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423B1 -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 - Google Patents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423B1
KR101960423B1 KR1020180115842A KR20180115842A KR101960423B1 KR 101960423 B1 KR101960423 B1 KR 101960423B1 KR 1020180115842 A KR1020180115842 A KR 1020180115842A KR 20180115842 A KR20180115842 A KR 20180115842A KR 101960423 B1 KR101960423 B1 KR 101960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de
cutter module
motor
electric
electric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태환
Original Assignee
상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5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 B26D1/1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mounted on a movable carriage
    • B01F15/00123
    • B01F15/02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6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6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wherein control means on the work feed means renders the cutting member operative
    • B26D5/28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wherein control means on the work feed means renders the cutting member operative the control means being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겨울철에 제설 및 융빙작업 등에 사용하기 위해 염화칼슘 등의 염화물을 물에 녹여 제설용액을 제조함에 있어, 가루로 되어있던 염화물이 보관과정에서 경화되어 톤백 내에서 전체가 한 덩어리 또는 몇 개의 큰 덩어리로 굳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덩어리가 너무 커서 분쇄하기 어렵기 때문에 큰 덩어리로 굳은 염화물을 통째로 넣고 물과 교반하여 제설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교반장치 즉,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로 제설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교반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교반장치에서는 톤백 하부를 일시에 절개해서 큰 덩어리로 굳은 염화물이 통째로 쏟아지게 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로 제설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교반장치’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전동커터날을 사용하여 ‘톤백 하부 전체를 일시에 절개하는 것이 가능한 절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커터모듈, 이동수단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동커터모듈은 모터, 샤프트, 복수의 원형커터 및 지지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Cutting Apparatus for Ton bag}
본 발명은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겨울철에 제설 및 융빙작업 등에 사용하기 위해 염화칼슘 등의 염화물을 물에 녹여 제설용액을 제조함에 있어, 가루로 되어있던 염화물이 보관과정에서 경화되어 톤백 내에서 전체가 한 덩어리 또는 몇 개의 큰 덩어리로 굳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덩어리가 너무 커서 분쇄하기 어렵기 때문에 큰 덩어리로 굳은 염화물을 통째로 넣고 물과 교반하여 제설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교반장치 즉,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로 제설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교반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교반장치에서는 톤백 하부를 일시에 절개해서 큰 덩어리로 굳은 염화물이 통째로 쏟아지게 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로 제설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교반장치’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전동으로 작동되는 복수의 원형커터를 사용하여 ‘톤백 하부 전체를 일시에 절개하는 것이 가능한 절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에 눈이나 비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면의 결빙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제설차량을 이용하여 도로위의 눈을 직접 밀어내거나, 제설 또는 융빙 현상을 유발하는 제설제를 도로 위에 살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제설제를 사용하는 경우, 종전에는 염화칼슘,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마그네슘과 등과 같은 염화물 제설제를 도로 위에 직접 흩어 뿌렸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설제를 직접 도로에 살포하는 경우 살포범위가 제설차량이 지나가는 차폭 정도에 제한되어 살포량과 노력에 비하여 효과가 적고 여러 가지 부작용이 있어 왔었다.
제설제를 직접 살포하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제설제와 물을 교반하여 만든 제설제 수용액 즉 제설용액을 살포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는데, 제설용액을 노면에 살포하는 경우, 노즐에 의하여 분사되기 때문에 분사위치 조정이 가능하고, 이송펌프의 압력에 따라 분사범위를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설용액의 농도에 따라 빙점 조절이 가능하고, 액체 상태로 살포되므로 반응시간이 빠른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제설용액을 노면에 살포하기 전에는 제설제와 물을 교반하여 제설용액을 만드는 공정이 필요하다. 제설용액을 만드는 공정을 수행하는 통상의 교반장치의 구성은, 교반용수를 담을 수 있는 교반탱크, 교반탱크의 위치까지 물을 공급하는 교반용수 공급장치, 교반용수의 양에 따라 제설제를 연속적, 간헐적 또는 일시적으로 탱크에 투입할 수 있는 제설제 투입장치, 제설제가 물에 잘 녹을 수 있도록 교반하여 와류를 일으킬 수 있는 교반수단 즉 임펠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제설용액은 제설이 필요한 동절기에만 주로 쓰이는 계절적 이유로 인하여 동절기가 지나면 제설용액 제조에 사용되지 않은 염화물 등에 대한 재고가 발생하고, 발생된 염화물 제설제의 재고는 톤백(ton bag)에 담겨진 상태로 여러 층으로 적재되어 보관되는데, 오랜 시간동안 적재된 상태로 보관되는 염화물은 단단하게 경화되어 덩어리지게 된다. 이렇게 단단하게 경화된 염화물 덩어리들을 그대로 교반장치에 투입하는 경우, 단단한 덩어리들이 교반장치의 임펠러에 부딪혀서 임펠러의 날개나 연결부위 등이 손상되며, 또한 너무 심하게 단단해진 덩어리들을 한꺼번에 많이 투입하는 경우에는 임펠러의 회전이 멈춰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모터에 과부하가 오게 되므로 모터의 손상을 초래하기도 하고, 임펠러의 회전축에 너무 많은 힘이 가해져서 회전축이 휘거나 뒤틀리는 등 회전축의 변형을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굳어서 덩어리진 염화물을 사용하여 제설용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Crasher 등의 분쇄기로 분쇄하여 가루로 만드는 분쇄공정을 거쳐야 한다. 