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734B1 -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734B1
KR101959734B1 KR1020170115890A KR20170115890A KR101959734B1 KR 101959734 B1 KR101959734 B1 KR 101959734B1 KR 1020170115890 A KR1020170115890 A KR 1020170115890A KR 20170115890 A KR20170115890 A KR 20170115890A KR 101959734 B1 KR101959734 B1 KR 101959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shunt resistor
resistor
incision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길
이일규
Original Assignee
(주)유양디앤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양디앤유 filed Critical (주)유양디앤유
Priority to KR102017011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 니켈, 철, 망간, 크롬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소재로 제작되는 저항 판으로 이루어져 전류 테스트를 위한 사이클러 장치에 내장되는 션트 저항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저항 판의 두께를 관통하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저항 판이 절개선으로 인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시점과 종점이 하나의 단일한 경로로 연결되는 미로 형태의 저항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점유하는 공간이 항상 일정하면서도 저항 값의 조절 폭이 자유로울 수 있게 되어 대용량 이차전지와 소용량 이차전지의 테스트가 모두 하나의 전류 측정 장비로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션트 저항이 가질 수 있는 저항 값의 범위가 종래보다 훨씬 크면서도, 종래의 션트의 제작보다 훨씬 저렴하고 더 간단한 공정으로 제작 가능하며, 종래보다 훨씬 큰 저항 값을 가지면서도 방열을 위하여 결합되는 방열판의 부피가 훨씬 감소될 수 있어, 션트 저항이 설치되는 기기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으면서 방열판의 소요량이 절감되고, 또한 부피 및 길이 축소로 인하여 노이즈의 영향이 더욱 감소되어 전류 측정의 정밀도가 고도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션트 저항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및 이의 제조방법{Shunt resistor using for cycler and production method of it}
본 발명은 이차전지를 비롯한 각종 기기의 전류 테스트를 위한 사이클러에 내장되는 션트 저항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션트 저항은 일반적으로 전류계에 내장되어 배터리 및 기타 전자기기의 전류 값 측정 과정에서 전압강하 작용을 하여 넓은 범위의 전류 값을 측정 가능하도록 해 준다. 즉 전류는 션트 저항과 전류 측정 회로로 나뉘어서 흐르게 되고, 션트 저항의 양 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여 전류 값으로 환산함으로써 전류가 측정된다. 이러한 설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전류는 이론적으로 무한하지만, 측정 장비의 전압 범위를 넘어설 수는 없다. 그리고 션트 저항의 저항 값은 측정 상의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가능한 낮아야 한다.
이러한 션트 저항을 이용하여 전류 값이 측정되는 대표적인 기기가 이차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영구적이지는 않지만 반복적으로 전류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 태블릿 또는 휴대 가능한 DAP 등 각종 전기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차 전지는 휴대폰과 같은 전기전자 기기에도 채용되지만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의 주전원으로 채용된다. 따라서 기기가 소형화 되고 차량의 구동이 화석연료에서 점차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서서히 넘어가는 추세를 볼 때 이차전지는 일상생활에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될 전망이다. 그러므로 이차 전지 자체의 기술 진보뿐만 아니라 보다 고품질의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계측에 사용되는 션트 저항의 정밀도 향상 또한 중요한 과제이다.
션트는 전류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표준 저항이라 할 수 있어서, 션트 저항(표준 저항)이 될 수 있는 데로 작아야만 전류 측정시의 왜곡이 없이 정밀한 전류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션트의 저항 값은 설계된 값에 따라 최대한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그런데 션트 저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션트 저항이 내장되는 전류 계측 장비의 크기가 션트 저항의 크기에 따라 제한 없이 커지거나 무한히 작게 제작될 수는 없으므로, 션트 저항은 주어진 제한된 점유 공간에 설치될 수밖에 없음에도 저항 값에 따라 길이가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어 문제이다.
