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504B1 - 금고 장치 및 금고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금고 장치 및 금고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504B1
KR102260504B1 KR1020190016517A KR20190016517A KR102260504B1 KR 102260504 B1 KR102260504 B1 KR 102260504B1 KR 1020190016517 A KR1020190016517 A KR 1020190016517A KR 20190016517 A KR20190016517 A KR 20190016517A KR 102260504 B1 KR102260504 B1 KR 10226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nit
management server
face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869A (ko
Inventor
한달
Original Assignee
한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달 filed Critical 한달
Priority to KR1020190016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5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5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1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장치는 잠금부의 동작을 통하여 내부의 보관 대상을 보호하는 금고 바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 센싱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인식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등록 생체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등록 인식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인식정보와 상기 등록 인식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잠금부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고 장치 및 금고 관리 방법{SAF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AFE}
본 발명은 금고 장치 및 금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고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금고 장치는 대상물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므로 화폐, 금, 채권 등 뿐만 아니라 비밀문서나 위험물, 약물 등을 보관하는데도 사용되고 있다.
대상물이 다양화되고 위험하거나 사용에 주의가 필요한 경우가 증가함으로써 금고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한 보다 발전된 인증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공개특허 10-2011-0043026 (공개일 : 2011년04월27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장치 및 금고 관리 방법은 보다 안전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잠금부의 동작을 통하여 내부의 보관 대상을 보호하는 금고 바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 센싱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인식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등록 생체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등록 인식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인식정보와 상기 등록 인식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잠금부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인식정보 및 등록 인식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및 MACA(MAC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인식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전송받은 인식 정보와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등록 생체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생체정보 센싱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읽어들인 등록 생체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금고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금고 장치의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얼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전송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금고 장치의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얼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기 통신부에 접속된 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금고 장치의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얼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증에 따른 상기 잠금부의 동작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부의 열림 동작 전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가 금고 사용목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입력했다는 것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확인한 후 상기 잠금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부의 열린 상태가 설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관리 서버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관리자의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최초로 금고 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금고 장치는 사용자의 등록 생체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금고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최초 금고 장치 사용 이전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등록 인식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금고 장치가 상기 등록 생체정보와 상기 등록 인식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금고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인식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금고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금고 장치가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인식정보와 상기 등록 인식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금고 장치의 잠금부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고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장치 및 금고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더불어 사용자 단말기의 인식정보를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관리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장치(100)는 금고 바디(110), 생체정보 센싱부(130), 통신부(150), 메모리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금고 바디(110)는 잠금부(111)의 동작을 통하여 내부의 보관 대상을 보호한다. 도 1의 잠금부(111)는 도어 타입 또는 서랍 타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체정보 센싱부(130), 통신부(150), 메모리부(170) 및 제어부(190)는 금고 바디(110)의 외측면 또는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생체정보 센싱부(13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한다.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지문정보, 홍체정보, 혈관정보, 안면정보, 음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체정보 센싱부(130)는 생체정보에 따라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정보가 지문정보인 경우, 생체정보 센싱부(130)는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체정보가 홍체정보인 경우, 생체정보 센싱부(130)는 홍체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광방출부(예를 들어, 적외선 방출)와 촬상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가 혈관정보 또는 안면정보인 경우, 생체정보 센싱부(130)는 혈관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광방출부(예를 들어, 적외선이나 근적외선 방출)와 촬상소자를 포함하거나, 안면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광방출부(예를 들어, 적외선)와 촬상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가 음성정보인 경우, 생체정보 센싱부(130)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에 대한 디지털 정보 처리는 생체정보 센싱부(13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어부(19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통신부(150)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인식정보를 전송받는다. 통신부(150)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NFC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 타블렛, 랩탑 컴퓨터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50)는 인터넷이나 인트라넷 또는 공공망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인식정보 및 등록 인식정보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및 MACA(MAC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인식정보 및 등록 인식정보는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기(200)들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식정보 및 등록 인식정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메모리부(170)는 사용자의 등록 생체정보 및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등록 인식정보를 저장한다.
