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446B1 -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0446B1 KR101960446B1 KR1020170075814A KR20170075814A KR101960446B1 KR 101960446 B1 KR101960446 B1 KR 101960446B1 KR 1020170075814 A KR1020170075814 A KR 1020170075814A KR 20170075814 A KR20170075814 A KR 20170075814A KR 101960446 B1 KR101960446 B1 KR 1019604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area
- information output
- braill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0881 depres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779 in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4 rep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8—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visual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for the partially sight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04M1/2476—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for a visually impaired us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여 돌출하거나 함몰하도록 형성되어 돌출 또는 함몰 구동 시에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표현 부재와, 일련의 점자를 복수의 표현 부재 상에서 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하는 활성화 영역 산출부와, 활성화 영역 중 점자와 점자 사이를 비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하는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와, 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표현 부재 각각을 돌출 또는 함몰 구동하고, 비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표현 부재 각각을 함몰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등의 스마트 기기의 발전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 일상 생활에서 대중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는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에 기반하고 있어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나 터치 위치의 파악이 어려워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들이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소리나 촉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이 절실한 상황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정보 출력 장치에 출력되는 다양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구분이 손쉽게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정보 인식률을 향상시키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에 구비된 액추에이터의 수명을 균일하도록 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여 돌출하거나 함몰하도록 형성되어 돌출 또는 함몰 구동 시에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표현 부재; 일련의 점자를 상기 복수의 표현 부재 상에서 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하는 활성화 영역 산출부; 상기 활성화 영역 중 상기 점자와 점자 사이를 비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하는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 및 상기 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현 부재 각각을 돌출 또는 함몰 구동하고, 상기 비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현 부재 각각을 함몰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상기 정보 출력 장치에 저장된 정보 및/또는 상기 정보 출력 장치에서 생성된 정보 중 하나를 출력 대상으로 선별하여 상기 표현 부재에 출력하는 출력 대상 선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출력 대상 선별부가 선별한 상기 출력 대상에 대하여 제1 정보 출력 모드 내지 제3 정보 출력 모드 중 어느 한 정보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출력 모드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출력 모드 결정부가 결정한 어느 한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출력 대상을 상기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표현 부재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표현 부재 각각을 돌출하거나 함몰하도록 구동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은, 일련의 점자를,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여 돌출하거나 함몰하도록 형성되어 돌출 또는 함몰 구동 시에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표현 부재 상에서, 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영역 중 상기 점자와 점자 사이를 비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현 부재 각각을 돌출 또는 함몰 구동하고, 상기 비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현 부재 각각을 함몰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상기 정보 출력 장치에 저장된 정보 및/또는 상기 정보 출력 장치에서 생성된 정보 중 하나를 출력 대상으로 선별하여 상기 표현 부재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출력 대상 선별부가 선별한 상기 출력 대상에 대하여 제1 정보 출력 모드 내지 제3 정보 출력 모드 중 어느 한 정보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출력 모드 결정부가 결정한 어느 한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출력 대상을 상기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정보 출력 장치에 출력되는 이미지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에 출력되는 점자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에 동시 출력되는 이미지 정보 및 점자 정보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정보 출력 장치에 출력되는 이미지 정보 및/또는 점자 정보를 포함하는 활성화 영역과 이미지 정보 및/또는 점자 정보를 구분하는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켜,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들의 수명이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 중 제1 정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정보 처리부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처리부 및 산출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정보 처리부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처리부 및 산출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1 정보 처리부 중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처리부 및 산출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 중 정보 출력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 중 제2 정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정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측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에 출력되는 정보 관련 예시도 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시프트 결과 관련 예시도 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시프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 중 제1 정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정보 처리부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처리부 및 산출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정보 처리부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처리부 및 산출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제1 정보 처리부 중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처리부 및 산출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 중 정보 출력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 중 제2 정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정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측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에 출력되는 정보 관련 예시도 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시프트 결과 관련 예시도 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시프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1000)는 통신부(100), 메모리(200), 프로그램 저장부(300), 제어부(400), 제1 정보 처리부(500), 정보 출력부(600) 및 제2 정보 처리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0)는 통신망과 연동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정보 제공 시스템 또는 서버 또는 다른 정보 출력 장치) 및 정보 출력 장치(1000) 사이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비되며,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00)는 정보 출력 장치(1000)로부터 소정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정보 출력 장치(1000)가 처리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이라 함은, 외부 장치와 정보 출력 장치(10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체로써, 정보 출력 장치(1000)가 외부 장치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부(10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200)는 제어부(400)가 처리하는 정보 및/또는 통신부(10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20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300)는 정보 출력 장치(1000)에 출력할 출력 대상을 선별하는 작업,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작업, 결정된 출력 모드에 따라 정보를 처리하는 작업,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에 처리한 정보의 출력 위치를 산출하는 작업, 출력 위치에 따라 표현 부재(도 8 내지 도 13의 5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작업, 정보 출력 장치(1000)의 동작 시간을 산출하는 작업, 표현 부재의 구동 시간 및/또는 동작 횟수를 산출하는 작업, 표현 부재의 구동 위치를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키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정보 출력 장치(1000)가 외부 장치에 접속하여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거나, 내부적으로 정보를 생성하면 프로그램 저장부(300)와 연계하여 정보를 처리하고 정보 출력 장치(1000)로 정보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임의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정보 처리부(500)는 통신부(10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메모리(200)에 저장된 정보 및/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정보(예를 들어,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에서 작성한 문자 메시지 정보 등)를 정보 출력 장치(1000)에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정보라 함은 이미지 정보 및/또는 점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정보는 사진, 만화, 그림 등의 정지 컷, 동영상, 일련의 텍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정보 처리부(500)는 이미지 정보 및/또는 점자 정보로부터 출력 대상을 선별하고, 선별한 출력 대상에 대하여 정보 출력 모드를 결정하며, 결정한 정보 출력 모드에 따라 출력 대상에 대한 정보 처리를 수행한 후,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활성화 영역 산출 및 비활성화 영역 산출이라 함은,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에 구비된 표현 부재의 구동(돌출 또는 함몰)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정보 출력부(600)는 제1 정보 처리부(500)에서 산출한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는 표현 부재 각각을 돌출 및/또는 함몰하도록 구동하여 사용자가 촉감에 의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정보 처리부(70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이라 함은, 절대 시간, 정보 출력 장치(1000)의 동작 시간 및 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표현 부재 각각의 돌출 및 함몰 구동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방향이라 함은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1열 이상 및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1행 이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방향은 방향과 함께 시프트 할 열 및/또는 시프트 할 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2 정보 처리부(700)는 일정 빈도가 초과하면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빈도라 함은, 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표현 부재 각각의 돌출 및 함몰 구동 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2 정보 처리부(700)는 사용자로부터 시프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시프트 방향 또한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시프트 방향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프로그래밍된 시프트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정보 처리부(700)가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킴으로써, 표현 부재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의 수명이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1000) 중 제1 정보 처리부(50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정보 처리부(500)는 출력 대상 선별부(510), 출력 모드 결정부(520), 처리부(530) 및 산출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대상 선별부(510)는 통신부(10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메모리(200)에 저장된 정보 및/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정보로부터 정보 출력 장치(1000)에 출력할 출력 대상을 선별할 수 있다. 출력 대상 선별부(510)는 출력 대상을 선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어떤 정보를 출력 대상으로 결정할 것인지 요청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출력 대상 즉, 이미지 정보 또는 점자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 및 점자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혼합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출력 대상 선별부(510)는 시간 순서대로 출력 대상을 선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통신부(10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점자 정보 및 메모리(200)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 중, 통신부(10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점자 정보가 가장 빠른 경우, 통신부(10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점자 정보를 출력 대상으로 선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출력 대상 선별부(510)는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우선 순위로 출력 대상을 선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미지 정보, 점자 정보 및 혼합 정보 중 점자 정보를 우선 순위로 설정한 경우, 통신부(10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메모리(200)에 저장된 정보 및/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정보 중 점자 정보를 출력 대상으로 선별할 수 있다.
