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603B1 -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603B1
KR101533603B1 KR1020140151147A KR20140151147A KR101533603B1 KR 101533603 B1 KR101533603 B1 KR 101533603B1 KR 1020140151147 A KR1020140151147 A KR 1020140151147A KR 20140151147 A KR20140151147 A KR 20140151147A KR 101533603 B1 KR101533603 B1 KR 101533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device
content
mo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일
최재필
Original Assignee
(주)라온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온스퀘어 filed Critical (주)라온스퀘어
Priority to KR102014015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603B1/ko
Priority to CN201580000684.8A priority patent/CN105900043A/zh
Priority to PCT/KR2015/009648 priority patent/WO20160726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테이블장치에 대한 단말장치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임의의 사물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테이블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인식장치로서, 상기 테이블장치와 페어링된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태갱신부, 및 상기 테이블장치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단말인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DEVICE AND METHOD FOR OBJECT RECOGNITION}
본 발명은 사물인식방법 및 사물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장치에 대한 단말장치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물이 놓여졌을 때 상기 사물을 터치로서 인식하여 상기 터치를 입력으로서 처리하는 패널을 구비한 테이블이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사물을 터치로서 입력하는데 그치지 않고 상기 사물을 식별함으로써 테이블 상에 컨텐츠를 표시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정보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기존의 테이블은 사물을 인식하는데 그칠 뿐 사물의 상태, 예를 들어 사물이 이동하고 있는 상태인지, 이동한다면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아니한바, 터치테이블에 대한 입력장치로서 사물을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86292호(공개일자:2008.09.25)에서는, 외부의 터치에 상응하는 터치 신호를 생성하고, 이에 상응하는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모니터와 상기 생성된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모니터에 출력하고, 터치 신호에 상응하도록 외부 입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통합제어장치,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수용할 수 있는 테이블 상판 및 통합제어장치를 수용하고 테이블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이 형성된 테이블 본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테이블이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테이블장치에 대한 단말장치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임의의 사물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테이블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인식장치로서, 상기 테이블장치와 페어링된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태갱신부, 및 상기 테이블장치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단말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인식장치로 움직임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단말장치로서, 상기 단말장치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 상기 단말장치의 방위를 검출하는 나침반 센서 및 상기 단말장치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센싱부, 및 상기 움직임정보를 상기 인식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상태전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인식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인식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테이블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임의의 사물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테이블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인식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의 단말장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장치와 페어링된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테이블장치 상의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따르면, 테이블장치와 페어링된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테이블장치 상의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임의의 사물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테이블장치와 페어링된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테이블장치 상의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테이블장치에 대한 단말장치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기존의 테이블장치를 그대로 활용하여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단말장치가 놓여진 경우 상기 단말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단말장치를 인식하면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테이블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정보전달이 가능하다.