관련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4517호(공개일자: 2014. 11. 24)에 개시된 '무용접 솔더 마운트 션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 측정 회로에 연결되어 전류가 통전되는 션트 바디부(22)를 주된 구성으로 하되, 션트 바디부(22)는, 제1션트 바디부(22A)와, 제1션트 바디부(22A)에 일단이 이어지면서 제1션트 바디부(22A)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션트 바디부(22B)로 구성된다. 이로써 용접부가 없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망간판의 절단 작업 후 자체 지그 사용 제작 방식을 채용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망간판 절단시 켈빈 센싱단 역시 구현되므로 센싱 포인트 구현을 위한 추가 비용 증가가 없으며, 망간판의 두께 변경만으로 여러 전류 모델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션트 저항 자체를 제작하는 공정뿐만 아니라 션트 저항이 설계된 저항 값을 가질 수 있게 절곡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목표로 하는 저항 값을 가지기 위해 절곡이 두 번 이상 이루어져야 할 경우에는 두 번 이상의 절곡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작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상당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단 한 번의 절곡만 거치더라도 션트 저항의 저항 값을 측정 과정에서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션트 저항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시켜 줄 수 있는 방열판이 한 번의 절곡으로 나누어지는 두 바디부 각각의 앞과 뒤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방열 수단에 소요되는 비용도 상당하여 제조 가격이 상승한다. 특히 이처럼 절곡으로 나누어진 각 바디마다 별도로 양 면에 방열판을 부착시킬 경우 션트저항이 차지하는 부피 또한 커져서 결국 한정된 공간에 설치 가능한 션트 저항의 측정 가능한 범위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차전지는 앞으로 활용 범위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만큼 규격과 용량도 과거보다 더 다양하게 출시될 것이고, 특히 대형 기계도 배터리로 구동 가능한 기술이 도래할 경우 그에 따라 대형화 되는 이차전지의 테스트에 사용되는 션트 저항이 점유하는 부피 또한 커질 수밖에 없어 테스트 장비가 대형화 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만을 점유하면서도 대용량 이차전지와 소용량 이차전지의 테스트가 모두 하나의 전류 측정 장비로 측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션트 저항과 그 제작 기술이 절실하게 요청되는 상황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4517호(공개일자: 2014. 11. 24)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한정된 공간만을 점유하면서도 대용량 이차전지와 소용량 이차전지의 테스트가 모두 하나의 전류 측정 장비로 측정할 수 있게 만드는 션트 저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만을 점유하면서도 설계 저항 값의 가능한 폭이 광범위하게 될 수 있게 만드는 과정이 종래의 제한된 범위의 저항 값을 가지는 션트의 제작보다도 훨씬 저렴하고 더 간단한 공정으로 제작 가능한 션트 저항 및 션트 저항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션트 저항은, 구리, 니켈, 철, 망간, 크롬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소재로 제작되는 저항 판으로 이루어져 전류 테스트를 위한 사이클러 장치에 내장되는 션트 저항으로서, 상기 저항 판의 두께를 관통하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저항 판이 절개선으로 인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시점과 종점이 하나의 단일한 경로로 연결되는 미로 형태의 저항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절개선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가공으로 형성됨으로써 미세 폭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저항 판은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단변과 두 개의 장변이 서로 마주보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 된다.
상기 저항 판에 형성되는 절개선은 상기 단변 또는 장변에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절개선은 어느 하나의 단변 또는 장변으로부터 마주보는 나머지 단변 또는 장변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절개선과, 상기 어느 하나의 단변 또는 장변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지점으로부터 나머지 단변 또는 장변과 만나는 지점까지 연장되며, 제1절개선 사이마다 하나씩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절개선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절개선 및 제2절개선 사이의 간격과 상기 일정한 거리가 같게 형성됨으로써, 제1절개선과 제2절개선의 개수에 따라 제1 및 제2절개선으로 형성되는 상기 미로의 폭과 크기가 달라지면서 상기 미로 형태의 저항 값의 크기가 달라진다.