출력 모드 결정부(520)는 출력 대상 선별부(510)가 선별한 출력 대상에 대하여 정보 출력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출력 모드 결정부(520)는 정보 출력 모드를 세 가지 모드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제1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 제2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점자 정보 출력 모드, 제3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혼합 정보 출력 모드(이미지 정보 및 점자 정보 출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 출력 모드의 분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출력 방법이 서로 다름에 기인한 것이다. 제1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는 정보 출력 장치(1000)에 이미지 정보만을 출력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점자 정보 출력 모드는 정보 출력 장치(1000)에 점자 정보만을 출력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혼합 정보 출력 모드는 정보 출력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서로 다른 종류의 정보를 출력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530)는 결정된 출력 모드에 따라 정보 출력을 위한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처리부(530)는 제1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에 대하여, 출력할 이미지를 정보를 전경 영역 및 배경 영역으로 분리하고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할 수 있다. 처리부(530)는 제2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점자 정보 출력 모드에 대하여, 출력할 점자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텍스트 정보를 점자 정보로 변환하고, 점자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처리부(530)는 텍스트 정보를 점자 정보로 변환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530)는 제3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혼합 정보 출력 모드에 대하여, 정보 출력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디스플레이 영역 각각의 표현 부재에 출력할 이미지 정보 및 점자 정보 매핑할 수 있다.
산출부(540)는 처리부(530)의 정보 처리 결과에 대응하여 정보 출력 장치(1000)에 포함되는 출력 부재 각각에 대하여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활성화 영역은 표현 부재 각각이 동적으로 돌출 구동 또는 함몰 구동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비활성화 영역은 표현 부재 각각이 동적으로 돌출 구동 및/또는 함몰 구동되지 않고, 출력 모드가 종료할 때까지 함몰 구동만을 유지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함몰 구동의 유지는 출력 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한데, 어느 한 출력 모드에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는 함몰 구동을 유지할 수 있고, 다른 모드에서 동일한 표현 부재는 돌출 구동되거나 함몰 구동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 예에서 활성화 영역의 산출이라 함은, 표현 부재에 대한 돌출 구동 위치 또는 함몰 구동 위치의 산출을 포함할 수 있고, 비활성화 영역의 산출이라 함을 표현 부재에 대한 함몰 구동을 유지시키는 위치의 산출을 포함할 수 있다.
산출부(540)는 제1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에서, 출력할 이미지를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한 결과로부터 제1 활성화 영역 및 제2 활성화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에서 제1 활성화 영역의 산출이라 함은, 이미지 정보 중 전경 영역에 대한 표현 부재의 돌출 구동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활성화 영역의 산출이라 함은, 이미지 정보 중 배경 영역에 대한 표현 부재의 함몰 구동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에서는 비활성화 영역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산출부(540)는 제2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점자 정보 출력 모드에서, 출력할 점자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한 결과로부터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점자 정보 출력 모드에서 활성화 영역의 산출이라 함은, 점자 정보에 대한 표현 부재의 돌출 및/또는 함몰 구동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비활성화 영역의 산출이라 함은, 활성화 영역 중에서 점자의 열과 열 사이, 점자의 행과 행 사이 및 점자의 단락과 단락 사이 중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에 대한 함몰 구동 유지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산출부(540)는 제3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혼합 정보 출력 모드에 대하여, 출력할 이미지를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한 결과에 대하여, 제1 활성화 영역 및 제2 활성화 영역을 산출하고, 출력할 점자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한 결과에 대하여,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정보 처리부(500)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처리부(530) 및 산출부(54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처리부(530)는 매핑부(531)를 포함할 수 있고, 산출부(540)는 제1 활성화 영역 산출부(541-1) 및 제2 활성화 영역 산출부(5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도 3은 제1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에 대한 정보 처리 및 산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라 할 수 있다.
매핑부(531)는 출력할 이미지를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할 수 있다. 매핑부(531)는 출력할 이미지 정보 중 전경 영역에 대하여 제1 매핑을 수행하고, 배경 영역에 대하여 제2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매핑이라 함은 전경 영역을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매핑이라 함은 배경 영역을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활성화 영역 산출부(541-1)는 제1 매핑 결과에 따라 전경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의 돌출 구동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추 후 정보 출력부(600)의 동작으로 전경 영역에 제1 매핑된 표현 부재가 돌출 구동되면, 사용자는 제1 매핑된 표현 부재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미지 정보 상의 전경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제2 활성화 영역 산출부(541-2)는 제2 매핑 결과에 따라 배경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의 함몰 구동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추 후 정보 출력부(600)의 동작으로 배경 영역에 제2 매핑된 표현 부재가 함몰 구동되면, 사용자는 제2 매핑된 표현 부재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미지 정보 상의 배경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0)에 출력되는 이미지 정보는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동작 또는 구비된 버튼(도 8의 1001)의 조작으로 크기 조정이 가능하다. 이미지 크기 조정 신호가 수신되면, 매핑부(531)는 전경 영역 및 배경 영역에 새로운 매핑을 수행하여 표현부재의 돌출 구동 위치 및 함몰 구동 위치를 새롭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10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에 의해 정보 출력 장치(1000)가 회전(가로 또는 세로)하는 경우, 매핑부(531)는 회전 결과에 대응하여 전경 영역 및 배경 영역에 새로운 매핑을 수행하여 표현부재의 돌출 구동 위치 및 함몰 구동 위치를 새롭게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출력할 이미지 정보가 순수한 이미지 정보가 아닌 텍스트 정보인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정보 출력 장치(1000)에 텍스트 <대한민국 자동차>를 출력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매핑부(531)는 출력할 텍스트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할 수 있다. 매핑부(531)는 출력할 텍스트 정보 중 텍스트 자체에 대하여 제1 매핑을 수행하고, 텍스트를 제외한 부분에 대하여 제2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매핑이라 함은 텍스트 자체를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매핑이라 함은 텍스트를 제외한 부분에 대하여 복수의 표현 부재를 매핑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매핑이라 함은, N×N개의 표현 부재로부터 제1 매핑 결과가 제외된 표현 부재에 대한 매핑이라 할 수 있다.