즉 덩어리진 염화물을 크래셔로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어 교반장치에 넣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큰 덩어리의 염화물을 1차적으로 분쇄하여 작은 덩어리들로 만든 후, 오거스크류가 부착된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작은 덩어리들을 오거스크류를 통하여 가루상태로 분쇄하며 투입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덩어리진 염화물 제설제의 분쇄를 위한 별도의 장비(크래셔, 오거스크류 등)를 필요로 하여 장비 구입 및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비용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1, 2차 분쇄공정의 수행에 있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초래된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특히, 톤백(ton bag)에 넣어서 보관되는 염화물은 톤백 안에 들어있는 염화물 전체가 한 덩어리 또는 여러 개의 큰 덩어리로 굳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초대형의 분쇄기(Crasher)에 넣어서 분쇄를 해야 사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장비 등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기관이나 기업에서는 분쇄작업 조차도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톤백 안에 들어있는 염화물 전체가 한 덩어리로 굳어지는 경우 어쩔 수 없이 폐기처분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왔다. 따라서 예산절감 및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톤백 상태로 굳어진 염화물을 사용하기 위한 기술의 마련이 시급한 상태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는, 톤백에 담겨서 전체가 한 덩어리 또는 여러 개의 큰 덩어리로 굳어진 염화물을, 별도의 분쇄공정 없이도 교반장치 내에 직접 통째로 투입하여 교반용수를 순환 및 교반시켜 제설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교반장치에서, 톤백 내에 있는 덩어리진 염화물을 교반장치 내부에 있는 염화물 투입함으로 한꺼번에 투입할 수 있도록, 교반장치의 투입구에서 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복수의 원형커터를 회전시키며 빠르게 이동함으로써 톤백의 하부 전체를 일시에 절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의 일 실시예는, 톤백(ton bag)에 담긴 채 전체가 굳어서 덩어리진 염화물을 직접 투입하여 교반할 수 있는 교반장치의 투입구에서,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이 상기 교반장치의 내부에 있는 염화물 투입함으로 한꺼번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톤백의 하부 전체를 일시에 절개하는 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상기 투입구를 가로지른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의 마주보는 두 변 사이를 너비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전동커터모듈; 상기 전동커터모듈을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이동수단; 및 상기 전동커터모듈 및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전동커터모듈은 모터, 샤프트, 복수의 원형커터 및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전동커터모듈의 길이방향 일단에 위치하여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샤프트는 길이가 상기 투입구의 한 변보다 길고, 일단이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원형커터 각각은 상기 샤프트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전동커터모듈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모터가 위치한 곳의 반대쪽에서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모터 및 상기 지지대는 모터케이스 및 지지대케이스에 각각 수납되며,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 각각은 상기 모터케이스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의 일 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은, 상기 투입구 중 상기 전동커터모듈의 너비방향과 평행한 두 변 쪽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모터케이스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에는 상기 전동커터모듈이 왕복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레일삽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커터모듈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상기 모터케이스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에 형성된 레일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각각의 횡단면은, 상부가 상기 투입구의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있고 하부가 상기 투입구의 중심부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단면이 각각
Figure 112018096048077-pat00001
형상 및
Figure 112018096048077-pat00002
형상이며, 상기 모터케이스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에 형성된 각각의 레일삽입홈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중 상기 투입구의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상부가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러한 특징들어 더하여 톤백감지센서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톤백감지센서는 상기 톤백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커터모듈 및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는 투입구에 위치하는 전동커터모듈이 투입구의 한 변으로부터 다른 변으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원형커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톤백의 하부를 일시에 절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톤백 내부에 덩어리진 염화물 전체가 한꺼번에 빠져나오면서 하방의 염화물 투입함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교반장치 내부로 톤백 단위로 덩어리진 염화물 전체를 한꺼번에 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도록 하고, 왕복 이동하는 전동커터모듈 양단에 있는 모터케이스 및 지지대케이스에 레일삽입홈을 형성하여 가이드레일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전동커터모듈이 톤백 절개를 위한 이동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그리고 톤백감지센서를 포함하도록 하고, 톤백이 투입구로 투입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으로 하여금 