한편, 상기 시점과 종점은 바람직하게는 저항 판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으로 수직으로 돌출되고, 시점과 종점에는 시점과 종점을 전류 테스트를 위하여 마련되는 PCB 기판에 시점과 종점을 고정시키는 고정블록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선을 이루는 미세 폭에는 바람직하게는 절연재(12)과 차폐층이 삽입되어, 절개선으로 나누어져 형성되는 미로의 인접 구간 사이에 전기 전도 및 전기장 형성을 억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저항 판의 양 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저항 판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사시키는 방열판이 각각 설치되며, 방열판은 저항 판 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시점과 종점이 방열판의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제조방법은 구리, 니켈, 철, 망간, 크롬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소재로 제작되는 저항 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저항 판의 두께를 관통하는 절개선을 형성하여, 저항 판을 절개선으로 인해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시점과 종점이 하나의 단일한 경로로 연결되는 미로 형태의 저항으로 형성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절개선은 레이저 가공으로 형성함으로써, 절개선이 일정한 폭을 가지는 틈으로 형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틈에 절연재(12)과 차폐층을 삽입하는 제3단계를 거칠 수 있다.
한편, 제2단계에서, 상기 저항 판에 형성되는 절개선은 상기 단변 또는 장변에 평행하게 형성하되, 상기 절개선은 어느 하나의 단변 또는 장변으로부터 마주보는 나머지 단변 또는 장변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절개선과, 상기 어느 하나의 단변 또는 장변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지점으로부터 나머지 단변 또는 장변과 만나는 지점까지 연장되며, 제1절개선 사이마다 하나씩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절개선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절개선 및 제2절개선 사이의 간격과 상기 일정한 거리가 서로 같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제1절개선과 제2절개선의 개수와 폭의 조정으로 상기 미로의 폭과 크기가 달라지면서 상기 미로 형태의 저항 값의 크기가 달라진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션트 저항이 점유하는 공간이 항상 일정하면서도 저항 값의 조절 폭이 자유로울 수 있게 되어 대용량 이차전지와 소용량 이차전지의 테스트가 모두 하나의 전류 측정 장비로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션트 저항이 가질 수 있는 저항 값의 범위가 종래보다 훨씬 크면서도, 종래의 션트의 제작보다 훨씬 저렴하고 더 간단한 공정으로 제작 가능하며, 종래보다 훨씬 큰 저항 값을 가지면서도 방열을 위하여 결합되는 방열판의 부피가 훨씬 감소될 수 있어, 션트 저항이 설치되는 기기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으면서 방열판의 소요량이 절감되고, 또한 부피 및 길이 축소로 인하여 노이즈의 영향이 더욱 감소되어 전류 측정의 정밀도가 고도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션트 저항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션트 저항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방열판이 결합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의 저항 판(10)이 일부가 절개되어 생성되는 절개선(11)으로 인해 시점(14)부터 종점(14)까지 하나의 경로로 이루어지는 미로 형태로 제작되는 션트 저항이다.
여기서 상기 사각형 형태의 저항 판(10)을 이루는 소재는 구리, 니켈, 철, 망간, 크롬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소재이다. 상기 소재들은 특히 작고 정밀한 저항 값을 가지도록 저항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소재들이다.