등록 생체정보 및 등록 인식정보는 특정 사용자가 금고 장치(100)를 최초로 사용하기 위하여 메모리부(170)에 저장되는 등록 정보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금고 장치(100)를 최초로 사용하기 전에 생체정보 센싱부(13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고 제어부(190)는 이를 처리하여 메모리부(170)에 등록 생체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 역시 특정 사용자가 금고 장치(100)를 최초로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특정할 수 있는 인식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전송받은 인식정보를 등록 인식정보로서 메모리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90)는 등록 인식정보와 등록 생체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메모리부(17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생체정보와 등록 생체정보를 비교하고 인식정보와 등록 인식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잠금부(111)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생체정보와 등록 생체정보가 일치하고, 인식정보와 등록 인식정보가 일치할 경우, 사용자를 인증하여 잠금부(111)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어부(190)는 생체정보와 등록 생체정보의 비교에 따른 일치 정도가 설정값을 초과하고 인식정보와 등록 인식정보가 일치할 경우,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90)는 잠금부(111)가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값이 95%일 경우, 생체정보와 등록 생체정보의 일치율이 97%를 이면, 제어부(190)는 해당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장치(10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인식정보를 함께 이용함으로써 위조된 생체정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통신부(150)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인식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전송받은 인식 정보와 연관된 사용자의 등록 생체정보를 메모리부(170)로부터 읽어들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생체정보 센싱부(13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메모리불부터 읽어들인 등록 생체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등록 인식정보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단말기(200)가 다가오면, 통신부(150)의 블루투스 모듈과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모듈이 자동으로 페어링(pairing)이 되며, 페어링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인식정보로서 UUID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통신부(150)를 통하여 전송받은 UUID를 메모리부(170)에 미리 저장된 등록 인식정보로서의 UUID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다수 사용자들의 등록 생체정보들로부터 인증이 이루어진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해당되는 등록 생체정보를 미리 읽어들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일반적인 금고 장치가 저장된 모든 등록 생체정보들과 입력된 생체정보를 비교하는데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장치(100)는 미리 읽어들인 등록 생체정보와 생체정보 센싱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생체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생체정보를 통한 사용자의 2차 인증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장치(100)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80)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통신부(150)를 통하여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금고 장치(100)의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얼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가 사용자가 금고 장치(100)를 최초로 사용하기 전에 미리 관리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0)는 등록 얼굴 이미지와 금고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동시에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4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금고 장치(100)의 사용에 대한 허가가 이루어진 사람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부(180)는 cctv에 비해 얼굴 식별 및 관리비용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는 동영상 이미지가 아닌 스틸 이미지(still image)일 수 있으며, 이는 얼굴 이미지가 금고 장치(100)에서 관리 서버(300)로, 그리고 관리 서버(300)에서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등록 얼굴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는 금고 장치(100)의 메모리부(170)가 아닌 관리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금고 장치(100)의 메모리부(170)의 저장용량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는 금고 장치(100)의 카메라부(180)를 통하여 촬영된 것이나 이와 다르게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하여 촬영될 수도 있다.이와 같은 경우 금고 장치(100)는 카메라부(18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금고 장치(100) 최초 사용 이전에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를 금고 장치(100)로 전송하고, 금고 장치(100)는 등록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금고 장치(100)의 통신부(150)는 사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설치된 금고 관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를 구동하면서 사용자의 얼굴 촬영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200)를 통하여 자신의 얼굴을 촬영하게 되며,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금고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금고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통신부(150)를 통하여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금고 장치(100)의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얼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관리 서버(300)는 얼굴 이미지와 더불어 미리 저장되어 있던 등록 얼굴 이미지를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의 단말기(400)는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를 표시하며, 관리자는 이를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앞서의 설명에서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가 금고 장치(100)로 거쳐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었으나 이와 다르게 사용자의 단말기(200)에서 관리 서버(300)로 바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금고 장치(100) 최초 사용 이전에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단말기(200)가 금고 장치(100)의 통신부(150)에 접속된 후(예를 들어, 블루투스 페이링)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후 관리 서버(300)는 금고 장치(100)의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얼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 관리 서버(300)는 얼굴 이미지와 더불어 미리 저장되어 있던 등록 얼굴 이미지를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의 단말기(400)는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를 표시하며, 관리자는 이를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인증에 따른 잠금부(111)의 동작 시간 및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하여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동작 시간과 인적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금고 장치(100) 사용 시 생체 정보로 사용자가 특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금고 장치(100)에 대한 사용 기록을 자세히 남길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금고 장치(100)에 보관되는 내용물에 대해 취급 주의를 요하는 병원, 공기업 등에서 사용하기에 활용성이 높다. 예를 들어, 병원에서 마약성 약제를 금고 장치(100)에 보관할 경우 금고 장치(100)가 열리는 시간과 금고 장치(100)의 사용자 신분이 기록됨으로써 마약성 약제를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잠금부(111)의 열림 동작 전 또는 후에 사용자가 금고 사용목적을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입력했다는 것을 통신부(150)를 통하여 확인한 후 잠금부(1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금고 사용목적은 금고 장치(100)를 통하여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거나 금고 장치(100)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의 단말기(200)에서 관리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금고 사용목적을 저장하고 금고 장치(100)로 금고 사용목적의 입력 완료를 통보한다. 이에 따라 금고 장치(100)는 정상적인 잠금부(111)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잠금부(111)의 열린 상태가 설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 통신부(150)를 통하여 관리 서버(300)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 서버(300)가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관리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의 금고 장치(10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관리 방법이 도 2의 금고 장치(100)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최초로 금고 장치(100)를 사용하기 전에 금고 장치(100)는 사용자의 등록 생체정보를 입력받는다(S301). 또한 금고 장치(100)는 사용자의 최초 금고 장치(100) 사용 이전에 사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등록 인식정보를 전송받는다(S303).
