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491B1 - 복합방사형 부직포를 이용한 다층복합 섬유 소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방사형 부직포를 이용한 다층복합 섬유 소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491B1
KR101960491B1 KR1020160073461A KR20160073461A KR101960491B1 KR 101960491 B1 KR101960491 B1 KR 101960491B1 KR 1020160073461 A KR1020160073461 A KR 1020160073461A KR 20160073461 A KR20160073461 A KR 20160073461A KR 101960491 B1 KR101960491 B1 KR 101960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nonwoven fabric
radial
fiber material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749A (ko
Inventor
손경태
최진영
윤상배
Original Assignee
신풍섬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풍섬유(주) filed Critical 신풍섬유(주)
Priority to KR1020160073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491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04H1/56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by melt-blow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네이팅 공정을 통한 복합방사형 부직포를 이용한 다층복합 섬유 소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미네이팅 공정을 이용하고 공정 조건을 최적화시킴으로써, 복합방사형 부직포와 직물 간에 층간 박리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투/내수압 효과가 최적화 된 섬유 소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보다 저렴하게 3레이어(Layer) 다층복합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방사형 부직포를 이용한 다층복합 섬유 소재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FIBER USING THE CONJUGATE SPINNING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복합방사형 부직포를 이용한 다층복합 섬유 소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라미네이팅 공정을 이용하여 복합방사형 부직포와 직물이 복합화하여 박리강도 및 투/내수압이 우수한 다층복합 섬유소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습방수 기능성 섬유소재는 통상 투습방수섬유로 지칭되고 있는데 전반적인 분야의 사용에서 일반분야로 용도가 확대되고 있으며 소득증가와 웰빙을 추구하는 인간의 삶과 맞물려 2000년대 이후 스포츠/아웃도어를 중심으로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시장이다.
기능성 투습방수 다층복합 섬유소재 제품화를 통한 선진국으로부터 수입되던 기능성 필름 및 코팅약품 등과 같이 제품의 높은 수입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투습방수 제품의 경량성, 신축성, 통기성, 항균성 등의 부여 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의 기능성 섬유산업의 고용 창출은 물론 기술 경쟁력에 의한 해외시장 진출을 통한 수출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투습방수제품의 원천소재인 친수무공형필름, 나노웹(nano-web), 소수다공형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등을 적용한 제품이 급증하고 있으며 대체소재에 대한 요구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바람막이 및 재킷용에 쓰이는 투습방수 직물의 경우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후가공에 따른 성능 차이가 크며 PTFE와 같은 멤브레인(Membrane) 소재는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기능성 투습방수섬유소재 제품군의 해외 기술 의존도는 심각한 수준이며 특히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는 있는 실정이다.
투습방수섬유의 수요증가와 용도확대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고가인 점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의 유해성 논란까지 발생하고 있는 시점에서 경제성, 지속가능성, 기능최적화의 시장트렌드에 적합한 성능을 지닌 소재의 개발은 시의적절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방사형 부직포를 활용하며, 라미네이팅(Laminating) 가공 기술화하여 고투습의 3레이어(Layer) 다층복합 섬유 소재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2522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방사형 부직포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팅(Laminating) 가공 기술을 접목하여 연속적 가공이 가능하고 보다 저렴하며, 연속적으로 복합다층구조로 제작이 가능한 3레이어(Layer) 다층복합 섬유 소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복합 섬유소재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다층복합 섬유 소재를 제공하며, 기능성 아웃도어 의류뿐만 아니라, 차량, 인테리어 등의 다양한 산업용소재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사형멜트블로운(Melt-Blown)부직포를 쉘(Shell) 직물과 속(inner) 직물 사이에 라미네이팅(laminating) 공정으로 접합시키며,
여기서 상기 라미네이팅 공정은 온도 10℃ 내지 20℃, 습도 30% 내지 50%, 멜팅(Melting) 온도 80℃ 내지 100℃, 속도 5m/min 내지 20m/min의 조건에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Shell) 직물; 방사형멜트블로운(Melt-Blown)부직포; 및, 속(inner) 직물;의 3레이어(layer)로 구성된 투습방수 다층복합 섬유소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쉘(Shell) 직물; 방사형멜트블로운(Melt-Blown)부직포; 및, 속(inner) 직물;의 3레이어(layer)로 구성되고,