여기서 저항 판(10)은 장방형, 즉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수록 상기 미로의 길이와 폭 조절이 보다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저항 판(1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직사각형 형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다만 션트 저항이 접속되는 PCB 기판에 형성된 회로 형태와 케이스 형태에 따라 직사각형이 아닌 다른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저항 판(10)이 직사각형 형태인 것을 전제로 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저항 판(10)이 직사각형인 경우에 직사각형 형상은 서로 마주보는 장변 두 개와 서로 마주보는 단변 두 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저항 판(10)에 형성되는 절개선(11)은 장변 또는 단변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절개선(11)이 장변 또는 단변에 평행하게 형성될수록 설계치에서 요구되는 저항 값에 따른 상기 미로의 길이와 폭이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절개선(11)을 형성하는 공정을 단순화시키기 위해서는 절개선(11)이 장변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절개선(11)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변에 평행하게 형성된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션트 저항을 큰 저항 값을 갖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션트 저항을 길게 만들어야 하면서도 PCB에 탑재될 수 있게 제한된 부피를 가지게 만들어야 하므로, 일단 길게 만든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이처럼 절곡 공정을 거칠 경우 절곡이라는 추가적인 공정을 위해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여러 번의 절곡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으로 인해 절곡 공정은 한 번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어 결국 절곡 공정을 거치더라도 제작 가능한 션트 저항의 저항 값에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으며, 또한 절곡 공정을 거치면서 절곡부위의 소재 조직 변화로 인해 애초 설계된 저항 값과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어 전류 측정 정밀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필요에 따라 높은 저항 값을 가지도록 션트 저항을 만들려면 결국 션트 저항의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처럼 션트 저항의 단면적을 줄이면 과도한 발열로 인해 측정 정밀도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밖에 없고, 션트 저항의 내구성에도 중대한 영향이 있게 되어 결국 제작 가능한 션트 저항의 규격에는 큰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고, 그나마 제작 가능한 션트 저항조차도 절곡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높은 제작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션트 저항이 절곡된 형태로 제작되면 절곡으로 인해 션트 저항이 절곡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두 개의 부위가 서로 다른 평면상에 존재하게 되어 방열판(30)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도 상기 두 개의 부위에 각각 별도의 방열판(30) 설치가 필요하게 되어 방열판(30)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방열판(30) 설치로 인해 션트 저항이 점유하는 공간이 과도하게 커져서, 결국 이러한 이유 때문에도 제작가능한 션트 저항의 크기에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션트 저항의 크기 감소는 발열 유발과 측정 정밀도의 하락으로 이어지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체의 절곡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도록, 판 형태로 제작된 최초의 저항 소재에 절개선(11)을 미로 형태로 형성하되 미로 형태가 하나의 시점(14)과 종점(14)을 갖는 하나의 경로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제작 가능한 저항 값 수치 범위가 비약적으로 넓어질 뿐만 아니라, 최초 판 형태로 제작된 저항 소재의 면적으로 제작 가능한 저항 값이 다양하게 산출될 수 있으므로 절개선(11) 형성 전에는 저항 값의 설계 값 자체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며, 일체의 절곡이 없어 절곡으로 인한 소재 변형에 따른 저항 값의 변화가 초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 하나의 평면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방열판(30) 조립 과정도 극히 간단하고, 방열판(30)이 조립된 최종 션트 저항이 점유하는 부피도 종래보다 훨씬 감소되어 설치 가능한 장비의 종류에 제한이 거의 없게 되는 각별한 효과가 있다.
특히 션트 저항의 최종적인 저항 값이 최초 소재의 절단 가공 단계가 아니라 절단 가공 이후에도 절개선(11) 형태와 수에 따라 얼마든지 저항 값을 다르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제품 중간 가공 단계에서의 불량도 현저하게 줄어들며, 중간가공단계가 그만큼 단순화되어, 중간가공 공정의 표준화가 종래보다 훨씬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이처럼 션트 저항이 차지하는 공간과 길이가 감소되므로 션트 저항의 단위길이 당 받게되는 노이즈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로써 노이즈의 영향도 감소되므로 전류 측정의 정밀도가 더욱 향상된다.
저항 판(10)에 형성되는 절개선(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경우, 절개선(11)은 대향되는 두 개의 단변과 수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절개선(11)으로 형성되는 미로가 하나의 경로로 형성되기 위한 가장 체계적인 방법은 제1절개선(11)이 어느 한 단변에서 출발하여 나머지 단변을 향하여 연장되다가 나머지 단변과 일정 간격을 둔 지점에서 중단되고, 제2절개선(11)이 제1절개선(11) 사이마다 형성되되 제1절개선(11)과 반대로 상기 어느 한 단변과 일정 간격을 둔 지점에서 시작되어 나머지 단변 끝까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방법이다. 여기서 제1 및 제2절개선(11)이라는 명칭은 구분을 위하여 임의로 정한 것이다.
