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277B1 -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277B1
KR101959277B1 KR1020170122425A KR20170122425A KR101959277B1 KR 101959277 B1 KR101959277 B1 KR 101959277B1 KR 1020170122425 A KR1020170122425 A KR 1020170122425A KR 20170122425 A KR20170122425 A KR 20170122425A KR 101959277 B1 KR101959277 B1 KR 101959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transparent member
pouch
transparent
prelim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122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277B1/ko
Priority to PCT/KR2018/010102 priority patent/WO201905955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hollow pieces, e.g. tubes; of pieces with channels or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기포의 배출이 용이하며 스프링백 현상을 극복하면서, 곡면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주름과 같은 변형이 없이 부착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그 부재 및 방법은 투명부재는 투명기판 및 비산방지 파우치가 합지되고, 비산방지 파우치는 파우치의 단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댐퍼와, 댐퍼의 일측에 접합되는 하부필름 및 댐퍼의 타측에 접합되는 상부필름을 포함하고, 댐퍼, 하부필름 및 상부필름은 유동성 물질이 채워지는 유동층이 내재하도록 하는 유동공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Transparent parts for curv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uch}
본 발명은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층을 이용하여 곡면 형상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표시소자(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기영동(EPD)과 같은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는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 또는 ATM, 키오스크 등의 정보처리기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수반하는 휴대기기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는 예컨대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윈도우, 회로기판,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보호시트는 윈도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윈도우는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보호한다. 이때, 보호시트, 윈도우 및 터치스크린을 투명부재라고 한다.
최근 에지(edge)가 중심부보다 곡률이 크며 삼차원인 곡면 형상을 가지는 휴대기기가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패널은 곡면 휴대기기라고 한다. 곡면 휴대기기는 에지(edge)와 연결되어 곡면을 이루는 코너(corner)를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플렉시블 및 휘어진 디스플레이의 등장으로 그에 부응하는 윈도우도 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곡면 휴대기기는 에지, 코너 또는 에지와 코너가 곡면 형상을 가지는 추세이다. 곡면 휴대기기에 적용되는 투명부재는 곡면 형상에도 불구하고 잘 부착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574923호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곡면 휴대기기에 부착하기 위하여, 보호시트의 경우에는 국내공개특허 제2014-0013155호는 평탄한 강화유리를 사용하고, 에지는 보호커버를 전면으로 부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 방식은 곡면 강화유리에는 채용할 수 없다. 또한, 다층의 보호커버를 에지의 전면에 부착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다. 나아가, 외부로 노출된 보호커버에는 접착성 물질이 남아 있어, 그 부분 외부의 이물질이 묻어 미관을 해치게 된다. 덧붙여, 곡면을 이루는 에지의 크기가 커지면, 보호시트의 곡면부의 차지하는 부분이 확장되어, 에지와의 간극이 지나치게 증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특허에 의한 방식은 에지의 형상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어렵다.
한편, 곡면 에지는 곡률의 변화가 심하고 비구면을 이루는 등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를 대응하기 위하여, 강화유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와 같이 경도, 스티프니스(stiffness), 투명성, 가공성이 우수한 경질 재질을 성형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재질에 의한 보호시트는 성형이 어렵고, 성형을 한다고 해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는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이 있다. 곡면 에지의 곡률 및 형상에 대응하기 어려워서, 곡면 에지의 일부만 커버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연질 재질, 예컨대 연질 TPU(Thermal Polyurethane)이 제시되었으나, 상기 연질 재질은 경도가 현저하게 낮고, 스크래치에 매우 취약하다. 또한, 연질 재질은 점착력을 높여야 하고, 기포를 제거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포의 배출이 용이하며 스프링백 현상을 극복하면서, 곡면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주름과 같은 변형이 없이 부착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는 투명기판 및 비산방지 파우치가 합지된 것이다. 이때,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는 상기 파우치의 단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댐퍼와, 상기 댐퍼의 일측에 접합되는 하부필름 및 상기 댐퍼의 타측에 접합되는 상부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댐퍼, 상기 하부필름 및 상기 상부필름은 유동성 물질이 채워지는 유동층이 내재하도록 하는 유동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투명부재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폭은 상기 투명기판 및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 사이에 위치하는 인쇄층의 폭보다 작다. 상기 댐퍼의 높이는 상기 유동공간의 크기를 결정한다. 상기 댐퍼는 열 경화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댐퍼는 투명 접착제 및 열이나 광으로 분해되는 분해수지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댐퍼는 단층 또는 복층의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및 상부필름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부재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물질은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고분자 겔 또는 그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동성 물질은 액체 또는 겔 형태의 열 경화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동성 물질은 투명 접착제 및 열이나 광으로 분해되는 분해수지가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의 하나는 하부필름, 댐퍼, 상부필름 및 유동층으로 이루어진 비산방지 파우치를 포함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먼저 예비 하부필름 또는 예비 상부필름 상에 예비 댐퍼를 형성한다. 