이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톤백이 투입되어 적정위치에 다다를 때에 이동수단이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톤백을 절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염화물 투입함 내부에는 자유낙하 저지수단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커터모듈에 의하여 톤백의 하부가 절개되어 톤백으로부터 덩어리진 염화물이 일시에 투입되더라도 자유낙하 저지수단과 접촉되면서 점진적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염화물 투입함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화물이 복수의 자유낙하 저지수단과 단계적으로 접촉하는 과정에서 가장 경화도가 높은 부분인 표면을 여기저기서 파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경화도가 낮은 염화물의 내부가 교반용수에 노출되며, 이로 인하여 교반용수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노출된 내부 염화물을 용이하게 녹이므로 제설용액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염화물 투입함은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동커터모듈에 의하여 톤백의 하부가 절개되어 톤백으로부터 한 덩어리진 염화물이 일시에 낙하되며 투입되더라도 투입되는 과정에서 바닥까지 일시에 자유낙하 되지 않고 중간에 걸리게 되므로 염화물의 투입 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덩어리진 염화물들을 한꺼번에 교반장치 내부로 투입하여 제설용액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굳어진 염화물들을 버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비용절감 효과가 있으며, 크게 덩어리진 염화물을 작은 덩어리로 부수거나 가루로 만들지 않더라도 직접 투입하여 제설용액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설용액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즉, 덩어리진 염화물을 분쇄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 없게 되며, 분쇄장비를 가동하여 가루로 만드는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반면, 덩어리진 염화물을 한꺼번에 교반장치 내부에 투입하여 일단 교반이 시작되면 덩어리진 염화물이 자유낙하 저지수단에 의하여 표면이 부서진 부분부터 녹기 시작하여 전체가 순식간에 녹게 되므로 제설용액을 만드는 시간이 크게 단축되게 된다. 따라서 제설용액 제조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의 내부를 투시한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전동커터모듈 및 이동수단에 대한 사시도와 원형커터의 다양한 실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도 2의 A-A’부분)로서, 전동커터모듈이 투입구의 한쪽 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도 2의 A-A’부분)로서, 전동커터모듈이 투입구의 다른 쪽 변으로 이동하여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단면도(도 2의 B-B’부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로서, 전동커터모듈이 투입구의 한쪽 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로서, 전동커터모듈이 투입구의 다른 쪽 변으로 이동하여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염화물을 담은 톤백이 투입구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동커터모듈의 이동에 의하여 염화물을 담은 톤백의 하부가 전동커터모듈에 의하여 절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덩어리진 염화물이 염화물 투입함에 투입되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가이드레일이 장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톤백감지센서가 장착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도 2의 A-A’부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염화물 투입함에 대한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덩어리진 염화물이 용해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는 톤백(920)에 담겨서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900)을 투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호퍼(11)가 교반탱크(200) 상판(220)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임펠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300) 또한 상기 교반탱크(200)의 상판(220)에 위치하며, 상기 교반탱크(200)의 하단 일 측면에는 제조된 제설용액 등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배관(210)이 부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를 포함하는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의 내부를 투시한 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 적용되는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다. 따라서 도 2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교반장치는, 톤백(920)에 담겨서 전체가 굳어서 덩어리진 염화물(900)을, 톤백으로부터 직접 투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투입구(10) 및 염화물 투입함(100),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을 내부에 포함하는 교반탱크(200), 상기 교반탱크(200)에 고정되는 구동수단(300), 상기 구동수단(300)에 의하여 상기 교반탱크(200)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축(400), 상기 회전축(400)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5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입구(10)로 상기 염화물이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10)에 연결된 호퍼(11), 상기 교반탱크(200) 내부로 교반용수를 공급하는 교반용수 공급수단(미도시) 및 교반이 완료된 제설용액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교반탱크(20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배수배관(210)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상세단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중 전동커터모듈 및 이동수단에 대한 사시도 및 원형커터의 다양한 실시예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도 2의 A-A’부분)로서, 도 4는 전동커터모듈이 투입구의 한쪽 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전동커터모듈이 투입구의 다른 쪽 변으로 이동하여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또 다른 단면도(도 2의 B-B’부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로서, 도 7은 전동커터모듈이 투입구의 한쪽 변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전동커터모듈이 투입구의 다른 쪽 변으로 이동하여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는 톤백(920)에 