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473B1 - 실외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실외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473B1
KR101960473B1 KR1020180069033A KR20180069033A KR101960473B1 KR 101960473 B1 KR101960473 B1 KR 101960473B1 KR 1020180069033 A KR1020180069033 A KR 1020180069033A KR 20180069033 A KR20180069033 A KR 20180069033A KR 101960473 B1 KR101960473 B1 KR 101960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support
outdoor unit
supporting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운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운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운형
Priority to KR102018006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60Arrangement or mounting of the outdo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외기가 배치되는 지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 그 형태에 맞게 각도 및 높낮이가 조절되어 실외기를 수평상태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는, 실외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부에서 이동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받침부와 고정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가 고정부 상에서 회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회동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외기 지지장치{OUT-DOOR MACHINE SUPPORT APPARATUS}
본 발명은 옥상이나 지상에 설치되는 실외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실외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방(또는 난방)사이클을 연속적으로 수행 함으로써 조화공간에 소정의 조화공 기(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여 인간이 생활하기에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내기와 실외기가 분리 구성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측유니트와 실외측유니트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된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증발기 및 송풍팬이 내장된 실내기 그리고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며 응축기와 압축기가 내장된 실외기로 분리 구성된다.
그리고, 실외기는 건축물의 난간에 설치되거나 옥상이나 지상에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293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기가 배치되는 지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 그 경사각에 맞게 각도 및 높낮이가 조절되어 실외기를 수평상태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실외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구성간의 결합 안정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실외기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는 실외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는, 실외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부에서 이동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받침부와 고정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가 고정부 상에서 회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회동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가 고정되는 하부지지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는 각각,
서로 평행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를 연결하는 제2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의 사이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방진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의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각각,
상판, 상기 상판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위치되는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의 상판에 안착되고 상측이 상기 상부지지부의 상판 저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측판에 감싸여진다.
또한, 상기 제2부재의 상판이 제1부재의 상판 저면을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축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알루미늄 또는 SUS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가이드부는,
상기 고정부와 받침부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곡선부를 형성하여 상기 받침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는, 실외기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지지부를 받치는 받침부가 회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실외기가 배치되는 지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 경사각에 맞게 받침부의 각도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실외기를 수평상태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지부의 결합 안정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어 실외기의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에 적용된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에 적용된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에 적용된 연결부를 통해 복수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에 적용된 회동가이드부를 통해 받침부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에 적용된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에 적용된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에 적용된 연결부를 통해 복수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에 적용된 회동가이드부를 통해 받침부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실외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강성이 우수하여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지형적 특성에 맞게 기울기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외기 지지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1)는 지지부(10), 받침부(20), 고정부(30), 회동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는 하부지지부(11), 하부지지부(11)의 상부에 결합되어 실외기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지지부(11)와 상부지지부(12)는 동일한 구성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서로 평행하는 제1부재(111,121) 및 제1부재(111,121)의 양측과 중앙부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2부재(11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부재(111,121) 및 제2부재(112,122)는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지지부(12)의 제1부재(121) 및 제2부재(122)의 상면에는 실외기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찰패드(70)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지지부(11)와 상부지지부(12)의 제1부재(111,121)와 제2부재(112,122)는 각각, 상판(111a,112a,121a,122a), 상판(111a,112a,121a,122a)의 양측에서 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측판(111b,112b,121b,122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부재(111,121)와 제2부재(112,122)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부재(111,121)들의 측판(111b,121b) 중 제2부재(112,122)가 결합되는 부분은 제2부재(112,122)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부재(112,122)의 양측은 제1부재(111,121)의 측판(111b,121b) 절개된 부분을 관통하며, 제2부재(112,122)의 상판(112a,122a)이 제1부재(111,121)의 상판(111a,121a) 저면에 스폿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2부재(112,122)가 제1부재(111,121)의 저면을 각각 직접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 지지부(10)가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부재(111,121)가 실외기의 하중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등 이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부지지부(12)의 제1부재(121) 양측 일정영역에는 측판이 미 형성될 수 있으며, 측판이 미 형성된 부분에는 엣지부(6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엣지부(60)를 통해서는 간격조절부 및 후술되는 고정부(3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엣지부(60)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 일측과 타측이 상부지지부(12)를 구성하는 제1부재(121)의 상판(121a) 및 제2부재(122)의 상판(122a) 저면에 각각 용접 결합될 수 있다.
간격조절부는 하부지지부(11)와 상부지지부(12)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나의 볼트(B2), 볼트(B2)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너트(N2), 볼트(B2)에 체결되며 엣지부(60)의 저면을 지지하는 와샤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B2)는 제1부재(111)의 하부에서 상판(111a)에 형성된 홀 및 엣지부(60)에 형성된 홀을 관통을 관통하여 상측 일부분이 엣지부(60)의 빈 공간에 노출된다.
너트(N2)는 2개 한 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볼트(B2)에 체결된다.