따라서 절개선(11)은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저항으로 형성되는 미로의 전체 길이 결정을 위한 설계가 장변의 길이와 단변의 길이로부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션트 저항을 이루는 미로는 일정한 폭을 가질수록 저항의 설계가 용이하므로 절개선(11)과 단변 사이의 폭은 절개선(11)과 절개선(11) 사이 간격인 미로 폭과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절개선(11)은 레이저 가공 공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레이저 가공으로 생성되는 절개선(11)은 아크 방식의 절단 보다 훨씬 작고 미세한 틈이 발생된다. 이 틈이 바로 절개선(11) 부위가 되는데, 필요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틈에 절연재(12)과 차폐재(13)이 삽입됨으로써 미로로 형성되는 션트 저항은 자체 전기장의 영향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방열판(30)이 션트 저항으로 제작되는 저항 판(10)의 양 면에 부착되어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방열판(30)은 종래의 션트 저항과 달리 저항 판(10)의 양 면에 하나씩만 부착되면 방열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방열을 위한 소재가 대폭 절약될 수 있어 제조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며, 또한 방열판(30) 설치 후에 종래의 션트 저항 보다 점유 공간이 훨씬 감소되어 설치 공간 효율도 현저하게 개선된다.
이때 시점(14)과 종점(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30) 외부로 돌출된다. 다만 종래의 션트 저항은 방열판(30)이 부착될 때 절곡부위에는 방열판(30)이 부착될 수가 없어 방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절곡부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시점(14)과 종점(14)을 제외한 션트 저항의 모든 부위에 방열판(30)이 부착 가능하여 방열 효율도 증대되므로 이 점에서도 또한 전류 측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제조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에 대한 기술에 모두 나타나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저항 판 11 : 절개선
12 : 절연재 13 : 차폐재
14 : 시점, 종점 20 : 고정블록
30 : 방열판

Claims (13)

  1. 구리, 니켈, 철, 망간, 크롬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합금 소재로 제작되는 저항 판으로 이루어져, 전류 테스트를 위한 사이클러 장치에 내장되는 션트 저항으로서,
    상기 저항 판의 두께를 관통하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저항 판이 절개선으로 인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시점과 종점이 하나의 단일한 경로로 연결되는 미로 형태의 저항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레이저 가공으로 생성됨으로써 상기 절개선은 일정한 폭의 미세 틈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판은 두 개의 단변과 두 개의 장변이 서로 마주보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판에 형성되는 절개선은 상기 단변 또는 장변에 평행하게 형성되되,
    상기 절개선은 어느 하나의 단변 또는 장변으로부터 마주보는 나머지 단변 또는 장변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절개선과,
    상기 어느 하나의 단변 또는 장변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지점으로부터 나머지 단변 또는 장변과 만나는 지점까지 연장되며, 제1절개선 사이마다 하나씩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절개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선 및 제2절개선 사이의 간격과 상기 일정한 거리가 같게 형성됨으로써, 제1절개선과 제2절개선의 개수에 따라 제1 및 제2절개선으로 형성되는 상기 미로의 폭과 크기가 달라지면서 상기 미로 형태의 저항 값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과 종점은 저항 판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으로 수직으로 돌출되고, 시점과 종점에는 시점과 종점을 전류 테스트를 위하여 마련되는 PCB 기판에 시점과 종점을 고정시키는 고정블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을 이루는 미세 틈에는 절연재과 차폐재이 삽입되어, 서로 평행한 미로의 인접 구간 사이에 전기 전도 및 전기장 형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판의 양 면에는 저항 판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사시키는 방열판이 각각 설치되며,
    방열판은 저항 판 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시점과 종점이 방열판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9. 구리, 니켈, 철, 망간, 크롬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합금 소재로 제작되며, 두 개의 단변과 두 개의 장변이 서로 마주보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되는 저항 판을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저항 판의 두께를 관통하는 절개선을 형성하여, 저항 판을 절개선으로 인해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시점과 종점이 하나의 단일한 경로로 연결되는 미로 형태의 저항으로 형성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레이저 가공으로 형성함으로써, 절개선이 일정한 폭을 가지는 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틈에 절연재과 차폐재을 삽입하는 제3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 상기 저항 판에 형성되는 절개선은 상기 단변 또는 장변에 평행하게 형성하되,
    상기 절개선은 어느 하나의 단변 또는 장변으로부터 마주보는 나머지 단변 또는 장변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1절개선과,
    상기 어느 하나의 단변 또는 장변과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는 지점으로부터 나머지 단변 또는 장변과 만나는 지점까지 연장되며, 제1절개선 사이마다 하나씩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절개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개선 및 제2절개선 사이의 간격과 상기 일정한 거리가 서로 같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제1절개선과 제2절개선의 개수와 폭의 조정으로 상기 미로의 폭과 크기가 달라지면서 상기 미로 형태의 저항 값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제조방법.