담긴 채 전체가 굳어서 덩어리진 염화물(900)을 교반장치에 직접 투입하여 교반할 수 있는 교반장치의 투입구(10)에서,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상기 교반장치의 내부에 있는 염화물 투입함(100)으로 한꺼번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톤백(920)의 하부 전체를 일시에 절개하는 장치로서, 전동커터모듈(30), 한 쌍의 이동수단(20) 및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은 상기 투입구(10) 상에서 상기 투입구(10)를 가로지른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10)의 한쪽 변에서 다른 쪽 변까지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투입구(10) 위에 위치하게 되는 톤백(920)의 하부를 절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투입구(10)를 가로지른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10)의 마주보는 두 변 사이를 너비방향(S)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32), 샤프트(33), 복수의 원형커터(34) 및 지지대(36)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터(32)는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의 길이방향 일단(예를 들면 도 3에서 왼쪽 단부)에 위치하여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3)는 상기 모터(3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그 길이가 상기 투입구(10)의 한 변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샤프트(33)에 장착되는 상기 복수의 원형커터(34)들이 상기 톤백(920)의 하부를 절개하게 되므로 상기 샤프트(33)의 길이가 충분히 길어야 상기 복수의 원형커터(34)들이 상기 톤백(920)의 하부 전체를 일시에 절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원형커터(34) 각각은 상기 샤프트(33)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33)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며 상기 톤백(920) 하부를 동시에 절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이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원형커터(34)가 4개만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예를 들은 것뿐이며, 도 6 내지 도 8에서 처럼 6개 또는 그 이상으로 상기 톤백(920) 하부를 동시에 절개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개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톤백(920)의 하부를 상기 복수의 원형커터(34)가 절개 했을 때, 상기 톤백(920)의 내부에 있는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톤백(920)의 하부가 절개방향과 직각방향으로도 찢어져야 하기 때문에 충분히 좁은 간격으로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원형커터(34)는 도 3의 왼쪽 상단의 실시 예들에서 보듯이 원둘레에 칼날(34a1)을 형성한 원형커터(34a)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원둘레에 톱날(34b1)을 형성하여 원형톱(34b)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원통형(34c)으로 하여 원통형(34c)의 외주면에 연마층(34c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렇게 원통형(34c)으로 하는 경우 넓은 연마층(34c1)에 의하여 상기 톤백(920) 하부가 여러 개의 넓은 면적을 한꺼번에 절개될 수 있으므로, 상기 톤백(920)의 하부에 남은 면적이 좁아지므로 더욱 용이하게 찢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36)는 상기 샤프트(33)의 다른 한 쪽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모터(32)가 위치한 곳의 반대쪽에서 상기 샤프트(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36)가 상기 샤프트(3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베어링 등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터(32) 및 상기 지지대(36)의 외부는 상기 모터(32) 및 상기 지지대(36)를 분진, 충격 등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모터케이스(31) 및 지지대케이스(35)로 감싸주는 구조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20)은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을 상기 투입구(10)의 한 쪽 변으로부터 반대쪽 변까지,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이 상기 투입구(10)를 가로지른 균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왕복 이동 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을 상기 투입구(10)상에서 안정적으로 균형 있게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의 양 단부 쪽에서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을 밀고 당기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20) 각각은 상기 모터케이스(31)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35)의 일 측면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20)은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이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20)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을 상기 투입구(10)의 가장자리 한쪽 가장자리에 위치시키거나, 한쪽 가장자리에서 반대쪽 가장자리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거나, 이동이 종료된 후 반대쪽 가장자리에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수단(20)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실린더(21, 2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실린더(21,22)가 아니더라도 모터장치와 함께 기어, 체인 또는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고, 기타 적용 가능한 다양한 이동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이동수단(20)으로서 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헤드(21), 실린더 로드(22) 및 고정부재(23)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실린더 헤드(21)가 상기 고정부재(23)를 통하여 상기 교반탱크(200)의 상판(220)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 로드(22)의 단부가 상기 모터케이스(31)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35)의 일 측면에 각각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린더의 길이를 너무 길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로드(22a, 22b)를 2단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상기 실린더 로드(22a, 22b)가 상기 실린더헤드(21)에서 