그후, 상기 예비 댐퍼에 의해 제공되는 유동공간에 유동성 물질을 주입하여 유동층을 형성한다. 상기 예비 댐퍼에 예비 상부필름 및 예비 하부필름을 압착한다. 상기 예비 댐퍼를 분리선(P1)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의 다른 하나는 하부필름, 댐퍼, 상부필름 및 유동층으로 이루어진 비산방지 파우치를 포함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먼저 예비 하부필름 상에 프레임을 안착시킨다. 그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액상 또는 겔 형태의 경화수지를 주입한다. 상기 프레임에 예비 상부필름을 압착한다.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경화수지를 경화시켜 댐퍼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층이 있는 유동공간이 확보된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의 또 다른 하나는 하부필름, 댐퍼, 상부필름 및 유동층으로 이루어진 비산방지 파우치를 포함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먼저 예비 하부필름 및 예비 상부필름 사이에 투명 접착제 및 열이나 광으로 분해되는 분해수지가 혼합된 혼합물 층을 형성한다. 그후, 상기 분해수지에 열 또는 자외선을 가하여 상기 분해수지를 분해시켜 유동층 및 예비 댐퍼를 형성한다. 상기 예비 댐퍼를 분리선(P3)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상기 유동층이 있는 유동공간이 확보된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방법 중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오목한 홈이 있는 오목지그에 투명기판을 장입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오목지그 상에 투명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의 다른 하나는 하부필름, 댐퍼, 상부필름 및 유동층으로 이루어진 비산방지 파우치를 포함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먼저 투명기판에 상부필름을 접합시킨다. 그후, 상기 상부필름 단부의 둘레를 따라 댐퍼를 부착한다. 상기 댐퍼에 하부필름을 접합하여, 유동성 물질이 주입되는 유동공간을 확보한다. 상기 댐퍼, 상기 하부필름 및 상기 투명기판과 상부필름 중의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주입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주입통로를 이용하여 상기 유동성 물질을 주입한다. 상기 주입통로를 매립하여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입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주입통로에 상기 유동성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접착테이프가 단층 또는 복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댐퍼로 유동층을 확보하는 투명부재를 활용함으로써, 기포의 배출이 용이하며 스프링백 현상을 극복하면서, 곡면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주름과 같은 변형이 없이 부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투명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투명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공정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투명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투명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공정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투명부재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투명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3 투명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공정단면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4 투명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제4 투명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들에 있어서, 막(층, 패턴)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막(층, 패턴)이 다른 막(층, 패턴)의 '상', '상부', '하부', '일면'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층, 패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다른 막(층, 패턴)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댐퍼로 유동층을 확보하는 투명부재를 활용함으로써, 기포의 배출이 용이하며 스프링백 현상을 극복하면서, 곡면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주름과 같은 변형이 없이 부착되는 투명부재 및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구조 및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부품은 에지가 중심부보다 곡률이 크며 삼차원인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다.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터치스크린이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에지와 연결되며 곡면을 이루는 코너(corner)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투명부재는 보호시트, 윈도우 및 터치스크린을 지칭한다. 다시 말해, 윈도우 및 터치스크린은 투명부재이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이라고 할 수 있다. 보호시트는 윈도우, 윈도우는 터치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및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에 탈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기기, 정보처리 단말기 및 텔레비전 등을 모든 영상처리 기기를 말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같은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있고, 상기 정보처리 단말기는 ATM, 키오스크 등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평탄 또는 휘어진 것도 포함하고, 플렉서블(flexible)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투명부재(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투명부재(100)는 제1 댐퍼(11)에 둘러싸인 제1 유동층(12)을 포함한다. 제1 댐퍼(11)는 제1 투명부재(100)의 단부에 위치한다. 제1 댐퍼(11) 및 제1 유동층(12)의 일측에는 하부필름(10)이 부착되고, 타측에는 상부필름(13)이 부착된다. 제1 댐퍼(11), 하부필름(10), 상부필름(13) 및 제1 유동층(12)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비산방지 파우치(pouch)라고 한다. 하부필름(10)에서, 제1 유동층(12)의 반대면에는 점착층(17)이 배치된다. 상부필름(13)에서, 제1 유동층(12)의 반대면에는 접착층(14)이 배치된다. 접착층(14)은 투명기판(16)에 접합되고, 점착층(17)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의 어느 하나에 부착된다. 상기 구성요소는 윈도우 또는 디스플레이 중의 어느 하나이며, 선택적으로 터치스크린이 해당될 수 있다.