아울러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테이블장치 상에 놓여진 것으로 인식된 단말장치의 움직임 또는 단말장치가 놓여진 방향 등에 따라 컨텐츠가 달리 표시되거나, 표시되는 컨텐츠가 변경될 수 있어 효율적인 정보전달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와 통신하는 단말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1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10)와 통신하는 단말장치(2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장치(10)는 단말장치(2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장치(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대 WiFi에 의해 단말장치(20)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외에도, 블루투스, Zigbee, 적외선 등 임의의 근거리 통신 방법에 따라 인식장치(10)와 단말장치(20) 간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인식장치(10)는 단말장치(20)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고, 또는 단말장치(20)로부터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10)는, 임의의 사물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테이블장치(30)와 통신하며, 상기 테이블장치에 대한 단말장치(20)의 접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식장치(10)는, 테이블장치(30)의 외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테이블장치(30)에 포함되거나, 또는 테이블장치(30)를 포함함으로써 테이블장치(30)와 통신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테이블장치(30)가 인식장치(20)를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인식장치(10)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테이블장치(30)는, 하나 이상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테이블로서, 터치테이블 상에 접촉이 있었음을 감지할 수 있는 패널을 구비한 것이면 족하다. 예를 들어, 테이블장치(30)는, 저항성 감지 기술(resistive sensing technology), 용량성 감지 기술(capacitive sensing technology), 표면 음파 감지 기술(surface acoustic wave sensing technology), 광학적 이미징 감지 기술(optical imaging sensing technology), 음향 펄스 인식 감지 기술(acoustic pulse recognition sensing technology), 초음파 감지 기술(ultrasonic sensing technology) 등이 적용된 패널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적외선-LED Cell Imaging 방식 FTTR(Frustrated Total Internal Reflection), DI(Diffused Illumination), LLP(Laser Light Plane Illumination), DSI(Diffused Surface Illumination) 또는 LED-LE(LED Light Plane)방식 등과 같이 적외선 감지 기술(infrared sensing technology)이 적용된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장치(30)는 인식장치(20)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인식장치(20)에 의해 결정된 표현방식에 따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20)는 테이블장치(30) 상에 접촉될 수 있는 임의의 사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장치(2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장치(20)는 센싱부(210) 및 상태전송부(220)를 포함한다.
관련하여 센싱부(210)는 단말장치(2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움직임정보’란, 단말장치(20)가 회전, 거리이동 등에 따라 움직일 때 해당 움직임에 따른 변화량을 나타내는 제반 정보로서, 예를 들어, 단말장치(20)의 기울기에 관한 정보인 기울기정보, 단말장치(20)의 방위에 관한 방위정보, 단말장치(20)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에 관한 정보인 가속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10)는 단말장치(20)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장치(20)의 기울기를 움직임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센싱부(210)는 단말장치(20)의 방위를 검출하는 나침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침반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장치(20)의 방위를 움직임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센싱부(210)는 단말장치(20)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장치(20)의 가속도를 움직임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상태전송부(220)는 단말장치(20)의 움직임정보를 인식장치(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태전송부(220)는 단말장치(20)의 움직임정보를 주기적으로 인식장치(20)로 전송할 수 있고, 또는 단말장치(20)의 움직임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갱신된 움직임정보를 인식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태전송부(220)는, 단말장치(20)의 움직임정보와 함께 상기 단말장치(20)의 단말식별정보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20)는 제1페어링부(2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관련하여 제1페어링부(230)는, 인식장치(10)와의 통신을 위해 인식장치(10)와 페어링(pairing)하기 위한 모듈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장치(10)에 단말장치(20)를 페어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페어링부(230)는, 인식장치(10)가 주변에 있고 상기 인식장치(10)에 대한 페어링이 수행된 이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인식장치(10)로 페어링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을 때까지 계속적으로 페어링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페어링부(230)는 페어링 결과 인식장치(10)로부터 단말식별정보를 할당받으면 상기 단말식별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페어링이 종료되면 상기 단말식별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아울러 예를 들어 제1페어링부(230)는 페어링이 됨에 따라 단말장치에 대해 기설정된 면적(예를 들어, 단말장치가 테이블장치 상에 놓여있을 때의 접촉면적)을 인식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1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장치(10)는 제2페어링부(110), 상태갱신부(120), 단말식별부(130) 및 컨텐츠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식장치(10)는 내부구성요소, 즉, 제2페어링부(110), 상태갱신부(120), 단말식별부(130) 및 컨텐츠제공부(14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게 하며 또한 외부구성요소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장치(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예를 들어,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저장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제2페어링부(110)는 단말장치(20)와의 통신을 위해 단말장치(20)와 페어링하기 위한 모듈이다.
예를 들어, 제2페어링부(110)는 단말장치(20)의 제1페이링부(230)로부터 페어링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단말장치(20)와 페어링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페어링부(110)는 단말장치(20)의 단말식별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함으로써 단말장치(20)와 페어링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페어링부(110)는 단말장치(20)로부터 움직임정보를 처음 수신하면 상기 움직임정보에 대응되는 단말식별정보를 할당하고 등록함으로써 단말장치(20)와 페어링할 수 있다.