상기 방사형멜트블로운(Melt-Blown)부직포는 쉘(Shell) 직물과 속(inner) 직물 사이에 라미네이팅(laminating) 접합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라미네이팅 접합은 온도 10 내지 20℃, 습도 30 내지 50%, 멜팅(Melting) 온도 80 내지 100℃, 속도 5 내지 20m/min의 조건에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다층복합 섬유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습방수용 다층복합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아웃도어 제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투습방수 다층복합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산업용 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섬유소재의 제조 방법은 투습방수 성능을 부여하는 다른 소재 제조방법과 비교하여 광범위한 고분자 소재에 적용이 가능하고 직경이 가는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라미네이팅(Laminating) 가공 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다층복합 직물의 층간 박리 현상을 최소화시키고, 투습도 및 내수압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라미네이팅 공정에서 접착제 도포량 및 그라비아 롤러 타입 최적화를 통해 박리강도를 우수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활용하여 저렴하게 3레이어(Layer) 다층복합 직물을 연속공정으로 제조 가능하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팅(Laminating) 기술을 적용한 3레이어(Layer) 다층복합 직물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접착제의 도포량에 따른 표면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사형 부직포를 활용한 다층복합 직물의 표면과 이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층복합 직물의 내수압을 분석한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층복합 직물의 투습도를 분석한 결과의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사형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쉘(Shell) 직물과 속 직물 사이에 라미네이팅 공정으로 접합시켜 층간 박리 현상이 향상되고 고투습의 효과가 높고 보다 저렴하며 연속적인 가공이 가능한 투습방수 다층복합 섬유소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방사형멜트블로운(Melt-Blown)부직포를 쉘(Shell) 직물과 속(inner) 직물 사이에 라미네이팅(laminating) 공정으로 접합 시키며,
여기서 상기 라미네이팅 공정은 온도 10 내지 20℃, 습도 30 내지 50%, 멜팅(Melting) 온도 80 내지 100℃, 속도 5 내지 20m/min의 조건에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Shell) 직물; 방사형멜트블로운(Melt-Blown)부직포; 및, 속(inner) 직물;의 3레이어(layer)로 구성된 투습방수 다층복합 섬유소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라미네이팅 공정의 온도가 상기 범위의 하한을 미달하는 경우 층간결합력이 저하되어 박리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부직포에 존재하는 기공이 감소하여 투습성이 저하됨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라미네이팅의 공정의 속도가 상기 범위의 하한을 미달하는 경우 부직포를 구성하는 저융점 소재가 용융되어 통기성이 상실됨 등의 문제가 있고, 상기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저융점 고분자가 충분히 열변형되지 않아 층간 박리가 발생됨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라미네이팅 공정은 접착제 도포량이 15 내지 20 g/sq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 도포량이 상기 범위의 하한을 미달하였을 경우 레이어(Layer)층의 결합력이 떨어져 박리강도가 낮아지며(약 120~150gf/5cm), 상한을 초과하였을 경우 직물의 터치(Touch)가 하드(Hard)해지며 촉감이 부드럽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라미네이팅 공정은 그라비아 롤러 형태(Gravure roller type)가 도트(Dot) 또는 넷트(Net)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트(Dot) 또는 넷트(Net) 형태의 그라비아 롤러(Gravure roller)를 사용함으로써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접착제의 형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쉘(Shell) 직물은 천연섬유(Cotton, Wool), 합성섬유(PET, Nylon)의 단일 및 교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형멜트블로운 부직포는 저융점 고분자 또는 엘라스토머 계열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필터, 위생소재, 토목, 농업, 메디컬 등의 분야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1~5um로 분포하는 극세섬유 집합체로 비교적 기공의 크기 및 분포 제어가 용이하며, 수많은 미세기공 구조를 지닌 다공질체이다. 또한, 섬유의 배향 결정화 정도가 낮아 기계적 물성이 낮으며 균제도가 비교적 우수하다. 또한, 불투명도가 우수하며 가스 및 수증기의 투과도가 양호하고 화학적 가공이 용이하며 표면이 부드럽고 벌키(Bulky) 특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
상기 속 직물은 편물 또는 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쉘(Shell) 직물; 방사형멜트블로운(Melt-Blown)부직포; 및, 속(inner) 직물;의 3레이어(layer)로 구성되고,
상기 방사형멜트블로운(Melt-Blown)부직포는 쉘(Shell) 직물과 속(inner) 직물 사이에 라미네이팅(laminating) 접합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라미네이팅 접합은 온도 10 내지 20℃, 습도 30 내지 50%, 멜팅(Melting) 온도 80 내지 100℃, 속도 5 내지 20m/min의 조건에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다층복합 섬유소재를 제공한다.