제1 활성화 영역 산출부(541-1)는 제1 매핑 결과에 따라 텍스트 자체에 대한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의 돌출 구동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추 후 정보 출력부(600)의 동작으로 텍스트 자체에 제1 매핑된 표현 부재가 돌출 구동되면, 사용자는 제1 매핑된 표현 부재를 감지하는 것으로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제2 활성화 영역 산출부(541-2)는 제2 매핑 결과에 따라 텍스트를 제외한 부분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의 함몰 구동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추 후 정보 출력부(600)의 동작으로 텍스트를 제외한 부분에 제2 매핑된 표현 부재가 함몰 구동되면, 사용자는 제2 매핑된 표현 부재를 감지하는 것으로 텍스트의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0)에 출력되는 텍스트 정보는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동작 또는 구비된 버튼(도 8의 1001)의 조작으로 크기 조정이 가능하다. 텍스트 크기 조정 신호가 수신되면, 매핑부(531)는 텍스트 자체 및 텍스트를 제외한 부분에 새로운 매핑을 수행하여 표현 부재의 돌출 구동 위치 및 함몰 구동 위치를 새롭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100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에 의해 정보 출력 장치(1000)가 회전(가로 또는 세로)하는 경우, 매핑부(531)는 회전 결과에 대응하여 텍스트 자체 및 텍스트를 제외한 부분에 새로운 매핑을 수행하여 표현부재의 돌출 구동 위치 및 함몰 구동 위치를 새롭게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제1 정보 처리부(500)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처리부(530) 및 산출부(54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처리부(530)는 변환부(532)를 포함할 수 있고, 산출부(540)는 활성화 영역 산출부(541) 및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도 5는 제2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점자 정보 출력 모드에 대한 정보 처리 및 산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라 할 수 있다.
매핑부(531)는 점자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할 수 있다. 점자 정보는 3행 2열로 배열된 6개의 도트를 포함하는 점자셀(braille cell) 단위로 출력되며, 본 실시 예에 적용하면, 점자셀은 6개의 표현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점자는 6개의 표현 부재로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하나의 점자셀이 6개의 표현 부재를 포함한다고 한정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하나의 점자셀은 2개 이상 8개의 표현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상의 표현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매핑부(531)는 단어, 문장 성분, 문장 및 단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련의 점자 정보를 표현 부재에 매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변환부(532)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텍스트 정보 및/또는 내부에서 생성한 텍스트 정보를 점자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부(532)는 점자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한글 자음(ㄱ, ㄴ, ㄷ, ..., ㅎ), 한글 모음(ㅏ, ㅑ, ㅓ, ..., ㅞ), 된소리(ㄲ, ㄸ, ㅃ, ㅆ, ㅉ,), 약자(가, 사, ..., 그런데, 그러므로, 그리하여), 숫자(1, 2, 3, ..., 0), 부호(?, !, +, ...) 또는 영어 알파벳(A, B, C,..Z) 등으로 이루어진 브라유 점자법에 대한 점자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변환부(532)는 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면, 점자 테이블에 기초하여 텍스트 정보를 점자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매핑부(531)로 전송하여 점자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할 수 있다.
활성화 영역 산출부(541)는 매핑 결과에 따라 점자 정보에 대응하는 표현 부재 각각의 돌출 구동 위치 및 함몰 구동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추 후 정보 출력부(600)의 동작으로 점자에 포함되는 표현 부재가 돌출 구동 및/또는 함몰 구동되면, 사용자는 점자셀 내의 표현 부재의 위치 및 개수를 감지하여 점자를 인식할 수 있다.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는 활성화 영역 중 점자를 구분하기 위한 표현 부재의 함몰 구동 유지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는 제1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1) 내지 제3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1)는 점자의 열과 열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점자의 열과 열 사이에 위치한 예를 들어, 3행 1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 열을 제1 비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추 후 정보 출력부(600)의 동작으로 제1 비활성화 영역 즉, 3행 1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 열이 함몰 구동 유지되면, 사용자는 함몰 구동 유지된 표현 부재의 위치 및 개수를 감지하여 점자의 열과 열 사이에 구분된 영역임을 인식할 수 있다.
제2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2)는 점자의 행과 행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점자의 행과 행 사이에 위치한 예를 들어, 1행 1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 열을 제2 비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추 후 정보 출력부(600)의 동작으로 점자의 행과 점자의 행 사이의 제2 비활성화 영역 즉, 1행 1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열이 함몰 구동 유지되면, 사용자는 함몰 구동 유지된 표현 부재의 위치 및 개수를 감지하여 점자의 행과 행 사이의 구분된 영역임을 인식할 수 있다.
제3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3)는 점자의 문단과 문단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점자의 문단과 문단 사이에 위치한 예를 들어, 2행 2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 열을 제3 비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추 후 정보 출력부(600)의 동작으로 점자의 문단과 점자의 문단 사이의 제3 비활성화 영역 즉, 2행 2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열이 함몰 구동 유지되면, 사용자는 함몰 구동 유지된 표현 부재의 위치 및 개수를 감지하여 점자의 문단과 점자의 문단 사이의 구분된 영역임을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제1 정보 처리부(500) 중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처리부(530) 및 산출부(54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처리부(530)는 매핑부(531), 변환부(532) 및 분할부(533)를 포함할 수 있고, 산출부(540)는 활성화 영역 산출부(541) 및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부터 도 5는 제3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혼합 정보 출력 모드(이미지 정보 및 점자 정보 출력 모드)에 대한 정보 처리 및 산출을 설명하는 도면이라 할 수 있다.
