷을 위한 앱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300) 및 통신 플랫폼(400)으로 구성된다.
도 1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금고 유닛(100)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공간에 설치된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생체인증이나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300)를 이용하여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고, 고유식별코드를 가진다. 서버(200)는 각 금고 유닛(100)의 고유식별코드와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관리자정보가 등록되고 금고상태를 감시하며 이용자, 개폐시도시간, 금고 도어의 개폐여부를 포함하는 금고의 개폐정보가 저장된다. 이동통신단말기(300)는 금고 도어의 개폐를 위한 앱이 탑재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로서,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을뿐더러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서버(200)에 접속하여 금고 도어의 개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 플랫폼(400)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통신하는 금고 유닛(100)과 서버(200)를 연결해 주는 것으로서, 금고 유닛(100)과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접속되고, 서버(300)와는 Wi-Fi와 같은 WLAN(Wireless Lan)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금고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금고 유닛(100)은 서버(2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300)와 인터넷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10)과, 수집되는 이용자의 생체정보와 사전에 등록된 관리자의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생체인증모듈(120) 및 고유식별코드를 가지고 해당 고유식별코드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관리자정보를 서버(200)에 등록하며 금고상태를 감시하며 이용자의 인증결과에 의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금고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에 의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며 이용자, 개폐시도시간, 금고 도어의 개폐여부를 포함하는 금고 도어의 개폐정보를 서버(200)에 저장하는 감시 및 개폐 제어부(130)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생체인증모듈(12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생체인증모듈(120)은 금고 도어를 열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을 가지는 관리자의 암호화된 생체인증정보가 저장된 메모리(121)와,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 수집부(122) 및 생체정보 수집부(122)에 의해 수집되는 이용자의 생체정보와 메모리(121)에 저장된 관리자의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인증부(123)로 구성된다.
실시 예에서, 생체인증모듈(120)은 생체인증정보가 홍채, 지문, 음성, 손등 혈관을 포함하는 생체정보인 경우 각각의 관리자마다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생체정보로 구성되어, 이용자 인증시 이용자마다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생체정보에 대한 이용자 인증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생체인증모듈(120)은 생체인증정보가 2개 이상일 때의 이용자 인증은 제1의 생체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전에 정해진 비율 이상이 동일한 경우 인증 성공으로 판정하고, 사전에 정해진 비율 미만이 동일한 경우 제2의 생체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전에 정해진 비율 이상이 동일한 경우 인증 성공으로 판정하고 사전에 정해진 비율 미만이 동일한 경우 인증 실패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인증모듈(120)은 제1의 생체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전에 정해진 다른 비율 미만이 동일한 경우 인증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제2의 생체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인증 실패로 판정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생체인증정보는 그의 전부가 금고 유닛(100) 또는 서버(200)에 저장되거나, 2개로 분할되어 금고 유닛(100)과 서버(200)에 분산 저장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메모리(121), 생체정보 수집부(122) 및 인증부(123)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모리(121)와 인증부(123)가 생체정보 수집부(122)와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어, 생체정보 수집부(122)를 포함하는 생체인증모듈(120)과 USB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4a, 도 4b는 도 1 내지 도 3의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에 의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4a, 도 4b에 의하면, 생체정보 수집부(122)에 의해 특정 금고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을 가지는 관리자의 생체정보가 수집되면, 이는 인증부(123)에 의해 암호화된 생체인증정보로 변환되어 메모리(121)에 저장된다. 이러한 정당한 권한을 가지는 관리자에 대한 생체인증정보의 등록은 정당한 권한을 가지는 관리자에 따라 1회 또는 2회 이상 수행할 수 있을뿐더러 새로운 관리자에 대한 생체인증정보를 추가로 등록하거나 이전에 등록된 관리자의 생체인증정보를 삭제하고 새로운 관리자에 대한 생체인증정보를 추가로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자는 금고 유닛(1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접속하여 금고 유닛(100), 즉 감시 및 개폐 제어부(130)의 고유식별코드와 함께 금고 유닛(100)을 인터넷을 통해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3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관리자정보를 등록하게 된다(S11).