왕복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실린더 로드(22)에 고정된 상기 모터케이스(31)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35)가 같이 왕복이동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전동커터모듈(30) 전체가 상시 투입구(10)를 가로지른 균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투입구(10)의 한 쪽 변으로부터 반대쪽 변까지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은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20)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버튼스위치 등과 함께 반도체 등을 이용하는 전자회로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릴레이 등과 같은 기계적 접점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은 교반장치 내 운용자가 조작하기에 편리한 적정위치에 두는 것도 가능하며 교반장치에 인접한 곳에 별도로 위치하게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가 작동되는 원리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을 담은 상기 톤백(920)이 상기 호퍼(11)안에서 상기 투입구(10) 상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을 담은 상기 톤백(920)의 하부가 상기 원형커터(34)에 의하여 절개되어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하방으로 투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에 투입되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톤백의 하부 전체가 일시에 절개되는 작동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이 상기 투입구(10)의 한쪽 변에 위치한 상태에서, 크레인 등의 톤백 투입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톤백(920)이 상기 호퍼(11)내로 들어와서 상기 투입구(10) 위에 있는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위에 놓이게 되면,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을 작동시켜 상기 모터(3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이동수단(20)을 작동시켜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을 반대쪽 변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이동수단(20)의 이동속도는 상기 톤백(920)의 절개로 인하여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하방으로 낙하하기 전에 이동해야 하므로,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톤백(920)이 찢어지는 시간을 감안하여 적절한 속도로 신속하게 이동하여야 한다.
한편 전동커터모듈(30)이 한쪽 변에서 다른 쪽 변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모터(3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원형커터(34) 각각도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톤백(920)의 하부는 상기 복수의 원형커터(34)의 숫자만큼 절개선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선의 형성에 따라 상기 톤백(920)의 하부는 상기 절개선의 숫자보다 1이 적은 수의 띠 모양으로 분리되게 되며, 띠 모양으로 분리된 상기 톤백(920)의 하부는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의 무게에 의하여 찢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톤백(920)에서 부터 빠져나와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 내부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 내부로 하강하던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 내부에 있는 자유낙하 저지수단(120)들에 걸려서 속도가 저하되면서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중간부분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사시도와 부분 단면도(위쪽 좌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에서는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의 양단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50)을 두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수단(20)으로 하여금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50)은, 상기 투입구(10) 중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의 너비방향(S)과 평행한 두 변 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모터케이스(31)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35)에는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이 왕복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레일삽입홈(39)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50)이 상기 모터케이스(31)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35)에 형성된 상기 레일삽입홈(39)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2에서 보듯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50) 각각의 횡단면 상부(50a)는 상기 투입구(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있고, 하부(50c)는 상기 투입구(10)의 중심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단면이 각각
Figure 112018096048077-pat00003
형상 및
Figure 112018096048077-pat00004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모터케이스(31)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35)에 형성된 각각의 상기 레일삽입홈(39)에는 상기 가이드레일(50) 중 상기 투입구(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상부(50a)가 각각 삽입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Figure 112018096048077-pat00005