분할부(533)는 제3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혼합 정보 출력 모드를 위해 정보 출력 장치(1000)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할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중 어느 한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점자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점자 정보를 출력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선택적 실시 예로 분할부(533)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고정시키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고정시킨다 함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 정보의 출력을 유지하는 것을 나타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동시킨다 함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점자 정보의 출력을 변경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소정의 이미지 정보를 출력한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전체 제1 단락 내지 제3 단락을 포함하는 점자 정보를 출력해야 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1 단락 내지 제3 단락 전체를 동시에 출력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먼저 제1 단락에 해당하는 점자 정보를 출력하고, 소정의 시간차 간격(예를 들어, 1초) 또는 사용자에 의한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끝부분의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 제2 단락에 해당하는 점자 정보 및 제3 단락에 해당하는 점자정보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매핑부(531)는 출력할 이미지를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할 수 있고, 출력할 점자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할 수 있다. 변환부(532)는 텍스트 정보를 점자 정보로 변환하여 매핑부(531)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매핑부(531) 및 변환부(532)의 상세 내용은 도 3 및 도 5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활성화 영역 산출부(541)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이미지 정보에 대한 매핑 결과에 따라 전경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의 돌출 구동 위치를 산출할 수 있고, 배경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의 함몰 구동 위치를 산출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할 점자 정보에 대한 매핑 결과에 따라 표현 부재의 돌출 구동 위치 및/또는 함몰 구동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 영역 중 점자를 구분하기 위한 표현 부재의 함몰 구동 유지 위치를 산출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리하는 분리 비활성화 영역으로써 제4 비활성화 영역에 대한 표현 부재의 함몰 구동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는 제1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1) 내지 제4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1) 내지 제3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3)의 동작은 점자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한다는 차이점 이외에 도 4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4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542-4)는 이미지 정보 및 점자 정보 정보를 분리하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이에 위치한 예를 들어 3행 3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 열을 제4 비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추 후 정보 출력부(600)의 동작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리하는 위치에 제4 비활성화 영역 즉, 3행 3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 열이 함몰 구동 유지되면, 사용자는 함몰 구동 유지된 표현 부재의 위치 및 개수를 감지하여 이미지 정보와 점자 정보를 분리하는 영역임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1000) 중 정보 출력부(60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보 출력부(600)는 제1 구동 제어부(610-1) 내지 제N 구동 제어부(610-N), 제1 액추에이터(620-1) 내지 제N 액추에이터(620-N) 및 제1 구동 제어부(610-1) 내지 제N 구동 제어부(610-N)의 제어 하에 직선(돌출 또는 함몰) 운동을 수행하는 제1 액추에이터(620-1) 내지 제N 액추에이터(620-N) 각각에 연결된 제1 표현 부재(630-1) 내지 제N 표현 부재(630-N)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제어부(610-1) 내지 제N 구동 제어부(610-N)는 제1 정보 처리부(500)에서 출력되는 활성화 영역 산출 결과 및 비활성화 영역 산출 결과에 따라 제1 표현 부재(630-1) 내지 제N 표현 부재(630-N) 중 하나 이상을 돌출 구동 및/또는 함몰 구동시키기 위해 대응하는 제1 액추에이터(620-1) 내지 제N 액추에이터(620-N)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구동 제어부(610-1) 내지 제N 구동 제어부(610-N)는 표현 부재들에 대하여 돌출 구동 및/또는 함몰 구동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돌출 구동이라 함은, 제1 표현 부재(630-1) 내지 제N 표현 부재(630-N) 중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가 정보 출력 장치(10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바닥면에서 일정 거리(예를 들어 0.5cm) 이상 상승 하도록 대응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함몰 구동이라 함은, 제1 표현 부재(630-1) 내지 제N 표현 부재(630-N) 중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가 정보 출력 장치(10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바닥면에서 상승하지 못하도록 또는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대응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제어부(610-1) 내지 제N 구동 제어부(610-N)는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에 대하여, 제1 표현 부재(630-1) 내지 제N 표현 부재(630-N) 중 정보 처리부(500)에서 출력되는 제1 활성화 영역 산출 결과에 매핑하는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가 돌출 구동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고, 정보 처리부(500)에서 출력되는 제2 활성화 영역 산출 결과에 매핑하는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가 함몰 구동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구동 제어부(610-1) 내지 제N 구동 제어부(610-N)는 점자 정보 출력 모드에 대하여, 제1 표현 부재(630-1) 내지 제N 표현 부재(630-N) 중 정보 처리부(500)에서 출력되는 활성화 영역 산출 결과에 매핑하는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가 돌출 구동 및/또는 함몰 구동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 할 수 있고, 정보 처리부(500)에서 출력되는 비활성화 영역 산출 결과에 매핑하는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가 함몰 구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액추에이터를 제어 할 수 있다.
제1 구동 제어부(610-1) 내지 제N 구동 제어부(610-N)는 혼합 정보 출력 모드에 대하여, 제1 표현 부재(630-1) 내지 제N 표현 부재(630-N)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리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술한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에 대응하여 표현 부재들을 돌출 구동 및/또는 함몰 구동하도록 해당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술한 점자 정보 출력 모드에 대응하여 표현 부재들을 돌출 구동 및/또는 함몰 구동하거나 함몰 구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당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구동 제어부(610-1) 내지 제N 구동 제어부(610-N)는 제4 비활성화 영역에 대하여 3행 3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 열의 함몰 구동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정보 출력 장치(1000) 중 제2 정보 처리부(70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정보 처리부(700)는 시간 산출부(710), 빈도 산출부(720), 수신부(730) 및 시프트 처리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표현 부재(630)의 각각은 액추에이터(620) 각각에 연결 또는 매핑되어 있고, 구동 제어부(610)에 의해 액추에이터(620)가 직선 운동을 하여 표현 부재(530)가 돌출 또는 함몰되기 때문에 표현 부재(630)의 돌출 또는 함몰은 액추에이터(620)의 돌출 또는 함몰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620)는 구동 제어부(610)의 제어 하에 표현 부재(630)를 기계적으로 동작시키기 때문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동작이 멈추는 동작 수명을 포함하고 있다.