한편 상태갱신부(120)는, 단말장치(20)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태갱신부(120)는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갱신할 수 있으며 또는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소정의 기간 또는 소정의 횟수 동안 누적할 수 있다.
상태갱신부(120)는 단말장치가 테이블장치에 접촉하기 이전에도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단말장치가 테이블장치에 접촉하고 난 이후(예를 들어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터치포인트가 생성된 경우)에도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장치가 테이블장치에 접촉 이후 접촉이 종료됨을 감지(예를 들어,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터치포인트가 생성되고 난 이후, 소정의 기간동안 상기 터치포인트에 대한 접촉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하더라도,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단말식별부(130)는, 테이블장치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접촉이 단말장치에 의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식별부(130)는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식별부(130)는 테이블장치(30) 상의 접촉을 감지한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 이내에 단말장치(20)의 움직임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즉, 단말장치가 움직이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테이블장치(30) 상에 접촉한 사물이 단말장치(20)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식별부(130)는 또한, 단말장치가 테이블장치에 대해 접촉하고 있는 접촉면적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기설정된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식별부(130)는 테이블장치(30) 상에 접촉을 감지하면 접촉이 감지된 지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접촉이 이루어진 면적을 연산하며, 연산결과 접촉면적이 단말장치에 대해 기설정된 영역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소정의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테이블장치(30) 상에 접촉한 사물이 단말장치(20)임을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식별부(130)는 테이블장치에 대한 접촉이 단말장치에 의한 것임을 결정하면, 터치포인트로 설정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매칭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단말장치가 테이블장치에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면 상기 터치포인트는 상기 단말장치의 테이블장치 상의 이동경로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관련하여 ‘터치포인트’는 단말장치가 접촉하고 있는 면적에 대응되는 모든 좌표일 수 있으며, 또한 단말장치가 접촉하고 있는 면적에 대응되는 좌표 중 소정 개수의 좌표일 수 있으며, 또한 테이블장치 상의 임의의 지점에 대한 좌표일 수 있다.
한편 컨텐츠제공부(140)는,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된 단말장치를 식별하면, 컨텐츠를 제공하여 테이블장치를 통해 상기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컨텐츠’는 테이블장치(3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홀로그램, 사운드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제공부(140)는,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단말장치가 테이블장치에 접촉하기 직전 최종 수신된 움직임정보 또는 테이블장치에 접촉한 시점을 기준으로 최종 수신된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테이블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제공부(140)는, 컨텐츠를 제공하면서, 상기 컨텐츠가 테이블장치를 통해 어떤 지점에 어떻게 표시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테이블장치는 상기 표시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정보로서, 단말장치의 터치포인트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하는 설정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정보는, 인식장치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컨텐츠의 내용, 종류, 또는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단말장치가 테이블장치에 접촉하기 직전 최종 수신된 움직임정보 또는 테이블장치에 접촉한 시점을 기준으로 최종 수신된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컨텐츠제공부(140)는, 단말장치가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단말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제1컨텐츠, 또는, 상기 복수 개의 단말장치의 그룹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여 테이블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제공부(140)는,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 각각에 대한 표시정보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정보로서, 각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제1컨텐츠를 각 단말장치의 터치포인트 주변에 표시되도록 하되, 각 단말장치의 제1컨텐츠가 함께 표시되는 지점에서는 제2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제공부(140)는 단말장치의 접촉이 종료됨을 감지하면, 컨텐츠가 더 이상 터치테이블을 통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인식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인식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인식장치(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인식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되며,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인식장치(10)는 단말장치(20)와 페어링할 수 있다. 물론 페어링이 이미 완료된 단말장치(20)와는 별도의 페어링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단말장치(20)와 페어링된 인식장치(10)는, 상기 단말장치(20)로부터 움직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510).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20)가 터치테이블(30)상에 놓여지기 이전에, 단말장치(20)가 도 6의 (a)에서 도 6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여 기울기 등의 움직임정보가 갱신된 경우, 인식장치(10)는 상기 갱신된 움직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식장치(10)는 단말장치(20)로부터 움직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인식장치(10)는 테이블장치(30) 상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S520).