형상 하부(50c)의 절곡부분은 상기 교반탱크(200)의 상판(220)과 용접, 리벳 또는 볼트결합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이 상기 톤백(920) 하부를 절개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50)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가이드레일(50)의 횡단면을 ㅗ자 형상으로 하고 모터케이스(31)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35)의 하부에 상기 ㅗ자 형상의 가이드레일(50) 중 수직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레일삽입홈(39)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톤백감지센서(60)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서처럼 상기 호퍼(11) 내부에 상기 톤백감지센서(60)를 더 포함하도록 하면, 상기 톤백감지센서(60)가 상기 톤백(920)이 상기 투입구(10)로 투입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커터모듈(30) 및 상기 이동수단(20)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상기 톤백(920)이 상기 투입구(10)로 투입되는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제어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을 가동시키고 상기 이동수단(20)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톤백(920)이 투입되어 적정위치에 다다를 때에 상기 이동수단(20)이 자동으로 상기 전동커터모듈(30)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톤백(920)의 하부를 절개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 적용되는 발명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염화물 투입함(100)은 상기 투입구(10) 및 상기 호퍼(11)와 마찬가지로, 상기 톤백(920)에 담겨서 전체가 한 덩어리 또는 여러 개의 큰 덩어리로 굳어진 염화물이, 상기 톤백(920)으로부터 직접 투입될 수 있는 크기와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톤백(920)에 담겨서 전체가 굳어진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은 상기 톤백(920)에 담긴 채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고리(930)에 매달아 염화물 투입함(100)의 상부에 있는 상기 호퍼(11)에 위치해 놓고, 투입구(10)에 위치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20, 30)’에 의하여 상기 톤백(920)의 하부를 절개하면 상기 톤백(920) 안에 있던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통째로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은,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투입되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투입될 때 바닥으로 직접 자유낙하하지 않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위에서 보는 단면이 점점 좁아지고, 옆에서 보는 단면은 역 사다리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위에서 본 단면은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을 담은 상기 톤백(920) 하부의 형상과 같은 정사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측면 및 하면(140)은 격자 형태로 되어 교반용수가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측면 및 하면(140)을 통하여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임펠러(500)가 위치하는 쪽의 측면 중 일부는 차단판(110)으로 막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임펠러(500)가 상기 교반탱크(200)의 하방을 향하여 밀어서 형성시키는 교반용수의 흐름이,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하면(140) 밑의 공간으로 밀려가서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내부로 상향 인입되는 경우 그 흐름이 바로 상기 임펠러(500)로 쪽으로 바로 오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교반용수가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격자 형태를 통하여 자유롭게 드나들면서도, 상기 임펠러(500)가 발생시키는 흐름은 상기 차단판(110)에 의하여 막혀서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측면으로 바로 밀려들어가지 않고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하면(140) 아래로 유도되며,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으로 인입된 교반용수의 흐름 또한 상기 차단판(110)에 의하여 막혀서 상기 임펠러(500)쪽으로는 바로 나오지 못하고 다른 경로로 우회하여 순환되어 나오게 되며, 이로 인하여 교반용수의 순환이 골고루 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의 용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판(110)은 상기 임펠러(500)가 위치하는 쪽의 측면 중에서 상기 하면(140)과 만나는 지점부터 일정높이까지 막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하면(140)은 측면에 비하여 촘촘한 그물망형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에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투입되는 과정에서 분쇄 또는 파쇄된 부스러기가 상기 교반탱크(200) 바닥에 가라앉게 되면 용해가 잘 안될 뿐만 아니라 계속하여 누적되어 쌓여서 굳게 되면 이를 제거해줘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하면(140)을 촘촘한 그물망형태로 하는 경우 교반용수의 순환에는 지장이 없으면서 상기 교반탱크(200) 바닥에 염화물 부스러기들이 가라앉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차단판(110) 정도의 높이까지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측면을 촘촘한 그물망 형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하면(140) 아래에는 일정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임펠러(500)에서 하방으로 발생시키는 상기 교반용수의 흐름을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하면(140) 밑으로 밀려들어가게 해서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상향 인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염화물 투입함(100)의 하면(140)에는, 상기 교반탱크(200) 바닥과의 사이에 일정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아래쪽을 향하여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지지대(130)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상기 교반탱크(200)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유지보수의 원활성 제고 등을 위해 상기 교반탱크(200) 바닥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측면 내부에는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투입될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자유낙하 저지수단(120)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자유낙하 저지수단(120)은,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사방을 둘러싸며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단계적으로 여러 층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투입되면서 하방으로 내려올 때 상기 복수의 자유낙하 저지수단(120) 각각과 단계적으로 접촉하면서 투입속도가 저하되도록 하여 충격을 점진적으로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의 표면, 즉 경화도가 높으면서, 경화도 약한 속 부분을 감싸고 있는 표면이 상기 복수의 자유낙하 저지수단(120)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분쇄되어 여러 군데가 벗겨지게 되며, 이렇게 되는 경우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 중 경화도가 낮은 속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교반용수와 직접 맞닿을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에 대하여 상기 교반용수의 침투 및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자유낙하 저지수단(120) 각각은 삼각뿔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삼각뿔모양은 속이 비어 있고 두 면이 오픈된 형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도 14의 오른쪽 위 도면), 사면이 모두 막힌 삼각뿔모양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4의 오른쪽 아래 도면). 