위와 같이 정당한 권한을 가지는 관리자의 생체인증정보가 메모리(121)에 저장되고 금고 유닛(100)의 고유식별코드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관리자정보가 서버(200)에 등록된 상태에서, 금고 유닛(100)은 해당 금고 유닛(100)의 금고 관리모드가 이용자 인증 관리모드 또는 인터넷 관리모드인가를 확인하게 된다(S12).
금고 관리모드가 인터넷 관리모드인 경우 금고 유닛(100)은 이동통신단말기(300)가 서버(200)를 통해 해당 금고 유닛(100)에 접속되었는가를 확인하게 된다(S13).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300)와 금고 유닛(100)이 접속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금고 유닛(100)은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금고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는가를 확인하게 된다(S14). 확인결과, 이동통신단말기(300)로부터 금고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금고 유닛(100)은 해당 제어신호에 따라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여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S15).
S12 단계에서, 금고 관리모드가 이용자 인증 관리모드인 경우, 금고 유닛(100)은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S16)하여 사전에 등록된 정당한 권한을 가지는 관리자의 생체인증정보와 비교(S17)하여, 인증 성공시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여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S19). 이러한 이용자의 생체인증이 사전에 정해진 횟수 이상 실패시 이용자의 생체인증 실패로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인증 실패시 금고 유닛(200)은 서버(200)에 접속(S21)하여 이용자정보와 인증결과 및 금고 도어의 개폐 여부 등의 내용을 전송하여 저장하게 된다(S22). 물론, 금고 유닛(100)은 인증 성공시에도 서버(200)에 접속하여 이용자정보와 인증결과 및 금고 도어의 개폐 여부 등의 내용을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관리자는 이동통신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접속하여 언제 어디서라도 금고 도어의 개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이동통신단말기(300)에 의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경우에도 생체인증에 의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금고 도어의 개폐시도시간과 금고 도어의 개폐 여부 등을 수집하여 저장함으로써, 관리자는 생체인증은 물론이고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금고 도어의 개폐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a, 도 4b에 개시된 실시 예와 같이, 금고 유닛(100), 서버(200) 및 이동통신말기(300)를 포함하고, 이에 충격 감지 센서부(101)가 추가로 구성된다.
즉, 다른 실시 예는 금고 유닛(100), 서버(200) 및 이동통신말기(300)를 포함하는 실시 예에 금고 유닛(100)에 해당 금고 유닛(100)을 포함하는 금고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부(101)를 더 구비하고, 감시 및 개폐 제어부(130)가 해당 금고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해당 내용을 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서버(200)는 해당 내용을 사전에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는 이동통신단말기(300)에 의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로는 서버(200)와 해당 이동통신단말기(300)에 사전에 각각 등록된 음성신호가 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해 금고상태를 감시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금고 유닛(100)은 충격 감지 센서부(101)에 의해 감지(S31)되는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금고 유닛(100)을 포함하는 금고에 충격이 가해지는가를 확인하게 된다. 금고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금고 유닛(100)은 서버(200)에 접속(S32)하여 해당 금고에 충격이 가해졌음을 알릴 수 있는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게 된다(S33).
따라서, 서버(200)는 사전에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300)를 호출하여 특정 금고에 충격이 가해졌음을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 한정 해석해서는 아니 된다.