활성화 영역에 매핑된 액추에이터(620)는 돌출 구동 되거나 함몰 구동 될 수 있고, 비활성화 영역에 매핑된 액추에이터(620)는 함몰 구동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함몰 구동을 유지하는 비활성화 영역은 고정된 위치의 제1 비활성화 영역(점자의 열과 열 사이에 위치한 3행 1열로 배열된 액추에이터(620) 열), 고정된 위치의 제2 비활성화 영역(점자의 행과 행 사이에 위치한 1행 1열로 배열된 액추에이터(620) 열), 고정된 위치의 제3 비활성화 영역(점자의 문단과 문단 사이에 위치한 2행 2열로 배열된 액추에이터(620) 열) 및 고정된 위치의 제4 비활성화 영역(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사이에 위치한 3행 3열로 배열된 액추에이터(620) 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액추에이터(620)의 동작 시간 및/또는 횟수와 비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액추에이터(620) 동작 시간 및/또는 횟수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액추에이터(620)의 수명과 비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액추에이터(620)의 수명이 서로 달라지며, 더욱 상세하게는 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액추에이터(620)의 수명이 더 짧아지게 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620) 수명의 차이는 전체적인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원할한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수명이 설정된 시간 보다 또한 더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정보 처리부(700)는 일정 시간 경과, 일정 빈도 초과 및 사용자의 시프트 요청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킴으로써, 전체 액추에이터(620)의 수명이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시간 산출부(710)는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킬 수 있는 일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을 산출한다 함은 일정 시간을 카운트하여 축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라 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1 시프트 개시 시간(예를 들어 설정 개시 시간을 기준으로 일 주일, 한 달 등) 및 정보 출력 장치(1000) 제작 시에 프로그래밍 되어 프로그램 저장부(300)에 저장된 제2 시프트 개시 시간(예를 들어 정보 출력 장치(1000) 최초 구동 후 200 시간 등)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절대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라 함은 정보 출력 장치(1000)가 실질적으로 정보를 출력하는 동작 시간을 나타내는 제3 시프트 개시 시간(예를 들어 정보 출력 장치(1000) 최초 구동 후 150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시프트 개시 시간 및 제3 시프트 개시 시간은 서로 다를 수 있는데, 제2 시프트 개시 시간은 정보 출력 장치(1000)가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및 정보 출력 장치(1000)가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여 정보 출력 장치(1000)가 최초 구동한 후 계속 카운트하는 시간을 포함하고, 제3 시프트 개시 시간은 정보 출력 장치(1000)가 정보를 출력할 때만 카운트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라 함은 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액추에이터(620) 각각의 돌출 및 함몰 구동 시간을 나타내는 제4 시프트 개시 시간(예를 들어 돌출 100 시간 및 함몰 100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 후 시프트 처리부(740)는 제1 시프트 개시 시간 내지 제4 시프트 개시 시간 중 어느 한 시프트 개시 시간이 되면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하거나, 제1 시프트 개시 시간 내지 제4 시프트 개시 시간에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우선 순위를 설정한 시프트 개시 시간이 되면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할 수 있다.
빈도 산출부(720)는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킬 수 있는 일정 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빈도를 산출한다 함은 일정 빈도 즉, 횟수를 카운트하여 축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 빈도라 함은,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최초 구동 후 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액추에이터(620) 각각의 돌출 및 함몰 구동 빈도(예를 들어, 돌출 및 함몰 1000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730)는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시프트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시프트 요청 신호는 상술한 일정 시간 및 일정 빈도 보다 최 우선 순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수신부(730)는 사용자로부터 시프트 방향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시프트 방향 설정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프로그래밍된 시프트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시프트 처리부(740)는 일정 시간 경과, 일정 빈도 초과 및 사용자의 시프트 요청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정 방향이라 함은 프로그래밍된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1열 이상 및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1행 이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방향은 방향과 함께 시프트 할 열 및/또는 시프트 할 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방향이라 함은 이전의 활성화 영역이 시프트 된 후 비활성화 영역으로 전환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시프트 처리부(740)는 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액추에이터(620) 각각에 대해 돌출 및 함몰 구동 시간 및/또는 돌출 및 함몰 구동 빈도의 평균을 산출하고, 구동 시간 및/또는 구동 빈도가 가장 높은 액추에이터(620)가 비활성화 영역에 위치하도록,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킬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시프트 처리부(740)는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킨 후에, 활성화 영역에 포함되지만 3행 2열로 배열된 점자셀을 형성할 수 없는 하나 이상의 더미 영역(예를 들어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최 좌/우측 2열 이하 또는 최 상/하측 2열 이하) 존재하는 경우, 해당 더미 영역을 비활성화 영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정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정면 부분은 이미지 정보, 점자 정보 또는 혼합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N개의 표현 부재(630-1 내지 630-N)를 포함하고 있으며, N개의 표현 부재(630-1 내지 630-N) 각각은 제1 구동 제어부(610-1) 내지 제N 구동 제어부(610-N)의 제어에 따른 제1 액추에이터(620-1) 내지 제N 액추에이터(620-N)의 직선 운동으로 돌출 구동 또는 함몰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정보 출력 장치(1000)는 하나 이상의 버튼(1001)이 구비되어 버튼(1001) 입력에 대응하는 추가 기능(전원 켜기, 전 단계로 돌아가기, 선택하기, 화면 이동, 화면 확대 /축소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측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측면 부분으로부터 표현 부재(630)의 돌출 구동 상태 및 표현 부재의 함몰 구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데, 표현 부재(630)의 돌출 구동 상태라 함은, 표현 부재(630)가 정보 출력 장치(10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바닥면(1002)에서 일정 거리(예를 들어 0.6cm) 이상 상승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고, 표현 부재(630)의 함몰 구동 상태라 함은, 표현 부재(630)가 정보 출력 장치(10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바닥면(1002)에 위치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8의 정보 출력 장치(1000)에 출력되는 정보 관련 예시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1000)가 제1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a는 전경 영역 및 배경 영역으로 분할된 이미지 정보를 도시하고 있고, 도 10b는 도 10a의 이미지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제1 표현 부재(630-1) 내지 제N 표현 부재(630-N)로 출력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미지 정보의 전경영역은 제1 표현 부재(630-1) 내지 제N 표현 부재(630-N) 중 매핑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가 제1 활성화 영역(1010)으로 산출되어 돌출 구동되어 있고, 이미지 정보의 배경 영역은 매핑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가 제2 활성화 영역(1020)으로 산출되어 함몰 구동되어 있다. 