상기 복수의 자유낙하 저지수단(120) 각각을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투입될 때 상기 자유낙하 저지수단(120)이 접촉하는 경우 날카로운 삼각뿔의 모서리 및 꼭짓점이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의 표면을 점진적으로 분쇄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의 투입속도가 저하됨과 아울러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의 표면이 분쇄되고 내부가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위에서부터 내려오면서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자유낙하 저지수단(120) 각각과 순차적으로 접촉하며 내려오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의 투입속도가 단계적으로 저하되며,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의 표면 또한 점점 더 크게 분쇄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자유낙하 저지수단(120) 중 최상단에 있는 자유낙하 저지수단(120)들의 서로 마주보는 간격(S)은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의 아래쪽 한 변의 크기(아래가 정사각인 톤백의 경우) 또는 직경(원통형 톤백의 경우)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투입되면서 최상단에 있는 자유낙하 저지수단(120)부터 아래로 가면서 차례로 접촉할 수 있는 구조로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자유낙하 저지수단(120) 중 제일 하단에 있는 자유낙하 저지수단(120a)들 즉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하면(140)과 접해서 위치하는 자유낙하 저지수단(120a)의 크기는 다른 자유낙하 저지수단(120)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단에 있는 자유낙하 저지수단(120)에서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의 표면이 너무 많이 분쇄되는 경우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하면(140)에 자유낙하하면서 직접적인 충격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제일 하단에 있는 자유낙하 저지수단(120a)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투입되는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투입과정에서 크기가 작아진다 하더라도 최종 저지수단으로 작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염화물이 용해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인데,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이 투입되어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 내부에서 상기 복수의 자유낙하 저지수단(120)에 의하여 걸려서 멈춰있는 상태이며, 교반용수는 상기 교반탱크(200) 내에서 적정레벨(WL)까지 채워져 있을 때 상기 구동수단(300)이 상기 회전축(400) 및 상기 임펠러(500)를 돌리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임펠러(500)는 상기 회전축(400)과 일체가 되어 회전하며, 하나 또는 두개이상의 임펠러(5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도 16에 도시된 두 개의 임펠러(500a 및 500b)는 그 회전에 의하여 교반용수를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밀어내며(파란색 화살표 참조), 하방으로 밀려 내려오는 교반용수는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하면(140) 아래쪽으로 들어가서 다시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하면(140)에 형성된 격자 형태를 통과하여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내부로 들어 온 뒤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의 상부를 통하여 순환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에는 상기 임펠러(500)가 위치한 쪽의 측면에 상기 차단판(110)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임펠러(500)가 밀어내는 교반용수가 측면을 통하여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염화물 투입함(100)로 순환되는 교반용수가 직접 상기 임펠러(500) 쪽으로 흘러가는 것을 예방하며, 멀리 떨어진 곳으로 순환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900)은 교반용수의 계속적인 순환에 따라 점진적으로 용해되어 제설용액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투입구
11 호퍼
20 이동수단
21 실린더헤드 22 실린더로드
23 고정부재
30 전동커터모듈
31 모터케이스 32 모터
33 샤프트 34 원형커터
35 지지대케이스 36 지지대
39 레일삽입홈
50 가이드레일
60 톤백감지센서
100 염화물 투입함
110 차단판 120 자유낙하 저지수단
130 지지대 140 하면
200 교반탱크
210 배수배관 220 상판
300 구동수단
400 회전축
500 임펠러

Claims (4)

  1. 톤백(ton bag)에 담긴 채 전체가 굳어서 덩어리진 염화물을 직접 투입하여 교반할 수 있는 교반장치의 투입구에서,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이 상기 교반장치의 내부에 있는 염화물 투입함으로 한꺼번에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톤백의 하부 전체를 일시에 절개하는 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상기 투입구를 가로지른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의 마주보는 두 변 사이를 너비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전동커터모듈;
    상기 전동커터모듈을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이동수단; 및
    상기 전동커터모듈 및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전동커터모듈은 모터, 샤프트, 복수의 원형커터 및 지지대를 포함하며,
    - 상기 모터는 상기 전동커터모듈의 길이방향 일단에 위치하여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며,
    - 상기 샤프트는 길이가 상기 투입구의 한 변보다 길고, 일단이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 상기 복수의 원형커터 각각은 상기 샤프트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며,
    -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전동커터모듈의 길이방향 양단 중 상기 모터가 위치한 곳의 반대쪽에서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 상기 모터 및 상기 지지대는 모터케이스 및 지지대케이스에 각각 수납되며,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 각각은 상기 모터케이스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의 일 측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염화물 투입함은,