하부 및 상부필름(10, 13)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가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O(PolyOlefin),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MethAcrylate), PU(PolyUrethane), TPU(Thermal PolyUrethane), TAC(Tri-Acrtyl-Cellulose), COC(CycloOlefin Copolymer), 폴리유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수지들로 이루어진 층들이 적층될 수도 있다.
하부 및 상부필름(10, 13)은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수지들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혼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전형적인 분자구조가 트리블록 공중합체이며, 특히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와 올레핀계 고무(예: EDPM,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결합시킨 물질이다. 예를 들어, 하부 및 상부필름(10, 13)의 주성분이 폴리프로필렌이라면, 상용성을 고려하여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경질상에 폴리스티렌이나 폴리프로필렌, 연질상에 스티렌-프로필렌 고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DPM)를 가진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겔(gel) 분율은 2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겔 분율이 20%미만에서는 가교 정도가 불충분하고, 열융착시킬 때 엘라스토머가 용융하는 양이 지나치게 많아진다. 겔 분율이 90%를 넘으면, 가교 정도가 너무 커서 강성이 떨어진다.
투명기판(16)은 투명한 재질이면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기판은 강화유리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기판은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U(PolyUrethane), TAC(Tri-Acrtyl-Cellulos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투명기판(16)은 강화유리와 플라스틱 기판이 다층으로 형성된 적층구조일 수 있다. 투명기판(16)이 터치스크린인 경우에는 전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기판(16) 상에는 지문방지, 반사방지, 청색광(blue light) 차단, 전자파 차단, 프라이버시(privacy), 항균성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소계 코팅액이 습식 코팅되거나, 진공증착으로 건식 코팅하여 지문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지문방지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기판(16)의 코팅층은 지문방지 또는 지문방지와 항균처리 또는 고경도와 함께 지문방지 또는 지문방지와 항균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코팅층은 투명기판(16)이 다양한 기능을 발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투명기판(16)은 두께가 대략 10㎛~150㎛인 슬림(slim) 강화유리를 채용할 수 있다. 점착층(17)은 디스플레이 구성요소에 탈부착되도록 하며,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또는 그들의 복합수지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1 유동층(12)은 제1 댐퍼(11)가 제공하는 유동공간(s)의 전체 또는 일부를 차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투명부재(100)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하면, 제1 유동층(12)은 제1 댐퍼(11)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1 투명부재(100)의 중심부의 제1 유동층(12)은 줄어들고, 제1 댐터(11) 부근의 제1 유동층(12)은 확장된다. 이에 따라, 제1 유동층(12)이 유동공간(s)의 일부를 차지한다고 하더라도, 곡면 디스플레이에 부착되면 에지 부근의 제1 유동층(12)은 완전하게 충진될 수 있다. 제1 유동층(12)이 유동공간(s)을 채우는 정도는 유동공간(s)의 크기, 제1 투명부재(100)의 재질 및 두께, 제1 투명부재(100)의 에지와 코너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조절된다.
제1 유동층(12)의 재질은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고분자 겔 또는 그 혼합물로써 투명한 물질이면서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화되는 유동성을 가지면 충분하다. 상기 기체는 공기, 불활성 가스 등이 있고, 상기 액체 및 고분자 겔은 물,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겔 등이 있다. 필요한 경우, 제1 유동층(12)의 재질에는 소정의 경화수지가 혼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투명부재(100)가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된 후, 부착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일정한 고화가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제1 댐퍼(11)는 상기 경화물질은 열 경화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수지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화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외선 경화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수지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에스터 수지 등에 여러 가지의 아크릴 단위체와 자외선 경화 촉매를 배합해서 만든다. 자외선에 의한 경화물질의 구체적인 사례로써, 자외선 반응성 코팅물질로서 우레탄 또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 및 레벨링제를 혼합한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지방족, 환상의 지방족, 방향족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의 올리고머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분자구조상에 포함되어 있는 화학식을 갖는다.