금고 장치(100)는 등록 생체정보와 등록 인식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한다(S305).
금고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단말기(200)의 인식정보를 전송받는다(S307). 또한 금고 장치(10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받는다(S309).
금고 장치(100)는 생체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정보를 비교하고 인식정보와 상기 등록 인식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잠금부(111)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S311, S31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고 관리 방법은 앞서 설명된 도 3의 인증 과정과 함께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확인하는 추가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 장치(100)는 사용자가 금고 장치(100)를 최초로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S401, S403).
이후 사용자가 금고 장치(100)를 사용하려 할 경우, 금고 장치(100)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405, S407). 또한 관리 서버(300)는 등록 얼굴 이미지와 금고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동시에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S409).
이에 따라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4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금고 장치(100)의 사용에 대한 허가가 이루어진 사람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전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 확인 응답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411).
이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인증을 금고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으며(S413), 금고 장치(100)는 금고 장치(100)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S415).
한편, 앞서 설명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는 금고 장치(100)를 통하여 촬영된 것이나 이와 다르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하여 촬영될 수도 있다.
즉, 앞서 설명된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는 금고 장치(100)의 카메라부(180)를 통하여 촬영된 것이나 이와 다르게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하여 촬영될 수도 있다.이와 같은 경우 금고 장치(100)는 카메라부(18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금고 장치(100) 최초 사용 이전에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여 금고 장치(100)로 전송하고(S501, S503), 금고 장치(100)는 등록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505).
이후 사용자가 금고 장치(100)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금고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507, S509). 이에 따라 금고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금고 장치(100)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S511),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얼굴 이미지를 전송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S513). 이 때 관리 서버(300)는 얼굴 이미지와 더불어 미리 저장되어 있던 등록 얼굴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의 단말기(400)는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를 표시하며, 관리자는 이를 통하여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의 단말기(400)는 사용자 확인 응답을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고(S515), 관리 서버(300)는 금고 장치(100)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517). 이후 금고 장치(100)는 잠금부(111) 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519).
한편, 앞서의 설명에서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 및 얼굴 이미지가 금고 장치(100)로 거쳐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었으나 이와 다르게 사용자의 단말기(200)에서 관리 서버(300)로 바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금고 장치(100) 최초 사용 이전에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601, S603).
이후 사용자의 단말기(200)가 금고 장치(100)의 통신부(150)에 접속된 후(예를 들어, 블루투스 페이링) 사용자의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605, S607).
아후 관리 서버(300)는 금고 장치(100)의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얼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 관리 서버(300)는 얼굴 이미지와 더불어 미리 저장되어 있던 등록 얼굴 이미지를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확인 요청을 할 수 있다(S609).
이에 따라 관리자의 단말기(400)는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와 얼굴 이미지를 표시하며,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관리자의 단말기(400)는 사용자 확인 요청에 대한 사용자 확인 응답을 할 수 있다(S611).
이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금고 장치(100)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S613), 이후 금고 장치(100)는 잠금부(111) 열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615).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되어 금고 장치(100)가 열리면(S701), 금고 장치(100)는 사용자의 인증에 따른 잠금부(111)의 동작 시간 및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703). 이후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동작 시간과 인적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S705).
이 때 사용자의 인적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에 할당된 고유코드나 고유번호, 사용자의 소속 조직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고 장치(100)의 동작 시간 및 사용자의 인적 정보가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전송될 때 관리 서버(300)는 해당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사용자의 인적 정보가 금고 장치(100)에서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나 이와 다르게 관리 서버(300)는 동작 시간을 금고 장치(100)로부터 전송받고 관리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던 인적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금고 사용목적을 입력할 수 있다(S801).