상기 라미네이팅 접합은 접착제 도포량을 15 내지 20 g/sqm로 사용하여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미네이팅 접합은 그라비아 롤러 형태(Gravure roller type)가 도트(Dot)와 넷트(Net)형태로 사용하여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습방수용 다층복합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아웃도어 제품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 실시예 1> 라미네이팅(Laminating)을 통한 다층복합화 공정
멜트블로운 부직포(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를 활용하여 3레이어(Layer)(Face 직물+방사형부직포+메쉬) 다층 구조 형성을 위해 라미네이팅 공정을 진행하였다.
상기 멜트브라운 부직포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Bi-component Melt-Blown Spinning System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원료수지는 엘라스토머(Elastomer) 계열의 점착특성을 지닌 고분자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와의 복합단면이 형성된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작업 온도 14℃, 습도 40%의 조건 하에 접착제 멜팅(Melting) 온도 90℃, 도포량 20~25g/sqm을 적용하여 속도 10~15m/min으로 다층접합 공정을 진행하였다.
구 분 조 건
작업진행 온도(℃) 14
작업진행 습도(%) 40
Melting 온도(℃) 90
접착제 도포량(g/sqm) 20~25
속도(m/min) 10~25
Gravure roller Dot, Net
< 실험예1 > 접착제 도포량과 그라비어 롤러 형태( Gravure roller type)에 따른 박리강도 평가
하기 표 2와 같이 페이스(Face) 직물, 멜트블로운 부직포, 메쉬(mesh) 소재를 라미네이팅 복합화하여 접착제 도포량과 Gravure roller type에 따른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3Layer 다층복합 직물 사양(SPEC)
ITEM명 혼용률( % ) 부직포 Mesh 중량(g/ spm ) 중량(g/ spm )
Sample1 N 88% PU 12% 멜트블로운
부직포
NTR 20D 61 190
Sample2 N 88% PU 12% 멜트블로운
부직포
NTR 20D 63 150
Sample3 N 65% P 45% 멜트블로운
부직포
NTR 20D 57 180
아래 표 3과 같이 Melting 온도 90℃와 속도 10m/min의 동일 조건 하에서 Gravure roller type과 접착제 도포량에 따른 박리강도를 테스트하였다.
라미네이팅 공정 조건
공정조건 고정값 변화값
Gravure roller type형 - Dot, Net
접착제도포량(g/sqm) - 15, 20, 25
속도(m/min) 10 -
Gravure roller 온도() 100 -
Meltting 온도() 90 -
Tension(N) 8~10 -
아래 표 4와 같이 각각의 샘플은 접착제 도포량의 변화에 따라 박리강도도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25g/sqm의 접착제를 도포하였을 경우 접착제 과다로 인해 직물의 터치(touch)가 하드(Hard)해지며, 투습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므로 접착제의 도포량은 20g/sqm이 적당하다.(도 2)
Gravure roller type의 도포량에 따른 박리강도 분석
구분
Sample 1( gf /5cm) Sample 2( gf /5cm) Sample 3( gf /5cm)
Dot type 15g/sqm 210 230 240
20g/sqm 230 260 290
25g/sqm 330 300 330
Net type 15g/sqm 180 220 200
20g/sqm 190 230 240
25g/sqm 200 250 280
< 실험예2 > 3레이어 (Layer) 다층복합 직물의 투/ 내수압 평가
상기 <실시예1>의 라미네이팅 공정조건을 적용하여, 아래의 표 5, 표 6과 같이 쉘(Shell) 직물, 멜트블로운 부직포와 메쉬(Mesh) 소재를 다층복합화한 3레이어(Layer) 직물소재에 대한 투습도(규격 : KS K 0594) 및 내수압(규격 : KS K ISO 811)을 분석하였다.