제1 댐퍼(11)는 하부 및 상부필름(10, 13)의 단부를 둘레에 따라 배치된다. 제1 댐퍼(11)의 높이(H)는 수십 ㎛ 내지 수백 ㎛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댐퍼(11)의 높이(H)는 유동공간(s)의 크기를 결정한다. 제1 댐퍼(11)의 높이(H)가 커지면 유동공간(s)의 크기는 늘어나고, 높이(H)가 작아지면 유동공간(s)의 크기는 줄어든다. 즉, 제1 댐퍼(11)의 높이(H)는 유동공간(s)의 크기와 직접 관련되며, 제1 투명부재(100)의 재질 및 두께, 제1 투명부재(100)의 에지와 코너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조절된다. 제1 댐퍼(11)의 폭(W1)은 제1 유동층(12)의 유동성 물질이 유출되지 않고 제1 투명부재(100)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인쇄층(15)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에 존재한다. 인쇄층(15)은 접착층(14)과 접촉하는 투명기판(16) 또는 접착층(14)과 접촉하는 상부필름(13)에 존재한다. 도면에는 투명기판(16)에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제1 댐퍼(11)의 폭(W1)은 인쇄층(15)의 폭(W2)에 비해 작다. 즉, 제1 댐퍼(11)는 인쇄층(15)에 내재된다고 볼 수 있다. 투명기판(16)에서 바라보면 제1 댐퍼(11)는 인쇄층(15)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다. 즉, 인쇄층(15)은 제1 댐퍼(11)를 은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투명부재(1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공정단면도들이다. 이때, 제1 투명부재(100)를 구성하는 요소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투명부재(100)를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예비 하부필름(10a) 상에 예비 제1 댐퍼(11a)를 형성한다. 예비 제1 댐퍼(11a)는 본 발명의 제1 투명부재(10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하며, 제1 유동층(12)이 투입되는 유동공간(s)을 제공한다. 예비 제1 댐퍼(11a)는 토출에 의한 도포 방식, 패드를 활용한 도포 방식, 디지털 인쇄에 의한 도포 방식 등을 활용하여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 접착테이프를 활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후, 예비 제1 댐퍼(11a)에 의해 제공된 유동공간(s)에 제1 유동층(12)을 형성한다. 제1 유동층(12)은 유동공간(s)의 전체 또는 일부를 채울 수 있다.
이어서, 예비 제1 댐퍼(11a)에 예비 상부필름(13a)을 가압하여 압착한다. 분리선(P1)을 기준으로 예비 제1 댐퍼(11a)의 둘레를 따라 절단하여 예비 제1 댐퍼(11a)를 분할한다. 상기 분할은 레이저, 칼날 등에 의한 절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예비 제1 댐퍼(11a)는 제1 투명부재(100)의 제1 댐퍼(11)가 되고, 예비 하부 및 상부필름(10a, 13a)은 제1 투명부재(100)의 하부 및 상부필름(10, 13)이 된다. 그런 다음, 인쇄층(15)이 있는 투명기판(16)을 접착층(14)에 접착하고, 하부필름(10)에 점착층(17)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댐퍼(11)는 예비 하부필름(10a)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예비 상부필름(13a)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예비 상부필름(13a)에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댐퍼(11)를 형성하고, 예비 하부필름(10a)에 제1 유동층(12)을 이루는 액상 또는 겔 형태의 유동성 물질을 뿌린다. 상기 유동성 물질은 예비 하부필름(10a)에 표면장력에 의해 퍼진다. 그런 다음, 예비 상부필름(13a)을 덮어 제1 투명부재(100)을 완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투명부재(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2 투명부재(200)는 제2 댐퍼(22) 및 제2 유동층(23)을 제외하고, 제1 투명부재(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제2 투명부재(200)는 제2 댐퍼(22) 및 제2 유동층(23)을 포함한다. 제2 댐퍼(22)는 제1 투명부재(100)에서 설명한 상기 경화수지가 경화된 것이고, 제2 유동층(23)은 상기 경화수지가 경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다시 말해, 제2 댐퍼(22) 및 제2 유동층(23)은 액체 또는 겔 형태로 동일한 경화수지이었다가, 경화에 의해 제2 댐퍼(22)는 고화되고, 제2 유동층(23)은 액체 또는 겔 형태를 계속 유지한다. 제1 유동층(12)은 제2 유동층(23)과는 달리, 상기 경화수지로 제한되지 않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2 댐퍼(22)의 폭(W1) 및 높이(H)는 제1 댐퍼(1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투명부재(2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는 도 6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공정단면도들이다. 이때, 제2 투명부재(200)를 구성하는 요소는 도 6을 참조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 투명부재(200)를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예비 하부필름(10a) 상에 프레임(20)을 안착시킨다. 그후, 프레임(20)의 내부에 액상 또는 겔 상태의 경화수지(21)를 채운다. 경화수지(21)는 앞에서 설명한 열 경화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수지이다. 프레임(20)은 금속 또는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제2 투명부재(200)의 형상을 내재하도록 하는 모양을 가진다. 경화수지(21)는 프레임(20)과의 표면장력에 의해 상부면이 디싱(dishing) 현상이 유도되어, 경화수지(21)가 유동공간(s)의 일부를 채울 수 있다. 그후, 프레임(20)에 예비 상부필름(13a)을 가압하여 압착한다. 프레임(20)의 내측면을 따라, 경화수지(21)를 경화시켜 제2 댐퍼(22)를 형성한다. 이렇게 되면, 경화수지(21)가 경화된 제2 댐퍼(22) 및 경화수지(21)가 경화되지 않은 제2 유동층(23)으로 구분된다.