101 : 충격 감지 센서부 100 : 금고 유닛
110 :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20 : 생체인증모듈
121 : 메모리 122 : 생체정보 수집부
123 : 인증부 130 : 감시 및 개폐 제어부
200 : 서버 300 : 이동통신단말기
400 : 통신 플랫폼

Claims (10)

  1. 이용자의 생체인증을 통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이용자 인증 관리모드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인터넷 관리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서버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인터넷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갖춘 금고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 수집부;
    상기 생체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되어 금고 도어를 열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을 가지는 관리자의 암호화된 생체인증정보로 저장되되 상기 암호화된 생체인증정보는 분할된 후 일부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고 나머지 일부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생체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이용자의 생체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사전에 등록 저장된 관리자의 암호화된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인증부; 및
    고유식별코드를 가지고 해당 고유식별코드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관리자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며, 금고상태를 감시하며 이용자의 인증결과에 의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금고 도어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에 의해 금고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감시 및 개폐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고 유닛은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 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시 및 개폐 제어부는 해당 금고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이용자의 인증이 사전에 정해진 횟수만큼 실패하였을 때 해당 내용을 서버에 전송하여, 해당 내용이 사전에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증정보는 홍채, 지문, 음성, 손등 혈관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로서 각각의 관리자마다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생체정보로 구성되어, 이용자 인증시 이용자마다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생체정보에 대한 이용자 인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증정보가 2개 이상일 때의 이용자 인증은 제1의 생체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전에 정해진 비율 이상이 동일한 경우 인증 성공으로 판정하고, 사전에 정해진 비율 미만이 동일한 경우 제2의 생체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생체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사전에 정해진 비율 이상이 동일한 경우 인증 성공으로 판정하고 사전에 정해진 비율 미만이 동일한 경우 인증 실패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67765A 2017-05-31 2017-05-31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60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765A KR101960798B1 (ko) 2017-05-31 2017-05-31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765A KR101960798B1 (ko) 2017-05-31 2017-05-31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134A KR20180131134A (ko) 2018-12-10
KR101960798B1 true KR101960798B1 (ko) 2019-03-21

Family

ID=6467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765A KR101960798B1 (ko) 2017-05-31 2017-05-31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7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987A (ko) 2019-08-06 2021-02-17 (주)신성금고 대여 기반 물품 보관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5875A (zh) * 2018-12-13 2020-06-23 深圳市云海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远程控制门锁系统和方法
CN109872424A (zh) * 2019-01-31 2019-06-11 新华三技术有限公司 一种解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60504B1 (ko) * 2019-02-13 2021-06-02 한달 금고 장치 및 금고 관리 방법
KR102204876B1 (ko) * 2019-05-02 2021-01-19 (주)코리센 지정맥과 부가 인증수단을 이용한 공공장소 잠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1640222A (zh) * 2020-05-18 2020-09-08 宁波职业技术学院 保险安全柜装置、开锁方法和开锁系统
CN111648698A (zh) * 2020-06-29 2020-09-11 江苏高聚识别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识别式贵重物品储物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764B1 (ko) * 2002-12-27 2005-09-07 주식회사 신진금고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대여금고
KR20050086140A (ko) * 2004-02-25 2005-08-3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생체 정보를 이용한 도어 락 방법
KR20120011365A (ko) * 2010-07-26 2012-02-08 주식회사 테크스피어 손등혈관을 이용한 금고 개폐장치
KR101387469B1 (ko) * 2012-05-25 2014-04-22 주식회사 선일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987A (ko) 2019-08-06 2021-02-17 (주)신성금고 대여 기반 물품 보관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134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798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60799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171444B1 (en) Securitization of temporal digital communications via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for wireless user and access devices
CN106652106A (zh) 门锁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KR20100060192A (ko) 휴대 단말 장치의 방향 센서를 이용한 잠금 기능 제어 장치및 방법
US11302128B2 (en) Easy unlocking method with safety using an electronic key and a biological feature
US7818583B2 (en) Personal authentication apparatus
KR20160041432A (ko) 지문인식장치의 경보방법 및 시스템
CN115604707A (zh) 自然语言用户界面
KR20170071869A (ko)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330113B1 (ko) 자릿값 기반의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1230369B1 (ko) 해킹 방지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키 인증 방법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8057112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907108B1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877613B2 (ja) 金庫管理方法、金庫及び金庫管理装置
KR101255733B1 (ko) 사이버 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TWI452204B (zh) 多重安全管制保全系統與保全訊息處理方法
KR100682485B1 (ko) 생체인증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846571A (zh) 一种电话开启的自动上锁防盗门系统
KR101708328B1 (ko) 사물 인식에 기반한 영상단말기 보안시스템
KR20130126357A (ko) 도어락 시스템
JP6187386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2147094B1 (ko) 위급 상황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지털 도어락과 이를 이용한 위급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CN206431718U (zh) 一种电话遥控的抗干扰防盗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