사용자는 제1 활성화 영역(1010) 및 제2 활성화 영역(1020)의 돌출 구동 및/또는 함몰 구동된 표현 부재를 감지하여, 이미지 정보의 전경 영역 및 배경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8의 정보 출력 장치(1000)에 출력되는 정보 관련 예시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1000)가 제1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이미지 정보에 포함되는 텍스트 정보를 출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1에서 텍스트 자체에 매핑된 제1 표현 부재(630-1) 내지 제N 표현 부재(630-N) 중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는 제1 활성화 영역(1110)으로 산출되어 돌출 구동되어 있고, 텍스트를 제외한 부분에 매핑된 나머지 표현 부재는 제2 활성화 영역(1120)으로 산출되어 함몰 구동되어 있다. 사용자는 제1 활성화 영역(1110) 및 제2 활성화 영역(1120)의 돌출 구동 및/또는 함몰 구동된 표현 부재를 감지하여, 텍스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8의 정보 출력 장치(1000)에 출력되는 정보 관련 예시도 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1000)가 제2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점자 정보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로, 일련의 점자 정보를 활성화 영역 내의 표현 부재(630)로 출력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비활성화 영역(1210)은 점자셀(BC)의 열과 열 사이에 위치한 예를 들어, 3행 1열로 배열된 3개의 표현 부재(630)로써, 제1 비활성화 영역(1210)에 포함되는 3행 1열로 배열된 3개의 표현 부재(630)가 함몰 구동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2 비활성화 영역(1220)은 점자셀(BC)의 행과 행 사이에 위치한 예를 들어, 1행 1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630)의 열로써, 제2 비활성화 영역(1220)에 포함되는 1행 1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630)의 열이 함몰 구동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3 비활성화 영역(1230)은 점자셀(BC)의 문단과 문단 사이에 위치한 예를 들어, 2행 2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630)의 열로써, 제3 비활성화 영역(1230)에 포함되는 2행 2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630)의 열이 함몰 구동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8의 정보 출력 장치(1000)에 출력되는 정보 관련 예시도 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1000)가 제3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혼합 정보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310)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20)으로 분리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310)에는 표현 부재의 돌출 구동 및/또는 함몰 구동에 의해 이미지 정보가 출력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도 9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20)에는 표현 부재의의 돌출 구동 및/또는 함몰 구동과 표현 부재의 함몰 구동 유지에 의해 점자 정보가 출력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도 12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에서는 분리 비활성화 영역으로서의 제4 비활성화 영역(1330)이 더 포함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4 비활성화 영역(133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310)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320)을 분리하는 위치에 예를 들어, 3행 3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630)의 열로써, 제4 비활성화 영역(1330)에 포함되는 3행 3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630)의 열이 함몰 구동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시프트 결과 관련 예시도 이다. 도 14a는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시프트 처리 전 예시도를 도 14b는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시프트 처리 후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b의 경우 정보 출력 장치(1000)가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우 방향으로 1열 및 하 방향으로 1행 시프트 처리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비교하면, 시프트 처리 전 활성화 영역(1410a)이 시프트 처리 후 비활성화 영역(1410b)으로 전환되고, 시프트 처리 전 비활성화 영역(1420a)이 시프트 처리 후 활성화 영역(1420b)로 전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4b에서 활성화 영역에 포함되지만 3행 2열로 배열된 점자셀을 형성할 수 없는 하나 이상의 더미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예를 들어 1430 열 및 1440 행), 정보 출력 장치(1000)는 해당 더미 영역을 비활성화 영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는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 출력 방법을, 도 16은 점자 정보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 출력 방법을, 도 17은 혼합 정보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1000)는 통신부(10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메모리(200)에 저장된 정보 및/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정보로부터 정보 출력 장치(1000)에 출력할 출력 대상을 선별한다(S1510).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선별한 출력 대상에 대하여 정보 출력 모드를 결정한다(S1520).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정보 출력 모드를 세 가지 모드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제1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 제2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점자 정보 출력 모드, 제3 정보 출력 모드로서의 혼합 정보 출력 모드(이미지 정보 및 점자 정보 출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출력 모드가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인지 판단하고(S1530), 출력 모드가 이미지 정보 출력 모드인 경우, 출력할 이미지를 정보를 전경 영역 및 배경 영역으로 분리하고, 전경 영역 및 배경 영역을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한다(S1540).
정보 출력 장치(1000)는 매핑이 완료되면, 전경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의 돌출 구동 위치로서의 제1 활성화 영역 및 배경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의 함몰 구동 위치로서의 제2 활성화 영역을 산출한다(S1550).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산출한 제1 활성화 영역에 대하여 표현 부재를 돌출 구동하고, 산출한 제2 활성화 영역에 대하여 표현 부재를 함몰 구동하여 이미지 정보를 출력한다(S1560).
도 16를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출력 모드가 점자 정보 출력 모드인 경우(S1610),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출력할 점자 정보를 정보 출력 장치(1000)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한다(S1620).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점자 정보의 매핑이 완료되면, 점자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의 돌출 구동 위치 및/또는 함몰 구동 위치로서의 활성화 영역 및 점자를 구분하기 위한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을 함몰 구동 유지하는 위치로서의 비활성화 영역을 산출한다(S1630). 본 실시 예에서 비활성화 영역은 제1 비활성화 영역 내지 제3 비활성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점자의 열과 열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점자의 열과 열 사이에 위치한 예를 들어, 3행 1열로 배열된 3개의 표현 부재를 제1 비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점자의 행과 행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점자의 행과 행 사이에 위치한 예를 들어, 1행 1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의 열을 제2 비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점자의 문단과 문단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점자의 문단과 문단 사이에 위치한 예를 들어, 2행 2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의 열을 제3 비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산출한 활성화 영역에 대하여 표현 부재를 돌출 또는 함몰 구동하고, 산출한 제1 비활성화 영역 내지 제3 비활성화 영역에 대하여 표현 부재를 함몰 구동하여 점자 정보를 출력한다(S1640).
도 17를 참조하면,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출력 모드가 혼합 정보 출력 모드인 경우(S1710),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정보 출력 영역을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할한다(S1720).