이어서, 프레임(20)을 분리선(P2)로 분리하여 제거한다. 상기 분리는 절단이 없이 구현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레이저, 칼날 등에 의한 절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분리선(P2)의 절단은 가급적이며 프레임(20)에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2 댐퍼(21)의 폭(W1)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그런 다음, 인쇄층(15)이 있는 투명기판(16)을 접착층(14)에 접착하고, 하부필름(10)에 점착층(17)을 형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투명부재(200)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때, 다른 방법에 적용되는 제2 투명부재(200)를 오목지그(z)를 활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앞에서 설명한 제2 투명부재(200)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의하면, 제2 투명부재(200)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먼저 오목한 홈이 있는 오목지그(z)에 투명기판(16)을 장입한다. 그후, 투명기판(16) 및 지그(z)에 접착층(14)을 도포한다. 접착층(14) 상에 앞에서와 유사하게 상부필름(13), 제2 유동층(23), 하부필름(10) 및 점착층(17)을 위한 예비 층들(13a, 23a, 10a)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제2 유동층(23)이 형성될 층의 경화수지를 경화시켜 제2 댐퍼(22)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분리선[P2(a)]로 절단하여, 제2 투명부재를 완성한다. 물론 비산방지 파우치 및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와 합지되는 투명기판(16) 사이에 인쇄층(15)이 존재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투명부재(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3 투명부재(300)는 제3 댐퍼(31) 및 제3 유동층(32)을 제외하고, 제1 투명부재(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의하면, 제3 투명부재(300)는 제3 댐퍼(31) 및 제3 유동층(32)을 포함한다. 제3 댐퍼(31) 및 제3 유동층(32)은 투명 접착제 및 열이나 광(자외선)에 의해 액상이나 겔 형태로 경화되고 분해되는 경화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화수지의 경화 및 분해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마이크로 캡슐에 담긴 경화촉진제 등을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3 유동층(32)은 상기 혼합물이 열이나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어 이루어진 액상이나 겔 형태이다. 이에 반해, 제3 댐퍼(31)는 상기 분해가 없는 상태를 유지한다. 제3 댐퍼(31)의 폭(W1) 및 높이(H)는 제1 댐퍼(1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열분해성 수지는 다양한 물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40℃~230℃의 열에 의해 열분해성 수지에 존재하는 에스테르 결합 또는 카보네이트 결합이 제거되는 분해반응이 일어나는 수지가 있다. 상기 광분해성 수지는 다양한 물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폴리벤조옥사졸 전구체(polybenzoxazole precursor), 감광성 디아조퀴논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디아조퀴논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광분해성 물질은 광분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비닐-케톤계코발트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2,4-펜탄디온의 금속화합물 또는 금속복합물, 디티오카바메이트의 복합물, N-테트-부틸벤조시아졸-2-술펀아미드의복합물, 안트라퀴논 및 그 유도체, 벤조페논 및 그 유도체, 할로겐 요소화합물 및 과도금속양화물, 비닐-케톤계 및 에틸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투명부재(3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의 C-C선을 따라 절단한 공정단면도들이다. 이때, 제3 투명부재(300)를 구성하는 요소는 도 11을 참조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3 투명부재(300)를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예비 하부필름(10a) 및 예비 상부필름(13a) 사이에 투명 접착제 및 열이나 광(자외선)에 의해 고상이나 겔 형태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층(30)을 형성한다. 그후, 열이나 자외선을 가하여, 예비 제3 댐퍼(31a) 및 제3 유동층(3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3 유동층(32)이 형성될 영역에 열이나 자외선을 가하면, 분해되지 않은 예비 제3 댐퍼(31a) 및 분해가 이루어진 제3 유동층(32)으로 구분된다.