이때 인식장치(10)는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된 사물이 단말장치(2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530).
즉, 단말장치(20)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장치(20)가 테이블장치(30)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이 있는 시점부터 소정의 기간 단말장치(20)로부터 움직임정보를 수신하지 않거나, 또는 단말장치(20)로부터 수신된 움직임정보가 접촉이 있는 시점부터 소정의 기간 변동이 없는 경우, 단말장치(20)가 테이블장치(30) 상에 접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식장치(10)는 단말장치의 접촉면적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기설정된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장치(30) 상에 놓여진 사물에 의한 접촉면적이 기설정된 단말장치의 면적과 비교하여 비교결과 소정의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에 한해 테이블장치 상에 놓여진 사물이 단말장치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장치(20)가 테이블장치(30) 상에 접촉하고 있다고 결정되면 (S540), 인식장치(10)는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컨텐츠가 테이블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S550).
이때, 인식장치(10)는, 단말장치(20)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테이블장치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20)의 터치포인트를 기준으로 랜덤하게 컨텐츠(710)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도 7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의 터치포인트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컨텐츠(72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식장치(10)는,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7의 (a) 및 (b) 각각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20)의 기울기 및 방위가 각기 상이한 경우 인식장치(10)는 각기 상이한 컨텐츠(710, 720)를 제공하여 테이블장치(30)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식장치(10)는 단말장치가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단말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제1컨텐츠, 및 상기 복수 개의 단말장치의 그룹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여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 각각은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장치 각각이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함이 결정되면 각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제1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단말장치가 테이블장치에 접촉하되 각각이 테이블장치에 접촉한 순서로 초성, 중성, 종성이 결정되어, 상기 복수개의 단말장치의 그룹에 대응되는 하나의 글자를 제2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 각각은 각기 상이한 색상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장치 각각이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함이 결정되면 각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색상을 제1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단말장치가 테이블장치에 접촉함이 결정되면 상기 복수개의 단말장치의 그룹에 대응되는 색상을 제2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제2컨텐츠는, 예를 들어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장치 각각의 제1컨텐츠들의 혼합으로 생성된 색상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장치 각각은, 영어 알파벳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장치 각각이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함이 결정되면, 각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알파벳을 제1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단말장치가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함이 결정되면 상기 복수개의 단말장치의 그룹에 대응되는 하나의 글자를 제2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제2컨텐츠는, 예를 들어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장치 각각의 제1컨텐츠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영어 단어일 수 있다.