KR1020170115890A 2017-09-11 2017-09-11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9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890A KR101959734B1 (ko) 2017-09-11 2017-09-11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890A KR101959734B1 (ko) 2017-09-11 2017-09-11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734B1 true KR101959734B1 (ko) 2019-03-20

Family

ID=6603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890A KR101959734B1 (ko) 2017-09-11 2017-09-11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640A1 (ko) * 2022-05-04 2023-11-09 (주)케이엔씨 대용량 션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907A (ja) * 2000-06-07 2001-12-21 Unisia Jecs Corp 電流検出装置、電流検出装置における抵抗の製造方法および電流検出装置における抵抗調整方法
KR20120057001A (ko) * 2010-11-26 2012-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4517A (ko) 2013-05-14 2014-11-24 (주)에이치엔티 무용접 솔더 마운트 션트
JP5833014B2 (ja) * 2010-09-30 2015-12-1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1714658B1 (ko) * 2017-01-12 2017-03-22 현대건설 주식회사 Dc 전력량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907A (ja) * 2000-06-07 2001-12-21 Unisia Jecs Corp 電流検出装置、電流検出装置における抵抗の製造方法および電流検出装置における抵抗調整方法
JP5833014B2 (ja) * 2010-09-30 2015-12-1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KR20120057001A (ko) * 2010-11-26 2012-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4517A (ko) 2013-05-14 2014-11-24 (주)에이치엔티 무용접 솔더 마운트 션트
KR101714658B1 (ko) * 2017-01-12 2017-03-22 현대건설 주식회사 Dc 전력량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640A1 (ko) * 2022-05-04 2023-11-09 (주)케이엔씨 대용량 션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5197B2 (en) Coil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942898B2 (ja) 電子部品及び電子制御装置
US10164417B2 (en) Circuit assembly and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9083308A (ja) 電流検出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5666090B2 (ja) エネルギー蓄積組立品用相互接続システム
JP6051947B2 (ja) 電子部品及び電子制御装置
KR101959734B1 (ko) 사이클러용 션트 저항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164152A (zh) 探针卡及其制造方法
EP4254536A1 (en)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134517A (ko) 무용접 솔더 마운트 션트
JP2009501413A5 (ko)
CN102164453A (zh) 电路模块
KR101843249B1 (ko) 전자 소자 모듈 및 전자 소자 모듈의 차폐 측정 방법
US6326688B1 (en) Socket for semiconductor devices
CN108120934B (zh) 充放电循环器系统
JP2011155134A (ja) 電子回路基板
CN216389354U (zh) 一种测试用封装基板及测试系统
US116091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al monitoring
TWI685999B (zh) 電池模組及包含它的儲能系統
JP2022170629A (ja) 電流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225858A (zh) 热源模拟结构
US20200080896A1 (en) Infrared sensor mounting member
JP2007250772A (ja) 電子制御装置
CN106910581B (zh) 片式电阻器及其制造方法
JP5381663B2 (ja) コネクタ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