이때, 하나의 너트는 상판(111a)의 상면에 안착되고, 다른 하나의 너트는 엣지부(6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체결되어 볼트(B2)를 상판(111a)과 엣지부(60)에 고정시킨다.
이로 인해, 필요에 따라 볼트(B2) 상에서 너트(N2) 및 와샤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상부지지부(12)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하부지지부(11)와 상부지지부(12)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상판(121a)에는 상부지지부(11)가 하강될 경우 볼트(B2) 및 후술되는 볼트부(31)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홀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부가적으로, 하부지지부(11)와 상부지지부(12)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방진부(40)가 일정간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방진부(40)는 실외기가 작동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것으로, 대략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이 하부지지부(11)를 구성하는 제1부재(121)의 상판(121a) 상면에 안착되고, 상면이 상부지지부(12)를 구성하는 제2부재(122)의 상판(122a) 저면을 지지하도록 볼팅 결합된다.
이때, 방진부(40)의 상측은 제1부재(121), 제2부재(122)를 구성하는 측판(121b,122b)에 감싸여져 은닉된다.
따라서, 방진부(40)와 제2부재(122)의 사이를 통해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방진부(40)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지지부(10)는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쉽게 녹슬거나 부식되지 않고, 내구성 및 강도가 우수한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SUS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 지지장치를 2개 이상으로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50)는 상부지지부(12) 또는 하부지지부(11)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하부지지부(11)를 구성하는 제1부재(111)의 상판(111a) 상면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아울러, 연결부(50)는 실외기 지지장치(1)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50)는 평평한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과 타측에는 축고정홀(51)이 각각 형성된다.
축고정홀(51)에는 상판(111a)을 관통한 볼트(B1)가 관통하게 되며, 볼트(B1)에 너트(N1)가 체결됨으로 인해, 연결부(50)가 상판(111a) 상에 고정된다.
즉, 연결부(50)는 일측이 축고정홀(51)을 통해 어느 하나의 실외기 지지장치에 고정되고, 타측은 축고정홀(51)을 통해 다른 하나의 실외기 지지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50)는 볼트(B1)를 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어, 실외기 지지장치를 일직선 또는 지그재그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축고정홀(51)은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부(50)가 볼트(B1)를 기준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함으로, 현장 여건에 따라 실외기 지지장치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작업자가 현장에서 큰 노력 없이 실외기 지지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부(50)를 하부지지부(11) 또는 상부지지부(12)에 결합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받침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고정부(30)를 통해 하부지지부(11)의 각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다.
받침부(20)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고정부(30)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부분에는 고정부(30)의 일부분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받침부(20)는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부(10)를 공중으로 띄운 상태로 지지하여 하부지지부(11)에 지면에 존재하는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한다.
고정부(30)는 받침부(20)를 하부지지부(11)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하나의 볼트부(31) 및 복수개의 너트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부(31)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312)가 받침부(20)의 저면 개방된 부분에서부터 홀과 하부지지부(11)에 형성된 홀 및 엣지부(6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측 일부분이 엣지부(60)의 빈 공간에 노출된다.
그리고, 볼트부(31)의 헤드(311)는 받침부(20)의 내부 천장면에 수용된다.
따라서, 볼트부(31)는 받침부(20)의 홀과 하부지지부(11)의 홀 및 엣지부(60)을 기준으로 승강이동 될 수 있어, 평평하지 않은 지면에서도 지지부(10)가 기울어지지 않고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를 지면에 배치함에 있어, 지면의 높낮이가 다른 경우에는 낮은 지형쪽에 위치된 볼트부(31)를 높은 지형쪽에 위치된 볼트부(31)보다 더 하강시켜 지지부(10)가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너트부(32)는 2개 한 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볼트부(31)의 몸체(312)에 체결된다.
이때, 하나의 너트부는 받침부(20)의 상면에 안착되고, 다른 하나의 너트부는 제2부재(122)를 구성하는 상판(122b)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체결되어 받침부(20)를 하부지지부(11)에 고정시킨다.