정보 출력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분할이 완료되면, 출력할 이미지를 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하고, 점자 정보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복수의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한다(S1730).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이미지 정보 및 점자 정보의 매핑이 완료되면, 이미지 정보에 대하여 제1 활성화 영역 및 제2 활성화 영역을 산출하고, 점자 정보에 대하여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산출한다(S1740).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 정보 출력 시에 산출한 제1 활성화 영역에 대하여 표현 부재를 돌출 구동하고, 제2 활성화 영역에 대하여 표현 부재를 함몰 구동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점자 정보 출력 시에 산출한 활성화 영역에 대하여 표현 부재를 돌출 또는 함몰 구동하고, 산출한 제1 비활성화 영역 내지 제4 비활성화 영역에 대하여 표현 부재의 함몰 구동을 유지한다(S1740). 여기서 제1 비활성화 영역 내지 제4 비활성화 영역의 내용은 도 14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4 비활성화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리하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예를 들어, 3행 3열로 배열된 표현 부재의 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시프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정보 출력 장치(1000)는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킬 수 있는 일정 시간을 산출한다(S1810). 여기서 일정 시간을 산출한다 함은 일정 시간을 카운트하여 축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일정 시간이라 함은 상술한 제1 시프트 개시 시간 내지 제4 시프트 개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0)는 빈도 산출부(720)는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킬 수 있는 일정 빈도를 산출한다(S1820). 여기서 일정 빈도를 산출한다 함은 일정 빈도 즉, 횟수를 카운트하여 축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일정 빈도라 함은 정보 출력 장치(1000)의 최초 구동 후 활성화 영역에 위치한 액추에이터 각각의 돌출 및 함몰 구동 빈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0)는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시프트 요청 신호를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S1830). 여기서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사용자로부터 시프트 방향 설정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시프트 방향 설정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프로그래밍된 시프트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일정 시간 산출(S1810), 일정 빈도 산출(S1820) 및 사용자로부터 시프트 요청 신호 수신 여부 확인(S1830) 단계가 순차적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병렬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일정 시간 경과, 일정 빈도 초과 및 사용자의 시프트 요청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처리되었는지 판단한다(S1840).
정보 출력 장치(1000)는 일정 시간 경과, 일정 빈도 경과 및 사용자의 시프트 요청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실질적으로 활성화 영역 및 비활성화 영역을 소정 방향으로 시프트 시킨다(S1850). 여기서 소정 방향이라 함은 프로그래밍된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1열 이상 및 상/하 방향으로 적어도 1행 이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방향은 방향과 함께 시프트 할 열 및/또는 시프트 할 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방향이라 함은 이전의 활성화 영역이 시프트 된 후 비활성화 영역으로 전환되는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정보 출력 장치
100: 통신부
200: 메모리
300: 프로그램 저장부
400: 제어부
500: 제1 정보 처리부
600: 정보 출력부
700: 제2 정보 처리부
100: 통신부
200: 메모리
300: 프로그램 저장부
400: 제어부
500: 제1 정보 처리부
600: 정보 출력부
700: 제2 정보 처리부
Claims (10)
-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여 돌출하거나 함몰하도록 형성되어 돌출 또는 함몰 구동 시에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표현 부재;
상기 복수의 표현 부재가 구동하는 영역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부는, 일련의 점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복수의 표현 부재가 구동하는 영역 상에서 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하는 활성화 영역 산출부 및 상기 활성화 영역 중 상기 점자의 열과 열 사이 및 상기 점자의 행과 행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하는 비활성화 영역 산출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부; 및
상기 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현 부재 각각을 돌출 또는 함몰 구동하고, 상기 비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현 부재 각각을 함몰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표현 부재가 구동하는 영역을 상기 이미지를 구현하는 활성화 영역과 상기 점자를 구현하는 활성화 영역으로 선택적으로 나눌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보 출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상기 정보 출력 장치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정보 출력 장치에서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 대상으로 선별하여 상기 표현 부재에 출력하는 출력 대상 선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대상 선별부가 선별한 상기 출력 대상에 대하여 제1 정보 출력 모드 내지 제3 정보 출력 모드 중 어느 한 정보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출력 모드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 결정부가 결정한 어느 한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출력 대상을 상기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현 부재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표현 부재 각각을 돌출하거나 함몰하도록 구동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 - 일련의 점자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일 방향으로 운동하여 돌출하거나 함몰하도록 형성되어 돌출 또는 함몰 구동 시에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표현 부재가 구동하는 영역 상에서, 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영역 중 상기 점자의 열과 열 사이 및 상기 점자의 행과 행 사이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 영역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현 부재 각각을 돌출 또는 함몰 구동하고, 상기 비활성화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표현 부재 각각을 함몰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현 부재가 구동하는 영역을 상기 이미지를 구현하는 활성화 영역과 상기 점자를 구현하는 활성화 영역으로 선택적으로 나누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한 정보, 상기 정보 출력 장치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정보 출력 장치에서 생성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 대상으로 선별하여 상기 표현 부재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대상 선별부가 선별한 상기 출력 대상에 대하여 제1 정보 출력 모드 내지 제3 정보 출력 모드 중 어느 한 정보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모드 결정부가 결정한 어느 한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출력 대상을 상기 표현 부재 각각에 매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방법. -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5814A KR101960446B1 (ko) | 2017-06-15 | 2017-06-15 |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
PCT/KR2018/006754 WO2018230986A1 (ko) | 2017-06-15 | 2018-06-15 |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
US16/494,603 US11955027B2 (en) | 2017-06-15 | 2018-06-15 |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and method |
CN201880018612.XA CN110419072B (zh) | 2017-06-15 | 2018-06-15 | 信息输出装置以及信息输出方法 |
CN202111005818.9A CN113867611B (zh) | 2017-06-15 | 2018-06-15 | 信息输出装置以及信息输出方法 |
CN202111005826.3A CN113870661B (zh) | 2017-06-15 | 2018-06-15 | 信息输出装置以及信息输出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5814A KR101960446B1 (ko) | 2017-06-15 | 2017-06-15 |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0070A Division KR102226940B1 (ko) | 2019-02-20 | 2019-02-20 |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6716A KR20180136716A (ko) | 2018-12-26 |
KR101960446B1 true KR101960446B1 (ko) | 2019-03-20 |
Family
ID=6466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5814A KR101960446B1 (ko) | 2017-06-15 | 2017-06-15 |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955027B2 (ko) |
KR (1) | KR101960446B1 (ko) |
CN (3) | CN113870661B (ko) |
WO (1) | WO201823098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40769B2 (en) * | 2020-05-29 | 2023-05-02 | Abenezer Ayana | Modular refreshable braille display system |
KR102439208B1 (ko) * | 2020-12-23 | 2022-09-02 | 주식회사 닷 | 정보 출력 장치 |