그후, 분리선(P3)을 기준으로 예비 제3 댐퍼(31a)의 둘레를 따라 분리하여 예비 제3 댐퍼(31a)를 분할한다. 상기 분할은 레이저, 칼날 등에 의한 절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예비 제3 댐퍼(31a)는 제3 투명부재(300)의 제3 댐퍼(31)가 되고, 예비 하부 및 상부필름(10a, 13a)는 제3 투명부재(300)의 하부 및 상부필름(10, 13)이 된다. 그런 다음, 인쇄층(15)이 있는 투명기판(16)을 접착층(14)에 접착하고, 하부필름(10)에 점착층(17)을 형성한다. 제3 투명부재(300)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요소에 부착한 후, 자외선이나 열을 가하면, 제3 유동층(32)는 다시 고상이나 겔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마이크로 캡슐이 파괴되어 유출되는 경화촉진제를 활용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4 투명부재(4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4 투명부재(400)는 제4 댐퍼(40) 및 주입통로(a, b, c)을 제외하고, 제1 투명부재(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에 의하면, 제4 투명부재는 제4 댐퍼(40) 및 제1 내지 제3 주입통로(a, b, c)를 포함한다. 제4 댐퍼(40)는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테이프가 단층 또는 복층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댐퍼(40)의 접착물질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또는 그들의 복합수지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댐퍼(40)는 하부필름(10) 및 상부필름(13)에 접착된다. 제4 댐퍼(40)와 하부 및 상부필름(10, 13) 사이의 유동공간(s)은 바람직하게는 제1 투명부재(100, 200, 300)에서 제시한 제1 내지 제3 유동층(12, 23, 32)으로 채워진다. 제1 내지 제3 유동층(12, 23, 32)을 이루는 물질은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고분자 겔 또는 경화수지 또는 그 혼합물로써 투명한 물질이면서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화되는 유동성 물질이다. 제4 댐퍼(40)의 폭(W1) 및 높이(H)는 제1 댐퍼(1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내지 제3 주입통로(a, b, c)는 상기 유동성 물질이 주입되는 통로이다. 제1 주입통로(a)는 제4 댐퍼(40)를 홀(hole) 형태로 관통하고, 제2 주입통로(b)는 하부필름(10) 또는 하부필름(10)과 점착층(17) 중의 어느 하나를 홀 형태로 관통하여 이루어진다. 제3 주입통로(c)는 투명기판(16), 인쇄층(15), 접착층(14) 및 상부필름(13)을 홀 형태로 관통하여 이루어진다. 제1 내지 제3 주입통로(a, b, c)은 모두 인쇄층(15)의 폭(W2)에 의해 제공되는 영역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내지 제3 주입통로(a, b, c)는 세 가지 주입통로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유동성 물질을 제3 주입통로(c)를 통하여 주입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주입통로(a, b, c)는 제1 내지 제3 매립부(42a, 42b, 42c)에 의해 매립되어, 제1 유동층(12)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매립부(42a, 42b, 42c)를 이루는 재질은 예를 들어, 투명한 재질의 열가소성 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4 투명부재(4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들이다. 이때, 제4 투명부재(400)를 구성하는 요소는 도 14를 참조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공정단면도들은 확대된 부분을 사용하였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4 투명부재(400)를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인쇄층(15)이 있는 투명기판(16)에 상부필름(13)을 접착층(14)을 이용하여 접합시킨다. 그후, 상부필름(13)의 단부의 둘레를 따라 제4 댐퍼(40)를 부착한다. 경우에 따라, 하부필름(10)에 제4 댐퍼(40)를 부착할 수도 있다. 제4 댐퍼(40)에 하부필름(10)을 접합시켜 유동공간(s)을 형성한다. 이때, 하부필름(10)에는 점착층(17)이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그후, 인쇄층(15)의 폭(W2)에 의해 제공되는 영역 내에서, 상기 유동성 물질이 주입되는 제1 내지 제3 주입통로(a, b, c) 중의 어느 하나를 형성한다. 제1 주입통로(a)는 제4 댐퍼(40)를 홀(hole) 형태로 관통하고, 제2 주입통로(b)는 하부필름(10) 또는 하부필름(10)과 점착층(17) 중의 어느 하나를 홀 형태로 관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2 주입통로(b)는 점착층(17)이 도포되기 전 및 후의 어느 한 시점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3 주입통로(c)는 투명기판(16), 인쇄층(15), 접착층(14) 및 상부필름(13)을 홀 형태로 관통하여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제1 내지 제3 주입통로(a, b, c) 중의 어느 하나에 제1 내지 제3 주입관(41a, 41b, 41c) 중의 어느 하나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제1 주입통로(a)가 있으면, 제1 주입관(41a)에 제1 주입통로(a)에 삽입된다. 제1 내지 제3 주입관(41a, 41b, 41c)은 상기 유동성 물질을 유동공간(s)에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 제1 내지 제3 주입관(41a, 41b, 41c) 대신에 주사기와 같은 주입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주입관(41a, 41b, 41c)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유동성 물질을 유동공간(s)으로의 주입이 완료되면, 제1 내지 제3 주입관(41a, 41b, 41c) 중의 어느 하나를 제거한다. 다음에, 투명한 재질의 열가소성 수지를 제1 내지 제3 주입통로(a, b, c) 중의 어느 하나에 채워 제1 내지 제3 매립부(42a, 42b, 42c)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명부재는 외부에서 유동성 물질을 유동층에 주입하는 방식의 제1 및 제4 투명부재(100, 400) 및 경화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유동층을 형성하는 제2 및 제3 투명부재(200, 300)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투명부재(100)는 제4 투명부재(400)와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3 주입통로(a, b, c)를 활용하여 제1 유동층(1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4 투명부재(100, 400)은 주입방식 및 제2 및 제3 투명부재(200, 300)은 경화방식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주입방식 및 경화방식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투명부재(100)에서 제1 유동층(12)이 형성되는 순서를 변경하거나, 제4 투명부재(400)에서 제2 매립부(42b)를 점착층(17)으로 채울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하부필름
11, 22, 31, 40; 제1 내지 제4 댐퍼
12, 23, 32; 제1 내지 제3 유동층
13; 상부필름 14; 접착층
15; 인쇄층 16; 투명기판
17; 점착층 20; 프레임
41a, 41b, 41c; 제1 내지 제3 주입관