회동가이드부는 받침부(20)가 고정부(30)의 볼트부(31) 상에서 회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으로, 헤드(311)의 상측과 받침부(20)의 천장면에 각각 곡선부(21,3111)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311)의 받침부(20)의 서로 접촉 또는 마주하는 면에 곡선부(21,311)를 각각 형성할 경우, 받침부(20)가 전, 후, 좌, 우,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지면에 경사면이 존재할 경우 해당 받침부(20)의 높낮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지면에 안착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지지장치는 받침부(20)가 전술한 고정부(30)의 승강이동에 따라 높낮이 조절 가능하고, 곡선부(21,311)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함에 따라, 설치 대상 지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받침부(20)의 저면 전체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어, 실외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실외기 지지장치 10 : 지지부
11 : 하부지지부 111,121 : 제1부재
112,122 : 제2부재 111a,112a,121a,122a : 상판
111b,112b,121b,122b : 측판 12 : 상부지지부
20 : 받침부 21,3111 : 곡선부
30 : 고정부 31 : 볼트부
311 : 헤드 312 : 몸체
32 : 너트부 40 : 방진부
50 : 연결부 51 : 축고정홀
60 : 엣지부 70 : 마찰패드

Claims (8)

  1. 실외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부에서 이동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받침부와 고정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가 고정부 상에서 회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회동가이드부,
    한 쌍의 축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부가 고정되는 하부지지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실외기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의 사이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는 각각,
    서로 평행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를 연결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의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각각,
    상판, 상기 상판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위치되는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의 상판에 안착되고, 상측이 상기 상부지지부의 상판 저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측판에 감싸여지며,
    상기 제1부재들의 측판 중 상기 제2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은 제2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상기 제2부재의 양측은 제1부재의 측판 절개된 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제2부재의 상판이 제1부재의 상판 저면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부지지부의 제1부재 양측에는 상기 고정부가 설치되는 엣지부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와 하부지지부 및 엣지부에 관통설치되어, 받침부와 하부지지부 및 엣지부 상에서 승강이동되는 몸체, 상기 몸체와 연결되며 받침부의 내부 천장면에 접촉되는 헤드로 구성되는 볼트부, 상기 볼트부에 체결되되, 상기 받침부의 상면 및 제2부재의 상판 상면에 각각 안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가이드부는,
    상기 받침부가 전,후,좌,우 대각선 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와 받침부의 서로 접하는 면에 각각 곡선부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실외기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알루미늄 또는 SUS 재질로 형성되는 실외기 지지장치.
  8. 삭제
KR1020180069033A 2018-06-15 2018-06-15 실외기 지지장치 KR10196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033A KR101960473B1 (ko) 2018-06-15 2018-06-15 실외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033A KR101960473B1 (ko) 2018-06-15 2018-06-15 실외기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473B1 true KR101960473B1 (ko) 2019-03-20

Family

ID=6603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033A KR101960473B1 (ko) 2018-06-15 2018-06-15 실외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0350A (zh) * 2019-06-19 2019-11-12 中合智腾建设有限公司 一种多联机施工的安装装置
KR102084011B1 (ko) * 2019-07-03 2020-03-03 백승일 공기청정기용 받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27U (ja) * 1993-11-08 1995-06-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960029355A (ko) 1995-01-20 1996-08-17 넬리 뤼지오 음이온 중합에 의한 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JP4293448B2 (ja) * 2004-10-20 2009-07-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アジャスター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外機用設置台
KR20170100389A (ko) * 2016-02-25 2017-09-04 홍형의 태양광 셀 모듈 고정체
KR20180020726A (ko) * 2016-08-19 2018-02-28 이병재 실외기용 방진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27U (ja) * 1993-11-08 1995-06-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960029355A (ko) 1995-01-20 1996-08-17 넬리 뤼지오 음이온 중합에 의한 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JP4293448B2 (ja) * 2004-10-20 2009-07-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アジャスター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外機用設置台
KR20170100389A (ko) * 2016-02-25 2017-09-04 홍형의 태양광 셀 모듈 고정체
KR20180020726A (ko) * 2016-08-19 2018-02-28 이병재 실외기용 방진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0350A (zh) * 2019-06-19 2019-11-12 中合智腾建设有限公司 一种多联机施工的安装装置
CN110440350B (zh) * 2019-06-19 2021-12-14 中合智腾建设有限公司 一种多联机施工的安装装置
KR102084011B1 (ko) * 2019-07-03 2020-03-03 백승일 공기청정기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473B1 (ko) 실외기 지지장치
US8528875B2 (en) Three-dimensional telescoping adjustable equipment mounting fixture
US20200052643A1 (en) Solar tracker bearing apparatus
US7708235B2 (en) Mounting device
JP2018199394A (ja) ドローン用飛行安全フレーム
US20210194418A1 (en) Solar tracker bearing apparatus
WO2015042260A1 (en) Low slope mounted photovoltaic array
KR200400721Y1 (ko) 에어컨의 실외기 설치대
US9744807B2 (en) Wheel float with improved pivot joints
ES2302445B1 (es) Nuevo sistema de nivelacion y de amortiguacion de vibraciones.
JP2018074854A (ja) 太陽電池パネルの支持フレームの支持脚構造
RU2646190C1 (ru) Контейнерная охлаждаемая витрина
JP4668756B2 (ja) エアコン室外機の屋根置台
JP5339392B2 (ja) 輻射空調用の噴流ノズル及び輻射空調構造
JP2002349908A (ja) エアコン据え付け架台
JP6933715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JP6900001B2 (ja) ルーバー取付構造
JP3118743U (ja) 陸屋根用架台
KR200485674Y1 (ko) 선풍기
KR102644673B1 (ko) 위치조절이 가능한 특고압 배전선로 전신주 상태관리 시스템
KR200259594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지지구조
JP7459744B2 (ja) 取付金具および電源装置
CN220336166U (zh) 一种带有空调支撑结构的墙体
CN212930271U (zh) 空调施工用固定卡座
US20090199996A1 (en) Vertical sup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