아울러, 예를 들어, 단말장치 각각은 숫자 또는 연산자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장치 각각이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함이 결정되면 각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숫자 또는 연산자를 제1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복수개의 단말장치가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함이 결정되면 상기 복수개의 단말장치의 그룹에 대응되는 하나의 컨텐츠를 제2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제2컨텐츠는, 예를 들어,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장치 각각의 제1컨텐츠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수식 또는 상기 수식에 따른 연산 결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한다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장치(30) 상에 놓여진 단말장치(20, 20’)가 복수 개이면, 단말장치(20)에 대응되는 제1컨텐츠(810) 및 단말장치(20’)에 대응되는 제1컨텐츠(820) 각각이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반면,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장치(30) 상에 놓여진 단말장치(20, 20’, 20’’)가 복수 개이고, 단말장치(20)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3’이며 단말장치(20’)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4’이고 단말장치(20’’)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이면, 복수개의 단말장치(20, 20’)를 그룹핑한 그룹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가,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단말장치(20, 20’, 20’’) 각각의 제1컨텐츠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수식에 따른 결과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제2컨텐츠(910, 920)가 테이블장치(3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인식장치(10)는 단말장치가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단말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제1컨텐츠, 및 상기 복수 개의 단말장치의 그룹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면서,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가 표시될 표시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장치(30) 상에 놓여진 단말장치(20, 20’)가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단말장치(20, 20’) 각각에 대응되는 제1컨텐츠(1010, 1020)와 함께, 복수 개의 단말장치(20, 20’)의 그룹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1030)도 테이블장치(3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2컨텐츠(1030)가 표시될 표시정보도 반영하여 테이블장치(30) 상에 제1컨텐츠(1010, 1020) 및 제2컨텐츠(1030)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컨텐츠(1010, 1020)가 교차되는 지점에 제2컨텐츠(1030)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인식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인식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인식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인식장치 20: 단말장치
30: 테이블장치
110: 제2페어링부 120: 상태갱신부
130: 단말식별부 140: 컨텐츠제공부

Claims (20)

  1. 임의의 사물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테이블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인식장치로서,
    상기 테이블장치와 페어링된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상태갱신부; 및
    상기 테이블장치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단말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인식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장치의 접촉면적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기설정된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인식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음이 결정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테이블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컨텐츠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인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음이 결정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컨텐츠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인식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되는 표시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식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단말장치가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단말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제1컨텐츠, 및 상기 복수 개의 단말장치의 그룹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여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인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때 상기 표시될 컨텐츠의 표시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정보는, 상기 단말장치의 기울기정보, 방위정보 및 가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인식장치.
  9. 제 1 항에 기재된 인식장치로 상기 움직임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단말장치로서,
    상기 단말장치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센서, 상기 단말장치의 방위를 검출하는 나침반 센서 및 상기 단말장치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센싱부; 및
    상기 움직임정보를 상기 인식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상태전송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10. 제 1 항에 기재된 인식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인식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테이블장치.
  11. 임의의 사물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테이블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인식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의 단말장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장치와 페어링된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장치 상의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접촉면적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기설정된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식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음이 결정되면,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테이블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식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음이 결정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식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되는 표시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식방법.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복수 개이면, 상기 복수 개의 단말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제1컨텐츠, 및 상기 복수 개의 단말장치의 그룹에 대응되는 제2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여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식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1컨텐츠 및 상기 제2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때 상기 표시될 컨텐츠의 표시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식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정보는, 상기 단말장치의 기울기정보, 방위정보 및 가속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인식방법.