멜트블로운 부직포 사양(SPEC)
ITEM명 Ratio 기공크기(um) 직경크기 (um)
SPR-A2-01 Vistamaxx2330(99%) 50% / PP 50% 17.28 2.52
SPR-A2-02 Vistamaxx2330(99%) 50% / PP 50% 14.78 2.21
SPR-A2-03 Vistamaxx2330(99%) 50% / PP 50% 11.01 2.28
SPR-A2-04 Vistamaxx2330(99%) 50% / PP 50% 15.05 2.29
SPR-A2-05 Vistamaxx2330(99%) 50% / PP 50% 12.55 1.65
SPR-A2-06 Vistamaxx2330(99%) 50% / PP 50% 15.15 2.11
SPR-A2-07 Vistamaxx2330(99%) 70% / PP 30% 19.35 2.55
SPR-A2-08 Vistamaxx2330(99%) 30% / PP 70% 13.65 2.15
SPR-A2-09 Vistamaxx2330(99%) 50% / PP 50% 11.85 2.15
SPR-A2-10 Vistamaxx2330(99%) 50% / PP 50% 7.05 1.70
쉘(Shell) 직물과 속직물(inner) 사양(SPEC)
쉘(Shell) 직물 속 직물(inner)
혼용율(%) 중량
(g/sqm)
두께
(um)
혼용율
(%)
중량
(g/sqm)
두께
(um)
N 88% PU 12% 61 190 N 100 24 110
조건이 다른 10종[표 5]의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표 6]의 동일한 쉘(shell) 직물과 속직물(inner)로 각각 다층복합화 하여 투습도 및 내수압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조건에 따라 1,590mmH2O의 내수압과 5,045g/m2/24H의 투습도의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및 도 5)
따라서,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활용한 3Layer 소재의 투/내수압 기능성 부여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1)

  1. 방사형멜트블로운(Melt-Blown)부직포를 쉘(Shell) 직물과 속(inner) 직물 사이에 라미네이팅(laminating) 공정으로 접합시키며,
    여기서 상기 라미네이팅 공정은 온도 10 내지 20℃, 습도 30 내지 50%, 멜팅(Melting) 온도 80 내지 100℃, 속도 5 내지 20m/min의 조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라미네이팅 공정은 접착제 도포량이 15 내지 20g/sqm이고,
    상기 방사형멜트블로운부직포는 저융점 고분자 및 엘라스토머 계열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부직포이고,
    상기 저융점 고분자 및 엘라스토머 계열의 고분자의 구성비는 50:50이고,
    상기 방사형멜트블로운부직포의 기공크기는 7.05 um이고,
    상기 방사형멜트블로운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크기는 1.70 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Shell) 직물; 방사형멜트블로운(Melt-Blown)부직포; 및, 속(inner) 직물;의 3레이어(layer)로 구성된 투습방수 다층복합 섬유소재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 공정은 그라비어 롤러 형태(Gravure roller type)가 도트(Dot)와 넷트(Net)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쉘(Shell) 직물은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이들의 교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 직물은 편물 또는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쉘(Shell) 직물; 방사형멜트블로운(Melt-Blown)부직포; 및, 속(inner) 직물;의 3레이어(layer)로 구성되고,
    상기 방사형멜트블로운(Melt-Blown)부직포는 쉘(Shell) 직물과 속(inner) 직물 사이에 라미네이팅(laminating) 접합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라미네이팅 접합은 온도 10 내지 20℃, 습도 30 내지 50%, 멜팅(Melting) 온도 80 내지 100℃, 속도 5 내지 20m/min의 조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라미네이팅 접합은 접착제 도포량이 15 내지 20g/sqm인 조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방사형멜트블로운부직포는 저융점 고분자 및 엘라스토머 계열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부직포이고,
    상기 저융점 고분자 및 엘라스토머 계열의 고분자의 구성비는 50:50이고,
    상기 방사형멜트블로운부직포의 기공크기는 7.05 um이고,
    상기 방사형멜트블로운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크기는 1.70 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다층복합 섬유소재.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팅 접합은 그라비어 롤러 형태(Gravure roller type)가 도트(Dot) 또는 넷트(Net) 형태로 사용하여 접합되어 있는 투습방수 다층복합 섬유소재.