KR102463033B1 (ko) * | 2020-12-23 | 2022-11-07 | 주식회사 닷 |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
WO2024174030A1 (en) * | 2023-02-23 | 2024-08-29 | Technologies Humanware Inc.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braille and tactile graphic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7215B1 (ko) * | 2016-05-02 | 2016-11-17 | 서인식 | 시각장애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59364B2 (en) * | 2000-05-23 | 2002-10-01 | Hewlett-Packard Company | Internet browser facility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
US7226291B2 (en) * | 2001-04-02 | 2007-06-05 |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 Refreshable tactile computer display |
JP3658611B2 (ja) * | 2001-05-21 | 2005-06-08 | 独立行政法人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 点図触知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
SE0103652D0 (sv) * | 2001-11-02 | 2001-11-02 | Digityper Ab | Data input system |
KR20050035106A (ko) * | 2003-10-10 | 2005-04-15 |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크 | 점자표시장치 |
ITMI20031989A1 (it) * | 2003-10-15 | 2005-04-16 | Appunto R & D Srl | Tastiera per non vedenti |
JP4265533B2 (ja) * | 2004-12-22 | 2009-05-2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点字情報処理装置、点字情報処理方法、処理シート、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
DE102006020568A1 (de) * | 2006-04-29 | 2007-10-31 | Metec Ag | Anzeigevorrichtung zur taktil erfassbaren Darstellung von Anzeigeelementen sowie Anzeigesystem mit einer solchen Anzeigevorrichtung |
TWM310813U (en) * | 2006-11-10 | 2007-05-01 | Huei-Jiun Tsai | Braille printing device and transmission integration system |
KR20090038656A (ko) * | 2007-10-16 | 2009-04-21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핀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
JP4972011B2 (ja) * | 2008-02-26 | 2012-07-11 | 日本放送協会 | 触覚提示装置及び触覚提示方法 |
WO2010101445A2 (ko) * | 2009-03-06 | 2010-09-10 | Lee Jeong Yeol | 반복적인 돌출, 함몰 패턴을 가진 고정바로 지지된 핀으로 구성된 촉각 디스플레이 |
US9489046B2 (en) * | 2009-05-04 | 2016-11-08 | Immersion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to non-input locations |
WO2011107982A1 (en) * | 2010-03-01 | 2011-09-09 | Noa Habas | Visual and tactile display |
KR101136129B1 (ko) | 2010-08-30 | 2012-04-17 | 손화용 | 점자 기계 |
KR101221513B1 (ko) * | 2010-12-13 | 2013-01-21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각 장애인에게 시각 정보를 촉각 정보로 전달하는 그래픽 햅틱전자보드 및 방법 |
US8717151B2 (en) * | 2011-05-13 | 2014-05-06 | Qualcomm Incorporated | Devices and methods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user on a tactile output surface of a mobile device |
KR101290763B1 (ko) * | 2011-06-08 | 2013-07-29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햅틱전자보드 기반의 시각 장애인용 학습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US20130017516A1 (en) * | 2011-07-11 | 2013-01-17 | Kelly Tyler | Active braille timepiece & related methods |
JP5862260B2 (ja) * | 2011-12-09 | 2016-02-16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EP2608189A1 (en) * | 2011-12-21 | 2013-06-26 | Thomson Licensing | Braill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refreshable Braille display |
KR20140062893A (ko) * | 2012-11-15 | 2014-05-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점자를 표현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그 제어 방법 |
US20140377721A1 (en) * | 2013-06-25 | 2014-12-25 | Audible, Inc. | Synchronous presentation of content with a braille translation |
KR101445706B1 (ko) * | 2014-01-16 | 2014-10-01 | 김연태 | 문자와 이미지를 포함한 통합적인 정보를 표현하는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659747B1 (ko) * | 2014-07-02 | 2016-09-29 | 이태훈 | 시각 장애인을 위한 무인자동화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
CN104965922A (zh) * | 2015-07-09 | 2015-10-07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利于盲人感知的信息获取方法和系统 |
WO2017047737A1 (ja) * | 2015-09-18 | 2017-03-23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データ保存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データ保存用媒体、データ読出装置並びにデータ読出方法 |
WO2017077351A1 (en) * | 2015-11-05 | 2017-05-11 | Bálint Géza |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an air mouse |
KR20170066029A (ko) * | 2015-12-04 | 2017-06-14 | 이민석 |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위한 점자 모듈 |
CN106846988A (zh) * | 2016-12-30 | 2017-06-13 | 浙江八瓦文化创意发展有限公司 | 一种电磁式盲文阅读器 |
CN106846991B (zh) * | 2017-03-30 | 2022-08-19 | 安庆师范大学 | 一种触摸式盲文与图形显示装置 |
-
2017
- 2017-06-15 KR KR1020170075814A patent/KR10196044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6-15 CN CN202111005826.3A patent/CN113870661B/zh active Active
- 2018-06-15 CN CN201880018612.XA patent/CN110419072B/zh active Active
- 2018-06-15 CN CN202111005818.9A patent/CN113867611B/zh active Active
- 2018-06-15 US US16/494,603 patent/US11955027B2/en active Active
- 2018-06-15 WO PCT/KR2018/006754 patent/WO201823098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7215B1 (ko) * | 2016-05-02 | 2016-11-17 | 서인식 | 시각장애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3870661B (zh) | 2024-01-12 |
CN110419072B (zh) | 2021-09-17 |
WO2018230986A1 (ko) | 2018-12-20 |
US20200090547A1 (en) | 2020-03-19 |
CN113870661A (zh) | 2021-12-31 |
US11955027B2 (en) | 2024-04-09 |
CN110419072A (zh) | 2019-11-05 |
CN113867611B (zh) | 2024-08-09 |
KR20180136716A (ko) | 2018-12-26 |
CN113867611A (zh) | 2021-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0446B1 (ko) |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 |
DK180032B1 (da) | Brugergrænseflade til manipulering af brugergrænsefladeobjekter | |
US9323345B2 (en) | System capable of accomplishing flexible keyboard layout | |
EP2981875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 |
KR101589104B1 (ko) | 키보드에 맵핑된 키보드 단축키들의 제공 | |
CN102073447A (zh) |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 |
KR20180041779A (ko) |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 |
KR20150015655A (ko) |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150010516A (ko) |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 |
RU2008123540A (ru) |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знаков | |
KR101077790B1 (ko) | 데이터 입력장치 | |
KR20090084774A (ko) | 단어예측 입력방법 및 그 방법이 구현되는 전자장치 | |
KR102349576B1 (ko) |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 |
EP2804087A2 (en) |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text using the same | |
JP2005275936A (ja) | ウィンドウ管理システム | |
KR20180021332A (ko) |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
KR20190020007A (ko) |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 |
KR20150022089A (ko) |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시각장애인용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US9791932B2 (en) | Semaphore gesture for human-machine interface | |
KR101533603B1 (ko) |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 |
JP2012088751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2012155506A (ja) | 情報端末、及び画面部品選択方法 | |
CN104484513A (zh) | 一种地图生成方法和计算设备 | |
US20160048325A1 (en) | Electronic device and gesture input method of item selection | |
US10871899B2 (en) | Input accep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