  19. 제 11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20.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임의의 사물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테이블장치와 페어링된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장치 상의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장치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의 접촉면적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해 기설정된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테이블장치 상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식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0151147A 2014-11-03 2014-11-03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KR101533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147A KR101533603B1 (ko) 2014-11-03 2014-11-03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CN201580000684.8A CN105900043A (zh) 2014-11-03 2015-09-15 识别方法及识别装置
PCT/KR2015/009648 WO2016072610A1 (ko) 2014-11-03 2015-09-15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147A KR101533603B1 (ko) 2014-11-03 2014-11-03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603B1 true KR101533603B1 (ko) 2015-07-06

Family

ID=5378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147A KR101533603B1 (ko) 2014-11-03 2014-11-03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33603B1 (ko)
CN (1) CN105900043A (ko)
WO (1) WO201607261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968B1 (ko) * 2015-12-21 2016-08-01 (주)라온스퀘어 사물카드가 삽입되는 슬롯을 구비한 슬롯장치를 이용한 사물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53976A (ko) * 2015-11-09 2017-05-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테이블탑 인터페이스 장치, 멀티 터치 객체 및 방법
KR20180000020A (ko) * 2016-06-21 2018-01-0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상판 디스플레이를 갖는 인트랙티브 테이블의 구동 방법
KR20200074842A (ko) * 2018-12-17 2020-06-25 울산과학기술원 음악 재생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62A (ko) * 2002-08-30 2004-03-09 윤용상 펜 타입의 다기능 마우스 입력장치
KR101212364B1 (ko) * 2012-03-06 2012-12-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2294A (ja) * 2006-10-02 2008-04-17 Ntt Docomo Inc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移動体端末装置のロック方法
US20090128513A1 (en) * 2007-11-20 2009-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s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s for executing the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and the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US8421747B2 (en) * 2008-09-24 2013-04-16 Microsoft Corporation Object detection and user settings
JP2010157189A (ja) * 2009-01-05 2010-07-1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11660B1 (ko) * 2010-10-20 2012-12-12 주식회사 애트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 장치의 스크롤 방법
KR101999119B1 (ko) * 2012-07-11 2019-07-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펜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입력 방법 및 그 단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62A (ko) * 2002-08-30 2004-03-09 윤용상 펜 타입의 다기능 마우스 입력장치
KR101212364B1 (ko) * 2012-03-06 2012-12-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 연동 및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영식 외 1명, "모바일 인터페이스와 테이블탑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연동한 FishBowl 게임 개발," 한국게임학회 학회지, 제10권, 제2호, pp.57-65, 2010.04.30. *
공영식 외 1명, "모바일 인터페이스와 테이블탑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연동한 FishBowl 게임 개발," 한국게임학회 학회지, 제10권, 제2호, pp.57-65, 2010.04.30.*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3976A (ko) * 2015-11-09 2017-05-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테이블탑 인터페이스 장치, 멀티 터치 객체 및 방법
KR102238697B1 (ko) * 2015-11-09 2021-04-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테이블탑 인터페이스 장치, 멀티 터치 객체 및 방법
KR101643968B1 (ko) * 2015-12-21 2016-08-01 (주)라온스퀘어 사물카드가 삽입되는 슬롯을 구비한 슬롯장치를 이용한 사물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00020A (ko) * 2016-06-21 2018-01-0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상판 디스플레이를 갖는 인트랙티브 테이블의 구동 방법
KR101895022B1 (ko) * 2016-06-21 2018-09-1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상판 디스플레이를 갖는 인트랙티브 테이블의 구동 방법
KR20200074842A (ko) * 2018-12-17 2020-06-25 울산과학기술원 음악 재생기
KR102226719B1 (ko) * 2018-12-17 2021-03-12 울산과학기술원 음악 재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00043A (zh) 2016-08-24
WO2016072610A1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2811B (zh) 用于显示地图的用户终端设备及其方法
US10614120B2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7924286B (zh)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输入方法
KR101533603B1 (ko)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US20170047065A1 (en) Voice-controllable image display device and voice control method for image display device
CN105138247A (zh) 检测到第二设备接近第一设备而在第一设备呈现用户界面
US94308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augmented content using the same
US10853024B2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mapped between a plurality of inputs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CN105556428A (zh) 具有显示器的便携式终端及其操作方法
CN103517229A (zh) 用户信息获取方法、装置、移动终端及服务器
KR102664716B1 (ko)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화면의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N104423838A (zh) 文档划分和合并方法、设备和程序
KR10251375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1124236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机器可读介质
US114820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writing input
CN104898967A (zh) 在可触控板上呈现至可触控板的输入的指示的装置及方法
US11003293B2 (en) Electronic device that executes assigned operation in response to touch pressure, and method therefor
KR102640424B1 (ko) 결함 영역을 검출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134822B2 (en) Dot pattern recognizing device and content executing device
KR101612821B1 (ko) 차선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US20170168597A1 (en) Pen hover range
KR102510841B1 (ko)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픽셀 라인들을 구동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569170B1 (ko)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는 시간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170685B2 (en) Object location determination
KR1015929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