  10. 제7항의 다층복합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아웃도어 제품.
  11. 제7항의 다층복합 섬유소재를 포함하는 산업용 섬유.
KR1020160073461A 2016-06-13 2016-06-13 복합방사형 부직포를 이용한 다층복합 섬유 소재의 제조 방법 KR101960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61A KR101960491B1 (ko) 2016-06-13 2016-06-13 복합방사형 부직포를 이용한 다층복합 섬유 소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61A KR101960491B1 (ko) 2016-06-13 2016-06-13 복합방사형 부직포를 이용한 다층복합 섬유 소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49A KR20170140749A (ko) 2017-12-21
KR101960491B1 true KR101960491B1 (ko) 2019-03-22

Family

ID=6093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461A KR101960491B1 (ko) 2016-06-13 2016-06-13 복합방사형 부직포를 이용한 다층복합 섬유 소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4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9493A (ja) 2000-02-08 2001-08-14 Idemitsu Petrochem Co Ltd 積層不織布および熱融着物品
JP2002088633A (ja) 2000-09-18 2002-03-27 Idemitsu Unitech Co Ltd 多層不織布およびその用途
JP2003336155A (ja) * 2002-05-20 2003-11-28 Kuraray Co Ltd 防護衣料用複合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522B1 (ko) 2006-10-19 2008-03-12 씨제이제일제당 (주) 드라이 라미네이션을 이용한 수축필름과 부직포의 합지제조방법
WO2009091947A1 (en) * 2008-01-18 2009-07-23 Mmi-Ipco, Llc Composite fabrics
KR20170123814A (ko) * 2016-04-29 2017-11-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층구조에서 투습방수 성능제어를 위한 복합방사형 부직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9493A (ja) 2000-02-08 2001-08-14 Idemitsu Petrochem Co Ltd 積層不織布および熱融着物品
JP2002088633A (ja) 2000-09-18 2002-03-27 Idemitsu Unitech Co Ltd 多層不織布およびその用途
JP2003336155A (ja) * 2002-05-20 2003-11-28 Kuraray Co Ltd 防護衣料用複合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49A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9285B1 (en) Air permeable waterproof bicomponent film
CN107206728B (zh) 整体式透气膜和由此制造的复合材料
US20100304108A1 (en) Stretchable nonwoven fabric, method of manufacturing, and products made thereof
KR101011245B1 (ko)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4044B1 (ko) 투습성이 뛰어난 자외선 경화형 투습방수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RU2008130522A (ru)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мембрана, проницаемая для паров воды
CN115380135A (zh) 透明复合纳米纤维基多层纺织品
JP2023041712A (ja) 多層通気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積層体
KR102064101B1 (ko) 아웃도어 의류 제조용 열접착이 가능한 다층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038192B1 (ko) 열차폐성 및 투습방수성이 우수한 다기능성 하우스 랩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530641A (ja) 透湿性、防水および防風積層シート、これを用いた芯地、および芯地を含む衣類
KR20170123814A (ko) 다층구조에서 투습방수 성능제어를 위한 복합방사형 부직포
KR101960491B1 (ko) 복합방사형 부직포를 이용한 다층복합 섬유 소재의 제조 방법
KR20200002272A (ko) 투습방수성 아웃도어용 니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U2005292A (en) Soft stretchable composite fabric
KR20160022706A (ko) 나노웹을 이용한 투습방수 자카드 원단의 제조방법
KR101929841B1 (ko) 투습성 및 방수성 의류용 섬유 원단
KR101447568B1 (ko)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적용한 고기능 투습방수성 데님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2539863B1 (ko) 통기쾌적성을 보유한 바이러스 차단 보호복 및 이의 제조 방법
EP2650123A1 (en) Breathable artificial leather
US9028944B2 (en) Stitched multi-layer fabric
JP3243405U (ja) 使い捨てガウン
KR20130004675A (ko) 건축 투습방수 소재용 다층구조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WO2023088605A1 (de) Virendichte membran
KR20230085997A (ko) 투습방수성 복합부직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