    - 아래쪽으로 갈수록 위에서 보는 단면이 점점 좁아져서, 옆에서 보는 단면이 역 사다리꼴이고,
    - 측면 및 하면은 교반용수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격자 형태이고,
    - 상기 하면에는, 상기 교반장치 바닥과의 사이에 일정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아래쪽을 향하여 일정길이를 갖는 복수의 지지대가 부착되고,
    - 상기 측면의 안쪽에는 상기 덩어리진 염화물이 한꺼번에 투입되어 낙하 될 때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자유낙하 저지수단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은, 상기 투입구 중 상기 전동커터모듈의 너비방향과 평행한 두 변 쪽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모터케이스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에는 상기 전동커터모듈이 왕복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레일삽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커터모듈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상기 모터케이스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에 형성된 레일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각각의 횡단면은, 상부가 상기 투입구의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있고 하부가 상기 투입구의 중심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단면이 각각
    Figure 112018096048077-pat00006
    형상 및
    Figure 112018096048077-pat00007
    형상이며,
    상기 모터케이스 및 상기 지지대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레일삽입홈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레일 중 상기 투입구의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된 상부가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톤백감지센서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톤백감지센서는 상기 톤백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커터모듈 및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
KR1020180115842A 2018-09-28 2018-09-28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 KR101960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842A KR101960423B1 (ko) 2018-09-28 2018-09-28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842A KR101960423B1 (ko) 2018-09-28 2018-09-28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423B1 true KR101960423B1 (ko) 2019-03-20

Family

ID=6603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842A KR101960423B1 (ko) 2018-09-28 2018-09-28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4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3012A (zh) * 2022-03-31 2022-07-29 神华准格尔能源有限责任公司 一种粒装硝酸铵吨包袋卸料装置
CN117682196A (zh) * 2024-02-04 2024-03-12 湘潭建联丰禾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吨袋肥料原料快速破袋限量下料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326B1 (ko) * 2005-03-08 2005-07-28 주식회사 자동기 톤백 절개장치
JP3196252U (ja) * 2014-12-17 2015-02-26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枚葉状試験片サンプリング装置
KR101771989B1 (ko) * 2017-05-02 2017-08-28 윤병천 원료포대 절개방법 및 절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326B1 (ko) * 2005-03-08 2005-07-28 주식회사 자동기 톤백 절개장치
JP3196252U (ja) * 2014-12-17 2015-02-26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枚葉状試験片サンプリング装置
KR101771989B1 (ko) * 2017-05-02 2017-08-28 윤병천 원료포대 절개방법 및 절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3012A (zh) * 2022-03-31 2022-07-29 神华准格尔能源有限责任公司 一种粒装硝酸铵吨包袋卸料装置
CN117682196A (zh) * 2024-02-04 2024-03-12 湘潭建联丰禾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吨袋肥料原料快速破袋限量下料装置
CN117682196B (zh) * 2024-02-04 2024-04-30 湘潭建联丰禾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吨袋肥料原料快速破袋限量下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066B1 (ko)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커터식 절개장치
KR101960423B1 (ko)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용 교반장치에서 톤백 하부를 절개하는 전동식 절개장치
RU22490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нефти и способ сбора нефти или т.п.
JP4685195B2 (ja) コンクリート廃材の再生利用装置
JP2009030422A (ja) 圧雪塊粉細・温水多段噴射融解型融雪処理装置
KR101960407B1 (ko) 톤백 전체가 덩어리진 염화물로 제설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교반장치
KR101988542B1 (ko) 제설제 로딩 기능을 구비한 제설제 저장 탱크
JP2006289307A (ja) 土砂や泥土の解泥装置
JP4247794B2 (ja) 排泥処理用混練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排泥処理方法
JP2008281322A (ja) 雪氷塊の削氷装置
CN212018041U (zh) 一种固体废物处理装置
JP2004257023A (ja) 土壌混合改良機
CN104608254B (zh) 一种用于混凝土搅拌站的料斗机器人
JP4480021B2 (ja) 排泥処理用加圧式分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排泥処理方法
KR101960409B1 (ko) 암염 또는 덩어리진 염화물로 제설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교반장치
KR100656732B1 (ko) 그라인딩 및 와류조절에 의한 순환 잔골재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CN207478710U (zh) 一种猪饲料的连续自动粉碎搅拌一体机
JP4245945B2 (ja) 解砕コンベア装置
CN104608250B (zh) 一种机器人配料斗
CN104608249B (zh) 四棱台形电动机械式送料器
CN104608251B (zh) 一种混凝土搅拌站使用的电动机械式四棱台形料斗
CN104626364B (zh) 自动控制搅拌混凝土送料器
JP2007051502A (ja) 土壌混合機
KR102588360B1 (ko) 스프레더를 가지는 제설용액 교반장치
CN118002606B (zh) 一种重金属吸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