금고 사용목적은 금고 장치(100)를 통하여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거나 금고 장치(100)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의 단말기(200)에서 관리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S803).
이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금고 사용목적을 저장하고 금고 장치(100)로 금고 사용목적의 입력 완료를 통보하며(S805), 금고 장치(100)는 사용자가 금고 사용목적을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입력했다는 것을 통신부(15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S807). 이후 금고 장치(100)는 잠금부(111)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S811).
또한 관리자의 단말기(400)의 요청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사용목적을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S813).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 장치(100)는 잠금부(111)의 열린 상태가 설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S901), 관리 서버(300)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고(S903), 관리 서버(300)가 관리자의 단말기(40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905).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금고 장치(100) 잠금부(111)
금고 바디(110) 생체정보 센싱부(130)
통신부(150) 메모리부(170)
카메라부(180) 제어부(190)
사용자의 단말기(200) 관리 서버(300)
관리자의 단말기(400)

Claims (10)

  1. 잠금부의 동작을 통하여 내부의 보관 대상을 보호하는 금고 바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 센싱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인식정보를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등록 생체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등록 인식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생체정보와 상기 등록 생체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인식정보와 상기 등록 인식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잠금부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상기 통신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금고 바디를 최초 사용하기 전에 미리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와 다른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등록 얼굴 이미지와 상기 얼굴 이미지를 표시하여 상기 관리자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는 사용자 확인 응답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인증에 따라 상기 잠금부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인식정보 및 등록 인식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및 MACA(MAC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인식정보를 전송받은 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전송받은 인식 정보와 연관된 상기 사용자의 등록 생체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생체정보 센싱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상기 읽어들인 등록 생체정보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증에 따른 상기 잠금부의 동작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부의 열림 동작 전 또는 후에 상기 사용자가 금고 사용목적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입력했다는 것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확인한 후 상기 잠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부의 열린 상태가 설정 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관리 서버로 경고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관리자의 단말기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장치.
  10. 삭제
KR1020190016517A 2019-02-13 2019-02-13 금고 장치 및 금고 관리 방법 Active KR102260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17A KR102260504B1 (ko) 2019-02-13 2019-02-13 금고 장치 및 금고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517A KR102260504B1 (ko) 2019-02-13 2019-02-13 금고 장치 및 금고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869A KR20200098869A (ko) 2020-08-21
KR102260504B1 true KR102260504B1 (ko) 2021-06-02

Family

ID=7223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517A Active KR102260504B1 (ko) 2019-02-13 2019-02-13 금고 장치 및 금고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5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958B1 (ko) * 2015-07-27 2016-10-2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스마트 단말기 및 안면인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026A (ko)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KR101387469B1 (ko) * 2012-05-25 2014-04-22 주식회사 선일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KR101960798B1 (ko) * 2017-05-31 2019-03-21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금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958B1 (ko) * 2015-07-27 2016-10-2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스마트 단말기 및 안면인식을 이용한 보안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869A (ko)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784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JP6848896B2 (ja) 居室者監視システム
KR101009167B1 (ko) 디지털 도어락과 연동된 출입문 지문저장 시스템 및 그 방법
CA2851691A1 (en) Authentication method
KR102243963B1 (ko) 안면 인식을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KR102153880B1 (ko) 사무실에서의 얼굴 인증을 통한 입실과 퇴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입실과 퇴실 관리방법
KR20210056622A (ko)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강화를 위한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207764866U (zh) 智能门禁系统
CN118696359A (zh) 用户访问权的认证
JP2019148110A (ja) 鍵管理システム
KR102260504B1 (ko) 금고 장치 및 금고 관리 방법
EP392181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ccess device
KR101407443B1 (ko) 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JP2022135182A (ja) 来訪者管理システム及び来訪者管理方法
JP2010044619A (ja) アクセス対象に対する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アクセス制御方法
US11941100B2 (en) Selective access and verification of user information
KR102566445B1 (ko) 전화 인증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US8442277B1 (en)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egress of an individual visiting a facility
JP201312045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または制御プログラム
CN118696316A (zh) 用于确定用户的访问权限的方法、请求计算机设备、认证计算机设备以及认证系统
US20220124090A1 (en) Identity verification through a centralized biometric database
KR101995567B1 (ko) 홍채 인증을 통한 데이터 관리 방법
JP2022008588A (ja) 収容ボックスシステム
JP4811579B2 (ja) 機器の不正使用防止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4846385B2 (ja) Idカード作成システム及びidカード作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