42a, 42b, 42c; 제1 내지 제3 매립부
a, b, c; 제1 내지 제3 주입통로
s; 유동공간
100, 200, 300, 400; 제1 내지 제4 투명부재

Claims (27)

  1.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재는 투명기판 및 비산방지 파우치가 합지된 것이고,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는,
    상기 파우치의 단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댐퍼;
    상기 댐퍼의 일측에 접합되는 하부필름; 및
    상기 댐퍼의 타측에 접합되는 상부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댐퍼, 상기 하부필름 및 상기 상부필름은 유동성 물질이 채워지는 유동층이 내재하도록 하는 유동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댐퍼는 투명 접착제 및 열이나 광으로 분해되는 분해수지가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폭은 상기 투명기판 및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 사이에 위치하는 인쇄층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높이는 상기 유동공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열 경화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단층 또는 복층의 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및 상부필름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물질은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고분자 겔 또는 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물질은 액체 또는 겔 형태의 열 경화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물질은 투명 접착제 및 열이나 광으로 분해되는 분해수지가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12. 하부필름, 댐퍼, 상부필름 및 유동층으로 이루어진 비산방지 파우치를 포함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예비 하부필름 또는 예비 상부필름 상에 예비 댐퍼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댐퍼에 의해 제공되는 유동공간에 유동성 물질을 주입하여 유동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댐퍼에 상기 예비 상부필름 또는 상기 예비 하부필름을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예비 댐퍼를 분리선(P1)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물질은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고분자 겔 또는 경화수지 또는 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댐퍼는 토출에 의한 도포 방식, 패드를 활용한 도포 방식, 디지털 인쇄에 의한 도포 방식 및 접착테이프의 부착 방식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 및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와 합지되는 투명기판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의 폭은 상기 인쇄층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16. 하부필름, 댐퍼, 상부필름 및 유동층으로 이루어진 비산방지 파우치를 포함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예비 하부필름 상에 프레임을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액상 또는 겔 형태의 경화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 예비 상부필름을 압착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경화수지를 경화시켜 댐퍼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층이 있는 유동공간이 확보된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공간에는 경화되지 않는 상기 경화수지로 상기 유동층을 이루고, 상기 경화수지는 열 경화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 및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와 합지되는 투명기판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의 폭은 상기 인쇄층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19. 하부필름, 댐퍼, 상부필름 및 유동층으로 이루어진 비산방지 파우치를 포함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예비 하부필름 및 예비 상부필름 사이에 투명 접착제 및 열이나 광으로 분해되는 분해수지가 혼합된 혼합물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해수지에 열 또는 자외선을 가하여 상기 분해수지를 분해시켜 유동층 및 예비 댐퍼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댐퍼를 분리선(P3)을 기준으로 절단하여, 상기 유동층이 있는 유동공간이 확보된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열이나 자외선에 상기 분해수지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 및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와 합지되는 투명기판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의 폭은 상기 인쇄층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오목한 홈이 있는 오목지그에 투명기판을 장입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오목지그 상에 투명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23. 하부필름, 댐퍼, 상부필름 및 유동층으로 이루어진 비산방지 파우치를 포함하면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투명기판에 상부필름을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필름 단부의 둘레를 따라 댐퍼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댐퍼에 하부필름을 접합하여, 유동성 물질이 주입되는 유동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댐퍼, 상기 하부필름 및 상기 투명기판과 상부필름 중의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주입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주입통로를 이용하여 상기 유동성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주입통로를 매립하여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주입통로에 상기 유동성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관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접착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접착테이프가 단층 또는 복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 및 상기 비산방지 파우치와 합지되는 투명기판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의 폭은 상기 인쇄층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의 제조방법.
KR1020170122425A 2017-09-22 2017-09-22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59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425A KR101959277B1 (ko) 2017-09-22 2017-09-22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8/010102 WO2019059556A1 (ko) 2017-09-22 2018-08-31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425A KR101959277B1 (ko) 2017-09-22 2017-09-22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277B1 true KR101959277B1 (ko) 2019-03-18

Family

ID=6581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425A KR101959277B1 (ko) 2017-09-22 2017-09-22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9277B1 (ko)
WO (1) WO20190595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6433A (zh) * 2019-10-25 2021-04-27 阳程科技股份有限公司 软性元件表面自动化成形异形光学胶脂的方法
US11720142B2 (en) 2020-01-21 2023-08-08 Sg Global Co., Ltd. Sheet for display pan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452B1 (ko) * 2014-08-25 2015-02-13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보호용 강화유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6080773A (ja) * 2014-10-10 2016-05-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211047A (pt) * 2001-06-22 2004-07-20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embrana protetora flexìvel transparente selável
KR20140013155A (ko) * 2012-07-19 2014-02-05 (주)발품 터치스크린이 곡면으로 제조된 휴대용단말기의 보호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2103B1 (ko) * 2015-05-07 2016-03-21 김영수 곡면 형상을 가진 터치스크린 패널의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7977A (ko) * 2015-12-09 2017-06-19 김제오 3d 곡면부가 형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보호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452B1 (ko) * 2014-08-25 2015-02-13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보호용 강화유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6080773A (ja) * 2014-10-10 2016-05-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6433A (zh) * 2019-10-25 2021-04-27 阳程科技股份有限公司 软性元件表面自动化成形异形光学胶脂的方法
CN112706433B (zh) * 2019-10-25 2022-10-21 阳程科技股份有限公司 软性元件表面自动化成形异形光学胶脂的方法
US11720142B2 (en) 2020-01-21 2023-08-08 Sg Global Co., Ltd. Sheet for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556A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8297B2 (en)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0755991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KR101717507B1 (ko) 곡면부를 가진 휴대기기에 부착되는 복합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152734B1 (ko) 라미네이트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9688051B2 (en) Window memb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40030496A1 (en) Window structure for protecting a display panel
JP6607666B2 (ja) 曲面型表示装置のウインドウ部材、曲面型表示装置のウインドウ部材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備えた曲面型表示装置
KR101657136B1 (ko) 곡면 테두리부를 가진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시트
KR101959277B1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투명부재 및 그 제조방법
EP3686716B1 (en) Display device having attachable/detachable pattern
KR101954233B1 (ko) 시인성이 개선된 터치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TW201425049A (zh) 影像顯示裝置用雙面黏著片材、附有離型薄膜之影像顯示裝置用雙面黏著片材及使用該等而成之影像顯示裝置
US11673363B2 (en) Rollabl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2016022372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1966244A (zh) 触控显示屏及其贴合方法
CN103365022A (zh) 电子墨水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12820200A (zh) 盖板及显示装置
US20130278845A1 (en) Embedded electrooptical display
KR20180000822A (ko) 곡면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보호시트
KR101911698B1 (ko) 탈부착 유동층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9715B1 (ko) 곡면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하기 위한 보호시트
KR101798759B1 (ko) 곡면부를 가진 휴대기기에 부착되는 보호시트 모듈, 이를 이용한 보호시트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보호시트
KR102131966B1 (ko)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CN111326529B (zh) 一种背膜结构及显示装置
KR20150000100A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